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구/정치

덤프버전 : (♥ 0)

||


1. 선거구 정보
2. 지역 특징
3. 역대 선거 결과
3.1. 지방선거
3.1.1.1. 서울특별시장 선거
3.1.1.2. 노원구청장 선거
3.1.2.1. 서울특별시장 선거
3.1.2.2. 노원구청장 선거
3.1.3.1. 서울특별시장 선거
3.1.3.2. 노원구청장 선거
3.1.4.1. 서울특별시장 선거
3.1.4.2. 노원구청장 선거
3.1.5.1. 서울특별시장 선거
3.1.5.2. 노원구청장 선거
3.1.7.1. 서울특별시장 선거
3.1.7.2. 노원구청장 선거
3.1.8.1. 서울특별시장 선거
3.1.8.2. 노원구청장 선거
3.1.10.1. 서울특별시장 선거
3.1.10.2. 노원구청장 선거
3.2. 대선
3.3. 총선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노원구 CI.svg 서울특별시 노원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국회의원시의원지역
노원구 갑노원구1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노원구2공릉1동, 공릉2동
노원구 을노원구3하계1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4동
노원구4하계2동, 중계2·3동, 상계6·7동
노원구 병노원구5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노원구6상계1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1.1. 구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노원구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노원구 CI.svg노원구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8대 의회
2018.7.1. ~ 2022.6.30.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3석, 구청장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7석
파일:정의당 흰색 로고.svg
1석
재적
21석




2. 지역 특징[편집]


노원구는 대표적인 서울의 베드타운으로 50만명 이상이 밀집한 인구 밀집지역이다. 따라서 양쪽 진영의 자리 싸움이 팽팽히 진행되는 지역으로, 서울 강북의 민심을 대표하는 곳 중 하나이다. 따라서 국회의원으로 나온 인물들을 보면 유독 다른 지역에 비해 잘 알려진 인물들이 많다. 특히 노원구 병에 유독 이런 인물들이 많은데, 대표적으로 임채정 전 국회의장[1], 홍정욱 해럴드 대표, 노회찬정의당 원내대표, 안철수 의원[2], 이준석국민의힘 대표가 있다. 은퇴한 정치인 중에서는 김용채, 백남치, 임채정 등이 이름을 알렸다. 노원구 갑에서는 2MB 저격수로 불리던 정봉주 전 의원, 노원구 을에서는 4선에 국회의장을 역임한 임채정 전 의장, 전 대구광역시장 권영진, 더불어민주당 3대 원내대표 우원식 의원이 있다.

국회의원 선거구는 세 곳으로,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갑, 을, 병이 이어진 흔치 않은 지역구이다. 구 단위에서 3석을 가진 곳은 2020년 기준 노원구, 강서구, 강남구, 송파구 및 대구 달서구밖에 없는 데다, 앞서 설명했듯 선거철마다 유명 정치인들이 자주 등장하기 때문에 노원구의 정치적 위상은 정치 1번지 종로구 등을 제외하면 서울시 자치구 중에서 꽤 높은 편에 속한다.

노원구는 1990년대까지만 해도 보수정당이 적어도 국회의원 1석 이상은 꾸준히 차지해왔고 대통령 선거에서도 한강 이북에서 서울 평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득표율을 올린 몇 안되는 곳 중 하나였다. 재밌는건 14, 15대 대선 결과를 놓고 봤을 때, 백남치 의원의 갑 지역구보다 임채정 의원의 을 지역구에서 보수정당이 더 높은 득표율을 올렸다는 것. 심지어 14대 때는 갑,을 지역구 모두 YSDJ를 이겼다.

그러나 2000년 이후로 강북구, 도봉구와 함께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높아져 노도강으로 묶이는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노원구 병에 노회찬 전 의원이 당선된 적이 있어 정의당이 지지율이 서울 평균치보다 조금 더 높은 편이다. 보수진영의 경우 비교적 최근인 2012년 19대 총선까지 당선자를 배출하였으나, 전국구로 이름을 알린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3번 연속 낙선할 만큼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보수 성향이 강한 지역은 갑 지역구로서, 이곳에서는 소선거구제 실시 이후 14, 15, 18, 19대의 총 4번의 보수정당 국회의원(백남치, 현경병, 이노근)을 당선시켰다. 그러나 노원구 을과 노원구 병은 18대 총선을 제외하고 민주당계 정당 후보가 모두 당선되었다.

