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통령/명단

덤프버전 : (♥ 0)

미국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기 · 국장 · 국가 · 국호 · 엉클 샘 · 충성의 맹세 · 컬럼비아 · 흰머리수리 · 아메리카들소
역사역사 전반 · 13개 식민지 · 미국 독립 전쟁 · 골드 러시 · 서부개척시대 · 아메리카 연합국 · 남북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 광란의 20년대 · 대공황 · 제2차 세계 대전(노르망디 상륙작전 · 태평양 전쟁(진주만 공습)) · 냉전 · 9.11 테러
정치합중국 · 백악관 · 캠프 데이비드 · 건국의 아버지들 · 미국 독립선언서 · 미국 국회의사당 · 헌법 · 정치 · 연방정부 · 연방 행정각부 · 의회(미국 상원 · 미국 하원) · 정당 · 행정구역 ( · 해외영토 · 도시 목록 · 주요 도시 · 주요 도시권) · 대통령(명단) · 부통령 · 하원의장 · 지정생존자
치안과 사법사법 전반 · 대법원 · 미국의 경찰제도 (군사화) · 보안관 · SWAT · 연방보안청 (연방보안관) · 텍사스 레인저 · DEA · ATF · 국적법 · 금주법 · FBI · ADX 플로렌스 교도소 · 사형제도 · 총기규제 논란 · 마피아 · 갱스터
선거대선(역대 대선) · 선거인단 · 중간선거
경제경제 (월 스트리트 · 뉴욕증권거래소 · 나스닥 · 대륙간거래소 · CME 그룹 · 실리콘밸리 · 러스트 벨트) · 주가 지수 · 미국의 10대 은행 · 대기업 · 미국제 · 달러(연방준비제도) · 취업 · 근로기준법 · USMCA · 블랙 프라이데이
국방미합중국 국방부 (펜타곤) · 육군부 · 해군부 · 공군부 · MP · MAA · SF · CID · NCIS · AFOSI · CGIS · 미 육군 교정사령부 · 미군 · 편제 · 계급 · 역사 · 훈장 · 명예 훈장 · 퍼플 하트
문제점 · 감축 · 군가 · 인사명령 · 교육훈련 · 징병제(폐지) · 민주주의/밈 · 미군 vs 소련군 · 미군 vs 러시아군 · NATO vs 러시아군
장비 (제2차 세계 대전) · 군복 · 군장 · 물량 · 전투식량 · MRE · CCAR · 새뮤얼 콜트 · 리처드 조던 개틀링 · 존 브라우닝 · 유진 스토너 (AR-15 · AR-18 · AR-10 · M16 VS AK-47 · M4A1 vs HK416) · M72 LAW · 리볼버 . SAA · 레밍턴 롤링블럭 · 헨리 소총 · 윈체스터 M1866 · 콜트 · M4 셔먼 · M26 퍼싱 · M1 에이브람스 · M2 브래들리 · M270 MLRS · M142 HIMARS · F-86 · 스텔스기 · F-22 · B-29 · B-36 · B-52 · AH-1 · AH-64 · 핵실험/미국 (맨해튼 계획 · 트리니티 실험 · 히로시마 나가사키 원폭 투하 · 팻 맨 · 리틀 보이 · 비키니 섬 핵실험 · 네바다 핵실험장) · 핵가방
육군 · 해군 · 공군 · 해병대 · 해안경비대 · 우주군 · 주방위군 · 합동참모본부 · 통합전투사령부 · USSOCOM · 해외 주둔 미군 (주한미군 · 주일미군 · 한미상호방위조약 · 한미행정협정 · 미일안전보장조약 · 미국-필리핀 상호방위조약 · 람슈타인 공군기지) · AREA 51 · NATO · NORAD (산타 추적)
