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둘라 2세

덤프버전 : (♥ 0)





요르단 제4대 국왕
압둘라 2세 빈 알 후세인
الملك عبد الله الثاني بن الحسين | Abdullah II bin Al-Hussein
파일:slide-1.png
출생1962년 1월 30일[1](62세)
요르단 암만
종교이슬람교
전임자아버지 후세인 1세
재위기간요르단 국왕
1999년 2월 7일 ~
수상파일:템플턴상 아이콘.png 템플턴상 (2018)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2]

1. 개요
2. 생애
3. 다에시와의 전쟁
4. 가족관계
5. 한우 마니아
6. 여담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요르단의 현 국왕. 전 국왕 후세인 1세의 아들이다.


2. 생애[편집]


1962년 1월 30일 후세인 1세와 그의 두 번째 부인인 영국 출신의 무나 알후세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압둘라 2세는 태어나면서부터 왕위계승권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복잡한 정치 사정 등을 감안한 후세인 1세가 헌법을 수정해 막내 동생인 하산 빈 탈랄(1947년생)을 왕태제로 삼았다가, 사망하기 불과 2주 전인 1999년 1월 말에 전격적으로 아들인 압둘라 2세로 후계자를 교체했다.[3]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샌드허스트 영국육군사관학교에서 정규 영국 육군 장교 과정을 마쳤고, 이 때 받은 병과기갑이지만 보병 전술, 특히 특수전에도 일가견이 있어 육군 공수레인저 자격을 실력으로 취득했다.[4] 국왕 즉위 후에는 당시에도 이미 상당히 현대적이었던 요르단군의 본격적인 현대화에 박차를 가했다. 원래 요르단군은 중동에서 서양도 인정하는 정예 강군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전통이 현 국왕 시기에 들어 더욱 강해지는 편이다. 현대 요르단군은 그야말로 아랍 최정예다. 중동전에서도 맞상대였던 이스라엘군에게 "오합지졸 아랍군대 중 유일하게 견실한 군대다"라고 평가받을 정도다. 단, 이스라엘군이 가장 경계하는 아랍 군대는 이집트군이다.

다만 이렇게 강한 요르단의 군사력은 미국의 군사지원에 요르단이 무리할 정도로 국가예산을 투입해 유지되는 것이라 부작용도 심하다. 2018년 요르단 국방비는 GDP의 약 5.2%를 차지해 인구대비 국방비 기준으로는 중동에서 1위이며, GDP 대비 군비지출 비중으로는 오만, 사우디, 이라크, 바레인, 이스라엘에 이어 6위다. 석유 한 방울 안나는 개발도상국가로선 무척 부담되는 지출이다. 세계은행에서 요르단 경제의 큰 부담으로 지적하여 요르단 정부에 국방비를 줄여야 한다고 권고할 정도다. 요르단군의 우수성은 어디까지나 교육훈련이나 실전성 면에서 타 아랍군보다 낫다는 거지 경제사정이 좋지 않기 때문에 장비는 사우디는 물론 터키보다도 훨씬 떨어진다. 육군에서 가장 우수한 전차가 챌린저 1을 개량한 알후세인 전차고 그외에 치프틴을 개량한 칼리드와 M60A3를 개량한 피닉스 전차를 운영한다. 포병은 구형 M109A2 자주포가 주력이다. 공군은 79대의 F-16 블록15/20형(MLU 개량형 63대)이 주력이다.

자식들 역시 샌드허스트를 졸업하였고, 살마 공주는 2020년 요르단 최초 여성 공군 파일럿이 되었다.#

2021년 4월에 이복동생 함자 왕자가 쿠데타 기도로 보이는 정치적 움직임에 연루돼 가택연금 상태에 있다.# 함자 왕자 자신은 쿠데타 시도를 부인했다. 결국 함자 왕자가 국왕에게 충성 맹세 서한을 보내고 꼬리를 내리면서 갈등이 봉합되는 모양새이다.# 2022년 4월에 왕세제 자리를 포기한다.#

2022년 4월 10일에 압둘라 2세가 독일로 급히 이송돼 프랑크푸르트의 한 특수 병원에서 흉부추간판 탈출증의 수술을 받았다.# 2022년 12월 15일, 석유 가격과 물가가 같이 폭등하자 시민들이 대규모 반정부시위가 시작되었다.

