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천군

덤프버전 : (♥ 0)

||

군청 소재지신천읍
광역시도 황해남도
광복 당시 면적791㎢
광복 당시 행정구역 1읍 14면

1. 개요
2. 역사
3. 출신 인물
4. 기타
5.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5.1. 구 신천군 지역
5.2. 구 문화현 지역
5.3. 구 송화군 지역



1. 개요[편집]


북한 황해남도의 군이다.


2. 역사[편집]


대방군(帶方郡) 소명현(昭明縣), 장잠현(長岑縣)이었고 고구려 식성군(息成郡)이었으며 신라 경덕왕이 중반군(重盤郡)으로 고쳤다. 고려시대에는 안주(安州)였다.

광복 당시 1읍 14면. 면적 791.7제곱킬로미터이며 군청소재지는 신천읍 사직리였다.

북한 치하에서 고속도로나 경의선이 깔린 사리원시재령군에 비해 발전이 더딘 곳이다.


3. 출신 인물[편집]




4. 기타[편집]


용진면 구월산 기슭에는 31본산의 하나인 패엽사가 있었으며, 두라면 청계동 천봉산 기슭에는 안중근 의사의 본가가 있었다.

이 지역을 중심으로 신천·재령군 봉기가 일어났으며, 이 때문에 신천군은 북한 반미선전의 성지로 여겨지게 되었다. 매년 6월만 되면 신천박물관을 찾아 반미정신을 불태우고 간다는 북한 사람들의 소식은 노동신문에 거의 연례행사로 실릴 정도.


5.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편집]


||


파일:신천군기.png
파일:신천군.jpg


5.1. 구 신천군 지역[편집]


아래 지역은 원래부터 신천군이었던 곳이다.










5.2. 구 문화현 지역[편집]


아래 지역은 1909년에 신천군으로 편입된 곳이다. 문화 류씨의 본관이다.








5.3. 구 송화군 지역[편집]


아래 지역은 1914년에 신천군으로 편입된 곳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6:02:03에 나무위키 신천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온천면의 신천온천 바로 옆동네다.[2] 재령군과의 경계에 있다 하여 그렇게 지었다. 북한에서는 명수(明秀)저수지라고 한다. 위 지도에는 온천면에 있는 것으로 잘못 기재되어 있다.[3] 북한에서는 서원(書院)저수지라 한다.[4] 고려 초에 창건되었다 하나 창건연대 미상이며, 1572년에 재건되었다.[5] 위 지도에는 재신저수지로 잘못 기재되어 있다.[6] 남한에서는 지리산 삼성궁이 이 곳을 잇는다고 하고 있다.[7] 남한의 오대산 월정사와는 다르다.[8] 북한에서는 복우저수지라 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