외교외교 전반 · 여권 · 영미권 · 상임이사국 · G7 · G20 · Quad · IPEF · G2 · AUKUS · TIAR · 미소관계 · 미러관계 · 미영관계 · 미불관계 · 미독관계 · 미국-캐나다 관계 · 미국-호주 관계 · 미국-뉴질랜드 관계 · 미일관계 · 한미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파이브 아이즈 · 미중러관계 · 대미관계 · 미국 제국주의 · 친미 · 미빠 · 반미 · 냉전 · 미국-중국 패권 경쟁 · 신냉전 · ESTA · 괌-북마리아나 제도 연방 비자 면제 프로그램 · 사전입국심사
교통아메리칸 항공 · 유나이티드 항공 · 델타항공 · 사우스웨스트 항공 · Trusted Traveler Programs(TSA PreCheck · 글로벌 엔트리 · NEXUS · SENTRI · FAST) · 교통 · 운전 · 신호등 · 주간고속도로 · 철도 (암트랙 · 아셀라 · 브라이트라인 · 텍사스 센트럴 철도 · 유니온 퍼시픽 · 캔자스 시티 서던 · BNSF · CSX · 노퍽 서던 · 그랜드 트렁크 · 마일 트레인 · 커뮤터 레일) · 그레이하운드 · 스쿨버스 · 차량 번호판 · 금문교 · 베이 브릿지 · 브루클린 대교 · 맨해튼교 · 윌리엄스버그 다리
문화문화 전반 · 스미스소니언 재단 (스미스소니언 항공우주박물관) ·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 MoMA · 아메리카 원주민 · 개신교(청교도 · 침례교) · 가톨릭 · 유대교 · 스포츠 (4대 프로 스포츠 리그 · 프로 스포츠 리그 결승전 ·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 NASCAR · 인디카 시리즈 · 미국 그랑프리 · 마이애미 그랑프리 · 라스베이거스 그랑프리 · 조깅) · 관광(하와이 · 사이판 · ) · 세계유산 · 자유의 여신상 · 러시모어 산 · 워싱턴 기념비 · 링컨 기념관 · 타임스 스퀘어 · 월트 디즈니 컴퍼니 · 디즈니 파크 · 미키 마우스 · 스타워즈 시리즈 · 마블 시리즈 · · 브로드웨이 · 영화 (할리우드) · 미국 영웅주의 · 드라마 · 방송 · 만화 (슈퍼히어로물) · 애니메이션 · EGOT · 골든글로브 시상식 · 요리 · 서부극 (카우보이 · 로데오) · 코카콜라 (월드 오브 코카콜라) · 맥도날드 · iPhone · 인터넷 · 히피 · 로우라이더 · 힙합 · 팝 음악(마이클 잭슨, 엘비스 프레슬리)
언어영어 · 미국식 영어 · 미국 흑인 영어 · 영어영문학과(영어교육과) · 라틴 문자
교육교육전반 · 대학입시 · TOEIC · TOEFL · SAT · ACT · GED · AP · GRE · 아이비 리그 · HYPSMC · ETS · 칼리지 보드 ·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 Common Application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 IXL
기타아메리칸 드림 · 생활정보 (사회보장번호 · 공휴일/미국 · 미국 단위계) · 급식 · 비자 · 미국인 · 시민권 · 영주권 · 미국 사회의 문제점 · 마천루 (뉴욕의 마천루) · 천조국 · 'MURICA · OK Boomer




