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타자르 겔트

덤프버전 : (♥ 0)

미니어처 게임 워해머 판타지의 주요 인물 일람
[ 펼치기 · 접기 ]
선 세력제국&
마린부르크
지그마 헬든해머카를 프란츠팔텐발타자르 겔트
폴크마보리스 토드브링어마르쿠스 불프하르트펠릭스 예거
루트비히 슈바르츠헬름엘스페트 폰 드라켄마리우스 라이트도르프루터 후스
쿠르트 헬보르크경건한 마그누스벤델 폴커그레고르 마탁
에마누엘레 폰 리프비츠테오도레 브루크너에밀 팔가이르알베리히 폰 코르덴
팔미르 폰 라우코프알데브란트 루덴호프펠릭스 만에드바르트 반 데어 크랄
요한 반 할유발 폴크테오데릭 가우저볼프람 헤르트비히
알베리히 하웁트-안데르센헬무트 포이어바흐티루스 고르만한스 라이트도르프
마티아스 툴만만드레트 스케이븐슬레이어라인 볼크하르트악셀 바이스베르크
포른 튜겐하임루이트폴트더러운 해럴드막시밀리안 슈라이버
디터 4세데스클로--
키슬레프카타린보리스 보카토르디미르 루보바신스테판 라신
무로바의 일자울리카 매그도바 스트라코프미스카바바 야가 -> 오스탄키야
이고르 뇌제유리 코발렌코살탄소보스
나이베나바바 쿠블레야바다 마녀바바 오술레그
바예나 우르솔라프누카카자하일라 예브스첸코다리나 보리나도 보카바바 포고드야
루드비히 라헤주커비앙카 오스토비치오굴라이피의 카타린
나디아 우네스카 보레스코바코사미르막심 자카로프헤드온 디야카노프
알렉시 마카레프카스파르 폰 펠텐코스탈틴이반 라디노프
우르스킨파벨--
드워프토그림 그루지베어러벨레가르 아이언해머웅그림 아이언피스트그롬브린달
쏘렉 아이언브로우고트렉 거니슨그림 벌록슨고트리 해머슨
진중한 크라그조세프 버그만말라카이 마카이슨카자도르 썬더혼
레드 브로크알릭 라눌프손미친 알라릭비르노스 그룬다드라크
탄그림 파이어비어드스케기 스렉슨바즈라크 볼간두르자크 드래곤백
우드 엘프&
트리맨
오리온두르투황혼의 자매드라이차
아리엘아랄로스스칼록나이에스
다이스그루아스코에딜알리사라
살란도르로슬란위치웨딜스케올란
스카우아델윈엘스린그웨르쿠스
욜라스아마드리 아이언바크--
브레토니아루앙 레옹쿠르알베릭신록의 기사태산의 앙리
페이 인챈트리스리용세의 르팡스루이트리스트랑 & 줄스
보에몽베르트랑말로보드메로베크
제로드칼라르테오도릭아달라르
카시용아말릭아르망위에발
토베르실프루아탕크레드 2세안셀름
하겐폴카르아그라방기욤
알루아엘레아노르--
하이 엘프티리온테클리스알라리엘알리스 아나르
엘사리온임릭아에나리온카라드리안
코힐아이슬린핀누바르칼레도르 드래곤테이머
벨라나에르이렐리안엘디라알리아스라
임랄리온켈란다르알라타르칼라이단
길리아드 로세인벨 샤나르--
리자드맨마즈다문디크록-가르테헨하우인틱타크토
나카이고르-로크옥시오틀크로악
테토에코차칵스후이니테누츨리아도히-테가
즐라트가르텐-즐라티로틀-보틀퀴고르
티치 후이치잉시-후인지슬롯크테누츨리
캐세이천룡황제원숭이 왕묘영조명
인-투안시안 하 펭월황후포 사부
원보시야마이도윤은
악 세력워리어 오브 카오스 &
노스카
아카온모르카르아사바르 쿨칸토
바르덱 크롬해럴드 해머스톰엔그라 데스소드코르델 쇼가르
저주받은 모르드렉콜렉 선이터불패의 아르바알실라 안핑그림
