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종남(관료)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심계원장 (1948~1963)
초대
명제세
제2대
함태영
제3대
노진설
제4대
최하영
제5대
김세완
제6대
이원엽
감찰위원장 (1961~1963)
초대
민영수
제2대
최재명
제3대
채명신


감사원장 (1963~현재)
초대
이원엽
제2대
한신
제3·4대
이주일
제5대
이석제
제6대
이석제
제7대
신두영
제8대
이한기
제9대
이한기
제10대
정희택
제11·12대
황영시
노태우 정부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제13·14대
김영준
제15대
이회창
제16대
이시윤
제17대
한승헌
제18대
이종남
참여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문재인 정부
제19·20대
전윤철
제21대
김황식
제22대
양건
23대
황찬현
24대
최재형
문재인 정부
윤석열 정부
제25대
최재해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법무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초대
이인
제2대
권승렬
제3대
이우익
제4대
김준연
제5대
조진만
제6대
서상환
제7대
조용순
제8대
이호
제9대
홍진기
제10대
권승렬
장도영 내각
송요찬 내각
김현철 내각
제11대
조재천
제12대
이병하
제13대
고원증
제14대
조병일
제15대
장영순
김현철 내각
제16-18대
민복기
제19대
권오병
제20대
이호
제21대
배영호
제22대
신직수
제23대
이봉성
제24·25대
황산덕
제26대
이선중
제27대
김치열
제28대
백상기
제29·30대
오탁근
제31대
이종원
제32대
정치근
제33대
배명인
제34대
김석휘
제35대
김성기
제36·37대
정해창
제38대
허형구
제39대
이종남
제40대
김기춘
제41대
이정우
제42대
박희태
제43대
김두희
제44대
안우만
제45대
최상엽
제46대
김종구
제47대
박상천
제48대
김태정
제49대
김정길
제50대
안동수
제51대
최경원
제52대
송정호
제53대
김정길
제54대
심상명
제55대
강금실
제56대
김승규
제57대
천정배
제58대
김성호
제59대
정성진
제60대
김경한
제61대
이귀남
제62대
권재진
제63대
황교안
제64대
김현웅
제65대
박상기
제66대
조국
제67대
추미애
제68대
박범계
제69대
한동훈
임시정부 법무부장







