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정치

덤프버전 : (♥ 0)

||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성동구 CI.svg 서울특별시 성동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국회의원시의원지역
중구·성동구 갑성동구 제2선거구왕십리도선동, 왕십리제2동, 행당제1동, 행당제2동
성동구 제3선거구마장동, 사근동, 송정동, 용답동
성동구 제4선거구응봉동, 성수1가제1동, 성수1가제2동, 성수2가제1동, 성수2가제3동
중구·성동구 을[1]성동구 제1선거구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중구 전역


1.1. 구의회[편집]



파일:성동구 CI.svg성동구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2. 지역 특징[편집]


요약하자면 성동구는 20세기엔 보수세도 꽤 있던 동네였으나[2], 민주화 이후부턴 민주당세가 강해져 몇몇 역전 현상이 있기도 했으나 전체적으론 당선 횟수에서 더 많이 앞서고 있다.

성동구는 1940년대에 활동한 우익 조직인 대동청년단의 수장인 지청천의 기반이었다. 이후 군사정권 시절에도 보수세가 꽤 있어 성동구에는 군사독재정권과 유착된 시설들이 많은 편이었다.[3] 그러나 성동구의 정치지형은 대중의 지속된 민주화 요구로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하여 본격적으로 자유당-공화당 계열 후보와 민주당 계열 후보가 뒤집히며 당선되기 시작한다. 관련 기사. 이어서 행정 구역의 잦은 분구로 성동구의 정치지형은 오늘날과 유사하게 변했다.

역대 총선 결과를 보면 1대 총선에서 대동청년단의 지청천 후보, 2대 총선에서는 갑 지역구에서 지청천이 민주국민당으로 당선, 을 지역구는 임흥순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었다. 3대 총선에서는 갑 지역구에서 임흥순 후보가 당선되고 을 지역구에서 자유당 김재황 후보 당선, 4대 총선은 서울에서 정권심판론이 불어 민주당의 유성권, 조병옥 후보가 갑을 지역구에서 당선되었다. 5대 총선유성권, 홍용준 후보가 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된다. 그러나 6대 총선유성권 후보는 갑 지역구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당선되었지만 을 지역구는 당시 민주공화당의 박준규 후보에게 빼앗겼다. 7대 총선도 갑 지역구는 신민당의 조한백 후보가 당선되었지만 을 지역구는 민주공화당 박준규 후보가 재선에 성공한다. 다만 8대 총선에서는 신민당의 약진으로 갑 지역구, 을 지역구, 병 지역구 모두 신민당에서 가져갔다. 양일동, 정운갑, 홍영기가 당선되었다.

9대 총선에서 중선거구제 하에서 민주공화당 민병기 후보가 1위로 당선, 신민당 정운갑 후보가 2위로 당선되는 이변을 낳았으나, 10대 총선에서는 신민당 김제만 후보, 민주통일당 양일동 후보의 당선으로 옅은 야권 지지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11대 총선에서는 민주정의당 이세기 후보가 중선거구제 하에서 1위로 당선되고 조덕현 한국국민당 후보는 2위로 당선, 12대 총선에서도 마찬가지로 민주정의당 이세기 후보는 1위로, 박용만 신한민주당 후보는 2위로 당선되며 보수정당이 안정적으로 표를 가져가게 되었다.

이렇게 11,12대 총선에서도 모두 민주정의당 후보가 1위를 차지하여 보수 텃밭이 되나 했으나, 소선거구제가 실시된 13대 총선 이후에는 민주-민자 2회-민주 2회-한나라-민주통합으로 치열했다. 13대는 민주당계 정당이 승리했으나, 성동구 특유의 보수성으로 14대 총선에서는 민자당 이세기 후보가 성동구 갑에서 당선이 되었다. (성동 을은 조세형 의원이 3선). 15대 총선에서는 성동 갑/을 모두 이전처럼 신한국당이 의석을 점하였다.