하르그로스스카 블러드래스피의 아브락스바슬로 크룰트
페스투스글롯킨거트롯 스퓸타무르칸
케이즈크불신자 사일페이토르발니르
오르곳 데몬스퓨블롭 롯스폰드모르비덱스 트와이스본페스탁 크란
에오그릭빌리치갈라우크에그림 반 호르스트만
에콜드 헬브라스변화자 멜레크지그발트데칼라
스티르카르반드레드울프릭쓰로그
에길 스티르비욘흑철약탈자 몰트킨에릭 레드액스크라칸로크
로타르 부보니쿠스아그라몬아엘프릭피 묻은 손 스벤
아렉 데몬클로 ---
데몬 오브 카오스벨라코르카이로스 페이트위버스카브란드사르소라엘
쿠가스아자젤느카리피의 발키아
체인질링스컬테이커마스크카라나크
카반다에피데미우스자르칸블루 스크라이브
아몬 차카이아민흐리스--
뱀파이어 카운트 &
좀비 파이러츠 &
고분 군단
나가쉬흑암의 아칸블라드 폰 카르슈타인만프레트 폰 카르슈타인
네페라타크렐콘라트 폰 카르슈타인왈라크 하콘
루터 하콘콘스탄트 드라켄펠스이자벨라 폰 카르슈타인녹틸러스
하인리히 케믈러붉은 공작헬만 고스트압호라쉬
우쇼란우소란반게이스트문드바드
니토크리스디터 헬슈니흐트세텝보라그
불멸의 자카리아스고대의 멜키오르드레클라주느비에브 디외도네
프레드릭 반 할가브리엘라 폰 나흐타픈카돈-
오크&고블린 &
새비지 오크
그림고르 아이언하이드스카스닉아자그우르자그
그롬골바드모르글룸고르팡 롯것
스나글라보르것그락 비스트바샤그록카 고어액스
루글루드오글록깃 거즐러깃틸라
빅 레드 언라크닉보르가즈 아이언조리틀 고크
그랍냇츠그롯츠내그스카벤드크레이지 스파이더
두르콜토그렉도르크네 눈의 티닛
그롯팽오드깃스나가우즈구즈
나즈고브바드룩블랙투프니블릿
다크 엘프말레키스모라시헬레브론로키르 펠하트
말루스 다크블레이드비스트로드 라카스코우란 다크핸드쉐도우블레이드
툴라리스 드레드브링어바쉬나르유리안 포이즌블레이드말리다
나가이라호텍칼도르모르사로르
칼다스---
비스트맨카즈라크말라고어몰구르타우록스
골소어문클로고로스 워후프4개의 뿔 운그롤
하빈저슬러그통그락타르라구쉬
오그라스우르슬라크와 가르고라쓰--
카오스 드워프 &
홉고블린
잿빛의 드라조아스검은 자탄고르두즈아스트라고스 아이언핸드
토드렉 핵카르트홉고블라 칸호스가르듀란
블랙 드워프바제라크리카스잔혹한 고르스
스케이븐퀵 헤드테이커스크롤크트레치 크레이븐테일이킷 클로
스닉치불결한 쓰롯고리치탄퀄
스크리치 버민킹스카 블러드테일스크윌 노투스페스키트
스크렛치너글리치모르부스 생귀스클라우문카스트
베스키트스캐비쿠스노드웰크렛치 둠클로
중립 세력툼 킹세트라칼리다카텝아포파스
네카프람호텝알카디자르
투탄카누트아만호텝네헥세헤네스메트
루페시라미자쉬--
독스 오브 워
(남부 왕국)
야에고 로스아라네사 솔츠파이트보르조브루너
인색한 미다스로렌초 루포루크레치아 벨라도나페르나도 피라초
모르간 베른하르트흑색의 라이트폴트레오나르도 디 미랄리아노마르코 콜롬보
이사벨라 지오반나 루첼리후안 페데리코--
오거 킹덤그리수스 골드투스골그팍스크라그브라그
가르크 아이언스킨그로스 원핑거브라우그크로그
말론 아이바이터블라우트 피스트마스터바울디그 마운틴이터-
아라비자파르황금 마법사알 묵타르파탄디라
사라센의 술리만이븐 젤라바--
아마존펜테실레이아아나콘다--


