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델파타흐 알부르한

덤프버전 : (♥ 0)





수단 공화국 과도주권위원회 위원장
압델파타흐 압델라흐만 알부르한
Abdel Fattah Abdelrahman al-Burhan
عبد الفتاح عبد الرحمن البرهان
파일:압델파타흐 알부르한.jpg
출생1960년 7월 11일 (63세)
수단 간다투
재임기간과도군사위원회 위원장
2019년 4월 12일 ~ 2019년 8월 20일
과도주권위원회 위원장1차
2019년 8월 20일 ~ 2021년 10월 25일
과도주권위원회 위원장2차
2021년 11월 11일 ~ 현직
국적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수단의 군사정권 독재자이자 과도주권위원회 위원장으로 수단의 공식적인 통치자이다.


2. 생애[편집]


1960년 7월 11일 수단 북부 간다투 마을에서 태어났다. 이후 수단 육군사관학교에 진학하여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 다르푸르 전쟁과 제2차 수단 내전에 참전했으며, 오마르 알 바시르의 눈에 들었고 알부르한은 바시르의 충실한 부하로 수행했으며 2019년 중장에 올랐다. 그러나 2019년 수단 민주화 시위가 커지고 오마르의 폭정에 국민적 항의가 이어지자, 신속지원군모하메드 함단 다갈로와 함께 2019년 수단 쿠데타를 일으켜 오마르 알 바시르를 배신하고 알바시르를 축출하여 30년 군사정권을 끝장냈다.

이후 수단의 국교를 폐지했으며 미국에게 받고 있던 제재도 트럼프가 직접 해제 하겠다고 선언했으며 2020년에 이스라엘과 수교를 대가로 테러지원국에도 해제되는 등, 서방과 관계를 증진하고 나섰으나, 관료 출신 함독 총리를 내세우고 민정이양을 약속했는데도 알부르한과 다갈로는 권력에 야심이 많았고 결국 2021년 10월 수단 쿠데타를 일으켜 함독 총리를 몰아내고 알부르한이 직접 대통령이 되어 수단은 30년 만에 쫒아냈던 군사정권이 2년만에 다시 부활하였다. 이와중에 항의하는 시위대를 신속지원군과 함께 철저히 짓밟고 다니면서 수많은 인권탄압으로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신속지원군의 다갈로와 권력다툼에 들어섰고, 2년 내에 신속지원군을 해체하고 수단군에 통합하려고 했으나 당연히 무력을 빼앗기는 걸 반대하는 다갈로가 극렬히 저항했다.

결국 양측의 갈등은 2023년 수단 내전으로 폭발하여 신속지원군과 맞서 싸우고 있다.

내전이 발발하자 초기에는 이집트는 알부르한을 돕기 위해 정규군을 보냈지만 나중에는 이집트는 폭력 사태를 막아달라고 요구했다.

추후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과 회담을 가지면서 바그너 그룹 관련 회담을 가졌다고 전해졌다.


3. 여담[편집]


친 서방, 친 이집트[1] 정책을 취하면서 그들의 지원을 받고 있다.

기존 알바시르의 샤리아 폭정으로 극단주의 정책을 추구했지만 알부르한은 세속주의 정책에 따라 2020년에는 수단은 다민족 국가임을 선언하면서 수단이 국교[2]를 폐지하였다.

가족으로는 아내와 슬하 1녀가 있으며, 가족들은 말레이시아에 거주 한 것으로 알려졌다.