16대 총선에서는 단일 선거구로 임종석의원이 당선, 17대 총선에서는 갑·을로 분구되었으나 모두 열린우리당이 승리, 18대 총선에선 모두 한나라당이 이겼다. 성동구 내부적으로는 옥수동 수변지구를 끼고 있는 성동 갑이 성동 을보다 보수적으로 여겨졌다.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는 2석 모두 민주통합당이 차지하게 되었는데 성동갑의 최재천이야 17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니 그렇다쳐도 성동을의 홍익표는 통일문제 전문가라는 타이틀만 눈에 띌 뿐이지 지역 연고는 한양대학교 출신인게 전부였던지라 이변으로 받아들여졌다. 특히 새누리당 김동성 의원이 비교적 지역 정치를 잘했다는 평가를 받는데 비해, 홍익표는 한양대학교 선배이자 이 곳에서 국회의원을 지낸 임종석을 대신해 전략공천된 낙하산 후보나 마찬가지였던지라 더더욱 의외의 결과였다.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옆동네 중구가 인구하한선 미달로 인해 성동구와 합쳐지면서 중구+성동구 갑/을로 재편되었다. 먼저 을구의 경우 중구+금호/옥수동이며 갑구는 나머지 성동구 지역.[4]

원래 3석이었던게 2석으로 줄어든 셈이다보니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잡음이 일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으나... 기존 성동갑의 최재천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해버리면서, 중구 정호준 의원이 기존 중구를 포함하는 중구·성동구 을에 출마하고 기존 성동을의 홍익표 의원이 중구·성동구 갑으로 가는 형태로 교통정리가 되었는데다가, 정호준 의원은 공천에서 컷오프되어 국민의당으로 가버렸다.

일단 홍익표 의원이 경선에서 서울시설공단 상임감사 출신의 장백건 후보를 이겼고 새누리당에서는 김동성 전 성동을 의원이 진수희 전 성동갑 의원을 꺾고 후보로 확정. 선거 결과 갑구에서는 홍익표 후보가 여유롭게 이기고, 을구에서는 치열한 접전 끝에 지상욱 후보가 당선되었다. 21대 총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모두 당선되었다.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는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용산구와 강남 3구를 제외하고 서울 전역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 곳이 되었다.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가장 많은 피해를 본 곳이자[5] 옥수동과 성수동에 고가 아파트 단지가 연달아 들어선 점, 오세훈이 성동구 출신이라는 점, 성동구 국회의원이었던 임종석의 박원순 관련 망언이 영향을 미친 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부동산 문제에 관한 이슈는 계속되어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성동구에서는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1위를 차지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19,469표(9.97%)라는 제법 큰 차로 눌렀다. 5년 전 대선과 비교했을 때 민주당은 문재인 42.8% → 이재명 43.2%로 불과 0.4%p 증가에 그친 것과는 달리, 국민의힘은 홍준표 20.0% → 윤석열 53.2%로 무려 33%p나 증가하였다. 옥수동, 성수1가1동은 이재명 40% 미만이라는 성적이 나왔고, 옥수동은 더블스코어 격차로 벌어졌다.

동년 6월에 열린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광역단체장과 기초단체장이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오는 교차투표가 이루어졌다. 서울시장 선거에서는 오세훈이 60.9%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강남구(74.4%) 서초구(72.3%) 용산구(64.9%) 송파구(64.7%)에 이어 서울에서 5번째로 높은 지지[6]를 보냈지만 성동구청장 선거에서는 정원오 現 구청장이 인물론으로 민주당 수도권 기초단체장 당선자 중 제일 높은 득표율로 여유 있게 3선에 성공했다. 성동구의회도 더불어민주당이 과반 수성에 성공했다.

직후부턴 다시 윤석열 정부 지지율이 하락 추세라 2024년 총선 결과는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성동구 CI.svg 역대 성동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성동구 갑성동구 을
13대
ta-hash-start=w-03c045f7936c844b50bf52d1340aab13[[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강금식 (초선)

ta-hash-start=w-d551d31c58de42e3f97712866b3490cf[[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조세형 (재선)
14대
ta-hash-start=w-773e4a0cb69e2c9cfd5c7e44dbc29c81[[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이세기 (3선)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조세형 (3선)
15대
ta-hash-start=w-49a9a3a902f6c3f8ff17ef2e2c506145[[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세기 (4선)

ta-hash-start=w-cc8a3570c64524493cfb86da33327fa9[[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학원 (초선)
16대[7]
ta-hash-start=w-0cbed40c0d920b94126eaf5e707be1f5[[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임종석 (초선)
17대
ta-hash-start=w-23414d42e8f06e0c336782b0069ef22f[[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최재천 (초선)

ta-hash-start=w-dfabde5d7fa47dffde8b11afef05578a[[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임종석 (재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진수희 (재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동성 (초선)
19대
ta-hash-start=w-e8cb5f581442030021d62fd780fa674d[[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최재천 (재선)

ta-hash-start=w-f59569edf759b05d60124d386fd73d25[[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홍익표 (초선)
중구·성동구 갑중구·성동구 을
20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홍익표 (재선)

ta-hash-start=w-92ba85464fafd01ab6a82dbfe8d6f40b[[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지상욱 (초선)
21대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홍익표 (3선)
박성준 (초선)