8대 로어의 화신들
천상의 로어 - 아지르 (Azyr) 죽음의 로어 - 샤이쉬 (Shyish) 짐승의 로어 - 구르 (Ghur) 화염의 로어 - 아쿠쉬 (Aqushy) 금속의 로어 - 차몬 (Chamon) 그림자의 로어 - 울구 (Ulgu) 빛의 로어 - 히쉬 (Hysh) 생명의 로어 - 기란 (Ghyran)
지그마 헬든해머나가쉬그림고르 아이언하이드웅그림 아이언피스트

카라드리안
토그림 그루지베어러

발타자르 겔트
말레키스티리온알라리엘



Balthasar Gelt, Supreme Patriarch
대종정(大宗正) 발타자르 겔트

파일:Balthasar_Gelts.png

I am the Supreme Patriarch.

나는 대종정이다.

토탈 워: 워해머에서의 대사#


1. 개요
2. 설정
4. 에이지 오브 지그마
5. 미니어처 게임에서의 모습
7. 출처
8.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파일:33a196c550ba47a4c392e0b894c948fa.jpg

제국 알트도르프 마법 대학의 대종정이자 금속 마법을 다루는 황금 학파의 종정이며 금속의 신. Gold의 중세 독일어인 Gelt를 성으로 쓰는 데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금에 매우 집착한다.


2. 설정[편집]


파일:BalthasarGelt.gif

제국 수도 알트도르프에 홀연히 나타난 마법사로 마린부르크에 도착한 후 뱃값을 치루기 위해서 납덩이를 금으로 바꾸어 지불하고 재빨리 제국으로 튀어버렸다.[1] 마법 능력이 출중하여 제국에서 손꼽히게 뛰어난 마법사이다.

겔트는 알트도르프에 도착한 이후 시험이나 도제 실습 기간을 거치지 않고 빠르게 황금 학파에 가입하여 석사(magister) 지위를 땄으며, 그는 어린 시절부터 관심이 많았던 현자의 돌에 관한 연구를 한다. 그의 마법의 바람을 다루는 재능은 천부적이었고 오래지 않아 그의 연금술과 마법을 결합한 연구가 굉장한 히트를 치며 그는 초고속 승진을 하게된다. 그는 특히 드워프들이 제국에 전래해준 화약에 관심이 많아 금속 물질 변환 마법을 화약에 적용시켜 화약을 개량하고 제국 병기를 개선하는 연구를 많이 진행했다. 이 덕분에 보통 마법대학의 마법사들을 미심쩍은 미신쟁이들로 보는 제국 기술 대학에서조차 그의 이름은 존경의 대상이 되었다.

연구를 계속하던 중 그에게 뜻밖의 불행이 닥친다. 그가 한창 연구 삼매경에 빠져있던 중 갑자기 연구실에서 폭발이 일어나 그를 삼켜버린 것이었다. 겔트는 살아남았지만, 그 뒤로 겔트는 항상 황금빛 가면과 온 몸을 감싸는 로브에 긴 부츠와 장갑으로 전신을 가리고 다니게 되었다. 사람들은 그의 피부가 전부 황금으로 변했다느니, 그의 온 몸이 끔찍하게 불타버렸다느니 하는 식으로 숙덕대었다. 그러나 그는 개의치 않았고, 오히려 이 일을 계기로 연구에 대한 그의 열의는 더 거세게 불타올랐다.

오래지 않아 그는 황금 학파의 수장인 종정의 자리에 최연소로 올랐고, 다음 학파 간 정기 회의에서 당시 대종정[2]이던 화염 학파의 티루스 고르만에게 도전장을 내밀었다. 대종정 자리는 마법 대결로 결정되기 때문에 전투 마법에 특화된 화염 학파가 오랫동안 그 자리를 이어왔으나, 겔트는 고르만을 손쉽게 격파하고 새로이 대종정이 되었다.[3]

발타자르 겔트의 일화를 보면 노르들란드의 선제후 테오데릭 가우저가 내전을 일으키려 하는 것을 막기 위해 카를 프란츠가 노르들란트로 겔트를 보냈다. 겔트는 가우저가 고용한 용병들에게 지급할 금을 모두 납으로 변환해 쓸모없게 만들어버리고 페가수스를 타고 튀었다. 참고로 연금술에서는 다른 금속을 황금으로 영구히 바꾸는 것은 힘들고 현자의 돌이 필요하지만, 가장 고귀한 금속인 금을 다른 금속으로 바꾸는 것은 쉽다는 식의 얘기가 많다.