서울 치고는 단체장 출신이 금배지를 단 경우가 2번으로 많은 편인데[3], 이노근김성환이 그들이다. 자유한국당 이노근 전 의원의 경우 4회 지방선거에서 구청장이 된 뒤, 5회 지방선거에서는 떨어지고 19대 총선에서 노원구 갑에 출마해 당선되었다. 20대 총선에서는 낙선. 김성환 의원의 경우, 5회 지방선거에서 현역 이노근 당시 구청장을 꺾고 당선된 뒤 6회 지방선거에서 재선되고, 2018년 재보궐선거에서 노원구 병에 출마해 당선되어 재임 중이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근혜 후보가 170,114표(46.5%)로, 문재인 후보의 194,546표(53.1%)에 크게 뒤쳐졌으며, 모든 동과 관외투표에서 문재인 후보가 앞서 민주당의 텃밭임을 상기시켰다.

2013년 3월 3일, 안철수 전 대통령 후보가 2013년 재보궐선거 노원병출마해 화제를 모았고 예상대로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됐다. 3년 뒤 당적을 국민의당으로 바꾼 20대 총선에서도 재선에 성공하였다.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 후보들이 한 명도 빠짐없이 모두 당선되었다. 서울시장 선거를 비롯해 구청장, 시의원, 구의원 후보까지 전원 당선(지역구 12명, 비례 2명)되어, 그 유명한 관악구보다 민주당이 선전한 지역이 되었다.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가 42.4%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이 지역을 기반으로 둔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를 16.6%차로 꺾고 승리했다. 안 후보는 자신의 지역구인 노원구 병 지역에서는 28.9%의 득표율로 선전했지만 39.8%를 득표한 문 후보에는 한참 못 미쳤다. 안 후보는 상계3·4동(31.1%)과 상계5동(30.4%)에서 30% 이상의 비교적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2018년 6월 13일 열린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압승을 거뒀다. 서울시장 선거에서는 갑 지역구만 자유한국당 김문수 후보가 2위를 했으며, 노원구 을·병에서는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가 2위를 차지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노년층 인구가 많은 상계 3·4동에서만 아슬아슬한 차이로 50%를 넘지 못했을 뿐, 나머지 18개동 전역에서 50% 이상을 득표하면서 두 후보와의 격차를 무려 30% 내외로 크게 벌려 압승을 거두었다. 또한 서울시 전체 결과와는 달리 노원구에서는 안철수 후보가 2위를 차지했는데, 그 덕분인지 바른미래당의 정당 득표율 또한 13.1%로 서울 내에서 강남구와 서초구 다음으로 높게 나왔다.[4]

2018 재보궐선거가 열린 노원구 병 지역구에서도 바른미래당[5] 이준석, 자유한국당 강연재가 상호비방전을 펼치는 사이 김성환 전 구청장이 56.43%의 득표율을 거두며 안철수의 빈 자리를 채우게 되었다.[6] 시의원 6명도 전부 더불어민주당에 구청장도 더불어민주당 소속 오승록 전 서울시의원이 되었다.

지속적인 인구 감소로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2개 선거구 체제로 지역구 수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갑을병 3개의 선거구가 유지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그리고 총선 결과 세 선거구에서 모두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했다. 다만 노원구 갑노원구 을에서는 각각 더불어민주당 고용진, 우원식 현역 의원이 상대 후보와 큰 득표율 차로 여유롭게 승리했지만 노원구 병 지역구의 경우 미래통합당 이준석 후보가 5대, 6대 구청장 출신이자 현역 의원인 김성환 후보를 상대로 10% 이내의 격차로 선전했다.

2021년 4월 서울시장 재보궐선거에선 예상을 뒤엎고 관외사전투표와 모든 행정동에서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승리하였다. 투표소 단위로 내려가도, 민주당계 정당 지지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진 상계8동의 한 아파트 단지를 관할하는 투표소를 제외한 모든 투표소에서 승리하였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5,935표(1.7%) 차이로 신승을 거뒀다. 행정동별로 보면 이재명 후보는 10개동, 윤석열 9개동에서 승리를 했다. 각 후보의 최고 득표율은 이재명 50.83%(중계2·3동), 윤석열 49.93%(상계10동)이었고, 단 한 개동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5% 이내 격차로 매우 팽팽한 접전이었다. 노원 갑에서는 윤석열 후보가 175표차, 0.19%로 이겼고, 노원 병에서는 이재명 후보가 554표차, 0.55%차로 이겨 지역구 3곳 중 2곳에서 1,000표 미만 + 1% 이하 초접전을 펼쳤다.

