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르단인

덤프버전 : (♥ 0)

요르단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셈족
[ 펼치기 · 접기 ]

셈족동셈족†아카드인† | 바빌로니아인† | 고대 아시리아인† | 에블라
북서셈족히브리인(유대인 | 사마리아인 | 이스라엘인) | 현대 아시리아인 | 페니키아† | 모압† | 암몬† | 에돔† | 아람† | 아모리인†(우가리트†) | 칼데아인
남서셈족
(아랍인)
베두인 | 아랍계 기독교인 | 나바테아인† | 사우디인(히자즈인) | 현대 이집트인 | 마그레브 아랍인(몰타인) | 팔레스타인인(이스라엘 아랍인) | 예멘인(하드라미인) | 오만인 | 걸프 아랍인 | 요르단인 | 시리아인 | 레바논인 | 이라크인 | 아프리카계 아랍인(아프리카계 이라크인 | 아프리카계 예멘인(아크담족) | 수단 아랍인(바까라족))
남셈족사바인† | 소코트라인 | 마흐라인 | 암하라인 | 티그라이인 | 티그리냐인 | 티그레인
셈어파 지역비아랍인 계열 독립국가들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아랍 계열 독립국가들파일: 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다수 거주국가 포함)아라비스탄 | 하타이 | 잔지바르 | 코모로
언어셈어파
사상범셈족주의 | 아랍 민족주의 | 시오니즘
신화아랍 신화 | 유대 신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아카드 신화 | 바빌로니아 신화(칼데아 신화) | 아시리아 신화) | 가나안 신화(아람 신화 | 페니키아 신화(카르타고 신화))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cf0921 5%, #fff 5%, #fff 6%, #cf0921 6%, #cf0921 40%, transparent 40%), linear-gradient(to bottom, #000 10%, #FFF 10%, #FFF 90%, #007b3b 9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aaa"
[[요르단|[[파일:요르단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요르단
관련 문서
}}}}}}
<^|1><height=32><colcolor=#fff><bgcolor=#007b3b,#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



파일:JordanMB.17July2015.AFP_.jpg
집회를 하는 요르단인들
1. 개요
2. 상세
3. 출신 인물
3.1. 남성
3.2. 여성


1. 개요[편집]


영어 : Jordanians
아랍어: أردنيون

요르단 국적을 가진 아랍인을 뜻한다.

2. 상세[편집]


레반트 지역의 다른 나라인 레바논이나 시리아 대부분 지역이 고대에는 아랍어권이 아닌 아람어권이었던 것과 다르게 요르단은 고대부터 아랍 문화권이었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아라비아 나바테아라고 불렸으며, 고대부터 아랍어를 모어로 사용하고 아람어를 공용어로 사용했던 교역 왕국이었다. 시리아와 레바논이 이슬람화하기 이전부터 아랍어를 사용한 지역이다. 이후 동로마 제국 시대에는 아랍계 가산 왕국이 들어섰다. 가산 왕국에서 기독교를 믿던 아랍인들은 아라비아 반도의 다신교도 아랍인들과 가까운 사이였으며, 이슬람화 이후에는 양자가 동화된다. 이러한 이유로 문화적으로 레반트보다는 사우디아라비아에 가깝다고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르단이 사우디아라비아와 별개의 국가로 분열이 된 것은 19세기에 나즈드에서 부흥한 와하비즘과 이를 반대하고 있는 헤자즈의 하심 가문이 대립했고 1925년에 하심 가문이 패배해서 아라비아 반도에서 추방당했기 때문이다. 이에 영국은 하심 가문에게 현재의 요르단의 영토를 내주었고 이 것이 현재 요르단이 된 것이다.

원래 요르단 지역의 아랍어 방언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나즈드 방언을 사용하고 있었지만 1925년에 팔레스타인과 함께 영국 영토로 묶이면서 팔레스타인인들이 이민해왔고 이스라엘 건국 이후로 팔레스타인 난민들이 요르단으로 대거 이주하면서 요르단 서부는 팔레스타인 방언을 사용하는 지역이 되었다.

3. 출신 인물[편집]



3.1. 남성[편집]



3.2. 여성[편집]


[각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20:57:18에 나무위키 요르단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