백두진

덤프버전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부총리 겸.svg
파일:기획재정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재무부장관 (1948~1994)
초대
김도연
제2대
최순주
제3대
백두진
제4대
박희현
제5대
이중재
제6대
김현철
제7대
인태식
제8대
김현철
제9대
송인상
제10대
윤호병
장도영 내각
송요찬 내각
박정희 내각
제11대
김영선
제12대
백선진
제13대
김유택
제14대
천병규
제15대
김세련
김현철 내각
제16대
황종률
제17대
박동규
제18대
이정환
제19대
홍승희
제20대
김정렴
제21대
김학렬
제22대
서봉균
제23대
황종률
제24대
남덕우
제25대
김용환
제26대
김원기
제27대
이승윤
제28대
나웅배
제29대
강경식
제30대
김만제
제31대
정인용
제32대
사공일
제33대
이규성
제34대
정영의
제35대
이용만
제36대
홍재형
제37대
박재윤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 (1961~1994)
송요찬 내각
박정희 내각
김현철 내각
초대
김유택
제2대
송요찬
제3대
김현철
제4대
김유택
제5대
유창순
김현철 내각
제6대
원용석
제7대
김유택
제8대
장기영
제9대
박충훈
제10대
김학렬
제11대
태완선
제12대
남덕우
제13대
신현확
제14대
이한빈
제15대
김원기
제16대
신병현
제17대
김준성
제18대
서석준
제19대
신병현
제20대
김만제
제21대
정인용
제22대
나웅배
제23대
조순
제24대
이승윤
제25대
최각규
제26대
이경식
제27대
정재석
제28대
홍재형
부총리 겸 재정경제원장관 (1994~1998)
초대
홍재형
제2대
나웅배
제3대
한승수
제4대
강경식
제5대
임창열

재정경제부장관 (1998~2001)
초대
이규성
제2대
강봉균
제3대
이헌재
제4대
진념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 (2001~2008)
초대
진념
제2대
전윤철
제3대
김진표
제4대
이헌재
제5대
한덕수
제6대
권오규

기획예산처장관 (1999~2008)
초대
진념
제2대
전윤철
제3대
장승우
제4대
박봉흠
제5대
김병일
제6대
변양균
제7대
장병완

기획재정부장관 (2008~2013)
초대
강만수
제2대
윤증현
제3대
박재완
제4대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2013~현재)
초대
현오석
제2대
최경환
제3대
유일호
제4대
김동연
제5대
홍남기
제6대
추경호
임시정부 재무부장



파일:정부상징.svg
파일:조달청장 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임시외자총국장외자구매처장
초대
백두진
초대
김우평
제2대
현근
제3대
황종률
제4대
이순용
외자구매처장임시외자관리청장
제5대
손노듸
초대
백두진
제2대
현근
제3대
황종률
제4대
이순용
외자청장
초대
이순용
제2대
최인규
제3대 (서리)
신현확
제4대
안희경
제5대 (서리)
유창순
송요찬 내각
제6대
김영원
제7대
유창순
조달청장
송요찬 내각
박정희 내각
초대
황인성
제2대
백석주
제3대
김원희
제4대
고재일
제5대
안광석
제6대
정해식
제7대
이선기
제8대
이건중
제9대
김주호
제10대
김만기
제11대
안응모
제12대
김태승
제13대
장홍렬
제14대
전세봉
제15대
임창열
제16대
류재호
제17대
강정훈
제18대
김병일
제19대
김성호
제20대
권오규
제21대
김경섭
제22대
최경수
제23대
진동수
제24대
김용민
제25대
김성진
제26대
장수만
제27대
권태균
제28대
노대래
제29대
최규연
제30대
강호인
제31대
민형종
제32대
김상규
제33대
정양호
제34대
박춘섭
제35대
정무경
제36대
김정우
제37대
이종욱
제38대
김윤상
제39대
임기근