대선 3개월 후에 치러진 지방선거에서는, 서울시장 선거는 예상대로 오세훈이 압승을 거두며 마무리되었으나, 구청장 선거에서는 인물론에서 앞선 모습을 보여준 현역 구청장 오승록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7] 민주당 구청장 후보들 25명 가운데 유일하게 모든 행정동에서 승리를 거둔 건 덤.[8][9] 광역의회 선거에서는 양당이 3대3 무승부[10]를 거뒀으며, 기초의회 선거에서는 민주당 11석, 국민의힘 9석, 진보당이 1석을 차지하였다.

다음 선거는 2024년 예정된 22대 총선이다. 현재의 인구 추이가 유지된다면 3석을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이 경우 현역 국회의원들의 자리싸움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노원구 CI.svg 역대 노원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노원구 갑노원구 을
13대
ta-hash-start=w-39e784510829cee75488b07c8cad1daa[[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백남치 (초선)

ta-hash-start=w-5515fa6e517ccd2cfe9684b1bef7ada0[[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김용채 (4선)
14대
ta-hash-start=w-8497c3b1d034ce7aaf059804b5c88db6[[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백남치 (재선)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임채정 (초선)[11]
15대
ta-hash-start=w-4bdba31bf1311626d1bf722665c5af94[[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백남치 (3선)

ta-hash-start=w-bbf37bc29caa653170cf5a578f1e7464[[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임채정 (재선)
16대
ta-hash-start=w-3b63f4d276ecb77d958a079849c2b333[[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함승희 (초선)

ta-hash-start=w-1086f8450319ffd9c1238a7f91337d39[[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임채정 (3선)
노원구 갑노원구 을노원구 병
17대
ta-hash-start=w-5770c1ead6a03018e70d0ffe8e50e86a[[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정봉주 (초선)

ta-hash-start=w-92fb24d9addf85cd522569d24d24b160[[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우원식 (초선)

ta-hash-start=w-41117e4291a10cd6720bc6fe706ed521[[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임채정 (4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현경병 (초선)[12]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권영진 (초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홍정욱 (초선)
19대
ta-hash-start=w-675186e757ff18294bc93b1cec68c75b[[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노근 (초선)
우원식 (재선) 노회찬 (재선)[13]
2013안철수 (초선)
20대고용진 (초선)우원식 (3선)안철수 (재선)[14]
2018김성환 (초선)
21대고용진 (재선)우원식 (4선)김성환 (재선)


파일:노원구 CI.svg 역대 노원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6 재보궐199820022006
민주당자유민주연합한나라당한나라당
최선길[15]김용채이기재이노근
2010201420182022
민주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
김성환[16]오승록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최선길 49.35%

2위:
ta-hash-start=w-6f9d06bec81d0ecb51e479f181e18d5b[[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이기재 35.42%
3위:
ta-hash-start=w-720f2086a0e634f9ce7f1952901f3041[[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김동익 15.22%
1996년1위:
ta-hash-start=w-813b55971c67156836f1bc15e45726d2[[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김용채 53.04%

2위:
무소속

이기재 37.90%
3위:
무소속

송광선 15.22%
1998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이기재 41.48%

2위:
ta-hash-start=w-39027dfad5138c9ca0c474d71db915c3[[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이동식 36.78%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이기재 51.37%

2위:
ta-hash-start=w-bc55d3363ee659d6ab6c908b932c7705[[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고용진 42.79%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노근 51.26%

2위:
ta-hash-start=w-cd50a6640d6284992905dc447fd7701d[[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서종화 23.64%
3위:
무소속

이기재 9.96%
2010년1위:
ta-hash-start=w-186531f235f19f9b250385493e7ad92d[[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김성환 53.69%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노근 46.30%
2014년1위:
ta-hash-start=w-ffd3c5e349fa5745159deef163b5c253[[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김성환 58.93%

2위:
ta-hash-start=w-59349d7c8145846439782da8c2d78754[[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기완 40.10%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오승록 64.94%

2위:
ta-hash-start=w-69f00c668860dd2a02c612891ddc762d[[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임재혁 23.39%
3위:
ta-hash-start=w-8868a25f582a7a5e51a276c6d99043ad[[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양건모 10.20%
2022년1위: 오승록 53.26%
2위: 임재혁 46.73%



3.1. 지방선거[편집]