4. 둘러보기[편집]



[ 아시아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은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겸직하여 사실상 군주에 가깝다.
*** 이란의 국가원수는 라흐바르이며, 대통령이 아니다.
**** 현직 장성급 장교들이 국회의원을 겸직하는 정당이라 사실상 미얀마군 소속에 가깝다.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파일:대만 국기.svg 대만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무소속
민주진보당
국민의힘
람 찬드라 파우델 (초선)차이잉원 (재선)윤석열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무소속
인민민족회의
조제 하무스오르타 (재선)나지브 미카티 (권한대행)모하메드 무이주 (초선)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몽골 인민당
통합단결발전당
아와미 연맹
오흐나깅 후렐수흐민 슈웨 (권한대행)샤하부딘 추푸 (초선)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통일국민당
바트당
무소속
라닐 위크레메싱게 (초선)바샤르 알아사드 (4선)타르만 샨무가라트남 (초선)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무소속
국민전체회의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3선)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라샤드 알알리미
(대통령 지도 위원회 의장)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파일:이란 국기.svg 이란***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전투적 성직자회
이스라엘 노동당
압둘 라티프 라시드 (초선)에브라힘 라이시 (초선)이츠하크 헤르초그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인도 인민당
민주항쟁당
무소속
드라우파디 무르무 (초선)조코 위도도 (재선)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재선)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메켄칠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사디르 자파로프 (초선)에모말리 라흐몬 (5선)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초선)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정의 파키스탄 운동
파타
필리핀 연방당
아리프 알비 (초선)마흐무드 압바스 (초선)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 유럽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산마리노의 국가원수는 대통령이 아닌 두 명의 집정관이다.
*** 오스트리아와 포르투갈은 헌법상 이원집정부제이나 사실상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무소속
느하스
독일 사회민주당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초선)가글로이트 알란 (초선)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재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에드가르스 린케비치 (초선)블라디미르 푸틴 (4선)클라우스 요하니스 (재선)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지금 유럽!
무소속
기타나스 나우세다 (초선)야코브 밀라토비치 (초선)마이아 산두 (초선)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노동당
무소속
사회민주당

독립사회민주연대

민주전선
조지 벨라 (초선)알렉산드르 루카셴코 (6선)데니스 베치로비치 (초선)
젤카 츠비야노비치 (초선)
젤코 콤시치 (4선)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마케도니아 사회민주주의 동맹
무소속
무소속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초선)에르신 타타르 (초선)루멘 라데프 (재선)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산마리노 기독교민주당