파일:성동구 CI.svg 역대 성동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한나라당민주당
고재득이호조고재득
201420182022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정원오
주요 후보 득표율


3.1. 지방선거[편집]



3.1.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성동구 갑
응봉동,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정당
후보정원식조순박찬종
득표수18,94939,36029,411
득표율20.81%43.22%32.30%
순위3위1위2위
선거인 수140,184
투표 수92,877
무효표 수1,822
투표율66.25%

성동구 을
왕십리·도선동, 왕십리2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1동, 행당2동, 송정동, 용답동
정당
후보정원식조순박찬종
득표수14,24032,37222,708
득표율19.79%45.00%31.56%
순위3위1위2위
선거인 수111,848
투표 수73,590
무효표 수1,654
투표율65.79%


3.1.1.2. 성동구청장 선거[편집]

성동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광하50,1992위
31.06%낙선
2고재득72,063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44.59%당선
3장문구8,3205위
5.14%낙선
4김원식15,1314위
9.36%낙선
5황인범15,8923위
9.83%낙선
선거인 수252,032투표율
66.05%
투표 수166,457
무효표 수4,852


3.1.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성동구 갑
{{{#ffffff 응봉동,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정당
후보최병렬고건이병호
득표수25,89033,7751,336
득표율42.44%55.36%2.19%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28,908
투표 수61,664
무효표 수663
투표율47.84%

성동구 을
왕십리1동, 왕십리2동, 도선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1동, 행당2동, 송정동, 용답동
정당
후보최병렬고건이병호
득표수21,24930,0201,294
득표율40.42%57.11%2.46%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07,858
투표 수53,242
무효표 수679
투표율49.36%


3.1.2.2. 성동구청장 선거[편집]

성동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나장운44,1532위
39.06%낙선
2고재득68,8681위
60.93%당선
선거인 수236,766투표율
48.53%
투표 수114,912
무효표 수1,891


3.1.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3.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성동구
성동구 일원
정당
후보이명박김민석
득표수60,18854,742
득표율49.81%45.31%
순위1위2위
선거인 수259,275
투표 수122,030
무효표 수1,216
투표율47.07%

3.1.3.2. 성동구청장 선거[편집]

성동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안순영57,5332위
47.89%낙선
2고재득59,3521위
49.40%당선
3이문용3,2483위
2.70%낙선
선거인 수259,275투표율
47.07%
투표 수122,037
무효표 수1,904

3.1.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4.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성동구
성동구 일원
정당
후보강금실오세훈박주선
득표수35,84277,63111,971
득표율27.42%59.40%9.16%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266,956
투표 수131,927
무효표 수1,241
투표율49.42%


3.1.4.2. 성동구청장 선거[편집]

성동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성욱30,7612위
23.59%낙선
2이호조72,5911위
55.68%당선
3정병채18,3953위
14.11%낙선
4김성기8,6214위
6.61%낙선
선거인 수266,956투표율
49.44%
투표 수131,981
무효표 수1,613


3.1.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5.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성동구
성동구 일원
정당
후보오세훈한명숙노회찬
득표수63,44863,9663,891
득표율47.22%47.60%2.89%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250,316
투표 수135,277
무효표 수912
투표율54.04%


3.1.5.2. 성동구청장 선거[편집]

성동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호조59,8042위
[include(틀:한나라당)]46.74%낙선
2고재득68,1281위
53.25%당선
5최창준사퇴
선거인 수250,316투표율
54.05%
투표 수135,286
무효표 수7,354


3.1.6.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편집]


성동구
성동구 일원
정당
후보나경원박원순
득표수54,05964,766
득표율45.32%54.30%
순위2위1위
선거인 수249,948
투표 수120,002
무효표 수742
투표율48.01%


