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전라북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기초자치단체장






1. 종합 결과
2. 지역별
2.2. 군산시장
2.3. 익산시장
2.4. 정읍시장
2.5. 남원시장
2.6. 김제시장
2.7. 완주군수
2.8. 진안군수
2.9. 무주군수
2.11. 임실군수
2.12. 순창군수


1. 종합 결과[편집]


정원
14
기호정당의석수
(비율)
후보수
1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1석
(78.57%)
14
2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0석
(0%)
5
3
ta-hash-start=w-2132c4c315e47bc5548077bd11f88e03[[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0석
(0%)
1
-
무소속

3석
(21.42%)
-


2. 지역별[편집]



2.1. 전주시장[편집]


{+1 [[파일:전주시 CI_White.svg}}} 전주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우범기(禹范基)160,339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4.12%당선
2김경민(金京旼)33,6152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5.54%낙선
3서윤근(徐潤槿)22,3433위

ta-hash-start=w-be53ee61104935234b174e62a07e53cf[[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10.32%낙선
선거인 수550,442투표율
40.37%
투표 수222,248
무효표 수5,951

예상대로 더불어민주당 우범기 후보가 압승을 했으나 국민의힘 김경민 후보도 선거 비용 보전 득표율인 15%를 넘겼다. 여담으로 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진보 정당 후보가 각각 75%:15%:10%의 비율로 득표했다는 점에서 광주광역시장 선거와 스코어가 매우 비슷하다.[1]


2.2. 군산시장[편집]


{+1 [[파일:군산시 CI_White.svg}}} 군산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임준(姜任駿)56,843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8.24%당선
2이근열(李根烈)11,5393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13.88%낙선
4나기학(羅基鶴)11,6532위

무소속

13.99%낙선
5채남덕(蔡南德)3,2304위

무소속

3.87%낙선
선거인 수224,926투표율
38.73%
투표 수87,120
무효표 수3,825

더불어민주당 강임준 후보가 70%p에 육박하는 득표율을 올려서 무난히 당선되었다. 하지만 국민의힘 이근열 후보도 13.88%를 얻어서 반액 보전엔 성공하였다.


2.3. 익산시장[편집]


{+1 [[파일:익산시 CI_White.svg}}} 익산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헌율(鄭憲律)72,544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9.97%당선
2임석삼(任錫三)9,6973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9.35%낙선
4박경철(朴慶徹)4,1914위

무소속

4.04%낙선
5임형택(林亨澤)17,2392위

무소속

16.62%낙선
선거인 수239,077투표율
44.86%
투표 수107,254
무효표 수3,583


2.4. 정읍시장[편집]


{+1 [[파일:정읍시 CI_White.svg}}} 정읍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학수(李學洙)25,964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9.75%당선
4김민영(金珉永)23,8912위

무소속

45.77%낙선
5이상옥(李相玉)2,3323위
4.46%낙선
선거인 수93,307투표율
58.17%
투표 수54,283
무효표 수2,096


2.5. 남원시장[편집]


{+1 [[파일:남원시 CI_White.svg}}} 남원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경식(崔景植)16,1271위
37.17%당선
4윤승호(尹承晧)12,0823위
27.84%낙선
5강동원(姜東遠)13,5082위
31.13%낙선
6박종희(朴鍾喜)6415위
1.47%낙선
7오철기(吳哲基)1,0274위
2.36%낙선
선거인 수69,007투표율
64.51%
투표 수44,519
무효표 수1,134

더불어민주당 최경식 후보와 전직 남원시장 출신의 무소속 윤승호 후보, 해당 지역구에서 국회의원을 지낸 무소속 강동원 후보의 3파전으로 치러졌으며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 최경식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러한 접전 양상이 투표율에도 일정 부분 반영되었는지 시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전라북도 지역에서 60%대의 투표율을 기록하였다.


2.6. 김제시장[편집]


{+1 [[파일:김제시 CI_White.svg}}} 김제시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성주(鄭聖柱)22,5311위
54.67%당선
4신성욱(申聖旭)1,5843위
3.84%낙선
5김종회(金鍾懷)17,0962위
41.58%낙선
선거인 수72,538투표율
58.82%
투표 수42,669
무효표 수1,458


2.7. 완주군수[편집]


{+1 [[파일:완주군 CI_White.svg}}} 완주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유희태(柳凞泰)16,3291위
40.89%당선
4송지용(宋智龍)9,2973위
23.28%낙선
5국영석(鞠泳錫)14,3062위
35.82%낙선
선거인 수78,824투표율
52.54%
투표 수41,416
무효표 수1,484


2.8. 진안군수[편집]


{+1 [[파일:진안군 CI_White.svg}}} 진안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전춘성(全春晟)9,8181위
61.70%당선
4천춘진(千春鎭)2,8813위
18.10%낙선
5이한기(李漢基)3,2132위
20.19%낙선
선거인 수22,634투표율
73.41%
투표 수16,616
무효표 수704


2.9. 무주군수[편집]


{+1 [[파일:무주군 CI_White.svg}}} 무주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의탁(黃義卓)5,7212위
36.50%낙선
2서정호(徐廷昊)8373위
5.34%낙선
4황인홍(黃仁洪)9,1141위
58.15%당선
선거인 수21,279투표율
76.44%
투표 수16,267
무효표 수595


2.10. 장수군수[편집]


{+1 [[파일:장수군 CI_White.svg}}} 장수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훈식(崔勛植)7,4791위
53.62%당선
4장영수(張榮洙)6,0442위
43.33%낙선
5이춘열(李春烈)4243위
3.04%낙선
선거인 수19,380투표율
75.28%
투표 수14,591
무효표 수644


2.11. 임실군수[편집]


{+1 [[파일:임실군 CI_White.svg}}} 임실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한병락(韓秉樂)7,3642위
43.14%낙선
4심민(沈敏)7,5401위
44.17%당선
5박정근(朴正根)3884위
2.27%낙선
6박기봉(朴基鳳)1,7763위
10.40%낙선
선거인 수24,346투표율
72.44%
투표 수17,638
무효표 수570

현직 군수인 무소속 심민 후보가 3선 연임에 도전하였으며, 개표 결과 176표 차이로 더불어민주당 한병락 후보를 꺾고 최초로 3선에 성공한 임실군수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이로써 군수의 무덤이란 오명에서도 벗어날 가능성이 높아졌다.


2.12. 순창군수[편집]


{+1 [[파일:순창군 CI_White.svg}}} 순창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기환(崔基煥)8,5342위
47.63%낙선
4최영일(崔永日)9,3801위
52.36%당선
선거인 수23,898투표율
77.79%
투표 수18,592
무효표 수678


2.13. 고창군수[편집]


{+1 [[파일:고창군 CI_White.svg}}} 고창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심덕섭(沈德燮)16,5841위
49.72%당선
4유기상(劉基相)15,7692위
47.28%낙선
5이호근(李昊根)9993위
2.99%낙선
선거인 수47,581투표율
72.85%
투표 수34,665
무효표 수1,313


2.14. 부안군수[편집]


{+1 [[파일:부안군 CI_White.svg}}} 부안군수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권익현(權翼鉉)15,3511위
57.70%당선
2김성태(金成泰)1,3943위
5.23%낙선
4김성수(金性洙)9,8592위
37.05%낙선
선거인 수45,614투표율
60.27%
투표 수27,494
무효표 수890


[1]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이쪽의 경우 정의당 후보가 홀로 10% 가량을 득표하였으나 광주광역시장 선거의 경우 정의당, 기본소득당, 진보당 후보의 표를 합산하여 10% 가량 득표를 한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