3. 다에시와의 전쟁[편집]


파일:king-abdullah-ii.jpg

2015년 2월 3일,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국가(이하 IS) 공습 당시 현지에 추락하여 포로가 된 요르단 F-16 파일럿 알 카사스베 공군 중위가 IS에 의해 분살당하는 충격적인 일이 발생했다. 이에 압둘라 2세는 비행복에 비행 장구류를 착용하고 나타나 IS에 즉각적인 보복을 천명했다. 하지만 언론에 보도된 것처럼 압둘라 2세가 직접 폭격기를 몰고 출격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폭격기 운행 자격도 없다. 그래도 압둘라 2세는 영국 육군사관학교인 샌드허스트를 졸업했으며, AH-1 코브라 헬기 조종 면허까지 갖고 있는데다, 무려 영국 기갑연대의 명예 연대장 직함까지 있다.

예고대로 2월 5일부터 IS의 무기고를 비롯한 주요 시설에 대한 요르단군의 공습이 시작되었다. 10일까지 연합군의 전투기들이 공습을 시작한 이래 2,000회 정찰비행을 포함해 5,500회 출격했는데, 이중 요르단 공군은 946회 출격해 IS 조직원 약 7,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점으로 2018년 종교계 노벨상이라고 자칭하는 템플턴상무슬림 2번째로 수상했으나, 이 상부터가 기독교 위주로 수상한다는 비난을 늘 듣으며 인지도가 국제적으로 사망인지라 알려지지 못했다.

4. 가족관계[편집]



5. 한우 마니아[편집]


압둘라 2세 국왕은 한우 마니아라고 한다. 2012년 3월 서울에서 핵안보정상회의가 개최되었을 때, 한국에 방문해 한우를 맛보고 그 맛에 반해 왕실 수석 조리장을 통해 한우를 40㎏ 주문해 본국으로 가지고 돌아간 것은 물론 자주 한우를 주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애초 쇠고기할랄로 분류되어 무슬림이 먹을 수 있으므로, 조리 과정만 관리하면 아무 문제가 없다. 사실 한국 내에서도 생각보다 할랄 푸드 수요가 많고 수출용 육 가공품 제작을 위해 다비하 도축을 하는 도축장도 국내에 있기 때문에 별 문제 없다. 애초에 이 사람 행적을 보면 알겠지만 친서방파에 대놓고 천명한건 아니지만 행적을 보면 이슬람 원리주의랑은 거리가 아주 먼 사람이다.

6. 여담[편집]


윗동네 시리아의 대통령 바샤르 알아사드와 마찬가지로 눈이 파란색이다.

1999년 즉위 이후 변장하여 여러 차례 암행감찰에 나서서 유명하다. 기자, 택시기사, 노인 등으로 변장을 계속 바꾼다.보건부 환자담당국 감찰(링크 삭제됨), 세무서 감찰

영국육군사관학교를 졸업했으며, 영국계인 어머니의 영향으로 영어를 모국어로 구사한다. 아랍권 공용어인 표준 아랍어 역시 완벽한 수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때도 통역없이 말했다.# 실제 대외 발언시에도 영어로 연설하는 경우가 더 많다.

