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관련 정보

덤프버전 : (♥ 0)

1. 개요
2. 용도별 분류
2.3.1. 교통/전기•통신시설
2.3.2. 환경/수리시설
2.4. 관광지/문화시설
2.5. 상업시설
2.6. 종교/추도시설
2.7. 공공기관
2.8. 치안/소방/교정시설
2.9. 의료시설/복지시설
2.10. 교육/연수기관
2.11. 과학기술
2.12. 산업시설
2.13. 안보/군 시설
3. 지역별 건축물
3.1. 동양
3.2. 중동
3.3. 서양
3.4. 기타
4. 건축 요소
4.1. 기계설비
5. 건축 자재/구조
7. 관련 문서
7.1. 건축가/건설사
7.2. 건축자재 회사
7.3. 학문/학과(전공)
7.3.1. 토목



1. 개요[편집]


  • 건축과 관련된 문서목록을 정리한 곳이며, 본래 별개의 주제인 토목 관련 정보 역시 같이 적는다.
  • 개별 목록이 너무 많기 때문에 한국 건축, 등에 하위문서로 묶일 수 있는 문서들은 가급적 올리지 말아주길 바라며, 대표적인 경우에만 한정한다.


2. 용도별 분류[편집]


시설
[ 펼치기 · 접기 ]

교통 시설
도로분류자동차전용도로 · 인도(보행자전용도로 · 보행자우선도로 · 자전거도로) · 고가도로 · 지하도로(지하도 · 지하차도)
등급고속도로(고속화도로 · 도시고속도로) · 국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지방도 · 시도 · 군도 · 구도
시설물교차로(나들목 · 분기점) · 횡단보도 · 교통섬 · 교량 · 육교 · 터널 · 버스 정류장(버스 터미널 · 환승센터) · 주차장 · 갓길 · 요금소 · 휴게소
기타세차장 · 정비소 · 운전면허시험장
철도분류고속철도 · 광역철도 · 도시철도(중전철 · 경전철 · 노면전차 · 모노레일 · 자기부상열차)
형태지하철 · 고가철도
시설물 · 조차장 · 신호장 · 차량기지 · 철교 · 건널목
항만항구(부두 · 선착장) · 여객선 터미널 · 등대 · 방파제
공항여객터미널 · 활주로 · 유도로 · 계류장
기타운하, 갑문
공간 시설
광장 · 공원 · 녹지 · 유원지(놀이공원 · 동물원 · 워터파크 · 온천 · 해수욕장 · 삼림욕장) · 공공공지
유통·공급 시설
유통·생산공장 · 물류 터미널
공급수도취수장 · 정수장 · 배수지
전기발전소 · 변전소 · 송전탑
방송·통신방송국 · 기지국
시장재래시장(도매시장) · 쇼핑몰(백화점 · 면세점) · 할인점
유류주유소
공공·문화 체육 시설
공공기관중앙관청지방관청(도청 · 시청 · 군청 · 구청 · 행정복지센터) · 경찰서 · 지구대 · 파출소 · 치안센터 · 해양경찰서 · 해경파출소 · 해경출장소 · 소방서 · 119안전센터 · 119지역대 · 우체국 · 은행 · 세무서 · 세관 · 법원 · 등기소
교육유치원 · 학교 · 학원
문화공연장 · 영화관 · 박물관 · 미술관 · 과학관 · 전시관 · 도서관
체육운동장(경기장 · 체육관) · 골프장 · 농구장 · 당구장 · 볼링장 · 빙상장 · 사격장 · 수영장 · 스키장 · 승마장 · 야구장 · 축구장 · 테니스 코트
복지어린이집 · 보육원 · 복지관 · 요양원 · 요양병원 · 마을회관 · 쉼터
방재 시설
하천 · 유수지 · 저수지 · · · 빗물펌프장 · 저류지
보건 위생 시설
의료병원(의원 · 산후조리원) · 보건소
장례장례식장 · 화장장 · 공동묘지 · 납골당
기타도축장
환경 기초 시설
하수도하수 처리장 · 정화조
폐기물처리매립지 · 소각장
기타폐차장







2.1. 주택[편집]