1. 개요
2. 명단
3. 기타


1. 개요[편집]




역대 미국 대통령에 대해서 명단과 함께 소개하는 문서. 출신 주의 주지사를 지냈을 경우에는 출신 주에 * 표기를 붙인다.

한국과 달리 미국은 연임한 대통령의 경우 전체 임기를 한 대로 센다. 따라서 조지 워싱턴은 한국의 대수 문화대로 표기하면 제1·2대 대통령이나 그저 제1대 대통령으로 표기한다.

2. 명단[편집]


미합중국 대통령
파일:미국 대통령 문장.svg
사진[1]이름임기정당출신 주[2]비고
1파일:Portrait_of_George_Washington.jpg조지 워싱턴
George Washington
(1732 ~ 1799)
1789.04 ~ 1793.031무소속버지니아[3]
1793.03 ~ 1797.032
2파일:John_Adams.jpg존 애덤스
John Adams
(1735 ~ 1826)
1797.03 ~ 1801.033연방당매사추세츠[A][4]
3파일:Thomas_Jefferson_by_Rembrandt_Peale,_1800.jpg토머스 제퍼슨
Thomas Jefferson
(1743 ~ 1826)
1801.03 ~ 1805.034민주공화당버지니아*[A][B][5]
1805.03 ~ 1809.035
4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ames_Madison.jpg제임스 매디슨
James Madison
(1751 ~ 1836)
1809.03 ~ 1813.036민주공화당버지니아
1813.03 ~ 1817.037
5파일:Samuel_F._B._Morse_-_James_Monroe_-_Google_Art_Project.jpg제임스 먼로
James Monroe
(1758 ~ 1831)
1817.03 ~ 1821.038민주공화당버지니아*
1821.03 ~ 1825.039
6파일:lossy-page1-1712px-JQA_Photo.tif.jpg존 퀸시 애덤스
John Quincy Adams
(1767 ~ 1848)
1825.03 ~ 1829.0310민주공화당매사추세츠[B][6][7]
7파일:앤드류 잭슨.jpg앤드루 잭슨
Andrew Jackson
(1767 ~ 1845)
1829.03 ~ 1833.0311민주당테네시
사우스캐롤라이나[8]
1833.03 ~ 1837.0312
8파일:1280px-Martin_Van_Buren.jpg마틴 밴 뷰런
Martin Van Buren
(1782 ~ 1862)
1837.03 ~ 1841.0313민주당뉴욕*[9][A]
9파일:William_Henry_Harrison_daguerreotype_edit.jpg윌리엄 H. 해리슨
William Henry Harrison
(1773 ~ 1841)
1841.03 ~ 1841.0414휘그당오하이오[10]
버지니아
[C][11]
10파일:존 타일러.png존 타일러
John Tyler Jr.
(1790 ~ 1862)
1841.04 ~ 1845.03휘그당버지니아*[D][12]
무소속
11파일:JKP.jpg제임스 K. 포크
James Knox Polk
(1795 ~ 1849)
1845.03 ~ 1849.0315민주당테네시*
노스캐롤라이나
12파일:Zachary Taylor.jpg재커리 테일러
Zachary Taylor
(1784 ~ 1850)
1849.03 ~ 1850.0716휘그당루이지애나[13]
버지니아
[C][14]
13파일:Fillmore.jpg밀러드 필모어
Millard Fillmore
(1800 ~ 1874)
1850.07 ~ 1853.03휘그당뉴욕[15][D]
14파일:Franklin-Pierce.jpg프랭클린 피어스
Franklin Pierce
(1804 ~ 1869)
1853.03 ~ 1857.0317민주당뉴햄프셔
15파일:James_Buchanan.jpg제임스 뷰캐넌
James Buchanan
(1791 ~ 1868)
1857.03 ~ 1861.0318민주당펜실베이니아
16파일:Abraham_Lincoln.jpg에이브러햄 링컨
Abraham Lincoln
(1809 ~ 1865)
1861.03 ~ 1865.0319공화당일리노이
켄터키
[E][16]
1865.03 ~ 1865.0420국민연합당[17]
17파일:앤드루 존슨 컬러복원.jpg앤드루 존슨
Andrew Johnson
(1808 ~ 1875)
1865.04 ~ 1869.03국민연합당테네시*
노스캐롤라이나
[D][F]
민주당
18파일:UlyssesGrant.jpg율리시스 S. 그랜트
Ulysses Simpson Grant
(1822 ~ 1885)
1869.03 ~ 1873.0321공화당일리노이[18]
오하이오
[19]
1873.03 ~ 1877.0322
19파일:President_Rutherford_Hayes_1870_-_1880_Restored.jpg러더퍼드 B. 헤이스
Rutherford Birchard Hayes
(1822 ~ 1893)
1877.03 ~ 1881.0323공화당오하이오*[G]
20파일:James_Abram_Garfield,_photo_portrait_seated.jpg제임스 A. 가필드
James Abram Garfield
(1831 ~ 1881)
1881.03 ~ 1881.0924공화당오하이오[E]
21파일:Chester_Alan_Arthur.jpg체스터 A. 아서
Chester Alan Arthur
(1829 ~ 1886)
1881.09 ~ 1885.03공화당뉴욕
버몬트
[D]
22파일:Grover_Cleveland.jpg그로버 클리블랜드
Stephen Grover Cleveland
(1837 ~ 1908)
1885.03 ~ 1889.0325민주당뉴욕*
뉴저지
23파일:Benjamin_Harrison_1896.jpg벤저민 해리슨
Benjamin Harrison VI
(1833 ~ 1901)
1889.03 ~ 1893.0326공화당인디애나[20]
오하이오
[G][21]
24파일:Grover_Cleveland.jpg그로버 클리블랜드