스타트렉의 광팬이라 왕자 시절엔 스타트렉 영화에 엑스트라로 출연했다고 한다. 그런데 에피소드 시작과 동시에 얼굴 잠시 비추는 거라 2~3초 조차 제대로 안 나온다. 보이저 시즌2 20화.
파일:external/41.media.tumblr.com/tumblr_njavcvsbRp1t3n5zjo1_400.jpg

2007년에는 미국인 지인과 함께 캘리포니아에 여행을 떠난 적이 있다. 국왕이 여행을 한 게 무엇이 특별하냐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 여행이란 게 거버네이터와 함께 바이크 라이딩을 떠난 것. 게다가 저 '미국인 지인'의 정체는 CIA 지부장이다. 말하자면 무함마드의 직계후손인 아랍 국가의 왕과 터미네이터 주지사와 지부장급 CIA 요원이 캘리포니아의 도로를 할리 데이비슨에 가죽잠바 입고 경호원 대동한 채로 질주했다는 것이다.

게임 개발 회사 워게이밍의 CEO 빅터의 말에 따르면 월드 오브 탱크를 즐기고 있다고 하며 덕분에 요르단 국기가 8.2패치에서 추가되었다. 개발자 중 한 명인 세르게이의 말에 따르면 가지고 있는 자주포M109 팔라딘이라나 뭐라나(요르단군이 A2/A3형을 가지고 있는걸 빗댄 농담).

최근에는 스위스 비밀계좌가 있음이 밝혀졌다. # 개발도상국 독재자들의 필수요소이니 뭐 크게 놀랄 일도 아니긴 하다.

영국 육군에서 특수전 관련 교육들을 받은 데다 천성적으로 밀덕이라 그런지, 이쪽 관련으로도 꽤 활발하게 활동한다. 후세인 왕태자와 함께 택티컬한 복장을 하고 전술 사격장을 직접 뛰어다니며 사격술을 선보였는데, 솜씨가 꽤 수준급이다.#

파일:attachment/요르단 디나르/jordan025.jpg
요르단 50디나르 지폐에서 그의 얼굴을 볼 수 있다.


7. 둘러보기[편집]


파일:템플턴상 로고_01.png
템플턴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 20세기 수상자 ]
[ 21세기 수상자 ]

2001200220032004200520062007
제29회
제30회
제31회
제32회
제33회
제34회
제35회
아서 피콕존 폴킹혼홈즈 롤스턴 3세조지 엘리스찰스 하드
타운스
존 배로우찰스 테일러
2008200920102011201220132014
제36회
제37회
제38회
제39회
제40회
제41회
제42회
미하우 헬레르베르나르
데스파냐
프란시스코
아얄라
마틴 리스텐진 갸초데즈먼드 투투마시 할리크
2015201620172018201920202021
제43회
제44회
제45회
제46회
제47회
제48회
제49회
장 바니에조너선 색스알빈 플란팅가압둘라 2세마르셀로
글레이서
프랜시스
콜린스
제인 구달
20222023
제50회
제51회
프랭크 윌첵에드나 아단
이스마일





[ 펼치기 · 접기 ]

2023년 선정
1위2위3위4위5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알리 하메네이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압둘라 2세
6위7위8위9위10위
무프티 타키 우스마니모하메드 6세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알리 알시스타니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11위12위13위14위15위
하비브 우마르 빈 하피즈살만 알오우다조코 위도도아마드 무함마드 알타예프마울라나 마무드 마다니
16위17위18위19위20위
압둘라 빈 바야모하마두 부하리무함마드 빈 사두 아부바카르 3세야흐야 촐릴 스타쿼프알리 고마
21위22위23위24위25위
하산 나스랄라하비브 알 자인 알 아비딘 알지프리함자 유수프 한손아마드 티자니 빈 알리 키세문니라 쿠베이시
26위27위28위29위30위
무스타파 호스니압둘아지즈 이븐 압둘라 아알 알 셰이크우사마 알세예드 알아즈하리샤 카림 알후사이니알하비브 무함마드 루트피 빈 야흐야
31위32위33위34위35위
압둘말리크 알호우티마울라나 타리크 자밀할리마 야콥무함마드 알야코우비세예드 호세인 나스르
36위37위38위39위40위
우트만 타하 캘리그래퍼셰이크 라체드 가노우치사미아 술루후 하산모하메드 살라압델 파타 엘 시시
41위42위43위44위45위
무크타다 사드르마울라나 나주르 우르레만무에즈 마수드티모시 윈터(셰이크 압달하킴 무라드)이브라힘 살레 알후세이니
46위47위48위49위50위
모하메드 베차리아미르 칼레드아레프 알리 나예드하이바툴라 아훈드자다셰이크 무함마드 일야스 아타르 콰디리
[ 지명 인물 펼치기 · 접기 ]
압둘라 자와디 아몰리무함마드 이스하크 파야드딘 샴수딘시에드 무함마드 나퀴브 알아타스아크바르 아메드
잉리드 매트손마흐무드 압바스이스마일 하니예안와르 이브라힘마하티르 빈 모하맛
임란 칸사디크 칸아미누 아도 바예로무프티 압둘 콰심 노마리셰이크 누 켈러
무함마드 알아리피자키르 압둘 카림 나이크아헤드 태미로제인 알하틀룰말랄라 유사프자이
우구르 사힌새미 유수프셰이크 압둘라흐만 알수다이스사디오 마네하빕 누르마고메도프
#




