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파주 버스 93

덤프버전 :

||



파일:파주93-6.jpg파일:파주93-9.jpg
93-6번93-9번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파주시 CI_White.svg 파주시 맞춤형버스 93번
상시 운행
기점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산리(문산읍행정복지센터)종점경기도 파주시 군내면 조산리(대성동)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노상리(멸공관)
경기도 파주시 진동면 동파리(해마루촌)
종점행첫차05:50기점행첫차06:35
막차22:00막차22:15
배차간격1일 19회[1]
운수사명신일여객인가대수2대
노선문산읍행정복지센터 - 문산역 - 문산휴먼빌 - 문산터미널 - 십자약국 - 여우고개 - 운천3리·운천역 - 마루머리[2] - 통일대교 - (아래 참조)
노선별
통일대교
이후
경유지
93번통일대교 → 공동경비구역대성동 → 통일촌 → 멸공관 → 통일대교
93-1번통일대교 → 미군훈련장 → 전초 → 공동경비구역 → 남북출입사무소(도라산역) → 통일촌 → 멸공관 → 통일대교
93-2번통일대교 → 미군훈련장 → 전초 → 해마루촌 → 공동경비구역 → 통일촌 → 멸공관 → 통일대교
93-3번통일대교 → 남북출입사무소(도라산역) → 통일촌 → 멸공관 → 통일대교
93-4번통일대교 → 통일촌 → 멸공관 → 공동경비구역 → 대성동 → 공동경비구역 → 통일대교
93-5번통일대교 → 공동경비구역 → 남북출입사무소(도라산역) → 통일촌 → 멸공관 → 통일대교
93-6번통일대교 → 공동경비구역 → 전초 → 미군훈련장 → 통일촌 → 멸공관 → 통일대교
93-7번통일대교 → 통일촌 → 멸공관 → 공동경비구역 → 대성동 → 전초 → 미군훈련장 → 통일대교
93-10번통일대교 → 미군훈련장 → 전초 → 해마루촌 → 공동경비구역 → 남북출입사무소(도라산역) → 통일대교
93-14번통일대교 → 통일촌 → 멸공관 → 통일촌 → 미군훈련장 → 전초 → 해마루촌 → 통일대교

파일:파주시 CI_White.svg 파주시 맞춤형버스 93-8번
평일만 운행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파주 93-8.png
기점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산리(문산읍행정복지센터)종점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능산리(서영대학교)
종점행첫차10:00기점행첫차10:20
막차15:40막차16:00
배차간격1일 6회
운수사명신일여객인가대수1대
노선문산읍행정복지센터 - 십자약국 - 문산터미널 - 문산휴먼빌 - 내포1리 - 능산교차로 - 능산2리 - 서영대학교

파일:파주시 CI_White.svg 파주시 맞춤형버스 93-9번
주말만 운행
기점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산리(문산읍행정복지센터)종점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마정리(임진각)
종점행첫차10:00기점행첫차10:20
막차15:40막차16:00
배차간격1일 6회
운수사명신일여객인가대수1대
노선문산읍행정복지센터 - 문산역 - 문산휴먼빌 - 문산삼거리(문산터미널) - 십자약국 - 여우고개 - (선유4리 →) - 운천3리, 운천역 - 임진각

파일:파주시 CI_White.svg 파주시 맞춤형버스 93-11번
평일만 운행
기점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산리(문산읍행정복지센터)종점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율곡리(선유4리)
종점행첫차10:10기점행첫차10:35
막차18:30막차18:55
배차간격1일 8회
운수사명신일여객인가대수1대
노선문산읍행정복지센터 - 문산역 - 문산재래시장 - (→ 하동마을회관 →/← 하동 ←) - 신원아파트.자연앤5단지 - 휴먼시아3차.CGV.하이마트 - 여우고개 - 주남동 - 임진리 - 선유4리

파일:파주시 CI_White.svg 파주시 맞춤형버스 93-12번
평일만 운행
기점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산리(문산읍행정복지센터)종점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선유리(선유산업단지)
종점행첫차07:30기점행첫차08:10
막차17:50막차18:30
배차간격1일 2회
운수사명신일여객인가대수1대
노선문산읍행정복지센터→ 십자약국 → 문산터미널 → 문산휴먼빌 → 문산역 → 문산터미널 → 십자약국 → 두산위브아파트 → 수억중.고교 → 돈유로 → 돈유2로 → 돈유3로 → 공원앞 → 돈유로[3] → 수억중.고교 → 두산위브아파트 → 문산읍행정복지센터

