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슬람 협력기구

덤프버전 :




이슬람 협력기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33%,#fecb00 33%,#fecb00 66%,#c60c30 33%)"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차드|[[파일:차드 국장.svg|height=40&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차드 관련 문서
جمهورية تشاد
République du Tchad
}}} }}}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d1b24 50%, #fff 5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ddd"
[[인도네시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인도네시아
관련 문서
}}}}}}
<^|1><height=34><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메라 푸티 · 국장
역사역사 전반 · 타루마 왕국 · 순다 왕국 · 스리위자야 · 마자파힛 제국 (나가라크르타가마) · 마타람 술탄국 · 아체 술탄국 · 남술라웨시사 · 반자르 술탄국 · 발리사 · 네덜란드령 동인도 · 일본령 동인도 ·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 인도네시아 합중공화국
정치정치 전반 · 판차실라 · 청년의 맹세
외교외교 전반 · G20 · ASEAN · IPEF · 남중국해 분쟁 · 인도네시아 여권
경제경제 전반 · 인도네시아 루피아 · 넥스트 일레븐
사회교육
국방인도네시아군(육군 · 해군 · 공군)
문화문화 전반 · 관광 정보 · 인도네시아 요리(나시고렝) · 인도네시아어(말레이권) · 자바어 · 순다어 · 인도네시아 음악 ·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 인도네시아 영화 · 인도네시아 문학
지리말레이 제도(대순다 열도: 자바섬, 수마트라 섬, 술라웨시 섬, 보르네오 섬 / 소순다 열도: 발리 섬, 롬복 섬, 플로레스 섬, 티모르 섬 / 말루쿠 제도: 부루 섬, 암본, 스람 섬, 할마헤라 섬, 트르나테) · 뉴기니
민족인도네시아인(자바인 · 발리인 · 바탁 · 미낭카바우 · 다약 · 순다인 · 사마 바자우 · 마두라인 · 마카사르인 · 부기스인 · 오랑 라우트 · 파푸아인)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인도계 인도네시아인 · 인도네시아계 네덜란드인 · 인도네시아계 미국인
교통자카르타의 대중교통 KRL