3.1.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노원구 갑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공릉1동, 공릉2동,
하계1동, 하계2동, 중계1동, 중계2동, 중계3동
정당
후보정원식조순박찬종
득표수28,02059,27251,742
득표율19.34%40.91%35.71%
순위3위1위2위
선거인 수220,680
투표 수147,572
무효표 수2,717
투표율66.87%

3.1.1.2. 노원구청장 선거[편집]

노원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기재90,9792위
35.42%낙선
2최선길126,7751위
[include(틀:민주당(1991년))]49.35%당선
3김동익39,0993위
15.22%낙선
선거인 수390,892투표율
67.52%
투표 수263,936
무효표 수7,083

3.1.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노원구 갑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공릉1동, 공릉2동,
하계1동, 하계2동, 중계1동, 중계2동, 중계3동
정당
후보최병렬고건이병호
득표수39,72947,3672,673
득표율44.25%52.76%2.97%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97,496
투표 수90,918
무효표 수1,149
투표율46.04%

3.1.2.2. 노원구청장 선거[편집]

노원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기재73,3861위
41.48%당선
3이동식65,0772위
36.78%낙선
4송광선14,2474위
8.05%낙선
5노태숙6,5055위
3.67%낙선
6양회선17,7013위
10.00%낙선
선거인 수396,961투표율
45.63%
투표 수181,140
무효표 수4,224

3.1.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3.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
정당
후보이명박김민석
득표수109,15489,265
득표율51.97%42.50%
순위1위2위
선거인 수460,769
투표 수211,967
무효표 수1,939
투표율46.00%

3.1.3.2. 노원구청장 선거[편집]

노원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기재107,3731위
51.37%당선
2고용진89,4572위
42.79%낙선
3최창우12,1853위
5.82%낙선
선거인 수460,769투표율
46.01%
투표 수211,995
무효표 수2,980

3.1.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4.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
정당
후보강금실오세훈박주선
득표수70,050140,43816,712
득표율29.40%58.95%7.01%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465,546
투표 수239,926
무효표 수1,729
투표율51.54%

3.1.4.2. 노원구청장 선거[편집]

노원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서종화56,1192위
23.64%낙선
2이노근121,6831위
51.26%당선
3김학주19,1464위
8.07%낙선
4최창우15,1035위
6.36%낙선
5김양섭1,1746위
0.49%낙선
6정재복4827위
0.20%낙선
7이기재23,6663위
9.97%낙선
선거인 수465,546투표율
51.55%
투표 수239,999
무효표 수2,626

3.1.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5.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
정당
후보오세훈한명숙노회찬
득표수119,567124,60312,126
득표율45.58%47.50%4.62%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470,325
투표 수264,043
무효표 수1,726
투표율56.14%

3.1.5.2. 노원구청장 선거[편집]

노원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노근120,4642위
[include(틀:한나라당)]46.30%낙선
2김성환139,7141위
53.69%당선
선거인 수470,325투표율
56.14%
투표 수264,043
무효표 수3,865

3.1.6.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
정당
후보나경원박원순
득표수104,251131,293
득표율44.08%55.51%
순위2위1위
선거인 수473,941
투표 수238,496
무효표 수1,997
투표율50.32%

3.1.7.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7.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
정당
후보정몽준박원순
득표수115,716163,418
득표율41.06%57.98%
순위2위1위
선거인 수471,804
투표 수284,532
무효표 수2,724
투표율60.31%

3.1.7.2. 노원구청장 선거[편집]

노원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기완111,7232위
40.10%낙선
2김성환164,1751위
58.93%당선
4정재복2,6523위
0.95%낙선
선거인 수471,804투표율
60.31%
투표 수284,525
무효표 수5,975

3.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8.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
정당
후보박원순김문수안철수
득표수150,65754,46162,193
득표율53.88%19.47%22.24%
순위1위3위2위
선거인 수456,370
투표 수283,039
무효표 수3,461
투표율62.02%

3.1.8.2. 노원구청장 선거[편집]

노원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승록180,2171위
64.94%당선
2임재혁64,9252위
23.39%낙선
3양건모28,3303위
10.20%낙선
4한덕희4,0134위
1.44%낙선
선거인 수456,370투표율
62.02%
투표 수283,040
무효표 수5,555

3.1.9. 2021년 재보궐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
정당
후보박영선오세훈
득표수111,652145,073
득표율42.02%54.60%
순위2위1위
선거인 수446,223
투표 수267,498
무효표 수1,830
투표율59.95%