파일:검찰 CI (흰색).svg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장
[ 펼치기 · 접기 ]
#000,#DDD
||<-5><tablewidth=100%><bgcolor=#254170>
[[이승만 정부|{{{-2 {{{#ffffff 이승만 정부}}}}}}]]
|| ||<tablebgcolor=#ffffff,#000><width=20%> {{{-2 초대}}}[br]최대교 ||<width=20%> {{{-2 제2대}}}[br][[이태희(법조인)|이태희]] ||<width=20%> {{{-2 제3대}}}[br][[김형근(법조인)|{{{#373a3c,#dddddd [[김형근]]}}}]] ||<width=20%> {{{-2 제4대}}}[br][[한격만]] || {{{-2 제5대}}}[br][[민복기]] || ||<-4><bgcolor=#254170>
[[이승만 정부|{{{-2 {{{#ffffff 이승만 정부}}}}}}]]
||<-1><bgcolor=#000080>
[[장면 내각|{{{-2 {{{#ffffff 장면 내각}}}}}}]]
|| || {{{-2 제6대}}}[br][[김장섭]] || {{{-2 제7대}}}[br]장재갑 || {{{-2 제8대}}}[br][[김치열]] || {{{-2 제9대}}}[br]서병균 || {{{-2 제10대}}}[br]김종수 || ||<-3><bgcolor=#000000>
[[국가재건최고회의|{{{#ffffff 국가재건최고회의}}}]]
||<-2><bgcolor=#835b38>
[[박정희 정부|{{{#ffffff {{{-2 박정희 정부}}}}}}]]
|| || {{{-2 제11대}}}[br]김병화 || {{{-2 제12대}}}[br][[백상기]] || {{{-2 제13대}}}[br]서주연 || {{{-2 제14대}}}[br][[이봉성]] || {{{-2 제15대}}}[br][[오탁근]] || ||<-5><bgcolor=#835b38>
[[박정희 정부|{{{#ffffff {{{-2 박정희 정부}}}}}}]]
|| || {{{-2 제16대}}}[br]김용제 || {{{-2 제17대}}}[br]김성재 || {{{-2 제18대}}}[br]김일두 || {{{-2 제19대}}}[br]서정각 || {{{-2 제20대}}}[br]김윤근 || ||<-1><bgcolor=#835b38>
[[박정희 정부|{{{#ffffff {{{-2 박정희 정부}}}}}}]]
||<-4><bgcolor=#004c97>
[[전두환 정부|{{{-2 {{{#ffffff 전두환 정부}}}}}}]]
|| || {{{-2 제21대}}}[br][[허형구]] || {{{-2 제22대}}}[br][[강우영]] || {{{-2 제23대}}}[br][[김석휘]] || {{{-2 제24대}}}[br][[정해창]] || {{{-2 제25대}}}[br]이창우 || ||<-3><bgcolor=#004c97>
[[전두환 정부|{{{-2 {{{#ffffff 전두환 정부}}}}}}]]
||<-2><bgcolor=#0A84E9>
[[노태우 정부|{{{-2 {{{#ffffff 노태우 정부}}}}}}]]
|| || {{{-2 제26대}}}[br][[이종남(관료)|이종남]] || {{{-2 제27대}}}[br][[정구영]] || {{{-2 제28대}}}[br][[김두희]] || {{{-2 제29대}}}[br][[김경회]] || {{{-2 제30대}}}[br][[박종철(법조인)|박종철]] || ||<-2><bgcolor=#0A84E9>
[[노태우 정부|{{{-2 {{{#ffffff 노태우 정부}}}}}}]]
||<-3><bgcolor=#003990>
[[문민정부|{{{-2 {{{#ffffff 문민정부}}}}}}]]
|| || {{{-2 제31대}}}[br][[전재기]] || {{{-2 제32대}}}[br][[이건개]] || {{{-2 제33대}}}[br][[송종의]] || {{{-2 제34대}}}[br][[김종구]] || {{{-2 제35대}}}[br][[최영광]] || ||<-2><bgcolor=#003990>
[[문민정부|{{{-2 {{{#ffffff 문민정부}}}}}}]]
||<-3><bgcolor=#00aa7b>
[[국민의 정부|{{{-2 {{{#ffffff 국민의 정부}}}}}}]]
|| || {{{-2 제36대}}}[br][[최환]] || {{{-2 제37대}}}[br][[안강민]] || {{{-2 제38대}}}[br][[박순용]] || {{{-2 제39대}}}[br]김수장 || {{{-2 제40대}}}[br]임휘윤 || ||<-5><bgcolor=#00aa7b>
[[국민의 정부|{{{-2 {{{#ffffff 국민의 정부}}}}}}]]
|| || {{{-2 제41대}}}[br][[김각영]] || {{{-2 제42대}}}[br][[김대웅]] || {{{-2 제43대}}}[br][[이범관]] || {{{-2 제44대}}}[br]김진환 || {{{-2 제45대}}}[br] [[유창종]] || ||<-5><bgcolor=#ffd918>
[[참여정부|{{{-2 {{{#000000 참여정부}}}}}}]]
|| || {{{-2 제46대}}}[br][[서영제]] || {{{-2 제47대}}}[br][[이종백]] || {{{-2 제48대}}}[br][[임채진]] || {{{-2 제49대}}}[br][[안영욱]] || {{{-2 제50대}}}[br] [[명동성]] || ||<-4><bgcolor=#0095da>
[[이명박 정부|{{{-2 {{{#ffffff 이명박 정부}}}}}}]]
||<-1><bgcolor=#c9252b>
[[박근혜 정부|{{{-2 {{{#ffffff 박근혜 정부}}}}}}]]
|| || {{{-2 제51대}}}[br][[천성관]] || {{{-2 제52대}}}[br][[노환균]] || {{{-2 제53대}}}[br][[한상대]] || {{{-2 제54대}}}[br][[최교일]] || {{{-2 제55대}}}[br][[조영곤]] || ||<-3><bgcolor=#c9252b>
[[박근혜 정부|{{{-2 {{{#ffffff 박근혜 정부}}}}}}]]
||<-2><bgcolor=#004ea2>
[[문재인 정부|{{{-2 {{{#ffffff 문재인 정부}}}}}}]]
|| || {{{-2 제56대}}}[br][[김수남]] || {{{-2 제57대}}}[br][[박성재(1963)|박성재]] || {{{-2 제58대}}}[br][[이영렬]] || {{{-2 제59대}}}[br][[윤석열]] || {{{-2 제60대}}}[br] [[배성범]] || ||<-2><bgcolor=#004ea2>
[[문재인 정부|{{{-2 {{{#ffffff 문재인 정부}}}}}}]]
||<-1><bgcolor=#e61e2b>
[[윤석열 정부|{{{-2 {{{#ffffff 윤석열 정부}}}}}}]]
|| || {{{-2 제61대}}}[br][[이성윤(법조인)|이성윤]] || {{{-2 제62대}}}[br][[이정수(법조인)|이정수]] ||<bgcolor=#e0ffdb,#202210> {{{-2 제63대}}}[br][[송경호(법조인)|송경호]] || ||<-5><bgcolor=#1e4a71><color=#fff>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나웅배조순이승윤최각규
국토통일원장관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이홍구홍성철최호중최영철
외무부장관최광수최호중이상옥
내무부장관이상희이춘구이한동김태호안응모이상연이동호백광현
재무부장관사공일이규성정영의이용만
법무부장관정해창허형구이종남김기춘이정우
국방부장관오자복이상훈이종구최세창
문교부장관 교육부장관김영식정원식윤형섭조완규
문화공보부장관 문화부장관정한모최병렬이어령이수정
체육부장관 체육청소년부장관조상호김집정동성박철언이진삼
농림수산부장관윤근환김식강보성조경식강현욱
상공부장관안병화한승수박필수이봉서한봉수
동력자원부장관이봉서이희일진념
건설부장관최동섭박승권영각이상희이진설서영택
보건사회부장관권이혁문태준김종인김정수안필준
노동부장관최명헌장영철최영철최병렬이연택
교통부장관이범준김창근김창식임인택노건일
체신부장관오명최영철이우재송언종
정무제1장관김윤환이종찬정종택박철언김윤환김동영최형우김용채김종호김동익
정무제2장관조경희김영정이계순김갑현
총무처장관김용갑김용래이연택이상배이문석
과학기술처장관이관이상희정근모김진현권숙일
공보처장관최병렬최창윤손주환유혁인
환경처장관조경식허남훈권이혁이재창