파일:유신정우회_한글로고.svg 의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8·10대 국회의장
백두진
白斗鎭 | Paik Too-chin
파일:paiktoochin.jpg
출생1908년 10월 31일
황해도 신천군 동부면
(現 황해남도 신천군 신천읍)
사망1993년 9월 5일 (향년 84세)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서울중앙병원
(現 서울아산병원)
묘소국립서울현충원 국가유공자 제1묘역-34
본관수원 백씨[1]
소계(小溪)
재임기간초대 임시외자총국장
1949년 12월 19일 ~ 1950년 10월 13일
제3대 재무부장관[2]
1951년 3월 5일 ~ 1953년 9월 9일
제4대 국무총리 (이승만 정부)
1953년 4월 24일 ~ 1954년 6월 17일
제10대 국무총리 (박정희 정부)
1970년 12월 21일 ~ 1971년 6월 3일
제8대 국회의장
1971년 7월 26일 ~ 1972년 10월 17일
제10대 국회의장
1979년 3월 17일 ~ 1979년 12월 17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허명재
친인척처고모부 이광수
학력휘문고등보통학교 (졸업 / 18회)
도쿄상과대학 (히토츠바시대학) (상학 / 학사)
국방대학교 (행정학 / 학사)
종교유교 (성리학)
의원 선수5
의원 대수5(민), 7, 8, 9, 10
경력초대 임시외자관리청장
제3대 재무부 장관
제4대 국무총리
제5대 민의원의원 (경기 이천군/무소속)
제7대 국회의원 (전국구/민주공화당)
제10대 국무총리
제8대 국회의원 (전국구/민주공화당)
제8대 국회의장
제9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제10대 국회의원 (유신정우회)
제10대 국회의장

1. 개요
2. 일생
3. 선거 이력
4. 소속 정당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제8·10대 국회의장, 제4·10대 국무총리.

대한민국 역사상 최연소 국무총리[3] 이며, 5선 의원에 두 번의 국회의장과 두 번의 국무총리를 역임한 화려한 정치 경력의 소유자다.[4]


2. 일생[편집]



2.1. 대한제국 ~ 일제강점기[편집]


1908년 황해도(현 북한 황해남도) 신천군 신천읍에서 태어났다.

휘문고등학교, 도쿄상과대학(현 히토츠바시대학)을 졸업하고 조선은행의 직원이 되었다.


2.2. 미군정[편집]


1945년 광복과 함께 조선은행 이사가 되었다.


2.3.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이승만 정권 때인 1951년 최연소로 재무부 장관이 되었다. 하술할 정치인 백두진과 달리 재무부 장관 백두진은 과감한 불도저식 정책집행과 실행력으로 이승만의 큰 신임을 얻었다. 백두진은 재무장관으로 조세범처벌법, 임시토지수득세법[5], 귀속재산처리법[6]등을 일사천리로 밀어부쳐 전쟁 중이었던 대한민국 정부의 세수확보에 앞장섰고, 1952년 미국 대통령 해리 트루먼의 특사 클라렌스 마이어와 협상해, 50년 7월 전임 최순주 장관이 맺었던 <UN군 경비지출에 관한 협정>에 따라 미국이 한국에 지불해야 할 UN군 경비 집행 미지급금 1억달러를 즉각 받아내는 한미경제조정협정(일명 마이어 협정)을 이끌어낸다.6.25 난리통에서 미국돈 1억 달라를 받아낸 인물 백두진

1953년 국무총리로 등용되어 1954년까지 재직하였다. 국무총리로서 1953년 100원을 1환으로 교환하는 화폐개혁을 단행하고, 당시 500환(구 5만원) 이상의 자금은 강제로 은행예금으로 동결하는 등 초강력한 인플레이션 억제책을 실행하였고, 그 덕에 한미경제조정협정을 이끌고도 지지부진하던 미지급금 1억달러의 상환을 이끌어냈다.[7]

국무총리에서 해임된 뒤 자유당 정권이 붕괴될 때까지 야인으로 지냈다. 그러다가 4.19 혁명 후에 실시된 1961년 4월 24일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재보궐선거(최하영의 반민주행위자 지정에 따른 국회의원직 상실)에 경기도 이천군(현 이천시)에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 대한민국 국회가 해산됨으로써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 그리고 정치활동금지법에 묶여 또다시 야인이 되었다.

그러다가 1967년 박정희 정권의 민주공화당 총재상담역으로 기용되었다. 곧이어 그해에 치러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선출됨으로써 다시 정치활동을 재개하였다.

1970년 12월 국무총리로 한 번 더 발탁되어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 때까지 재임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 소속의 전국구의원으로 당선되고, 국회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이 때는 1979년 3월과 달리 국회의장으로 선출될 때 별 잡음이 없었다.

1972년 10월 유신이 선포되고 국회가 해산함에 따라 국회의원직을 상실하였다. 그리고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었으며, 유신정우회 의장 겸 정책위원회 의장이 되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유신정우회 소속으로 당선되고 국회의장 후보로 출마하였다. 그러나 당시 신민당에서 강경 노선을 걷던 김영삼이 "국민에 의해 선출되지 않은 대통령의 꼭두각시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이 국회의장이 되는 건 막아야 한다"라고 주장하면서, 자신의 계보에 있던 국회의원들을 이끌고 국회의장 선출을 보이콧하였다. 이것이 백두진 파동. 결국 백두진은 일단 당선은 되었으나, 반쪽짜리 국회의장으로 역사에 남게 되었다.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가 죽은 뒤, 그해 12월 국회의장직을 사퇴하고 정계를 은퇴하였다.