파일:파주시 CI_White.svg 파주시 맞춤형버스 93-13번
평일만 운행
기점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문산리(문산읍행정복지센터)종점경기도 파주시 진동면 하포리(하포리)
종점행첫차16:50기점행첫차17:30
막차16:50막차17:30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신일여객인가대수1대
노선문산읍행정복지센터 - 문산역 - 문산재래시장 - 장안아파트 - 하동마을회관 - 당동주공1.2단지 - 홈플러스 - 여우고개 - 두포리 - 하포리[4]


2. 개요[편집]


파일:파주 93 노선도.svg
일반시내버스 시절 노선도. 출처

파주시의 시내버스 노선. 전체 정류장 목록은 우측 링크를 참조. (93번 본선, 93-8번, 93-9번, 93-11번, 93-12번, 93-13번)


3. 역사[편집]










4. 특징[편집]


93번 버스가 대성동 내를 운행하는 장면이 담긴 다큐멘터리. 31분 55초 부근부터 볼 수 있다. 2010년 쯤에 나온 다큐멘터리이다.[5]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7c2a7c90303f38cd4025ca8cd7bee159.png
대성동(30779) 버스정류장.








4.1. 시간표[편집]




파주시 맞춤형버스 93번 운행시각표
2016년 12월 1일 기준 /
출처
문산출발노선(통일대교 이후)[20] 경유지
05:5093공동경비구역대성동 → 통일촌 → 멸공관
06:5093-2미군훈련장 → 전초 → 해마루촌 → 공동경비구역 → 통일촌 → 멸공관
07:4093-1미군훈련장 → 전초 → 공동경비구역 → 남북출입사무소 → 통일촌 → 멸공관
08:3093-5공동경비구역 → 남북출입사무소 → 통일촌 → 멸공관
09:1093-2미군훈련장 → 전초 → 해마루촌 → 공동경비구역 → 통일촌 → 멸공관
10:0093-8(평일)
93-9(주말)
LG이노텍 - LG화학 - 서영대
마루머리까지 본선과 동일 - 임진강역 - 임진각
10:4093-3통일촌 → 멸공관
10:4593-8(평일)
93-9(주말)
LG이노텍 - LG화학 - 서영대
마루머리까지 본선과 동일 - 임진강역 - 임진각
11:3093-8(평일)
93-9(주말)
LG이노텍 - LG화학 - 서영대
마루머리까지 본선과 동일 - 임진강역 - 임진각
12:1093-4통일촌 → 멸공관 → 공동경비구역 → 대성동 → 공동경비구역
12:4093-2미군훈련장 → 전초 → 해마루촌 → 공동경비구역 → 통일촌 → 멸공관
13:4093-5공동경비구역 → 남북출입사무소 → 통일촌 → 멸공관
14:1093-8(평일)
93-9(주말)
LG이노텍 - LG화학 - 서영대
마루머리까지 본선과 동일 - 임진강역 - 임진각
14:5593-8(평일)
93-9(주말)
LG이노텍 - LG화학 - 서영대
마루머리까지 본선과 동일 - 임진강역 - 임진각
15:1093-2미군훈련장 → 전초 → 해마루촌 → 공동경비구역 → 통일촌 → 멸공관
15:4093-8(평일)
93-9(주말)
LG이노텍 - LG화학 - 서영대
마루머리까지 본선과 동일 - 임진강역 - 임진각
16:2093-5공동경비구역 → 남북출입사무소 → 통일촌 → 멸공관
16:4093-6공동경비구역 → 전초 → 미군훈련장 → 통일촌 → 멸공관
17:3093-10미군훈련장 → 전초 → 해마루촌 → 공동경비구역 → 남북출입사무소
18:0093-7통일촌 → 멸공관 → 공동경비구역 → 대성동 → 전초 → 미군훈련장
19:2093-2미군훈련장 → 전초 → 해마루촌 → 공동경비구역 → 통일촌 → 멸공관
19:5093-3남북출입사무소 → 통일촌 → 멸공관
20:3093-2미군훈련장 → 전초 → 해마루촌 → 공동경비구역 → 통일촌 → 멸공관
22:0093-3남북출입사무소 → 통일촌 → 멸공관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정부상징.svg 민간인 출입통제선 내부 경유 노선
[ 펼치기 · 접기 ]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강화군18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연천군
김포시
파주시93, 93-1~7, 93-10, 93-13, 93-14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철원군