3.1.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7.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성동구
성동구 일원
정당
후보정몽준박원순
득표수62,37681,645
득표율42.93%56.19%
순위2위1위
선거인 수252,308
투표 수146,873
무효표 수1,591
투표율58.21%


3.1.7.2. 성동구청장 선거[편집]

성동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장철환67,2322위
46.59%낙선
2정원오72,1881위
50.02%당선
3최창준4,8713위
3.37%낙선
선거인 수252,308투표율
58.21%
투표 수146,856
무효표 수2,565

3.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8.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성동구
성동구 일원[A][B]
정당
후보박원순김문수안철수
득표수84,10634,87830,379
득표율53.96%22.37%19.49%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264,634
투표 수157,863
무효표 수983
투표율59.65%

7회 지선 서울 성동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원순김문수안철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4,106
(53.96%)
34,878
(22.37%)
30,379
(19.49%)
+49,228
(△31.59)
59.65%
금호1가동53.19%22.87%20.28%△30.3257.93
금호2·3가동53.49%22.66%20.10%△30.8357.0
금호4가동51.81%23.55%21.38%△28.2659.26
옥수동47.47%26.48%22.15%△20.9957.76
응봉동51.52%23.94%20.55%△27.5859.74
성수1가1동51.43%25.23%19.12%△26.2054.92
성수1가2동55.25%22.96%17.14%△32.2960.14
성수2가1동52.08%26.61%17.20%△25.4752.54
성수2가3동52.13%25.27%18.67%△26.8656.53
왕십리도선동52.49%21.79%21.31%△30.7057.61
왕십리2동58.0%19.15%18.70%38.8557.91
행당1동52.42%23.75%19.56%△28.6757.17
행당2동54.49%21.28%20.27%△33.2162.02
마장동55.25%22.37%18.18%△32.8857.81
사근동54.15%18.80%21.44%△35.3553.95
송정동57.82%22.67%15.60%△35.1551.64
용답동57.70%21.79%16.25%△35.9151.59
후보박원순김문수안철수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44.50%17.50%31.50%△13.0
관외사전투표59.79%16.35%19.13%40.66

3.1.8.2. 성동구청장 선거[편집]

{+1 [[파일:성동구 CI_White.svg}}} 성동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원오(鄭愿伍)107,9701위
69.46%당선
2정찬옥(鄭燦玉)34,5042위
22.19%낙선
3안성규(安星奎)12,9663위
8.34%낙선
선거인 수264,634투표율
59.65%
투표 수157,850
무효표 수2,410

3.1.9. 2021년 재보궐선거[편집]


성동구
성동구 일원
정당
후보박영선오세훈
득표수55,94189,924
득표율37.17%59.76%
순위2위1위
선거인 수258,172
투표 수151,520
무효표 수1,059
투표율58.69%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성동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박영선오세훈
득표수
(득표율)
55,941
(37.17%)
89,924
(59.76%)
-33,983
(▼22.59)
금호1가동37.48%60.02%▼22.54
금호2·3가동38.66%58.82%▼20.16
금호4가동36.57%61.24%▼24.67
옥수동29.08%68.86%▼39.78
응봉동37.38%59.87%▼22.49
성수1가1동32.38%64.47%▼32.09
성수1가2동37.20%59.60%▼24.40
성수2가1동35.33%61.90%▼26.57
성수2가3동35.59%61.44%▼25.85
왕십리도선동35.89%61.09%▼25.20
왕십리2동43.26%53.62%▼10.36
행당1동35.82%60.68%▼24.86
행당2동37.95%59.21%▼21.26
마장동40.21%56.08%▼15.87
사근동36.34%59.24%▼22.90
송정동41.67%55.18%▼13.51
용답동45.80%50.86%▼5.06
거소투표26.86%62.76%▼35.90
관외사전투표41.75%54.59%▼16.84
국회의원
선거구별
박영선오세훈격차
중구·성동구 갑[8][A][9][10]37.57%58.55% ▼20.98
37.94%59.77% ▼21.83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 특히 중산층 이상이 많이 거주하는 아파트 표심이 국민의힘으로 쏠리는 결과가 나왔다.