}}}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국장
역사역사 전반(페르시아) · 엘람 · 메디아 · 아케메네스 왕조 · 파르티아 · 사산 왕조 · 다부이 왕조 · 알라비 왕조 / 타히르 왕조 / 사파르 왕조 · 지여르 왕조 / 사만 왕조 / 부와이 왕조 / 가즈니 왕조 / 살라르 왕조 / 카쿠이 왕조 / 고르 왕조 · 일 칸국 · 추판 왕조 / 잘라이르 왕조 / 인주 왕조 / 무자파르 왕조 / 카르트 왕조 · 티무르 제국 · 마라시 왕조 / 백양 왕조 / 흑양 왕조 · 사파비 제국 · 아프샤르 왕조 / 잔드 왕조 · 카자르 왕조 · 팔레비 왕조
정치·치안·사법정치 전반 · 라흐바르 · 이란 대통령
외교외교 전반 · 이슬람 협력기구 · 상하이 협력 기구
경제경제 전반 · 이란 리알 · 넥스트 일레븐
사회사회 전반 · 콩쿠르
국방이란군 · 이란 해군 · 이란 공군 · 이란 방공군 · 이슬람 혁명 수비대 · 바시즈 · 이란군/차량 · 이란군/기갑차량
문화문화 전반 · 이란 신화 · 조로아스터교 · 노루즈 · 샤나메 · 요리 · 라바시 · 이란/성문화 · 12이맘파 · 이란/스포츠 · 이란 영화 · 이란/여행 및 출장 정보 ·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 페르시아어 · 할랄 인터넷 · 이란 방송
인물키루스 2세 · 다리우스 1세 · 수레나스 · 샤푸르 1세 · 샤흐르바라즈 · 알 라지 · 오마르 하이얌 · 니잠 알 물크 · 이스마일 1세 · 아바스 1세 · 나디르 샤 · 아야톨라 루홀라 호메이니 · 알리 하메네이
지리이란고원 · 자그로스 산맥 · 엘부르즈 산맥 · 페르시아만
민족이란인 · 이란계 미국인 · 아르메니아계 이란인 · 페르시아 유대인 · 이란계 독일인 · 이란계 프랑스인 · 이란계 러시아인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cf0921 5%, #fff 5%, #fff 6%, #cf0921 6%, #cf0921 40%, transparent 40%), linear-gradient(to bottom, #000 10%, #FFF 10%, #FFF 90%, #007b3b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aaa"
[[요르단|[[파일:요르단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요르단
관련 문서
}}}}}}
<^|1><height=32><colcolor=#fff><bgcolor=#007b3b,#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80><colcolor=#00a750><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 백향목 · 줄무늬하이에나 ||
|| 역사 ||역사 전반 · 페니키아 · 레바논 아미르국 · 1958년 레바논 위기 · 레바논 내전 ||
||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헤즈볼라 · 레바논 대통령 ||
||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 경제 ||경제 전반 · 레바논 파운드 ||
|| 국방 ||레바논군 ||
||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후무스 · 레바논 축구 국가대표팀 · 레바논 영화 · 아랍어 · 프랑스어 ||
|| 인물 ||카림 하비브 · 타이거 루아스 ||
|| 지리 ||베이루트 ||
|| 사회 ||레바논 마피아 ||
|| 민족 ||레바논인 · 레바논계 브라질인 · 레바논계 아르헨티나인 · 레바논계 호주인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4b53a 33%,#fcd116 33%,#fcd116 66%,#ce1126 33%)"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말리|[[파일:말리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말리
관련 문서
}}} }}}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D01C1F 10%,#00A95C 10%,#00A95C 90%,#D01C1F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모리타니|[[파일:모리타니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모리타니
관련 문서
}}}}}}
<^|1><height=34><color=#ffc400><bgcolor=#D01C1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10%,transparent 10%), linear-gradient(to right, #01411c 15%,transparent 15%), linear-gradient(to right, #01411c 15%, transparent 15%, transparent 85%,#01411c 85%), linear-gradient(to bottom, #01411c 10%,#fff 10%,#fff 90%,#01411c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aaa"
[[파키스탄|[[파일:파키스탄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파키스탄
관련 문서
}}}}}}
<^|1><height=34><color=#fff><bgcolor=#01411c,#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853F 33%,#FDEF42 33%,#FDEF42 66%,#E31B23 33%)"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세네갈|[[파일:세네갈 국장.svg|height=40&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세네갈 관련 문서
République du Sénégal
}}} }}}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5deg, #007229 10%,transparent 10%), linear-gradient(to bottom, #d21034 10%, #FFF 10%, #FFF 90%, #000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888"
[[수단 공화국|[[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수단 공화국
관련 문서
}}}}}} }}}
<^|1><height=34><colcolor=#fff><bgcolor=#000,#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30A17 50%, #E30A17 5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튀르키예
관련 문서
}}}}}}
<^|1><height=34><colcolor=#fff><bgcolor=#e30a17,#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가 · 월성기 · 국장
역사역사 전반 · 히타이트 · 트로이 · 프리기아 · 리디아 · 페르가몬 왕국 · 돌궐 · 서돌궐 · 강거 · 오구즈 · 셀주크 제국 · 아나톨리아 베이국 · 룸 술탄국 · 오스만 제국 · 튀르키예 독립전쟁
지리아나톨리아 · 트라키아 · 에게 해 · 보스포루스 해협 · 다르다넬스 해협 · 마르마라 해 · 차낙칼레 해협 · 아라라트 산 · 북쿠르디스탄 · 지진/튀르키예
정치·치안·사법정치 전반 · 튀르키예 대통령
외교외교 전반 · 튀르키예-아제르바이잔 관계 · 튀르키예 여권 ·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경제경제 전반 · 튀르키예 리라 · G20 · MIKTA · 넥스트 일레븐
국방튀르키예군 · 튀르키예 해군 · NATO · 튀르키예/방위산업
교통터키항공 · 페가수스 항공 · 이스탄불 공항 · 이스탄불 아타튀르크 국제공항 · 사비하 괵첸 국제공항 · 에센보아 국제공항 · 아드난 멘데레스 국제공항 · 트라브존 공항 · YHT · 이스탄불 지하철 · 차나칼레 1915 대교
문화문화 전반 · 튀르키예 드라마 · 튀르키예 영화 · 튀르키예 음악 · 요리 · 바클라바 · 로쿰 · 필라프 · 돈두르마 · 튀르크 커피 · 차이 · 페즈 · 공휴일/튀르키예 · 사모바르 · 튀르키예/관광 · 세계유산 · 튀르크리 · YKS
언어아나톨리아어파 · 튀르키예어 · 튀르키예/언어
스포츠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 튀르키예 축구 연맹 · 쉬페르리그 · 튀르키예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 튀르키예 여자 배구 리그 · 튀르키예 농구 국가대표팀
인물무스타파 케말 아타튀르크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사회튀르키예 마피아 · 회색늑대
민족튀르키예인 · 튀르키예계 미국인 · 튀르키예계 독일인 · 튀르키예계 러시아인 · 메스케티 튀르크 · 튀르키예계 우크라이나인 · 튀르키예계 일본인
기타튀르키예/여담