화천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1:36:02에 나무위키 파주 버스 9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93번 1회 + 93-1번 1회 + 93-2번 6회 + 93-3번 3회 + 93-4번 1회 + 93-5번 3회 + 93-6번 1회 + 93-7번 1회 + 93-10번 1회 + 93-14번 1회 = 19회[2] 대성동 주민을 제외한 허가받지 않은 민간인들은 여기까지만 이용할 수 있다.[3] 선유산업단지 일대를 반시계방향으로 한바퀴 순환하고 문산읍내로 가는 방식이다.[4] 민통선 안에 위치하여 출입증 없이 이용 불가.[5] 당시 대대장은 소장으로 진급해 현재 7사단장을 맡고 있는 손광제 중령이고 작전과장은 준장으로 진급한 최병옥 소령이다.[6] 불과 930m이다.[7] 이는 대구의 동구3번도 마찬가지. 관사 입구에서 초병들이 검문하러 들어오므로, 출입증 없으면 군인의 가족이나 친척이 아닌 이상 무조건 관사 입구에서 내려야 한다.[8] 이는 파주시청이 출입허가와 증 발급을 직접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군부대의 출입허가 요청이 필요하는 것이기 때문에 군부대, 시청 둘 중 하나가 거부해도 못 들어간다고 생각하면 된다. 군부대에서 처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늦어도 1주일 전엔 방문하려는 곳에 미리 부탁을 해놔야 안심하고 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9] 그렇다고 예외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지만. 관련 게시물 하지만 그나마도 취재 방송국이 공영방송인 KBS라 비교적 쉽게 승인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0] 대한민국 국방부, 통일부 남북회담본부, 국가정보원, 출입국관리사무소, 대성동초등학교[11] 하지만 그렇다 해도 93번을 맡을 가능성은 낮다. 민통선을 넘을 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비무장지대를 출입하는 버스 노선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민통선 출입 기사들은 신원 조회, 안보 교육까지 마친 사람들만 투입된다. 사내에서도 경쟁률이 무척 높아 퇴직을 앞둔 순간까지도 93번에 배정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노선이 신성여객에서 신일여객으로 넘어갔을 때도 민통선 이북으로 들어가는 기사들은 새로 뽑지 않고 신일여객으로 이직하여 계속 같은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간첩이 버스기사로 취직해서 이 노선을 운행하기라도 한다면 승객들을 태우고 월북할 수 있는 상당히 위험한 지역이기 때문이다.[12] 민통선으로 향하는 버스가 마루머리 안내방송을 할 때 다음 정류장에 대한 안내도 나오지 않는다. 반대로 오는 버스 역시 통일대교를 건너고 나서 마루머리 정류장 안내방송이 나온다.[13] 파란색 일반좌석 도색으로 들어가기도 한다.[14] 신일여객으로 넘어간 후로는 17번 좌석형 차량이 들어가기도 한다. 따복버스 전환 후에도 종종 들어간다. 17번 차량이 투입된 모습[15] 1대 증차, 임진각 지선이 개통으로 1대 또 추가투입.[16] 단 1~2명 모집이라 티오는 거의 2년에 1번 꼴로 나는 편. 이러한 불편함 때문에 사회복무요원 배치를 하지 말고 직원으로 충당시키자는 논의가 나오는 중이다. 특히 남북출입사무소 직원들은 모두 공무원들인 반면, 사회복무요원은 병역의무를 이행중인 민간인이다. 즉, 이들은 대성동 주민을 제외하고는 민통선 안에 들어갈 수 있는 몇 안 되는 민간인들이다.[17] 출근 시마다 교통비를 지급하기는 하는데 93번 버스로 출퇴근이 가능하다는 점으로 인해 왕복 버스비만 지급된다. 따라서 경의선 열차를 이용하면 100% 자비로 충당해야 한다. 남북출입사무소에 근무하는 사회복무요원의 경우 신상정보를 인근 군부대에서 이미 다 파악하고 있다.[18] 이 곳에 복무기관으로 지정받은 사회복무요원들은 첫 출근 시부터 내용에 대한 경고와 주의사항을 질릴 정도로 듣게 될 것이다.[19] 우체국.하모니마트, 농협은행.농협은행.시장입구앞, 문산삼거리버스터미널 등[20] 93-8, 93-9번 제외.[A] A B 주말에만 운행하는 93-9번만 해당.[21] 임진강발 셔틀열차가 주말 및 공휴일에 하루 1회만 운행하며, 별도 요금제인 관계로 버스와의 환승이 불가능하다. 도라산역을 나올 수 없으므로 간접환승도 불가능.[22] 돼지열병 및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운행 중단.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