Stephen Grover Cleveland
(1837 ~ 1908)
1893.03 ~ 1897.0327민주당뉴욕*
뉴저지
[22]
25파일:Mckinley.jpg윌리엄 매킨리
William McKinley
(1843 ~ 1901)
1897.03 ~ 1901.0328공화당오하이오*[E]
1901.03 ~ 1901.0929
26파일:Theodore_Roosevelt.jpg시어도어 루스벨트
Theodore Roosevelt
(1858 ~ 1919)
1901.09 ~ 1905.03공화당뉴욕*[D][23]
1905.03 ~ 1909.0330
27파일:27_William_Howard_Taft_-_Harris_and_Ewing.jpg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William Howard Taft
(1857 ~ 1930)
1909.03 ~ 1913.0331공화당오하이오[24]
28파일:President_Wilson_1919-bw.tif.png우드로 윌슨
Thomas Woodrow Wilson
(1856 ~ 1924)
1913.03 ~ 1917.0332민주당뉴저지*
버지니아
[25]
1917.03 ~ 1921.0333
29파일:Warren_G_Harding-Harris_&_Ewing.jpg워런 G. 하딩
Warren Gamaliel Harding
(1865 ~ 1923)
1921.03 ~ 1923.0834공화당오하이오[C]
30파일:calvin-coolidge.jpg캘빈 쿨리지
John Calvin Coolidge Jr.
(1872 ~ 1933)
1923.08 ~ 1925.03공화당매사추세츠*
버몬트
[D]
1925.03 ~ 1929.0335
31파일:허버트-후버.jpg허버트 후버
Herbert Clark Hoover
(1874 ~ 1964)
1929.03 ~ 1933.0336공화당캘리포니아
아이오와
32파일:FDR_1944_Color_Portrait.jpg프랭클린 루스벨트
Franklin Delano Roosevelt
(1882 ~ 1945)
1933.03 ~ 1937.0137민주당뉴욕*[C][26]
1937.01 ~ 1941.0138
1941.01 ~ 1945.0139
1945.01 ~ 1945.0440
33파일:truman pic.jpg해리 S. 트루먼
Harry S. Truman
(1884 ~ 1972)
1945.04 ~ 1949.01민주당미주리[D]
1949.01 ~ 1953.0141
34파일:드와이트 아이젠하워.jpg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Dwight David "Ike" Eisenhower
(1890 ~ 1969)
1953.01 ~ 1957.0142공화당뉴욕[27]
펜실베이니아[28]
텍사스
1957.01 ~ 1961.0143
35파일:John_F._Kennedy_color_photo_portrait.jpg존 F. 케네디
John Fitzgerald Kennedy
(1917 ~ 1963)
1961.01 ~ 1963.1144민주당매사추세츠[E][29][30]
36파일:Lyndon_B._Johnson.jpg린든 B. 존슨
Lyndon Baines Johnson
(1908 ~ 1973)
1963.11 ~ 1965.01민주당텍사스[D][31]
1965.01 ~ 1969.0145
37파일:Richard_M._Nixon,_ca._1935_-_1982_-_530679.jpg리처드 닉슨
Richard Milhous Nixon
(1913 ~ 1994)
1969.01 ~ 1973.0146공화당캘리포니아[32][H][I]
1973.01 ~ 1974.0847
38파일:1200px-Gerald_Ford_crop.jpg제럴드 포드
Gerald Rudolph Ford
(1913 ~ 2006)
1974.08 ~ 1977.01공화당미시간
네브래스카
[D]
39파일:JimmyCarterPortrait2.jpg지미 카터
James Earl "Jimmy" Carter Jr.
(1924 ~ )
1977.01 ~ 1981.0148민주당조지아*[33]
40파일:Official_Portrait_of_President_Reagan_1981.jpg로널드 레이건
Ronald Wilson Reagan
(1911 ~ 2004)
1981.01 ~ 1985.0149공화당캘리포니아*
일리노이
1985.01 ~ 1989.0150
41파일:George_H._W._Bush_1989_official_portrait.jpg조지 H. W. 부시
George Herbert Walker Bush
(1924 ~ 2018)
1989.01 ~ 1993.0151공화당텍사스
매사추세츠
[A]
42파일:Bill_Clinton.jpg빌 클린턴
William Jefferson "Bill" Clinton
(1946 ~ )
1993.01 ~ 1997.0152민주당아칸소*[F]
1997.01 ~ 2001.0153
43파일:George-W-Bush.png조지 W. 부시
George Walker Bush
(1946 ~ )
2001.01 ~ 2005.0154공화당텍사스*
코네티컷
[G][34]
2005.01 ~ 2009.0155
44파일:버락 오바마.png버락 오바마
Barack Hussein Obama II
(1961 ~ )
2009.01 ~ 2013.0156민주당일리노이
하와이
[35]
2013.01 ~ 2017.0157
45파일:President-Trump-Official-Portrait.jpg도널드 트럼프
Donald John Trump II
(1946 ~ )
2017.01 ~ 2021.0158공화당뉴욕[36]
플로리다[37]
뉴욕
[F][G][38]
46파일:President Joe Biden.jpg조 바이든
Joseph Robinette Biden Jr.
(1942 ~ )
2021.01 ~ 현직59민주당델라웨어
펜실베이니아
[H]