}}}












































이슬람 협력기구
منظمة التعاون الاسلامي[1]
파일:이슬람 협력기구 기.svg
2011년에 개정된 이슬람 협력기구의 깃발[2]
본부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제다
회원국57개국
자격 정지 시리아 포함
공용어아랍어, 영어, 프랑스어
정부 형태국제기구
조약이슬람 협력기구 헌장 (1969년 8월 25일)
인구약 18억 1천만 명(2018년)
GDP
(PPP)
전체27조 9,490억 달러 (2019년)
1인당19,451 달러 (2019년)
GDP
(명목)
전체9조 9,040억 달러 (2019년)
1인당9,361 달러
홈페이지파일:이슬람 협력기구 기.svg
파일:이슬람 협력기구 지도.png
* 초록색은 정회원국
* 파랑색은 참관국
* 빨강색은 자격 정지[3]
핵심 직위와 인물
사무총장파일:차드 국기.svg 히세인 브라힘 타하

1. 개요
2. 회원국 목록
3. 대한민국과의 관계
4. 관련 발언
4.1. 이슬람협력기구(OIC)
4.2. OIC의 에크멜렛딘 이흐산오울루 사무총장
5. 테러 대항 이슬람 군사 동맹(IMA)



1. 개요[편집]


منظمة التعاون الاسلامي (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

전 세계 이슬람 국가들이 모인 국제기구. 총 57개국의 국가가 참여하고 있다. 원래 이름은 '이슬람 회의 기구'였다. 이 국제 기구는 1969년 9월 25일에 창설되었다. 본부는 자칭타칭 성지의 수호자[4]로서 이슬람 세계의 종주를 자처하는 사우디아라비아제다에 있다. 이슬람 관련 단체로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한다. 이와 비슷한 문화권의 연합체로 아랍연맹이 있다. 영어의 축약어로는 OIC로 불리는데 국내에서도 이 축약어으로 자주 거론된다. 본부는 사우디아라비아에 있으며 소속국 중 아랍권 국가가 많지만 회원국 중 국력이 가장 강한 나라는 비아랍권인 인도네시아튀르키예이다.