3.1.10.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0.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8회 지선 노원구 개표 결과
서울특별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송영길오세훈(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2,771
(42.35%)
135,812
(55.96%)
- 33,041
(▼13.62)
245,152
(55.49%)
월계1동[A]38.98%59.49%▼20.5151.18
월계2동[B]41.07%57.27%▼16.2050.26
월계3동39.79%58.62%▼18.8354.51
공릉1동43.31%54.89%▼11.5849.56
공릉2동[C]42.13%56.12%▼13.9953.87
하계1동40.28%58.11%▼17.8450.89
하계2동42.29%56.22%▼13.9354.96
중계본동44.52%53.95%▼9.4352.76
중계1동44.33%54.18%▼9.8655.21
중계2·3동43.66%54.76%▼11.1052.34
중계4동43.64%55.12%▼11.4853.53
상계1동43.23%55.01%▼11.7850.89
상계2동41.23%57.42%▼16.1949.81
상계3·4동40.95%57.56%▼16.6149.65
상계5동40.87%57.50%▼16.6350.10
상계6·7동40.79%57.50%▼16.7153.00
상계8동44.10%53.81%▼9.7154.07
상계9동41.09%57.36%▼16.2754.96
상계10동40.09%58.29%▼18.1954.59
후보송영길오세훈격차
거소투표35.03%60.03%▼25.00
관외사전투표45.19%52.66%▼7.47
국회의원
선거구
송영길오세훈격차투표율
노원구 갑[D][17]41.32%56.99%▼15.6751.95
노원구 을[E][18]42.79%55.70%▼12.9152.61
41.81%56.53%▼14.7251.74

3.1.10.2. 노원구청장 선거[편집]

노원구청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오승록임재혁(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9,060
(53.26%)
113,250
(46.73%)
+ 15,810
(△6.52)
245,144
(55.49%)
월계1동[*A ]50.19%49.80%△0.3951.14
월계2동[*B ]52.69%47.30%△5.3850.36
월계3동50.12%49.87%△0.2554.55
공릉1동52.94%47.05%△5.8949.56
공릉2동[*C ]52.38%47.61%△4.7653.92
하계1동51.25%48.74%△2.5250.97
하계2동53.61%46.38%△7.2254.99
중계본동56.30%43.69%△12.6252.87
중계1동56.41%43.58%△12.8255.25
중계2·3동54.56%45.43%△9.1352.36
중계4동55.83%44.16%△11.6653.53
상계1동52.12%47.87%△4.2651.04
상계2동52.16%47.83%△4.3449.74
상계3·4동51.75%48.24%△3.5049.68
상계5동52.08%47.91%△4.1850.11
상계6·7동52.05%47.94%△4.1253.00
상계8동56.35%43.64%△12.7054.16
상계9동51.66%48.33%△3.3255.00
상계10동51.33%48.66%△3.5479.42
후보오승록임재혁격차
거소·선상투표51.55%48.44%△3.11
관외사전투표56.29%43.70%△12.58

3.2. 대선[편집]



3.2.1.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노원구 갑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공릉1동, 공릉2동,
하계1동, 하계2동, 중계1동, 중계2동, 중계3동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59,16458,85328,80510,863
득표율36.95%36.76%17.99%6.78%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198,693
투표 수161,836
무효표 수1,754
투표율81.45%

노원구 을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동, 상계4동, 상계5동,
상계6동, 상계7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54,57350,80024,4539,815
득표율38.54%35.88%17.27%6.93%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173,068
투표 수142,898
무효표 수1,330
투표율82.57%

3.2.2.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노원구 갑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공릉1동, 공릉2동,
하계1동, 하계2동, 중계1동, 중계2동, 중계3동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65,99867,87521,755
득표율41.78%42.97%13.77%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96,228
투표 수159,837
무효표 수1,887
투표율81.45%

노원구 을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동, 상계4동, 상계5동, 상계6동,
상계7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 중계1동, 중계4동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68,66969,56221,276
득표율42.40%42.95%13.13%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98,861
투표 수163,589
무효표 수1,654
투표율82.26%

3.2.3.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노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151,666171,7267,069
득표율44.84%50.77%3.66%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460,763
투표 수340,150
무효표 수1,966
투표율73.82%

3.2.4.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노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76,021157,4398,44522,95137,607
득표율24.87%51.52%2.76%7.51%12.30%
순위2위1위5위4위3위
선거인 수466,884
투표 수306,503
무효표 수918
투표율65.65%