내일-자유운동
세르비아 진보당
스위스 사회민주당
필리포 타마니니 (재선)
가에타노 트로이나 (초선)
알렉산다르 부치치 (재선)알랭 베르세 (재선)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주자나 차푸토바 (초선)나타샤 피르츠 무사르 (초선)바하근 하차투랸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무소속
무소속
신아제르바이잔당
그뷔드니 소를라시위스 요한네손 (재선)마이클 D. 히긴스 (재선)일함 알리예프 (4선)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바이람 베가이 (초선)아슬란 브자니아 (초선)알라르 카리스 (초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재선)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초선)세르조 마타렐라 (재선)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파일:체코 국기.svg 체코*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무소속
무소속
무소속
살로메 주라비슈빌리 (초선)페트르 파벨 (초선)비오사 오스마니 (초선)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무소속
무소속
정의개발당
조란 밀라노비치 (초선)니코스 흐리스토둘리디스 (초선)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3선)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사회민주당
무소속
바딤 크라스노셀스키 (재선)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재선)안제이 두다 (재선)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르네상스
무소속
청년민주동맹
에마뉘엘 마크롱 (재선)사울리 니니스퇴 (재선)노바크 커털린 (초선)
[ 아메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파일:니카라과 국기.svg 니카라과
인민진보당
바모스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이르판 알리 (초선)알레한드로 잠마테이다니엘 오르테가 (5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현대혁명당
무소속
국가재건운동
루이스 아비나데르 (초선)실바니 버튼 (초선)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민주당
무소속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조 바이든 (초선)샌드라 메이슨 (초선)니콜라스 마두로 (재선)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
사회주의 운동
노동자당
진보개혁당
루이스 아르세 (초선)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3선)찬 산토키 (초선)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자유당
무소속
국민민주행동
하비에르 밀레이 (초선)아리엘 앙리 (권한대행)다니엘 노보아 (초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엘살바도르파일:온두라스 국기.svg 온두라스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무소속
해방재건당
국민당
클라우디아 로드리게스 데 게바라 (대행)시오마라 카스트로 (초선)루이스 라카예 포우 (초선)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사회융합당
사회민주진보당
인간적인 콜롬비아
가브리엘 보리치 (초선)로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 (초선)구스타보 페트로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무소속
민주혁명당
콜로라도당
크리스틴 캉갈루 (초선)라우렌티노 코르티소 (초선)산티아고 페냐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무소속
디나 볼루아르테
[ 아프리카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현재 군사정권이거나 혹은 사실상 해당 국가의 군 소속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파일:가봉 국기.svg 가봉**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신애국당
가봉군
국가인민당
나나 아쿠포아도 (재선)브리스 클로테르 올리기 응게마(권한대행)아다마 배로 (재선)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기니군
마뎀 G15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마마디 둠부야 (권한대행)우마루 시소쿠 엠바루하게 게인고브 (재선)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진보회의
수단 인민해방운동
아프리카 국민회의
볼라 티누부 (초선)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초선)시릴 라마포사 (초선)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라이베리아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니제르군
민주변혁회의
르완다 애국 전선
압두라하마네 치아니 (권한대행)조지 웨아 (초선)폴 카가메 (3선)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무소속
젊은 말라가시 청년들
말라위 의회당
모하메드 알 멘피 (대통령위원회 의장)안드리 라조엘리나 (3선)라자루스 차퀘라 (초선)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말리군
투쟁 사회주의운동
공정당
아시미 고이타 (권한대행)프리티비라즈싱 루푼 (초선)모하메드 울드 가주아니 (초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파일:베냉 국기.svg 베냉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모잠비크 해방전선
무소속
보츠와나 민주당
필리프 뉴시 (재선)파트리스 탈롱 (재선)모크위치 마시시 (초선)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부르키나파소군
폴리사리오 전선
에바리스트 은다이시미예 (초선)이브라힘 트라오레 (권한대행)브라힘 갈리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독립민주행동당
공화국 동맹
세이셸민주동맹
카를루스 빌라 노바 (초선)마키 살 (재선)와벨 람칼라완 (초선)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평화개발연합당
쿨미예 평화통일개발당
수단군
하산 셰흐 마하무드 (재선)무세 비히 압디 (초선)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주권위원회 의장)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시에라리온 인민당
민족해방전선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줄리어스 마다 바이오 (3선)압델마지드 테분 (초선)주앙 로렌수 (재선)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민주정의인민전선
무소속
민족저항운동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초선)살러워르크 저우데 (초선)요웨리 무세베니 (6선)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무소속
국가개발통일당
민주당
압델 파타 엘 시시 (재선)해케인드 히칠리마 (초선)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7선)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공화국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연합마음운동
진보인민연합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포스탱아르샹주 투아데라 (재선)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5선)에머슨 음낭가과 (재선)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차드군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권한대행)폴 비야 (7선)조제 마리아 네베스 (초선)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통합민주연대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공화주의자의 집회
윌리엄 루토 (초선)아잘리 아소우마니 (4선)알라산 와타라 (3선)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콩고 노동당
민주사회진보연합
탄자니아 혁명당
드니 사수 응게소 (7선)펠릭스 치세케디 (초선)사미아 술루후 하산 (초선)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공화국을 위한 연합
무소속
포르 냐싱베 (4선)카이스 사이에드 (초선)
재위 중인 군주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재임 중인 총리 및 수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1 03:57:04에 나무위키 압델파타흐 알부르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집트와 수단은 나일강과 와디 하이파 돌출지 및 할라이브를 두고 영토 분쟁을 겪고있어서 이집트 정부와 수단 정부와 갈등을 빚었으나 이집트가 2011년 그레이트 르네상스 에티오피아댐을 건설하기 시작하자 에티오피아를 대응하기 위해 나일강 중류에 있는 수단과 화해하기 시작했다.[2] 이슬람 수니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