이슬람이라는 이름처럼 이슬람을 믿는 국가들이 회원국의 가입 조건이다. 물론 회원국들을 살펴보면 국민 전체가 아닌 일부분이 이슬람인 경우도 상당히 많다. 가이아나, 가봉, 수리남, 우간다의 경우 무슬림 비중은 각각 7%, 10%, 14%, 14%에 불과하다. 또한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탄자니아처럼 인구 1/3 이상이 무슬림이지만 가입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5]

2. 회원국 목록[편집]


국가가입년도2011년 GDP(PPP)[6]
(단위: 백만달러)
인구
가봉1974년24.3261,534,000 명
가이아나1998년74.895784,894 명
감비아1974년3.7901,776,000 명
기니1969년11.50910,217,591 명
기니비사우1974년1.9161,520,830 명
나이지리아1986년415.132162,471,000 명
니제르1969년11.99715,730,754 명
레바논1969년61.7384,259,000 명
리비아1969년n/a6,423,000 명
말레이시아1969년447.59528,334,135 명
말리1969년18.33114,517,176 명
모로코1969년163.18132,406,600 명
모리타니1969년7.2023,340,627 명
모잠비크1994년23.90823,049,621 명
몰디브1976년2.735317,280 명
바레인1970년30.8891,234,571 명
방글라데시1974년282.945142,319,000 명
베냉1982년14.7869,100,000 명
부르키나파소1975년21.89915,730,977 명
브루나이1984년21.151422,700 명
사우디아라비아1969년677.66327,136,977 명
세네갈1969년25.45412,855,153 명
소말리아1969년정보없음9,557,000 명
수단1969년97.36730,894,000 명
수리남1996년5.069529,000 명
시리아[7]1970년107.80321,355,000 명
시에라리온1972년5.0815,997,000 명
아랍에미리트1970년261.1898,264,070 명
아제르바이잔1991년93.1939,111,100 명
아프가니스탄1969년30.01232,358,000 명
알바니아1992년25.0353,194,972 명
알제리1969년264.44536,300,000 명
예멘1969년63.34423,833,000 명
오만1970년81.0052,773,479 명
요르단1969년36.8976,243,200 명
우간다1974년45.95032,939,800 명
우즈베키스탄1995년94.15128,000,000 명
이라크1976년127.34832,105,000 명
이란1969년930.23675,918,000 명
이집트1969년516.18181,248,000 명
인도네시아1969년1,122.638237,641,326 명
지부티1978년2.238818,159 명
차드1969년19.70411,274,106 명
카메룬1975년47.23419,406,100 명
카자흐스탄1995년214.84016,615,000 명
카타르1970년181.9121,699,435 명
코모로1976년0.840754,000 명
코트디부아르2001년35.65921,395,000 명
쿠웨이트1969년150.0022,818,000 명
키르기스스탄1992년13.1725,477,600 명
타지키스탄1992년16.0117,616,000 명
터키1969년1,054.56073,722,988 명
토고1997년6.3745,753,324 명
투르크메니스탄1992년41.5485,105,000 명
튀니지1969년101.83110,673,800 명
파키스탄1969년489.436178,097,000 명
팔레스타인1969년정보없음4,168,858 명


3. 대한민국과의 관계[편집]



3.1. 정부[편집]


2011년 8월 19일 김성환 외교통상부장관라마단을 기념해 '이프타르(Iftar)' 만찬을 주최했다. 만찬에는 이슬람협력기구(OIC) 회원국 대사, 한ㆍ아랍 소사이어티(KAS) 이사진, 국내 이슬람 지도자 등이 참여했다. 이들은 총 50여명 가량으로 알려지고 있다.[8]


3.2. 기업[편집]


2011년 11월 1일, 코오롱 그룹은 OIC에 한국산 장비를 빌려주기로 했다.[9] 코오롱 그룹은 이슬람개발은행(IDB) 산하 이슬람민간부문개발공사(ICD)와 OIC의 57개국을 대상으로하는 리스사업에 진출하며 MOU를 교환했다. 코오롱은 특히 카자흐스탄CNG 충전소 설치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리스사업도 계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회사인 코오롱아이넷을 통하여 리스산업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4. 관련 발언[편집]