1987년 신민주공화당 창당에 참여하여 상임고문을 맡았다.

1993년 9월 5일 오전 10시 10분에 송파구 풍납동 서울중앙병원에서 뇌일혈로 사망했다.


3.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이천군
무소속

4,780 (11.49%)낙선 (3위)
19614.24 재보궐선거16,782 (31.75%)당선 (1위)초선[8][9]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전국구
ta-hash-start=w-206116d9f79049ae26fe3c8d62f135ff[[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5,494,922 (50.6%)당선 (3번)재선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6,254,921 (48.8%)3선[10]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

통일주체국민회의 선출당선4선[11]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5선[12]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조선민족청년단

1946 - 1949정계 입문

무소속

1949 - 1960탈당


1960입당

무소속

1960 - 1967탈당

ta-hash-start=w-a449fd632d461c8c447b6e8535d49675[[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967 - 1973입당

무소속

1973탈당


1973 - 1980입당

무소속

1980 - 1981정당 해산
정계 은퇴


1981 - 1984창당

무소속

1984 - 1987탈당

ta-hash-start=w-116650d7df20a72399fbf9c588a9bb97[[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1987 - 1990창당

ta-hash-start=w-145b596b690838b678b8f90ea9f47869[[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0합당[13]

무소속

1990 - 1993탈당
사망


5. 둘러보기[편집]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tablebgcolor=#003764><width=30%><rowbgcolor=#575757> {{{#fff '''직위'''}}} || {{{#fff '''명단'''}}} || || [[외교부장관|{{{#fff '''외무부장관'''}}}]] ||<colbgcolor=#fff,#1f2024><colcolor=#254170> [[장택상|{{{#000,#ddd 장택상}}}]] → [[임병직|{{{#000,#ddd 임병직}}}]] → [[변영태|{{{#000,#ddd 변영태}}}]] → [[조정환(1892)|{{{#000,#ddd 조정환}}}]] → [[허정|{{{#000,#ddd 허 정}}}]] || || [[행정안전부장관|{{{#fff '''내무부장관'''}}}]] || [[윤치영|{{{#000,#ddd 윤치영}}}]] → [[신성모|{{{#000,#ddd 신성모}}}]] → [[김효석(1894)|{{{#000,#ddd 김효석}}}]] → [[백성욱|{{{#000,#ddd 백성욱}}}]] → [[조병옥|{{{#000,#ddd 조병옥}}}]] → [[이순용|{{{#000,#ddd 이순용}}}]] → [[장석윤|{{{#000,#ddd 장석윤}}}]] → [[이범석|{{{#000,#ddd 이범석}}}]] → [[김태선|{{{#000,#ddd 김태선}}}]] → [[진헌식|{{{#000,#ddd 진헌식}}}]] → [[황호현|{{{#000,#ddd 황호현}}}]] → [[백한성|{{{#000,#ddd 백한성}}}]] → [[김형근(법조인)|{{{#000,#ddd 김형근}}}]] → [[이익흥|{{{#000,#ddd 이익흥}}}]] → [[장경근|{{{#000,#ddd 장경근}}}]] → [[이근직(1903)|{{{#000,#ddd 이근직}}}]] → [[민병기(1901)|{{{#000,#ddd 민병기}}}]] → [[김일환|{{{#000,#ddd 김일환}}}]] → [[최인규|{{{#000,#ddd 최인규}}}]] → [[홍진기|{{{#000,#ddd 홍진기}}}]] → [[이호(1914)|{{{#000,#ddd 이호}}}]] || || [[기획재정부장관|{{{#fff '''재무부장관'''}}}]] || [[김도연(1894)|{{{#000,#ddd 김도연}}}]] → [[최순주|{{{#000,#ddd 최순주}}}]] → [[백두진|{{{#000,#ddd 백두진}}}]] → [[박희현(1911)|{{{#000,#ddd 박희현}}}]] → [[이중재(1898)|{{{#808080,#7f7f7f 이중재}}}]] → [[김현철(독립운동가)|{{{#000,#ddd 김현철}}}]] → [[인태식|{{{#000,#ddd 인태식}}}]] → [[김현철(독립운동가)|{{{#000,#ddd 김현철}}}]] → [[송인상|{{{#000,#ddd 송인상}}}]] → [[윤호병(1891)|{{{#000,#ddd 윤호병}}}]] || || [[법무부장관|{{{#fff '''법무부장관'''}}}]] || [[이인|{{{#000,#ddd 이 인}}}]] → [[권승렬|{{{#000,#ddd 권승렬}}}]] → [[이우익|{{{#000,#ddd 이우익}}}]] → [[김준연|{{{#000,#ddd 김준연}}}]] → [[조진만|{{{#000,#ddd 조진만}}}]] → [[서상환|{{{#000,#ddd 서상환}}}]] → [[조용순|{{{#000,#ddd 조용순}}}]] → [[이호(1914)|{{{#000,#ddd 이 호}}}]] → [[홍진기|{{{#000,#ddd 홍진기}}}]] → [[권승렬|{{{#000,#ddd 권승렬}}}]] || || [[대한민국 