대한민국 제39대 감사원장
이종남
李種南 | Lee Jong-nam
파일:이종남 감사원장.jpg
출생1936년 9월 30일
경기도 경성부 (現 서울특별시)
사망2021년 5월 25일 (향년 84세)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자택
본관덕수 이씨[1]
재임기간제28대 법무부 차관
1985년 10월 19일 ~ 1987년 5월 26일
제21대 검찰총장
1987년 5월 27일 ~ 1988년 12월 5일
제39대 법무부 장관
1990년 3월 19일 ~ 1991년 5월 26일
제39대 감사원장
1999년 9월 29일 ~ 2003년 9월 28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백지선[1]
자녀아들 이정열[2], 이순열[3]
딸 이경아[4]
학력서울공립공업중학교 (중퇴)
덕수상업고등학교 (졸업 / 45회)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경력고등고시 사법과 합격(12회)
창원지방검찰청 통영지검장
서울중앙지방첨찰청 검사장
제28대 법무부 차관
제21대 검찰총장
제39대 법무부 장관
제18대 감사원장
법무법인 세종 창설자

[1] 白志先. 수원 백씨 백지권(白智權)의 딸로, 1945년 4월 21일생이다.[2] 李政烈. 1967년 10월 6일생이다. 고려대학교 문과대학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에서 통상산업 전공으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조선일보사 편집국 기자로 근무했다.[3] 李侚烈. 1976년 6월 10일생이다. 미국 조지타운 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뉴욕 주 변호사로 근무하고 있다.[4] 李京娥. 1970년 4월 29일생이다.
1. 개요
2. 생애
2.1. 초년시절
2.2. 검사시절
2.3. 검찰을 떠난 후
3. 여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검찰총장, 법무부 장관, 감사원장이자 법무법인 세종의 창설자.