[ 펼치기 · 접기 ]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레소토
빌럼알렉산더르하랄 5세마르그레테 2세레치에 3세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말레이시아 모나코
벤다하라 가문
앙리한스아담 2세파항의 압둘라알베르 2세
모로코 바레인 바티칸 벨기에
모하메드 6세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프란치스코필리프
부탄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스웨덴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하사날 볼키아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칼 16세 구스타프
스페인 안도라 에스와티니
우르헬 주교
들라미니 왕조
펠리페 6세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에마뉘엘 마크롱음스와티 3세
영국 영연방 오만 요르단
찰스 3세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압둘라 2세
일본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노로돔 왕조
나루히토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노로돔 시아모니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태국 통가
라마 10세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05:23:56에 나무위키 압둘라 2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음력 1961년 12월 25일[2] 아들 계정이다.[3] 이에 얽힌 루머가 있다. 아들이 장성하자 후세인 1세가 동생 대신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싶어했지만 마땅한 명분을 찾지 못하던 차에, 후세인 1세의 병세가 악화되자 조만간 왕이 될 것이라 여긴 하산 왕태제가 자기 집무실 인테리어를 왕의 집무실 수준으로 싹 바꾸는 등 '샴페인을 너무 일찍 터뜨렸다가' 후세인 1세의 분노를 사서 왕태제 자리를 빼앗겼다는 것이다. 사실이라면 형이자 국왕인 후세인 1세가 빨리 죽기만을 기다린 셈이니 후계자 지위에서 탈락될 만 하다. 그런데 압둘라 2세도 즉위 시 막내 이복동생인 함자 왕자(후세인 1세의 넷째 부인 누르 왕비 소생, 1980년생)를 왕태제로 삼았다가 2004년에 그 지위를 박탈하고 자기 큰아들 후세인 왕자를 새 왕태자로 삼은 바 있다. 하지만 압둘라 2세는 선왕 사망 직전에 자신이 왕위에 오를 것이란 생각을 하며 권력을 탐내는 등 경거망동한 행동을 저지른 작은아버지 하산 왕자를 숙청하지 않고 용서했다. 조카가 관용을 베풀자 결국 하산 왕자도 조카인 압둘라 2세를 새 국왕으로 인정하여 권력에 대한 욕심을 접었다.[4] 아랍의 주요 왕실 출신으로 해외 군사유학을 다녀온 이들은 대부분 특수부대와 기갑에 열광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압둘라 2세도 마찬가지였던 셈이다.[5] 심지어 1++ 등급으로 농협 안심한우 소갈비 20kg, 등심 15kg, 불고기용 앞다리 부위 5kg 이며 불고기 조리에 필요한 소스도 포함시켰으며, 요르단 왕실에 수출한 한우 고기를 왕실 연회와 공식행사에서 사용할 예정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