자치구오세훈 득표율격차박영선 득표율
파일:성동구 CI.svg
성동구
성수2가3동 제2투표소
성수 롯데캐슬 파크
72.99%◀ 48.60%p ▶24.39%
행당1동 제4투표소
서울숲 리버뷰 자이
67.95%◀ 38.50%p ▶29.45%
왕십리도선동 제6투표소
센트라스[왕십리뉴타운]
67.03%◀ 36.95%p ▶30.08%
왕십리도선동 제5투표소
텐즈힐 1단지[왕십리뉴타운]
65.42%◀ 33.93%p ▶31.49%
성수1가2동 제4투표소
쌍용
64.48%◀ 31.99%p ▶32.49%
왕십리도선동 제3투표소
벽산
63.77%◀ 30.78%p ▶32.99%
행당2동 제4·5투표소
행당 한진타운[11]
63.65%◀ 30.22%p ▶33.43%
행당2동 제1·3투표소
행당 대림
62.06%◀ 27.45%p ▶34.61%
마장동 제6투표소
금호어울림
59.00%◀ 23.46%p ▶35.55%
왕십리2동 제3투표소
금호베스트빌
58.53%◀ 20.39%p ▶38.14%
왕십리2동 제4투표소
왕십리 풍림아이원
57.41%◀ 17.64%p ▶39.76%

3.1.10.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0.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8회 지선 성동구 개표 결과
서울특별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송영길오세훈(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1,996
(37.55%)
84,320
(60.90%)
- 32,324
(▼23.35)
139,761
(55.46%)
왕십리·도선동[A]36.62%61.84%▼25.2251.77
왕십리2동42.79%55.29%▼12.5054.18
마장동41.52%56.87%▼15.3552.27
사근동[B]39.84%58.38%▼18.5442.83
행당1동36.30%62.08%▼25.7854.90
행당2동37.59%61.01%▼23.4258.09
응봉동37.09%61.72%▼24.6355.78
금호1가동37.35%61.32%▼23.9752.70
금호2·3가동37.84%60.80%▼22.9651.76
금호4가동36.03%62.68%▼26.6556.49
옥수동[C]29.39%69.23%▼39.8454.91
성수1가1동[D]33.16%65.44%▼32.2849.30
성수1가2동35.94%62.26%▼26.3358.13
성수2가1동35.76%63.07%▼27.3149.62
성수2가3동33.96%64.53%▼30.5752.12
송정동41.69%56.92%▼15.2346.89
용답동45.09%53.08%▼7.9945.33
후보송영길오세훈격차
거소투표32.27%65.45%▼33.18
관외사전투표41.04%56.91%▼15.87
국회의원
선거구
송영길오세훈격차투표율
중·성동 갑[D][12]38.12%60.34%▼22.2252.10
37.35%61.19%▼23.8451.57


3.1.10.2. 성동구청장 선거[편집]

성동구청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정원오강맹훈(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9,786
(57.60%)
58,708
(42.39%)
+ 21,078
(△15.22)
139,767
(55.46%)
왕십리·도선동[*A ]56.84%43.15%△13.6851.74
왕십리2동64.52%34.57%△29.0454.20
마장동62.42%37.57%△24.8652.26
사근동[*B ]60.33%39.66%△20.6642.83
행당1동58.65%41.34%△17.3154.95
행당2동60.79%39.20%△21.5958.09
응봉동61.60%38.39%△23.2155.80
금호1가동59.65%40.34%△19.3052.69
금호2·3가동59.35%40.64%△18.7151.76
금호4가동57.76%42.23%△15.5356.49
옥수동[*C ]47.72%52.27%▼4.5454.89
성수1가1동[*D ]50.76%49.23%△1.5249.32
성수1가2동56.39%43.60%△12.7958.19
성수2가1동51.75%48.24%△3.5049.63
성수2가3동52.62%47.37%△5.2452.11
송정동59.16%40.83%△18.3246.87
용답동62.69%37.30%△25.3945.31
후보정원오강맹훈격차
거소·선상투표58.57%41.42%△17.14
관외사전투표57.63%42.36%△15.27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성동구 갑
왕십리1동, 도선동, 마장동, 사근동, 용두동, 왕십리2동, 행당1동,
행당2동, 응봉동, 금호1가동, 금호2가동, 금호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49,42643,01262,35312,946
득표율29.44%25.62%37.14%7.71%
순위2위3위1위4위
선거인 수193,945
투표 수170,745
무효표 수2,868
투표율88.04%