국방부장관|{{{#fff '''국방부장관'''}}}]] || [[이범석|{{{#000,#ddd 이범석}}}]] → [[신성모|{{{#000,#ddd 신성모}}}]] → [[이기붕|{{{#000,#ddd 이기붕}}}]] → [[신태영|{{{#000,#ddd 신태영}}}]] → [[손원일|{{{#000,#ddd 손원일}}}]] → [[김용우(1912)|{{{#000,#ddd 김용우}}}]] → [[김정렬(1917)|{{{#000,#ddd 김정렬}}}]] → [[이종찬|{{{#000,#ddd 이종찬}}}]] || || [[교육부장관|{{{#fff '''문교부장관'''}}}]] || [[안호상|{{{#000,#ddd 안호상}}}]] → [[백낙준|{{{#000,#ddd 백낙준}}}]] → [[김법린|{{{#000,#ddd 김법린}}}]] → [[이선근|{{{#000,#ddd 이선근}}}]] → [[최규남|{{{#000,#ddd 최규남}}}]] → [[최재유(1906)|{{{#000,#ddd 최재유}}}]] → [[이병도|{{{#000,#ddd 이병도}}}]] || || [[국토교통부장관|{{{#fff '''부흥부장관'''}}}]] || [[유완창|{{{#000,#ddd 유완창}}}]] → [[김현철(독립운동가)|{{{#000,#ddd 김현철}}}]] → [[송인상|{{{#000,#ddd 송인상}}}]] → [[신현확|{{{#000,#ddd 신현확}}}]] → [[전예용|{{{#000,#ddd 전예용}}}]] || || [[농림축산식품부장관|{{{#fff '''농림부장관'''}}}]] || [[조봉암|{{{#000,#ddd 조봉암}}}]] → [[이종현(1903)|{{{#000,#ddd 이종현}}}]] → [[윤영선(1896)|{{{#000,#ddd 윤영선}}}]] → [[공진항|{{{#000,#ddd 공진항}}}]] → [[임문환|{{{#000,#ddd 임문환}}}]] → [[함인섭|{{{#000,#ddd 함인섭}}}]] → [[신중목|{{{#000,#ddd 신중목}}}]] → [[정재설|{{{#000,#ddd 정재설{{{-3 (서리)}}}}}}]] → [[양성봉|{{{#000,#ddd 양성봉}}}]] → [[윤건중|{{{#000,#ddd 윤건중}}}]] → [[최규옥|{{{#000,#ddd 최규옥}}}]] → [[임철호|{{{#000,#ddd 임철호}}}]] → [[정낙훈|{{{#000,#ddd 정낙훈}}}]] → [[정운갑|{{{#000,#ddd 정운갑}}}]] → [[정재설|{{{#000,#ddd 정재설}}}]] → [[이근직(1903)|{{{#000,#ddd 이근직}}}]] → [[이해익|{{{#000,#ddd 이해익}}}]] || || [[산업통상자원부장관|{{{#fff '''상공부장관'''}}}]] || [[임영신|{{{#000,#ddd 임영신}}}]] → [[윤보선|{{{#000,#ddd 윤보선}}}]] → [[김훈(정치인)|{{{#000,#ddd 김 훈}}}]] → [[이교선(1905)|{{{#000,#ddd 이교선}}}]] → [[이재형(정치인)|{{{#000,#ddd 이재형}}}]] → [[안동혁(1906)|{{{#000,#ddd 안동혁}}}]] → [[박희현|{{{#000,#ddd 박희현}}}]] → [[강성태(1903)|{{{#000,#ddd 강성태}}}]] → [[김일환|{{{#000,#ddd 김일환}}}]] → [[구용서|{{{#000,#ddd 구용서}}}]] → [[김영찬(1911)|{{{#808080,#7f7f7f 김영찬}}}]] → [[전택보|{{{#000,#ddd 전택보}}}]] → [[오정수|{{{#000,#ddd 오정수}}}]] || || [[보건복지부장관|{{{#fff '''사회부장관 / 보건부장관''' →}}}]] [[보건복지부장관|{{{#fff '''보건사회부장관'''}}}]] || [[전진한|{{{#000,#ddd 전진한}}}]] → [[이윤영|{{{#000,#ddd 이윤영}}}]] → [[허정|{{{#000,#ddd 허 정}}}]] → [[최창순|{{{#808080,#7f7f7f 최창순}}}]] → [[박술음|{{{#808080,#7f7f7f 박술음}}}]] / [[구영숙(1892)|{{{#808080,#7f7f7f 구영숙}}}]] → [[오한영|{{{#808080,#7f7f7f 오한영}}}]] → [[최재유(1906)|{{{#000,#ddd 최재유}}}]] [br]→ [[최재유(1906)|{{{#000,#ddd 최재유}}}]] → [[정준모|{{{#000,#ddd 정준모}}}]] → [[손창환(정치인)|{{{#000,#ddd 손창환}}}]] → [[김성진(1905)|{{{#000,#ddd 김성진}}}]] || || [[국토교통부장관|{{{#fff '''교통부장관'''}}}]] || [[민희식|{{{#000,#ddd 민희식}}}]] → [[허정|{{{#000,#ddd 허 정}}}]] → [[김석관|{{{#808080,#7f7f7f 김석관}}}]] → [[윤성순|{{{#000,#ddd 윤성순}}}]] → [[이종림|{{{#808080,#7f7f7f 이종림}}}]] → [[문봉제|{{{#000,#ddd 문봉제}}}]] → [[최인규|{{{#000,#ddd 최인규}}}]] → [[김일환|{{{#000,#ddd 김일환}}}]] → [[석상옥|{{{#808080,#ddd 석상옥}}}]]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fff '''체신부장관'''}}}]] || [[윤석구|{{{#000,#ddd 윤석구}}}]] → [[장기영(1903)|{{{#000,#ddd 장기영}}}]] → [[이순용|{{{#000,#ddd 이순용}}}]] → [[조주영(1900)|{{{#808080,#7f7f7f 조주영}}}]] → [[강인택|{{{#000,#ddd 강인택}}}]] → [[이광(1876)|{{{#808080,#7f7f7f 이 광}}}]] → [[이응준|{{{#000,#ddd 이응준}}}]] → [[곽의영|{{{#000,#ddd 곽의영}}}]] → [[오정수|{{{#000,#ddd 오정수}}}]] → [[최용덕|{{{#000,#ddd 최용덕}}}]] ||