3. 기타[편집]


  • 이름으로 따지면 제임스가 6명[39], 윌리엄이 4명[40], 이 5명[41], 조지가 3명[42], 앤드루[43] 토머스[44], 프랭클린[45] 각각 2명 등이다.

  • 성씨가 겹치는 대통령은 존 애덤스와 존 퀸시 애덤스, 윌리엄 헨리 해리슨과 벤저민 해리슨, 시어도어 루스벨트와 프랭클린 D. 루스벨트, 앤드루 존슨과 린든 B. 존슨, 조지 H. W. 부시와 조지 W. 부시가 있다. 이 중 가족이나 친척이 아닌 사례는 앤드루 존슨과 린든 B. 존슨 뿐이다. 존슨이라는 성씨 자체가 영미권에서 흔하기도 하고.[46]

  • 최초의 유색인종 대통령은 2008년 버락 오바마가 최초로 당선되었으며, 여성 대통령은 아직까지 전무하다.[47]

  • 당선자 또는 재임 중 한국을 방문한 미국 대통령은 현재까지 총 10명이다(19차례).[51]
    • 최초는 6.25 전쟁 중인 1952년 당선자 신분으로 방한했던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이며, 1960년에 4.19 혁명 직후인 6월 현직 신분으로 방한하였다.[48] 이어서, 린든 B. 존슨(1966년), 제럴드 포드(1974년), 지미 카터(1979년), 로널드 레이건(1983년)과 조지 H.W. 부시(1989년)이다.
    • 북한 핵문제가 대두된 '90년대 이후에는, 빌 클린턴이 세 차례(1993년, 1996년, 1998년), 조지 W. 부시 역시 세번 방한했다(2002년, 2005년, 2008년). 버락 오바마는 최다 방한 미대통령이다(4차례: 2009년, 2010년, 2012년, 2014년). 도널드 트럼프는 두 차례(2017년, 2019년), 가장 최근에 방한한 대통령은 조 바이든(2022년)이다.
    • 대한민국 정부 수립된 1948년 이후 초임된 대통령으로는 존 F. 케네디[49]와 리처드 닉슨[50] 외에 모두 방한한 셈이며, 이들을 재임 중 접견치 못한 한국의 대통령(권한대행 제외)은 윤보선최규하이다.


