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기철(1917)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성우에 대한 내용은 김기철(성우) 문서
김기철(성우)번 문단을
김기철(성우)# 부분을
, 메가스터디의 영어 강사에 대한 내용은 김기철(강사) 문서
김기철(강사)번 문단을
#s-번 문단을
김기철(강사)#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경제기획원장관신병현김준성서석준신병현김만제정인용
국토통일원장관이범석손재식이세기박동진허문도
외무부장관노신영이범석이원경최광수
내무부장관서정화노태우주영복정석모김종호정호용고건정관용이상희
재무부장관이승윤나웅배강경식김만제정인용사공일
법무부장관오탁근이종원정치근배명인김석휘김성기정해창
국방부장관주영복윤성민이기백정호용
문교부장관이규호권이혁손제석서명원
체육부장관노태우이원경이영호박세직이세기조상호
농림수산부장관정종택고건박종문황인성김주호
상공부장관서석준김동휘금진호나웅배
동력자원부장관박봉환이선기서상철최동규최창락
건설부장관김주남김종호김성배이규효최동섭
보건사회부장관천명기김정례이해원
노동부장관권중동정한주조철권이헌기
교통부장관고건윤자중이희성손수익차규헌
체신부장관김기철최광수최순달김성진이자헌이대순오명
문화공보부장관이광표이진희이원홍이웅희
총무처장관김용휴박찬긍박세직정관용장기오
과학기술처장관이정오김성진전학제이태섭박긍식
정무제1장관최광수정종택오세응이태섭정재철조기상이종률
정무제2장관노태우
정무제3장관김기수






대한민국 제30대 체신부 장관
김기철
金基喆 | Kim Ki-chul
파일:39BF98D2-86E0-4561-97EF-02E561505805.jpg
출생1917년 5월 30일
충청북도 음성군
사망1986년 10월 10일 (향년 69세)
서울특별시 강남구 반포동 자택
묘소충청북도 음성군 음성읍 용산리 선산
재임기간제16대 농림부 정무차관
1960년 8월 23일 ~ 1961년 5월 3일
제30대 체신부 장관
1980년 9월 2일 ~ 1981년 3월 8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김현주
자녀슬하 3남 3녀
학력칸사이대학 전문부 (법률학과 / 수료)
길림 사도고등학교 (졸업)
의원 선수4
의원 대수1, 3, 5, 11
약력대한독립촉성국민회 충주군 청년연맹위원장
대동청년단 충주군단장
제16대 농림부 정무차관
FAO아세아총회 한국수석대표
민주당 중앙정치훈련소장
민주당 조직위원장
민주당 당무위원
한국천주교평신도협의회 회장
제30대 체신부장관

1. 개요
2. 생애
3. 선거이력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독립운동가, 정치인, 관료다.


2. 생애[편집]


1917년 충청북도 음성군에서 태어났다.

일제강점기 일본 칸사이대학 전문부 법률학과를 수료한 이후 만주국 길림 사도고등학교[1] 를 졸업하여 교사로 근무했다. 한편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가입하여 독립운동에도 참여하였으며, 194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비상국민회의 대의원직을 맡았다.

8.15 광복대한독립촉성국민회 충주군 청년연맹위원장, 대동청년단 충주군단장 등을 역임하였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동청년단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조대연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현역 지역구 국회의원인 무소속 조대연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그러나 당선 이후 이승만 대통령의 독재에 반대하여 자유당을 탈당하여 민주당에 입당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당 홍병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8월부터 1961년 5월까지 농림부(현 농림축산식품부) 정무차관을 역임하였다.

5.16 군사정변 이후 치러진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충주시-중원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당 이희승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민중당에 몸담았다가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재건 민주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후 다시 신민당에 몸담았다.

이후 가톨릭전국평신도협의회회장을 1974년부터 1980년까지 지냈다.

그러나 1980년 9월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면서 체신부(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에 임명되어 1981년 3월까지 역임하면서 여당 인사로 변신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탤런트 류시원의 외할아버지다.


3. 선거이력[편집]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연도선거종류소속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여부비고
1948제헌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주군)
대동청년단

-당선초선
1950제2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주군)
무소속

-낙선
1954제3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주군)

-당선재선
1958제4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주시)

-낙선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주시)

-당선3선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충주시-중원군)
파일:민주당(1963년) 흰색 로고타입.svg

-낙선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국회의원)
파일:민주당(1967년) 로고타입.svg

-낙선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 (전국구 국회의원)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당선4선


4. 둘러보기[편집]








파일:민주정의당 심볼.svg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제11대 국회 전국구
[ 펼치기 · 접기 ]

이재형나길조김종경[A]이용훈김기철송지영[B]
정희택박동진정원민김정호윤석순김종호
최상업황병준류근환김용수박태준박경석
이우재[B]이춘구김현자정순덕[B]배성동김사용
이건호신상초오제도김윤환정희채김춘수
박현태이양우박종관고귀남나웅배[B]김집
지갑종허청일이상선손춘호정시채안교덕
최낙철김모임이헌기[B]이윤자이민섭이영희
김종인박원탁이상희이영일이경숙조남조
김행자[A]이낙훈김영구황설하순봉곽정현
전병우정창화[C]문용주[C]김유상[C]장경우[C]류수환[C]
김지호[C]이성재[1]강창희[C]이성배[C]
[A] A B 임기 중 사망.[B] A B C D E 임기 중 사퇴.[C] A B C D E F G H 승계.[1] 승계 전 사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00:59:59에 나무위키 김기철(191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만주국의 중등교원 양성 교육기관으로, 1942년 사도대학으로 개편. 일제 패망 후 중화민국 정부에 의해 장춘사범학원으로 개편되어 폐교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