3.2.5.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노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170,114194,546
득표율46.46%53.14%
순위2위1위
선거인 수473,741
투표 수368,003
무효표 수1,905
투표율77.68%

18대 대선 서울 노원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70,114
(46.46%)
194,546
(53.14%)
-24,432
(▼6.68)
77.68%
월계1동47.05%52.67%▼5.6275.72
월계2동47.93%51.66%▼3.7374.58
월계3동45.46%54.18%▼8.7279.33
공릉1동45.65%54.04%▼8.3975.86
공릉2동47.35%52.23%▼4.8879.37
하계1동49.28%50.26%▼0.9878.0
하계2동46.02%53.58%▼7.5679.80
중계본동48.53%51.10%▼2.5778.35
중계1동45.33%54.34%▼9.0181.32
중계2·3동45.56%53.97%▼8.4177.16
중계4동46.39%53.17%▼6.7877.68
상계1동47.85%51.75%▼3.9076.93
상계2동49.06%50.62%▼1.5674.67
상계3·4동48.30%51.26%▼2.9671.29
상계5동48.49%51.14%▼2.6574.14
상계6·7동44.62%55.05%▼10.4378.44
상계8동39.52%60.09%20.5780.18
상계9동44.81%54.93%▼10.1279.48
상계10동44.93%54.82%▼9.8978.82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38.61%60.80%22.19
국내부재자투표47.81%51.29%▼3.48

3.2.6.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노원]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58,16767,59096,32524,84624,498
득표율42.41%18.12%25.83%6.66%6.56%
순위1위3위2위4위5위
선거인 수464,422
투표 수374,213
무효표 수1,306
투표율80.58%

19대 대선 서울 노원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58,167
(42.41%)
67,590
(18.12%)
96,325
(25.83%)
24,846
(6.66%)
24,498
(6.56%)
+61,842
(△16.58)
80.58%
월계1동40.14%21.79%24.70%6.72%6.27%△15.4477.08
월계2동39.80%22.51%25.50%6.17%5.50%△14.3075.18
월계3동42.70%21.33%23.44%6.11%5.96%△19.2679.39
공릉1동42.85%18.79%24.39%6.75%6.79%△18.4676.97
공릉2동41.38%19.63%22.86%7.42%6.71%△18.5280.67
하계1동40.81%18.78%25.80%7.37%6.73%△15.0178.50
하계2동44.22%16.46%25.22%7.33%6.45%△17.082.28
중계본동43.12%15.74%26.04%7.95%6.84%△17.0880.18
중계1동45.42%14.51%24.89%8.11%6.72%△20.5383.11
중계2·3동42.97%18.52%25.49%6.52%6.02%△17.4878.58
중계4동41.48%19.35%26.98%5.76%5.99%△14.5078.45
상계1동38.84%19.28%29.93%5.73%5.84%△8.9178.11
상계2동39.40%18.85%28.86%6.52%5.99%△10.5475.87
상계3·4동35.99%21.31%31.11%4.89%5.49%△4.8871.35
상계5동37.24%20.50%30.44%5.59%5.78%△6.8074.05
상계6·7동43.97%17.37%24.68%6.79%6.85%△19.2981.0
상계8동46.70%14.28%25.59%6.43%6.69%21.1183.21
상계9동40.72%18.26%27.04%6.57%7.15%△13.6881.78
상계10동41.54%17.15%27.67%6.45%6.89%△13.8781.03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2.65%17.73%38.27%5.61%2.81%5.62
관외사전투표46.72%13.86%23.61%7.44%7.99%△23.11
재외투표61.13%7.25%15.04%3.99%11.93%46.09
국회의원 선거구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노원구 갑[19][20]42.0%20.53%24.03%6.70%6.33%△17.9778.08%
노원구 을[21][22]43.20%17.31%25.50%7.09%6.51%△17.7080.22%
노원구 병[23][24]39.80%18.82%28.88%5.95%6.18%△10.9277.49%

3.2.7.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노원구
노원구 일원[노원]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169,275163,340
득표율48.94%47.22%
순위1위2위
선거인 수441,879
투표 수349,297
무효표 수3,424
투표율79.05%