변호사대한민국 공인회계사 자격을 모두 가진 사람으로서, 검사 시절에는 대한민국 '경제사건 수사'의 간판으로 꼽혔다.


2. 생애[편집]



2.1. 초년시절[편집]


1936년 9월 30일 경기도 경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충무공 이순신의 12대손인 아버지 이태영(李泰永, 1903. 9. 24 ~ 1949. 12. 15)과 어머니 수원 김씨(水原 金氏) 김명순(金明順, 1901. 9. 21 ~ 1984. 12. 31)[2] 사이의 2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949년 특차로 선발하던 6년제 서울공립공업중학교 입학, 2학년 재학 중 6.25 전쟁 발발로 한강인도교가 끊어지고, 대부분의 학교가 폐쇄되자 거주지 인근 잔류학생훈육소로 운영되던 덕수상업고등학교(45회)를 나와 1957년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하였고, 1961년에 졸업하였다.

1960년 제12회 고등고시 사법과에 합격했다. 이때 함께 합격한 사람이 김기춘, 박찬종이다.


2.2. 검사시절[편집]


1964년부터 검사로 근무하기 시작하였다. 사법시험만이 아니라 공인회계사시험에도 합격할 정도로 법학, 회계학을 아우르는 지식을 갖추어 특히 경제범죄의 수사에 베테랑으로 활약했다.

1974년 통영지청장으로 근무할 때 통영 YTL 침몰 사건를 수습하였다. 사건이 자신의 조상을 참배한다고, 해난사고 일어날 수준의 풍량에 탑승인원을 배로 집어넣은 해군의 정신나간 짓거리로 일어난 것이라.... 그 외에도 검사 근무시절 대한민국 '탈세사건 수사'의 기틀을 잡은 것으로 유명했다.

이후 1982년 대검찰청에 초대 중앙수사부장으로 임명되었다. 대검 중수부장으로 있으면서 장영자·이철희 금융사기 사건을 수사하였다. 그 후 박동명 (朴東明) 사건.여수 밀수사건.백화양조 탈세사건 등 굵직굵직한 사건을 매끄럽게 처리했다.

1985년 법무부차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다가 1987년 5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축소 파문에 따라 서동권 검찰총장이 경질되자 후임 검찰총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리하여 1988년까지 검찰총장으로 일하였다. 당시 국무총리, 법무부 장관, 검찰총장 등이 한꺼번에 바뀌어 어수선했던 정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검찰 조직을 추스리는 데 성공했다는 평을 받았다.


2.3. 검찰을 떠난 후[편집]


검찰총장직을 그만 둔 후, 1989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법과대학 객원교수가 되었다. 그러다가 1990년에는 법무부장관에 임명되었다.

이후 변호사 개업을 하고 1995년부터 4년간 한국공인회계사회장을 함께 지냈다. 1995년에는 신영무 변호사 등과 함께 법무법인 세종을 창설하고, 4년간 법무법인 세종의 대표변호사로 활동하였다.

그러다가 김대중 정권 때인 1999년 한승헌의 뒤를 이어 제18대 감사원장에 임명되었다. 공직을 떠난지 무려 8년만에 임명된 것이었기 때문에 당시 화제를 모았다. 그 후 2003년까지 무려 4년 동안이나 감사원장으로 일하였다. 특히 공기업에 대해 강도 높은 감사를 벌여, 김대중 정부의 공기업 개혁에 기여하였다는 평을 받았다.

감사원장을 마친 후에는 법무법인 세종의 고문으로 일했다.


3.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0:25:40에 나무위키 이종남(관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충무공파 13대손, 시조 25세 종(種) 항렬#.[2] 김선오(金善五)의 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