3. 엔드 타임[편집]


파일:1630026613.jpg

엔드 타임에서 겔트는 제국의 마법사들과 지그마 교단의 사제들을 이끌고 제국의 북쪽 국경 전부와 일부 함락되지 않고 남은 키슬레프 도시까지 포괄하는 마법 장성인 황금의 요새(Auric Bastion)을 세운다.[4] 말이 요새이자 성벽이지 살아 움직이는 산맥에 가까운 이 거대한 구조물은, 마법의 힘으로 날카롭고 매끄럽게 일으켜세워져 그 어떤 발톱이나 손도 박히지 않을 만큼 단단했으며 그 어떤 용사도 넘을 수 없을 만큼 높았다. 그러나 이정도 규모의 장성을 마법으로 지탱하기 위해서는 어마어마한 마력이 필요했고, 일정한 간격으로 온갖 마법진과 성유물을 때려박았음에도 한시라도 마법사들과 사제들이 마력을 부어넣지 않으면 벽은 곳곳이 허물어졌다. 벽 너머에 진을 치고 있던 카오스의 무리들은 이럴 때마다 장벽의 구멍을 헤집고 들어와 무차별적인 공격을 가했고, 이를 막기 위해 무수한 제국군이 살을 에는 바람을 맞으며 북쪽 국경에 주둔해야 했다. 마법사들이 쉬기 위해 교대를 할 때 마다 이런 일이 벌어졌으니 제국군의 희생자 수는 무수했으며, 마법사들 역시 최대한 교대를 적게 하기 위해 과로하다 몇몇이 쓰러지기 시작했다. 당연하게도 황금의 요새를 유지하는 데 가장 강력한 기여를 한 것은 대종정인 발타자르 겔트였다. 황금의 요새는 간신히 지탱될 수 있었으나, 그의 동료들이 하나 둘씩 쓰러지는 동안 겔트 또한 점차 피로가 누적되어 갔다.

이런 그에게 엔드 타임에서 나가쉬에 의해 부활한 블라드 폰 카르슈타인이 접근한다. 블라드는 항목에도 나와있듯 후계자인 만프레트와 달리 뱀파이어 주제에 인간에게 그리 적대적이지 않은 온건파이다. 사실 블라드는 자기 자신을 한 명의 정당한 선제후로 여기고 있고, 황제위에 대한 욕망은 가지고 있되 만프레드와 달리 쓸데없이 인간과 분쟁하지 않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는 인물이었다. 알데르펜(Alderfen) 지방에서 황금 요새가 뚫리고 너글의 군세가 월경해 제국군이 궤멸되고 그들을 지휘하던 오스터마르크의 선제후 볼프람 헤르트비히(Wolfram Hertwig)가 전사하는 일이 터졌을 때, 쓰러진 병사들을 다시 일으켜 그 군세를 격퇴하고 그 지역의 방비를 다시 다진 것도 블라드였다[5]. 블라드는 과로로 쓰러졌던 대종정을 납치했으나 그를 성대히 환대해주며 호의의 표시로 아무 해를 끼치지 않고 풀어주었다. 그는 비록 제국과 실바니아는 한 때 싸웠으나 이제는 북쪽에서 내려오는 공동의 적을 상대하기 위해 연합해야 한다면서 황제에게 동맹의 의사를 전달해 달라는 조건으로 겔트를 풀어준다. 당연하지만 제국의 황제 후보로서 입지를 다지기 위한 그의 정치적인 노림수였으나 겔트를 몸소 구해준 것도 어쨌든 사실이었다. 작별인사와 함께 블라드는 겔트에게 자신이 소장하고 있던 마도서를 한 권 선물로 주었다. 물론 겔트는 이 책을 꺼림칙하게 여겨 열어보지 않으나, 그의 마법적 재능으로 그 책의 내용을 어렴풋이 깨닫는다.

황금 요새는 제국의 모든 마법사들과 사제들의 역량을 모조리 집어삼키면서도 안정화가 되지 않았고, 카오스의 군세와 과로로 인해 점차 마법사들의 희생도 누적되어 갔다. 겔트는 황금의 요새가 지나칠만큼 불안정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방벽 관리팀에 카오스의 첩자가 있는 것이 아닐까 하는 의심을 품게 되었다. 특히 카오스는 체인질링이라고 하는 원하는 사람의 외양을 취할 수 있는 악마가 있는데, 겔트는 체인질링이 누군가를 죽이고 그를 대신해 제국의 방벽 안에서 활동하며 방벽을 사보타주하는 것이 아닐까 하고 추측했다. 같은 추측을 아르 울릭이던 에밀 팔가이르도 공유했다.