4.1. 이슬람협력기구(OIC)[편집]


2011년 11월 30일, 이슬람협력기구(OIC)는 아래와 같이 발언했다.[10]

"시리아 사태에 대한 외부의 개입을 거부한다"

"이는 이슬람 국가를 대표하는 OIC가 해결해야 한다"

"시리아 위기에 대한 우리의 위치를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11]

"향후 시리아의 정치적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할 것"

"시리아가 안정을 되찾고 보안을 유지할 수 있길 바란다"



4.2. OIC의 에크멜렛딘 이흐산오울루 사무총장[편집]


OIC의 에크멜렛딘 이흐산오울루 사무총장은 터키 민영TV 채널인 스카이튀르크에서 아래와 같이 발언했다. 이 보도는 2011년 2월 17일에 터키의 뉴스통신 휴리예트 데일리 뉴스가 다시 인용하여 기사화했다.[12]

"내일의 중동은 어제의 중동과 다를 것이다. 예전 그대로 남을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일단 국민들이 민주적 정부를 위한 사회적 기반을 성취한 이후에는 이슬람주의든 다른 것이든 슬로건에 의해 좋은 통치체제가 유지될 수 없다"

"만일 당신이 공공업무 장관이나 중앙은행 총재라면 슬로건으로 부처를 운영할 수는 없는 것"



5. 테러 대항 이슬람 군사 동맹(IMA)[편집]


파일:IMCTC_logo_2017.png

홈페이지

التحالف الإسلامي العسكري لمحاربة الإرهاب, Islamic Military Alliance to Fight Terrorism (IMAFT). 이슬람 대테러 군사 동맹이라고도 한다.

2015년 12월 15일에 사우디아라비아 중심으로 이슬람 협력기구 34개국이 협력하는 형태로 창설하였다.[13] 현재 41개국이 협력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는 테러와 전쟁을 넘어서 수니파-시아파 사이 종파 분쟁을 야기할 수 있다는 목소리가 있다.[14] 2017년 1월 9일. 사령관에 라힐 샤리프 전 파키스탄 육군참모총장이 취임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03:32:50에 나무위키 이슬람 협력기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Organisation of Islamic Cooperation(영어)
Organisation de la coopération islamique(프랑스어)
[2] 를 둘러싸고 있고 가운데에 메카카바가 있다.[3] 최근 이슬람 협력기구가 시리아의 자격정지를 해제했다.[4] 참고로 이슬람에는 대표적인 성지가 세 곳 있는데 나머지 한 곳은 예루살렘. 이 곳까지 차지하면 사우디 왕이 칼리프를 자처할 가능성에 한 발짝 다가가겠지만, 현 국제정세상 이는 요원하다.[5] 다만 현 가이아나 대통령이 무슬림이긴 하다. 가나 역시 19% 무슬림 인구를 지녔음에도 가입하지 않았다[6] IMF[7] 시리아 민주화 운동으로 자격정지 되었으나 최근 해제됐다.[8] 외교통상부 장관 주최 라마단 계기「이프타르(Iftar)」만찬 개최[9] 코오롱, 이슬람협력기구(OIC) 회원국에 한국산 장비 대여[10] 이슬람협력기구 "시리아 사태, 우리가 해결"[11] 시리아는 OIC의 회원국이다[12] OIC사무총장 "중동 격변의 종착지는 민주주의" #[13] 이 중 에리트리아는 탈퇴했다.[14] 주요 가입국이 사우디아라비아 및 걸프 산유국을 비롯하여 요르단, 이집트, 수단, 모로코 및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세네갈 등과 같은 친 사우디 성향의 수니파 이슬람 국가들로 이루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