성동구 을
성수1가동, 성수2가1동, 성수2가2동, 성수2가3동, 화양동, 송정동, 군자동,
능동, 자양1동, 자양2동, 중곡1동, 중곡2동, 중곡3동, 중곡4동, 구의동, 광장동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76,98972,07285,17221,542
득표율30.07%28.15%33.27%8.41%
순위2위3위1위4위
선거인 수294,294
투표 수260,219
무효표 수4,242
투표율88.42%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성동구 갑
{{{#ffffff 응봉동,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45,50656,39022,3697,531
득표율34.03%42.17%16.73%5.63%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166,878
투표 수135,465
무효표 수1,765
투표율81.25%

성동구 을
{{{#ffffff 왕십리·도선동, 왕십리2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1동, 행당2동, 송정동, 용답동}}}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42,92957,02722,3697,479
득표율32.64%43.36%16.80%5.68%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165,450
투표 수133,569
무효표 수2,072
투표율80.74%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성동구 갑
{{{#ffffff 응봉동,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33,05253,58110,738
득표율37.46%47.70%10.25%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45,809
투표 수116,117
무효표 수1,522
투표율80.64%

성동구 을
왕십리1동, 왕십리2동, 도선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1동, 행당2동, 송정동, 용답동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30,05242,52811,407
득표율35.28%49.93%13.39%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07,044
투표 수86,499
무효표 수1,330
투표율80.81%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성동구
성동구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78,94298,5555,547
득표율42.96%53.64%3.01%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259,347
투표 수184,926
무효표 수1,197
투표율71.37%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성동구
성동구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41,90288,6023,81111,33017,389
득표율25.40%53.72%2.31%6.87%10.54%
순위2위1위5위4위3위
선거인 수266,124
투표 수165,391
무효표 수480
투표율62.15%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성동구
성동구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88,65895,239
득표율48.02%51.59%
순위2위1위
선거인 수249,514
투표 수185,566
무효표 수970
투표율74.37%

18대 대선 서울 성동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8,658
(48.02%)
95,239
(51.59%)
-6,581
(▼3.57)
74.37%
금호1가동47.62%52.02%▼4.4075.09
금호2·3가동47.80%51.87%▼4.0771.11
금호4가동49.86%49.85%△0.01[13]73.95
옥수동55.24%44.38%10.8673.75
응봉동50.73%48.93%△1.8076.04
성수1가1동48.96%50.71%▼1.7574.80
성수1가2동46.09%53.46%▼7.3776.24
성수2가1동50.86%48.81%△2.0571.38
성수2가3동50.55%49.14%△1.4174.31
왕십리도선동49.22%50.39%▼1.1771.74
왕십리2동44.52%55.09%▼10.5774.34
행당1동48.59%50.97%▼2.3873.75
행당2동46.45%53.20%▼6.7578.25
마장동47.01%52.63%▼5.6275.87
사근동40.90%58.72%17.8274.80
송정동46.09%53.46%▼7.3769.58
용답동44.55%55.03%▼10.4870.35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43.30%56.14%12.84
국내부재자투표48.55%50.75%▼2.20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성동구
성동구 일원[A][B]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86,68640,56645,67415,85912,936
득표율42.80%20.03%22.55%7.83%6.38%
순위1위3위2위4위5위
선거인 수259,009
투표 수203,175
무효표 수633
투표율78.44%

19대 대선 서울 성동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6,686
(42.80%)
40,566
(20.03%)
45,674
(22.55%)
15,859
(7.83%)
12,936
(6.38%)
+41,012
(△20.25)
78.44%
금호1가동41.57%21.69%23.55%7.08%5.75%△18.0275.99
금호2·3가동41.22%20.28%23.94%8.17%6.14%△17.2874.37
금호4가동41.38%21.76%22.67%8.50%5.25%△18.7176.31
옥수동39.13%23.21%21.80%10.04%5.52%△15.9278.34
응봉동42.06%21.70%22.05%7.96%5.72%△20.0179.42
성수1가1동42.24%21.29%21.87%7.75%6.34%△20.3775.15
성수1가2동43.91%21.17%21.03%6.96%6.54%22.7477.93
성수2가1동40.14%22.79%23.95%6.62%6.10%△16.2472.64
성수2가3동40.78%23.66%21.83%7.50%6.0%△17.1282.38
왕십리도선동43.05%19.30%23.05%8.10%6.19%△20.077.40
왕십리2동44.61%18.32%23.09%6.73%6.86%△21.5276.51
행당1동41.61%21.25%22.96%7.49%6.19%△18.6577.17
행당2동44.26%19.07%22.25%8.14%5.91%△22.0180.02
마장동42.10%20.91%23.35%7.07%6.18%△18.7576.84
사근동42.15%16.39%22.50%10.53%7.91%△19.6576.81
송정동42.85%21.28%23.61%6.05%5.83%△19.2471.25
용답동42.23%20.67%24.89%5.81%6.05%△17.3470.35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7.43%16.17%34.43%7.19%2.99%△3.0
관외사전투표47.12%15.02%20.89%8.65%7.91%△26.23
재외투표57.13%7.96%16.43%4.83%12.87%40.70
국회의원 선거구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중구·성동구 갑[14][15]42.56%20.54%22.81%7.44%6.25%△19.7576.22%
중구·성동구 을[16][17]40.59%21.80%22.90%8.70%5.70%△17.6976.34%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성동구
성동구 일원[A][B]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84,411103,880
득표율43.23%53.21%
순위2위1위
선거인 수252,087
투표 수197,240
무효표 수2,002
투표율78.24%