대종정 겔트 역시 과로로 피로가 누적되자 심신이 점차 불안정해지기 시작했고 결국에는 블라드가 준 마도서에 손을 대고 만다. 겔트는 빠르게 마도서에 담긴 강령술을 익히기 시작했고 결국 남들 몰래 강령술의 힘을 사용해 죽은 자를 방벽 너머에 일으켜 카오스의 군대를 막고 벽을 강화하는 식으로 황금 요새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호흘란트의 선제후 알데브란트 루덴호프는 황금 요새의 방벽 너머에 죽은 자들이 돌아다닌다는 소문을 듣고 뭔가가 수상함을 알아차린다. 몸소 나선 그는 직접 방벽 위를 순찰하며 소문이 사실임을 확인한다. 루덴호프는 겔트를 대면해 이 사실을 추궁했고, 겔트는 그 사실을 인정했지만 황금 요새의 마법적 불안정성에 대한 설명과 자신도 오랫동안 고민했으나 강령술이라도 쓰지 않으면 필멸자들의 세계가 무너진다는 사실을 전달하며[6] 필사적으로 루덴호프에게 설득했으나 루덴호프는 완강하게 이를 비난했고 결국 그는 화를 내며 겔트를 뒤로 하고 알트도르프로 향한다. 겔트는 그를 쫓아갔고, 블라드의 부추김을 받은 그는 언데드를 데리고 루덴호프를 포위하고 최후의 수단으로 그를 제압하려 하나, 일련의 비극적 사고에 의해 루덴호프는 겔트의 언데드에게 주살당했다. 그의 죽음은 의문사로 처리된다.

이후 겔트는 아르 울릭 에밀 팔가이르로부터 지그마의 현신이라고 스스로 주장하는 팔텐이란 인간이 제국 내에 잠입한 그 체인질링이라는 첩보를 입수했다는 연락을 받는다. 겔트 본인도 뜬금없이 튀어나와서는 자신이 지그마의 현신이라고 주장하던 팔텐에 대해 수상하게 여기고 있었기 때문에, 겔트는 이를 사실로 전제하고 사태 파악에 나선다. 얼마 뒤 제국의 수도 알트도르프에서 팔텐이 황제 카를 프란츠로부터 지그마 헬든하머가 쓰던 망치이자 황제의 신물 갈 마라즈를 직접 수여받는 행사가 개최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던 겔트는 황제의 목숨이 위험하다고 결론을 내리고 급히 알트도르프로 향했다. 그러나 겔트가 도착했을 때는 이미 행사가 시작되어 팔텐이 황제와 접견하기 직전이었다. 겔트는 급히 팔텐이 체인질링이며 카오스의 하수인이라고 황제에게 진언하였으나, 그의 행색과 몰골이 말이 아닌데다가 반쯤 횡설수설했기 때문에 황제는 그가 과로로 헛소리를 한다고 판단하고 라익스가드들을 불러 겔트를 행사장에서 내보내도록 명령한다. 겔트는 시간을 벌기 위해 마법을 써서 자신에게 다가오던 라익스가드들을 뿌리치려 하였으나, 피로로 제정신이 아니었던 그는 실수로 강령술을 사용해 지하에서 시체를 일으켜버리고 말았다. 황제는 겔트 본인이 강령술사가 되어 제국의 적으로 전향했다고 판단하고 라익스가드들에게 겔트를 제압하라고 명령했다. 겔트는 스스로의 결백을 계속 주장했으나, 황제는 그 항변을 기각했다. 겔트는 시간을 벌기 위해 강령술을 사용했고, 팔텐이 본색을 드러내고 황제의 목숨을 위협하기 전에 사살하기 위해 강령술과 마법을 사용해 그를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후일 사실이 밝혀졌으며 아르 울릭 에밀 팔가이르가 이미 오래 전에 살해당하고 체인질링으로 바꿔치기 당했으며 겔트는 그에게 속았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그러나 어쨌든 겔트가 제국법으로 엄격하게 금지된 강령술을 사용한 것은 사실이므로 겔트는 범죄자로 수배당하게 된다. 이 사건은 세간에 "겔트의 우행(愚行)"이라 불리게 된다. 오래지 않아 세계 자체가 멸망해서 더 이상 그 사건을 불러줄 사람도 남지 않았지만.