  • 가족이 대통령인 경우는 2대 존 애덤스와 6대 존 퀸시 애덤스, 41대 조지 H. W. 부시와 44대 조지 W. 부시가 부자관계, 9대 윌리엄 H. 해리슨과 23대 벤저민 해리슨은 각각 할아버지와 손자 관계고 26대 시어도어 루스벨트와 32대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12촌 형제 관계다.[5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20:02:34에 나무위키 미국 대통령/명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없으면 초상화로 대체. 사진은 1840년대부터 유행했다. 1840년에 사망한 윌리엄 헨리 해리슨은 초상화를 그리고 사진을 찍은 것이다.[2] 큰 글자는 정치적 본거지(홈스테이트), 작은 글자는 출생지. 둘 다 동일하면 하나만 넣는다.[3] 세계 최초의 대통령, 선거인단 만장일치로 당선된 대통령[A] A B C D 현직 부통령 신분으로 당선[4] 세계 최초의 부통령[B] A B 하원 결선투표로 당선[5] 초대 국무장관.[6] 전체 득표수와 선거인단 투표 모두 패배.[7] "건국의 아버지들" 이후 최초 세대의 대통령이며 제2대 대통령 존 애덤스의 아들이다.[8] 그의 출신지에 대해 약간의 논쟁이 있는데 그건 노스캐롤라이나와 사우스캐롤라이나의 경계인 왁스하우스란 마을에서 태어났기 때문. 본인은 사우스 캐롤라이나 출신이라고 주장했다. 여담으로 플로리다의 Military governor, 즉 군정 총독 혹은 군정 주지사였다.[9] 그러나 상원에 가기 위해 2개월 만에 주지사직을 사임.[10] 루이지애나 특구(district)지사(1804~1805)과 인디애나 지구(territory)지사(1801~1802)를 지냈다. 이 영역은 사실상 미시시피강 동부, 즉 미국 중부 전역을 뜻한다. #[C] A B C D 병사[11] 최단기 재임[D] A B C D E F G H I 승계[12] 최초의 승계 대통령.[13] 당선 당시 거주지. 정치 경력 없음.[14] 테쿰세의 저주 대상이 아님에도 임기 중 사망한 유일한 대통령.[15] 1844년 뉴욕 주지사에 출마했으나 낙선.[E] A B C D 암살[16] 최장신 대통령, 최초로 암살된 대통령[17] 공화당과 민주당의 전쟁지지세력이 합친 임시정당[F] A B C 재임 중 탄핵소추[18] 당선 당시 거주지. 정치 경력 없음.[19] 하이럼 율리시스 그랜트에서 개명.[G] A B C D 전체 득표수에서 패배했으나 선거인단 투표 승리로 당선.[20] 주지사에 두차례 출마했으나 모두 낙선.[21] 윌리엄 해리슨의 손자.[22] 한 번 건너 연임[23] 최연소 대통령. 최초 승계 후 연임. 1번째 노벨 평화상 수상.[24] 가쓰라-태프트 밀약, 가장 뚱뚱한 대통령.[25] 노벨 평화상 수상[26] 유일무이한 4선으로 역대 최장기 재임.[27] 당선 당시 거주지. 정치 경력 없음.[28] 재임 중 거주지 변경.[29] 최연소 당선. 20세기 탄생 첫번째 대통령[30] 최초의 가톨릭 신자 대통령.[31] 헌법상 승계 당시의 임기가 2년 미만이었으므로 68년 선거에도 나갈 수 있었지만 나가지 않았다.[32] 1962년 캘리포니아 주지사에 출마했지만 패했다.[H] A B 전직 부통령 신분으로 당선[I] 하야[33] 3번째 노벨 평화상 수상자, 역대 대통령 중 최장수.[34] 조지 H. W. 부시의 아들.[35] 최초의 유색인종 출신 대통령. 4번째 노벨 평화상 수상자[36] 당선 당시 거주지. 