20대 대선 노원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69,275
(48.94%)
163,340
(47.22%)
+ 5,935
(△1.72)
349,297
(79.04%)
월계1동[A]46.68%49.63%▼2.9575.52
월계2동[B]49.07%47.16%△1.9173.64
월계3동46.53%49.61%▼3.0876.80
공릉1동49.30%46.63%△2.6775.27
공릉2동[C]47.65%48.20%▼0.5478.33
하계1동46.58%49.76%▼3.1876.68
하계2동50.15%46.14%△4.0181.07
중계본동50.02%46.15%△3.8678.13
중계1동49.77%46.78%△2.9880.16
중계2·3동50.83%45.39%△5.4476.10
중계4동49.65%46.61%△3.0577.24
상계1동[G]49.11%47.04%△2.0775.06
상계2동47.47%48.82%▼1.3576.11
상계3·4동48.13%48.37%▼0.2472.07
상계5동49.25%47.25%△2.0074.64
상계6·7동47.25%48.70%▼1.4577.94
상계8동50.32%45.77%△4.5478.68
상계9동47.51%48.80%▼1.2979.36
상계10동[25]46.40%49.93%▼3.5479.42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46.54%47.55%▼1.01
관외사전투표51.09%44.78%△6,30
재외투표64.99%30.53%△34.46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노원구 갑[D][26]47.93%48.13%▼0.2076.08
노원구 을[E][27]49.16%47.09%△2.0778.05
노원구 병[F][28][29]48.43%47.88%△0.5576.14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노원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노원구 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고용진이노근(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3,911
(56.78%)
36,782
(38.74%)
+ 17,129
(△18.04)
96,033
(69.12%)
[ 펼치기 · 접기 ]

월계1동[*A ]55.76%40.53%△15.2365.60
월계2동[*B ]55.99%40.39%△15.6064.56
월계3동54.40%40.56%△13.8467.57
공릉1동56.71%38.97%△17.7465.06
공릉2동[*C ]55.46%39.11%△16.3569.18
후보고용진이노근격차
거소·선상투표56.09%38.04%△18.05
관외사전투표64.69%31.15%△33.54
재외투표73.17%23.78%△49.39

국회의원 선거 (노원구 을)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우원식이동섭(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1,708
(62.67%)
41,792
(36.52%)
+ 29,916
(△26.15)
115,788
(70.71%)
[ 펼치기 · 접기 ]

하계1동59.66%39.43%△20.2367.47
하계2동64.42%34.93%△29.4970.70
중계본동62.28%36.91%△25.3769.91
중계1동63.88%35.44%△28.4472.45
중계2·3동62.79%36.36%△26.4266.08
중계4동61.45%37.63%△23.8266.54
상계6·7동60.53%38.77%△21.7668.04
후보우원식이동섭격차
거소·선상투표61.14%36.95%△24.18
관외사전투표67.66%31.45%△36.21
재외투표75.28%24.15%△51.12

국회의원 선거 (노원구 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김성환이준석(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5,556
(53.15%)
46,373
(44.36%)
+ 9,183
(△8.79)
105,415
(69.61%)
[ 펼치기 · 접기 ]

상계1동52.46%45.38%△7.0766.04
상계2동51.42%45.99%△5.4266.16
상계3·4동51.95%45.37%△6.5763.03
상계5동50.74%46.63%△4.1065.37
상계8동57.23%40.84%△16.3871.82
상계9동51.64%46.19%△5.4571.03
상계10동52.93%44.69%△8.2472.26
후보김성환이준석격차
거소·선상투표46.01%49.27%▼3.26
관외사전투표57.93%38.33%△19.60
재외투표73.09%23.85%△49.24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90,280
(29.60%)
106,343
(34.87%)
32,113
(10.53%)
26,670
(8.74%)
18,785
(6.16%)
- 16,063
(▼5.27)
317,217
(69.79%)
[ 펼치기 · 접기 ]