결국 겔트는 도망자 신세가 되고, 혼자서 십수명의 마법사 몫을 하던 발타자르 겔트가 황금 요새의 유지에서 이탈한 데다가 지그마 교단 역시 강령술사가 세운 계획에 더 이상 협조할 수 없다고 황금의 요새의 관리에서 빠지겠다고 통보하자 황금 요새를 더 이상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결국 황제는 황금 요새의 유지를 포기하고 최후의 전투에 돌입할 것을 명한다. 그러나 요새를 해제하자마자 장벽 밖에서 기회만을 노리던 너글의 군세를 비롯한 무지막지한 카오스 군세가 밀물처럼 밀고 들어와 제국군은 전원 도륙당하고 제국도 초토화 당하고 황제 카를 프란츠마저 수도의 공방전에서 전사하고 만다.

파일:Geltdeath.jpg

도망다니던 겔트는 블라드의 제자가 되어 그와 행동을 같이 한다. 나가쉬가 황제 카를 프란츠가 사신으로 보낸 페가수스 나이트인 바스통의 아우브릭을 살해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블라드와 함께 아펠란트로 이동한다. 겔트는 오랫동안 차몬의 목소리를 들어왔는데, 강령술에 벗어나면서 차몬을 받아들여 차몬의 화신이 된다. 먼저 금속 속성의 최상위 마법인 도가니를 발동시켜 드워프들의 육신을 유동성 금속으로 바꾸었다가 되돌리고,[7] 그리고 곧바로 대규모 텔레포트 마법을 사용해 웅그림 아이언피스트와 드워프 들을 황제 곁으로 옮긴다. 마침 황제가 아카온에게 패해 죽게 생기자 사방에 널린 시신들의 무기와 방패, 장갑들을 가지고 강철의 장벽을 만들어 황제를 보호한다. 이때 황제가 드디어 고향에 돌아왔냐고 묻고, 그 질문의 진의를 깨닫고 마음 한켠의 짐을 벗게 된다. 이후 고트리 해머슨이 이끄는 주프바르의 패잔병들과 함께 아델 로렌으로 이동하던 중 스카 블러드래스가 이끄는 카오스 군대의 추격을 받는다.[8] 발타자르는 마법으로 스카와 에길 스티르비욘 등을 황금상으로 바꾸어 죽였으나, 코른이 직접 개입해 스카를 부활시켜 주고 동시에 드워프 군대에 큰 피해를 입혔다. 절체절명의 순간에 카라드리안이 이끄는 엘프 군대가 구원왔으나, 카라드리안 역시 스카에게 자신이 타고 다니던 피닉스 아슈타리가 죽는 피해를 입었다. 이때 웅그림이 죽어 주인을 잃고 방황하던 아쿠쉬가 카라드리안과 합체했고 이와 함께 엄청난 불길이 스카와 카오스 군대를 잿더미로 만들어 버렸다.

이후 최후의 저항을 준비하던 테클리스와 만나 붕괴하는 세계를 막으려 했지만 만프레트 폰 카르슈타인의 배신으로 사망하고 테클리스가 금속의 로어를 대신 맡으려다 사망하면서[9] 선의 세력은 처절하게 몰락하고 세계는 폭발하고 만다.


4. 에이지 오브 지그마[편집]


Sometimes, I think what we seek is like air and cannot be grasped. Nonetheless, I strain to do so and become a shadow of myself. A shadow among shadows. I am close, I think. The answer is here, somewhere, in this library. In these books. The accumulated know­ledge of centuries. As I’ve said before, what better hunting grounds for such as we?

가끔식, 우리가 찾는 것이 마치 공기처럼 움켜잡을 수 없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럼에도 난 시도했고, 그림자처럼 붙어서 나를 압박했지. 그림자에 둘러싸인 그림자마냥. 내 생각엔, 이제 가까워진 것 같다. 답은 이곳, 도서관 어딘가에 있을 것이다. 이 책들 속에 말이야. 수세기동안 축적된 지식들이지. 내가 전에 말한대로, 우리 같은 이들에게 걸맞은 사냥터는 뭘까?