정치 경력 없음.[37] 재임 중 거주지 변경[38] 재임 중 홈스테이트 변경[39] 제임스 매디슨, 제임스 먼로, 제임스 포크, 제임스 뷰캐넌, 제임스 가필드, 지미 카터. 제임스 얼 "지미" 카터까지 포함(현재는 카터가 마지막 제임스 대통령. 참고로 매디슨과 카터 둘 다 풀네임으론 아버지의 이름을 이어받은 주니어). 심지어 제임스 매디슨의 뒤를 제임스 먼로가 이으면서 16년간 제임스만 나온 경우도 있다.[40] 윌리엄 헨리 해리슨, 윌리엄 매킨리,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빌 클린턴. 윌리엄 제퍼슨 "빌" 클린턴 포함(현재는 빌 클린턴이 마지막 윌리엄 대통령). 그래서 시어도어 루스벨트는 전후임 대통령이 모두 윌리엄이다. 그나마 나머지는 미들네임이나 애칭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매킨리는 미들네임이 없다.[41] 존 애덤스, 존 퀸시 애덤스, 존 타일러, 캘빈 쿨리지, 존 F. 케네디. 캘빈 쿨리지의 진짜 퍼스트 네임은 존이다. 존 캘빈 쿨리지 주니어.[42] 조지 워싱턴, 조지 H. W. 부시, 조지 W. 부시. 놓지마 정신줄에서 이걸 가지고 퀴즈를 만든 적이 있다.# 미국의 첫번째 대통령이 누구인가 하는 문제인데 조지 워싱턴과 조지 클루니(...)가 나왔다. 그런데 조지 클루니가 2016년 힐러리 클린턴의 패배 후 민주당의 대선주자로 고려된 적이 있었다.[43] 앤드루 잭슨, 앤드루 존슨.[44] 토머스 제퍼슨, 우드로 윌슨. 제퍼슨 외에도, 우드로 윌슨의 진짜 퍼스트 네임이 토머스다.[45] 프랭클린 피어스, 프랭클린 D. 루스벨트.[46] 사실 이 두 사람은 인종 문제에 있어서 완전히 상극인데, 모두 민주당 소속이다만 앤드루 존슨은 남부의 KKK단의 흑인 폭행사태를 방관한 반면 린든 B. 존슨은 민권법을 승인하여 민주당과 공화당의 남북 지지기반을 바꾸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자세한 것은 링컨과 케네디의 공통점 항목으로.[47] 최초의 여성 대통령 본선 후보는 2016년 민주당 후보로 나온 힐러리 클린턴이다.[48] 당시 허정 대통령 권한대행이 맞이했다.[49] 훗날, 그의 아들인 존 F. 케네디 주니어가 1999년 내한한 바 있었는데, 수개월 후 비행기 추락 사고로 세상을 떴다. 참고로, 존 F. 케네디는 1961년 대통령이 되기 전 방미했던 박정희 의장과 워싱턴에서 회동한 바 있다. 박정희 군사정부를 사실상 인정한 격이나, 박정희의 차관 요청은 거절하였다.[50] 1969년 8월 박정희가 미국을 방문 시 양국 정상이 연내 닉슨의 방한 계획을 발표했지만, 훗날 닉슨이 워터게이트 사건으로 하야를 하기 전까지 온 적은 없다. 다만, 부통령 시절 1953년과 야인이었던 1966년 한국을 방문했었다.[51] 퇴임 후 방한한 대통령은 리처드 닉슨, 지미 카터, 아버지 부시, 빌 클린턴, 아들 부시, 버락 오바마가 있다.[52] 하지만 공화당이었던 시어도어 루스벨트와는 다르게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진보적인 색깔을 가지고 있었고 28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우드로 윌슨을 지지한다. 상술했듯이 프랭클린 D. 루스벨트는 민주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