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빈(1937)

덤프버전 : (♥ 0)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초대
박찬현
제2대
이범석
제3대
김정태
제4대
신동원
제5대
김태지
제6대
이정빈
제7대
소병용
제8대
최대화
제9대
이종무
제10대
권순대
제11대
최정일
제12대
백영선
제13대
김중근
제14대
이준규
제15대
조현
문재인 정부
제16대
신봉길
제17대
장재복







대한민국 제29대 외교통상부 장관
이정빈
李廷彬 | Lee Jeong-bin
파일:external/tv03.search.naver.net/20151105175631781.jpg
출생1937년 12월 16일 (86세)
전라남도 영광군
본관전주 이씨 효령대군파
재임기간제16대 외무부 제1차관보
1989년 2월 2일 ~ 1991년 7월 17일
제4대 주 러시아연방 특명전권대사
1996년 3월 ~ 1998년 4월
제29대 외교통상부 장관
2000년 1월 14일 ~ 2001년 3월 26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광주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행정학 / 학사)
경력외교연구원 교학과장
주 UN 1등서기관
외무부 중동국장
주 시카고 총영사
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
주 러시아 대사
주 인도 대사
주 스웨덴 대사
외교안보연구원 원장
한국국제교류제단 이사장
제29대 외교통상부 장관

1. 개요
2. 상세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외교관이다.


2. 상세[편집]


1937년 일제강점기 시절에 전라남도 영광군에서 출생하였다. 이후 광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행정학을 학사로 졸업하였다.

대학교 졸업 이후 1965년 주 스위스 대사관 3등서기관으로 임명되면서 공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외교연구원 교학과장,주 UN 1등서기관, 외무부 중동국장, 주 시카고 총영사, 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 주 스웨덴 대사, 주 인도 대사, 외교안보연구원장, 주 러시아 대사, 한국국제교류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국민의정부 당시 외교통상부(현 외교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주러시아 대사 출신으로는 이례적으로 외교통상부 장관직에 올랐다. 장관직 재임 중 2000 남북정상회담에 참여하였다.

장관직 퇴임 이후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조직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기도 했다.




3.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재정경제부장관 →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이규성강봉균이헌재진념전윤철
교육인적자원부장관 →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이해찬김덕중문용린송자이돈희한완상이상주
통일부장관강인덕임동원박재규임동원홍순영정세현
외교통상부장관박정수홍순영이정빈한승수최성홍
법무부장관박상천김태정김정길안동수최경원송정호김정길심상명
국방부장관천용택조성태김동신이준
행정자치부장관김정길김기재최인기이근식
과학기술부장관강창희서정욱김영환채영복
문화관광부장관신낙균박지원김한길남궁진김성재
농림부장관김성훈한갑수김동태
산업자원부장관박태영정덕구김영호신국환장재식신국환
정보통신부장관배순훈남궁석안병엽양승택이상철
보건복지부장관주양자김모임차흥봉최선정김원길이태복김성호
환경부장관최재욱손숙김명자
노동부장관이기호이상룡최선정김호진유용태방용석
여성부장관한명숙
건설교통부장관이정무이건춘김윤기오장섭김용채안정남임인택
해양수산부장관김선길정상천이항규노무현정우택유삼남김호식
기획예산처장관진념전윤철장승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이정빈 문서의 r6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이정빈 문서의 r6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9:50:05에 나무위키 이정빈(193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