-발타스 아룸(Balthas Arum), 지그마론(Sigmaron)의 대도서관에서


파일:tumblr_p9wkinbGXO1s375l8o1_1280.jpg

에이지 오브 지그마의 작중 시점을 다루는 소설 '영혼 전쟁(Soul Wars)'에서 발타스 아룸(Balthas Arum)이라는 스톰캐스트가 등장하는데 사실상 에이지 오브 지그마 세계관의 발타자르 겔트로 여겨지고 있다. 이름도 유사한데다[10] 타고다니는 동물 이름도 퀵실버로 같고 심지어 나가쉬가 아룸을 보고는 너를 안다며 엔드 타임 때의 광경을 보여줬다.

현재 제국 네임드 캐릭터들중 거의 유일하게 환생되었음이 확인된 캐릭터이다.


5. 미니어처 게임에서의 모습[편집]



5.1. Warhammer(구판)[편집]


파일:99810202008_BalthasarGeltNEW01.jpg

능력치MWSBSSTWIALD
발타자르 겔트433343318
제국 페가수스840443426

마법발타자르 겔트는 레벨4 마법사이다. 그는 금속 학파의 주문을 사용한다.
특수 규칙비행, 로어마스터 (금속의 학파)

마법 아이템
바다 황금의 부적(Amulet of Sea Gold)부적. 바다 황금의 부적은 발타자르 겔트에게 마법 저항(1) 특수 규칙을 부여한다. 적 진영에 마법사 2명이 전장에 나서면 마법 저항(2)를 부여하며, 3명이거나 그 이상이면 마법 저항(3)을 부여한다.
액체 금속 망토 (Cloak of Molten Metal)마법 부여 장비. 액체 금속 망토는 발타자르 겔트에게 사격 공격에 대해 3+ 와드 세이브를 부여한다.
볼란스의 지팡이 (Staff of Volans)아케인 장비. 볼란스의 지팡이는 발타자르 겔트에게 모든 주문 시전에 대해 +2 보너스를 준다.


5.2. 엔드 타임[편집]


능력치MWSBSSTWIALD
발타자르 겔트, 금속의 화신843446439

마법발타자르 겔트는 레벨5 마법사이다. 그는 금속 학파의 주문을 사용한다.
특수 규칙비행, 로어마스터 (금속의 학파)
챠몬의 망토(Mantle of Chamon)발타자르 겔트는 화염 공격에 대해 2+ 와드 세이브를 가진다.
도가니(The Crucible)타고난 바운드 주문(파워 레벨 10). 도가니는 증가 주문으로 18" 범위의 발타자르 겔트와/또는 최대 D3의 다른 부대를 대상으로 한다. 전장의 모든 대상 유닛들을 배제한다. 겔트의 다음 턴이 시작될 때, 전장에 있는 모든 대상 유닛을 유닛과 배치 불가능한 지형에서 1" 이상 떨어져서 같은 방향으로 그리고 선택한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이런 식으로 설치된 겔트 이외의 각 유닛은 어떤 종류의 세이브도 허용되지 않고 D6-1 상처를 입는다.

마법 아이템
바다 황금의 부적(Amulet of Sea Gold)부적. 바다 황금의 부적은 발타자르 겔트에게 마법 저항(3)을 부여한다.
액체 금속 망토 (Cloak of Molten Metal)마법 부여 장비. 액체 금속 망토는 발타자르 겔트에게 사격 공격에 대해 3+ 와드 세이브를 부여한다.
볼란스의 지팡이 (Staff of Volans)아케인 장비. 볼란스의 지팡이는 발타자르 겔트에게 모든 주문 시전에 대해 +2 보너스를 준다.


6. 토탈 워: 워해머에서[편집]


파일:vlx-costin-02-emp-balthasar-gelt-02.jpg
토탈 워: 워해머에서의 모델링

제국의 두번째 전설적인 군주로 출현한다. 한때 독보적인 막장 스타팅 군주라는 밈이 있었다. 자세한건 항목 참조. 패치 이후에는 팩션 특성으로 마법사 수 보너스 및 유닛 장갑 강화, 군주 군단 특성으로 사격유닛 및 포병 강화를 받아 마법+사격 화력 팩션이 되었다.

