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 0)


국명·지명 한자 약칭
[ 펼치기 · 접기 ]

대륙
· · ·
아시아유럽(구라파)아프리카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
국가
· · ·
[1]
· ·
[2]
남한(한국)북한(조선)중국중화민국(대만)[3]일본
· ·
몽골(몽고)미국영국캐나다(가나다)오스트레일리아(호주)
· · ·
프랑스(불란서)독일오스트리아(오지리)이탈리아(이태리)네덜란드(화란)
西 ·
스페인(서반아)포르투갈(포도아)러시아(노서아·아라사)인도인도네시아(인니)
· ·
말레이시아태국필리핀(비율빈)베트남(월남)이집트(애급)
· ·
폴란드(파란)아일랜드(애란)덴마크(정말)스웨덴(서전)노르웨이(나위·낙위)
·
그리스(희랍)핀란드(분란)남아프리카공화국벨기에(백이의)헝가리(흉아리·홍아리)
西西
스위스(서서)튀르키예(토이기)멕시코(묵서가)브라질(파서)아르헨티나(아근정)
사라진 나라
·
가야고구려 · 고려백제신라조선
로마 제국(대진)소련프로이센류큐
지명
滿
아시아태평양만주캘리포니아로스앤젤레스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모스크바베를린로마런던
[1] 일본에서 중국을 가리키는 말로 가끔 쓰인다.[2] 주로 일본 내부에서 쓰인다.[3] 華와 臺는 둘 다 대만의 약칭이지만 뉘앙스가 다른데, 華는 중화민국을 강조하는 뉘앙스라면 臺는 대만을 강조하는 뉘앙스이다.



벌일 라
부수
나머지 획수
, 14획
총 획수
19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あみ, うすぎぬ, つら-なる
표준 중국어
luó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羅는 '벌일 라'라는 한자로, '벌이다', '나열(羅列)하다', '그물' 등을 뜻한다. 그래서 '벌일 라', '그물 라'라고도 한다.[1]
다만 羅씨 집안(나씨)에선 비단 나를 쌓인 비단이 아름답다 하여
아름다울 라로도 실사에서 쓰기도 한다. 인명에는 아름답다는 의미로 쓰기도 한다.

2. 상세[편집]


(그물 망)과 (벼리 유)가 합쳐진 한자이다.

설문해자以絲罟鳥也。从网从維。古者芒氏初作羅。
청대
단옥재
설문해자주
㠯絲罟鳥也。
釋器。鳥罟謂之羅。王風傳曰。鳥網爲羅。
从网。从維。
會意。魯何切。十七部。或作罹。俗異用。
古者芒氏初作羅。
葢出世本作篇。

유니코드에는 7F57로 배당되어 있으며, 강희자전에는 950페이지 12번째 글자에 수록되어 있다.

파일:s05516.gif파일:L32390.gif
소전체대전체


3. 용례[편집]


주로 불교 용어에서 이두 등의 음역자로 쓰인다. 물론 나열(羅列), 망라(網羅) 등에서는 본래 뜻인 '그물' 내지는 '벌이다'란 뜻으로 쓰인다.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같은 한자를 쓰지만 두음법칙으로 인해 나씨와 라씨로 성이 나뉜다.
  • 나씨의 경우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160,946명, 전체 48위
  • 라씨의 경우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25,960명, 전체 83위
주요 본관으로는 나주(羅州), 금성(錦城)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나(성씨) 문서 참조.

청나라 황제의 성씨인 아이신기오로(愛新覺羅)에 쓰이는 이름자이기도 하다.



3.4. 지명[편집]



3.5.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07:22:07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羅의 뜻은 '벌리다'가 아니라 '벌이다'이다. '벌리다'는 '입을 벌리다'와 같이 둘 사이를 넓힌다는 뜻이고, '벌이다'는 '일을 벌이다'와 같이 일을 시작한다는 뜻 또는 '물건을 벌여놓다'와 같이 늘어놓거나 나열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한국어문회에서 정한 '벌릴 라'라는 훈음은 어법상 옳지 않으며, '벌일 라'가 적합한 명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