20대 대선 서울 성동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4,411
(43.23%)
103,880
(53.21%)
-19,469
(▼9.98)
78.24%
금호1가동42.97%53.98%▼11.0175.60
금호2·3가동43.95%52.77%▼8.8274.14
금호4가동41.19%55.80%▼14.6177.71
옥수동33.69%63.35%29.6677.49
응봉동43.80%52.96%▼9.1678.58
성수1가1동38.79%57.64%▼18.8573.74
성수1가2동41.91%53.98%▼12.0780.61
성수2가1동44.0%52.49%▼8.4974.04
성수2가3동41.23%55.30%▼14.0776.01
왕십리도선동41.84%54.65%▼12.8176.23
왕십리2동48.34%47.55%△0.79[18]77.44
행당1동41.11%55.32%▼14.2178.75
행당2동43.24%53.18%▼9.9478.38
마장동46.51%49.64%▼3.1374.87
사근동43.07%52.40%▼9.3370.49
송정동49.10%47.31%△1.7970.61
용답동51.29%45.44%5.8570.09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9.26%55.93%16.67
관외사전투표45.38%50.76%▼5.38
재외투표52.74%43.88%8.86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성동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중구·성동구 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홍익표진수희(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0,387
(54.25%)
53,107
(40.93%)
+ 17,280
(△13.32)
131,200
(68.27%)
[ 펼치기 · 접기 ]

왕십리·도선동[*A ]51.42%43.96%△7.4766.41
왕십리2동58.49%37.16%△21.3366.52
마장동55.86%38.96%△16.9065.85
사근동[*B ]53.23%39.85%△13.3761.02
행당1동51.52%44.05%△7.4768.85
행당2동53.58%41.83%△11.7570.54
응봉동53.19%43.03%△10.1670.18
성수1가1동[*D ]49.72%45.83%△3.8964.39
성수1가2동53.99%41.34%△12.6570.03
성수2가1동50.68%45.06%△5.6263.03
성수2가3동50.41%45.01%△5.4068.11
송정동57.12%37.82%△19.3060.72
용답동58.91%35.71%△23.2059.58
후보홍익표진수희격차
거소·선상투표58.82%30.76%△28.05
관외사전투표60.79%33.39%△27.39
재외투표50.65%44.07%△6.58

국회의원 선거 (중구·성동구 을)[a]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박성준지상욱(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0,876
(48.65%)
21,778
(50.75%)
- 902
(▼2.10)
43,280
(67.10%)
[ 펼치기 · 접기 ]

금호1가동50.74%48.41%△2.3366.29
금호2·3가동52.38%46.93%△5.4565.03
금호4가동50.33%49.08%△1.2569.29
옥수동[*C ]43.18%56.42%▼13.2568.19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57,023
(34.01%)
54,748
(32.65%)
17,013
(10.14%)
14,471
(8.63%)
9,634
(5.74%)
+ 2,275
(△1.36)
174,519
(67.91%)
[ 펼치기 · 접기 ]