2019년 9월 기준으로는 모탈 엠파이어에서 황금 학파라는 별도의 세력으로 따로 나오게 되었으며, 비센란트에서 졸란트가 갈라져 나와 졸란트라는 별도의 영지를 가지게 되었다. 햄탈워 3 이후 불멸의 제국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여담으로 토탈 워 시리즈 한정으로 로마 2 DLC 분열된 제국의 로마 황제인 아우렐리아누스황금 가면을 쓰고 나와서 아우렐리아누스와 엮이기도 했다.

2020년 들어 Welcome to estalia, Gentleman!(에스탈리아에 온 것을 환영하네, 제군!)[11]이라는 전투 전 연설이 임팩트가 컸는지 지옥의 묵시록에 나오는 베트남전 시절 미군 장교처럼 취급하는 밈이 있다. 제국의 오버테크놀러지 적인 면을 감안하여 헬스톰 로켓 발사기와 스팀 탱크 등 첨단 병기를 남용하는 화력덕후로 묘사되며[12] 아예 동맹국인 드워프 측의 자이로콥터와 본인의 페가수스인 수은(Quicksilver)에 좌승하고 헬리본 작전을 지휘하기도 한다.# 현재 유저들한테 정착된 겔트의 이미지(...)

화력덕후 드립을 제하고 봐도 대사들이 기묘해서 밈으로 쓰인다. 직책명인 대종정(Supreme Patriarch)도 일반명사처럼 보면 “뛰어난 가부장”이라는 상남자(?)스러운 단어다. 에스텔리아 연설의 내용은 제군이 끔찍하게 죽을 수 있지만 적어도 영혼만큼은 모르에게 돌아가 안식할 수 있게 지켜주겠다는 어두운 내용이다. 제작진도 겔트의 모델링은 “질서 세력에도 음침한 면이 있을 수 있음”을 강조해 만들었다는 걸 통해 노렸다는 걸 알 수 있다. 엄격한 이미지 때문에 grim이라 형용되는 폴크마보단 겔트가 음침한 인물에 가까운 셈이다.어떻게 보면 제작진들은 저런 개그스러운(…) 모습은 의도하진 않은거다.


7. 출처[편집]




8.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4:17:55에 나무위키 발타자르 겔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물론 금으로 변한 납덩이는 오래 못가고 나중에 다시 납덩이 본모습으로 돌아온다. 이 때문에 발타자르를 태워준 뱃사공은 발타자르의 머리에 현상금을 걸었다고 한다.[2] 마법 대학의 총장격 지위이자 제국 마법의 최고 책임자.[3] 엔드타임 이전 기준으로 고르만은 화염 학파의 현직 종정이고, 겔트는 금속학파의 종정이자 마법 대학 전체의 대종정이다. 원래 대종정은 종정 중 하나가 겸직하는 직위이기 때문.[4] 사실 겔트에게 아이디어를 제공했던 것은 음침한 여인으로 변장한 뱀파이어 여왕 네페레타의 시녀였다.[5] 훗날 그 지방은 헬스리치라고 불리게 되며 민간인들에게는 실바니아와 맞먹는 뱀파이어의 오염지대 취급을 받게 되었다.[6] 후술하듯이 이 우려는 결국 사실이 되었다.[7] 이때 도가니 마법으로 육체가 유동성 금속이 되었던 드워프들은 아이언클레드라는 이름의 유명 연대로 룰북에 실려있다.[8] 스카는 아펠란트 전투에서 제로드 공작에게 한번 죽었으나 코른에 의해 부활한 상태였다.[9] 테클리스는 하이엘프 중에서도 뛰어난 천재였으나 아무리 천재라해도 이미 화염과 야생의 두 로어를 맡은 상태에서 로어를 하나 더 맡는 건 무리였고 그대로 육체가 녹아버린다. 이후 만프레드가 로어를 손에 넣으려다가 로어의 힘에 고통스러워하는 사이 동생의 죽음과 세계를 구할 마지막 기회를 통수로 날려먹은 만프레드에게 격노한 티리온이 선팽으로 만프레드를 태워죽이나 세계의 멸망은 피할 수 없어 그대로 엔드 타임은 워해머 판타지의 종말로 끝나게 되었다.[10] 'aurum'은 라틴어로 황금이다.[11] 사용된 노래는 블랙 사바스Paranoid.[12] 겔트가 햄탈워에서 박격포를 초기 유닛으로 들고 시작하며, 겔트를 포병 데미지 증가 효과를 주는 비젠란트 선제후로 배치하는 게 정석이라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