월계1동[*A ]32.76%33.27%8.92%7.94%6.00%▼0.5165.61
월계2동[*B ]31.09%35.16%8.94%7.33%5.35%▼4.0764.57
월계3동32.82%33.30%9.06%7.81%5.40%▼0.4867.57
공릉1동30.45%35.65%9.41%7.54%5.80%▼5.2065.06
공릉2동[*C ]30.66%33.16%9.83%8.73%6.28%▼2.5069.18
하계1동30.96%32.74%10.53%9.95%6.32%▼1.7867.47
하계2동27.99% 36.33%11.47%9.29%6.68%▼8.3371.01
중계본동28.32%33.89%11.67%10.58%6.86%▼5.5769.95
중계1동27.20%35.72%11.69%10.61%7.03%▼8.5272.47
중계2·3동28.58%37.55%10.09%8.12%5.99%▼8.9766.09
중계4동29.72%36.13%10.25%8.78%5.10%▼6.4166.50
상계1동31.37%33.69%10.66%9.23%5.28%▼2.3266.03
상계2동31.44%34.21%9.78%8.97%5.10%▼2.7766.04
상계3·4동32.43%34.19%9.62%7.40%5.00%▼1.7763.03
상계5동32.06%34.75%9.17%7.29%5.05%▼1.6865.38
상계6·7동29.62%34.44%11.13%9.55%6.17%▼4.8268.05
상계8동26.13%36.63%11.91%10.05%7.10%▼10.5071.82
상계9동30.92%33.72%11.49%8.86%5.91%▼2.8071.01
상계10동29.46%33.64%12.23%9.75%6.47%▼4.1872.26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28.30%32.75%7.29%10.13%3.46%▼4.45
관외사전투표24.36%36.80%12.06%8.41%7.93%▼12.44
재외투표17.44%37.14%13.88%6.94%17.63%▼19.70



[1] 노원 병이 신설될때 노원 병으로 지역구를 옮겼다.[2] 현 지역구는 성남시 분당구 갑.[3] 서울에서 이런 경우가 제일 많은 곳은 바로 강동구. 김충환, 신동우, 이해식 총 3명이 구청장에서 국회의원으로 영전에 성공했다.[4] 이에 대해서는 안철수보다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 출마한 이준석의 영향이라는 분석도 있다.[5] 바른미래당은 2018년 지방선거에서도 지역구, 비례를 통틀어서 노원구에서 단 한 석도 챙기지 못했으며, 안철수와 유승민이 엮인 국회의원, 기초의원 공천관련 논란도 있었다.[6] 2위는 바른미래당 이준석이 차지했다. 훗날 이준석은 국민의힘 대표가 되고 강연재는 극우정당 국민혁명당으로 이적한다.[7] 다만 이는 오승록 후보가 잘했다기보다는 상대 임재혁 후보의 공약 문제로 인해 지지층을 오승록 후보에게 빼앗긴 부분이 더 크다.[8] 득표율 차이는 성동구의 정원오 후보가 제일 컸으나, 옥수동에서 국민의힘 강맹훈 후보가 승리해서 모든 행정동 승리를 이루지는 못했다.[9] 임재혁 후보는 노원구 내에서도 그나마 보수세가 강했던 월계1,3동 지역에서도 40~100표대 차이로 근소하게 패배하였다.[10] 대부분의 선거구에서 500표 이내의 초접전을 벌여 양당 지지층이 얼마나 결집하느냐에 따라 선거구마다 결과가 바뀌었다.[11] 92.9.8. 선거 개표 결과 정정[12] 11.6.10. 의원직 상실 (정치자금법 위반).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13] 13.2.14. 의원직 상실 (통신비밀보호법 위반)[14] 17.4.17. 의원직 사퇴 (제19대 대통령 선거 출마)[15] 96.7.10. 구청장직 상실(선거법 위반)[16] 18.2.13. 구청장직 사퇴 (노원 병 재보궐선거 출마)[A] A B 광운대학교가 있는 동네[B] A B 인덕대학교가 있는 동네[C] A B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삼육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육군사관학교가 있는 동네[D] A B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공릉1동, 공릉2동[17] 지역구 국회의원 :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재선)[E] A B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3동, 중계4동, 상계6·7동[18] 지역구 국회의원 :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4선)[노원] A B C D E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공릉1동, 공릉2동,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3동, 중계4동,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상계6·7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19]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고용진[20] 관할 동 : 월계1동, 월계2동, 월계3동, 공릉1동, 공릉2동[21]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우원식[22] 관할 동 : 하계1동, 하계2동, 중계본동, 중계1동, 중계2·3동, 중계4동, 상계6·7동[23] 지역구 국회의원 : 공석(2017년 4월 17일 안철수 사퇴.)[24] 관할 동 :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G] 안철수 후보의 거주지[25]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의 거주지[26] 지역구 국회의원 :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재선)[27] 지역구 국회의원 :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4선)[F] 상계1동, 상계2동, 상계3·4동, 상계5동, 상계8동, 상계9동, 상계10동[28] 지역구 국회의원 : 김성환 (더불어민주당, 재선)[29] 국민의힘 당대표인 이준석이 3번 출마한 지역구이며, 19·20대 국회의원을 역임한 국민의당 대표 안철수의 지역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