[1] 25세손 'O진(鎭)' 항렬.[2] 이갑성과 공동으로 국무총리 서리 수행 (1952년 10월 9일 ~ 1953년 4월 23일)[3] 첫 취임 당시 만 44세.[4] 그러나 그 이면에는 일제이승만 정권, 박정희 정권을 거치며 영혼 없는 관료로서만 연명한 그의 모습이 있다. 재보궐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당선되어 초선 의원으로 고작 20일 재임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당인 민주공화당 전국구와 유신정우회 소속으로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사실상 무투표 당선되어 의원직을 수행한 셈이다.[5] 당시 심각한 인플레를 잡기 위해 농민의 세금을 현찰 대신 쌀 등 현물로 내게 한 것.[6] 이전까지 연고자 우선 혹은 주먹구구였던 일제 적산의 처리를 공개입찰 최고가 매각으로 바꾼 것.[7] 대신 미국은 1공화국 내내 이 마이어 협정 이행을 문제삼아 한국의 경제정책을 감시하고 관리했다. 심지어 케네디 행정부는 아예 미국인 경제고문단이 직접 대한민국의 경제부처를 장악해서 간접통치하는 방안까지 고려했다. 박정희 정권 초기까지 있었던 한미경제위원회가 그 역할을 했다.[8] 전임자 최하영 의원직 상실(반민주행위자 지정)[9] 1961.5.16 자격정지(5.16 군사정변)[10] 국회의장[11] 제9대 총선에서 유신정우회 국회의원은 3년 임기로 2번 나눠서 선출했다. 백두진은 1기와 2기 모두 선출되었다.[12] 국회의장[13] 민주정의당, 통일민주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