왕십리·도선동[*A ]34.79%31.36%10.41%10.12%5.41%△3.4266.41
왕십리2동30.08%36.82%10.68%8.19%5.36%▼6.7466.53
마장동31.33%35.08%10.16%8.26%5.50%▼3.7565.85
사근동[*B ]30.46%31.49%12.41%11.75%4.46%▼1.0361.03
행당1동35.20%30.77%10.52%8.76%5.68%△4.4268.87
행당2동33.43%32.93%10.38%8.83%6.32%△0.5070.56
응봉동34.14%31.88%11.21%9.17%6.11%△2.2670.19
금호1가동35.59%31.33%9.22%8.54%6.15%△4.2666.30
금호2·3가동35.08%33.49%8.68%8.18%5.87%△1.5965.02
금호4가동36.10%32.09%8.77%8.90%6.06%△4.0169.28
옥수동42.40%25.53%8.38%9.82%5.69%△16.8668.19
성수1가1동[*C ]37.36%29.71%9.87%8.41%5.65%△7.6564.39
성수1가2동33.10%32.72%11.09%8.17%5.87%△0.3770.04
성수2가1동36.72%32.93%9.61%6.48%5.40%△3.7863.04
성수2가3동35.20%31.62%9.75%8.54%5.07%△3.5868.11
송정동30.69%37.07%9.68%7.02%4.95%▼6.3860.73
용답동29.30%38.93%10.00%6.24%5.12%▼9.6359.58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26.88%35.37%9.90%8.49%2.83%▼8.49
관외사전투표26.71%36.57%12.43%8.39%6.85%▼9.86
재외투표34.57%24.92%10.90%8.41%15.26%△9.66



[1] 중구선거관리위원회에서 관리한다.[2] 성동구는 재개발 이전까지만 해도 도심 근처 산동네라는 특성상 서민층이 많이 살았기 때문에 오히려 보수 정당이 힘을 못 쓰는 곳이었다. 다만 1960년대 서울에서는 민주공화당에 비교적 유리한 지역이기도 해서 훗날 국회의장직을 맡게 되는 박준규 의원이 두 번 정도 국회의원을 했었으나 전반적으로는 민주당 세력이 강해서 중선거구제 하의 10대 총선에서는 2석 모두 민주당계 정당이 차지하기도 했다. 실제 당선 의석수를 봐도 관권선거가 횡행하던 시절임에도 한쪽에 일방적으로 기울기보단 팽팽한 편이다. 다만 민주당 우세 지역이었던 서울에서 팽팽한거면 상대적으로 보수세가 있던 동네였다고 볼 순 있겠다.[3] 1995년에 성동구에서 분구된 광진구에서도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이 시기에 現광진구청도 민자당 합숙연수원으로 쓰인 바 있다.[4] 금호동은 금호시장을 끼고 있어 성동구 갑 지역구에서 사실상 정치1번가 역할을 했는데, 이렇게 재편되면서 월경지 수준으로 위상이 추락했다. 정당 연락 사무소나 있게 된 수준.[5] 언론에서 말하는 마용성 중 성이 바로 성동구를 지칭하는 말이다.[6] 이는 2020년 21대 총선에서 미래통합당이 국회의원을 당선시키지 못한 서울 자치구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수치이다.[7] 16대에 일시적으로 합구되었다.[A] A B C D E 왕십리뉴타운이 있는 동네[B] A B C D 금호동과 옥수동은 총선 선거구는 중구·성동구 을 소속이지만 편의상 이곳에 함께 기록하기로 한다.[8] 성동구 금호동, 옥수동을 제외한 지역[9] 지역구 국회의원 :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3선)[10] 오세훈 서울시장 당선자의 고향이 있는 지역구(성수동)이다.[왕십리뉴타운] A B [11] 홍익표 의원의 거주지다.[C] 래미안 옥수 리버젠, e편한세상 옥수파크힐스 등이 있는 부촌[D] A B 왕십리·도선동, 왕십리2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1동, 행당2동, 응봉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송정동, 용답동[12] 지역구 국회의원: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3선)[13]1표 차이였다.[14]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홍익표[15] 관할 동 : 왕십리2동, 왕십리·도선동, 마장동, 사근동, 행당1동, 행당2동, 응봉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송정동, 용답동[16] 지역구 국회의원 : 바른정당 지상욱[17] 관할 동 : 금호1가동, 금호2·3가동, 금호4가동, 옥수동. 중구 지역 제외.[18]82표 차였다.[a] 다른 지역과 선거구가 같이 묶인 관계로, 해당 지역 내에서의 표만 계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