부동산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부동산의 분류
협의
토지지목에 따른 분류 · 상태에 따른 분류 · 용도지역
정착물건물(집합건물 · 주택 · 상가 등) · 시설물(도로 · 철도 · 교량 · 수도 등)
광의
공장재단 · 광업재단 · 선박 · 항공기 · 자동차 · 건설기계 · 어업 및 광업권 등
주택의 분류
공동주택
(/목록)
아파트(대한민국) · 주상복합 · 타운하우스 · 도시형 생활주택 · 빌라 · 다세대주택 · 셰어하우스 · 기숙사
단독주택단독주택 · 전원주택 · 원룸 · 협소주택 · 저택 · 별장 · 공관 (관저)
준주택오피스텔 · 고시원 · 실버타운
부동산업
건설건설사(브랜드 · 컨소시엄 · 상위 30대 건설사)
매매청약(청약가점제 · 청약통장 · 주택청약종합저축) · 분양(미분양) ·등기 ·부동산등기 · 모델하우스 · 전매
임대차임대료 · 전세(전세권 · 전세 계약) · 반전세 · 월세 · 역월세 · 사글세
간접투자리츠
가치평가역세권 · 신축 · 구축 · 건폐율 · 용적률 · 판상형 · 타워형 · 커뮤니티 · 대단지 · 차 없는 아파트(목록)
직업감정평가사 · 공인중개사 · 주택관리사
관련 학과부동산학과
법률
민사법농지법 · 부동산등기법 · 주택임대차보호법(임대차 3법) ·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 부동산 등기사항증명서
행정법건축법 · 건축물의 분양에 관한 법률 ·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 부동산 가격공시에 관한 법률 · 감정평가 및 감정평가사에 관한 법률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 ·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정책
공급신규택지개발 · 신도시(1기 · 2기 · 3기) · 역세권개발사업 · 혁신도시 · 기업도시
정비빈집정비사업(가로주택정비사업) · 리모델링 · 도시재생 · 재건축 · 재개발(공공재개발·공공재건축 · 뉴타운) · 지역주택조합
특수특별공급 · 임대주택(소셜믹스)
규제세제취득세 · 종합부동산세(1주택자 과세 논란 · 다주택자 과세 논란) · 재산세 · 양도소득세
대출담보인정비율(LTV) · 총부채상환비율(DTI) ·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가격분양가상한제 · 고분양가심사제도 · 전월세상한제
부담금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 광역교통시설부담금
지역투기지역 · 투기과열지구 · 조정대상지역
공시제도공시지가(개별공시지가 · 표준지공시지가) · 공시가격(공동주택공시가격 · 개별단독주택공시가격 · 표준단독주택공시가격)
기타역대 정부별 대책 · 기부채납 · 토지거래허가제 · 토지공개념
관련 기관국토교통부 · 한국부동산원 · 한국토지주택공사 · 주택도시보증공사 · 서울주택도시공사 · 경기주택도시공사
관련 속어·은어
속어·은어갭 투자 · 깡통주택 · 알박기 · 영끌 · X품아(초품아 · 지품아) · ○세권 · ○○뷰
불법기획부동산 · 다운계약서
관련 사이트·앱
국가청약Home
민간네이버 부동산 · KB Liiv ON · 부동산114 · 직방 · 다방 · 집토스 · 다음 부동산 · 바로바로 · 리치고 · 알스퀘어
부동산 스터디 · 부동산 갤러리 · 라이트하우스 ·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 · 집값 정상화 시민행동
기타
부동산 투기 · 계획도시 · 난개발 · 국민주택채권






2.2. 마천루[편집]




【국가별 역대 마천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역대 대한민국 최고층 마천루
[ 펼치기 · 접기 ]

1969년~1970년한진빌딩82.8 m / 23층
1969년 완공
서울특별시 중구
1970년~1978년삼일빌딩114 m / 31층
1970년 완공
서울특별시 종로구
1978년~1985년롯데호텔 서울 본관138 m / 38층
1978년 완공
서울특별시 중구
1985년~2003년63빌딩249.6 m / 60층
1985년 완공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2003년~2004년목동 하이페리온 A동256 m / 69층
2003년 완공
서울특별시 양천구
2004년~2011년타워팰리스 3차 G동263.7 m / 69층
2004년 완공
서울특별시 강남구
2011년~2014년해운대 두산위브 더제니스 101동300 m / 80층
2011년 완공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2014년~2017년포스코타워-송도305 m / 65층
2014년 완공
인천광역시 연수구
2017년~롯데월드타워554.5 m / 123층
2017년 완공
서울특별시 송파구



파일:중국 국기.svg
역대 중국 최고층 마천루
[ 펼치기 · 접기 ]

1963년~1979년1979년~1984년1984년~1990년1990년~1992년
만다린 오리엔탈 호텔 홍콩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빌딩
(舊 프린스 웨일스 빌딩)
더 랜드마크중국은행 타워
90 m / 25층
1963년 완공
120 m / 28층
1979년 완공
212 m / 48층
1984년 완공
367 m / 70층
1990년 완공
영국령 홍콩영국령 홍콩영국령 홍콩영국령 홍콩
1992년~1996년1996년~1997년1997년~1998년1998년~2008년
센트럴 플라자션힝 스퀘어시틱 플라자진마오 타워
374m / 78층
1992년 완공
384 m / 69층
1996년 완공
391 m / 80층
1997년 완공
421 m / 88층
1998년 완공
영국령 홍콩광둥성 선전시광둥성 광저우시상하이시
2008년~2014년2014년~ (현재)
상하이 세계금융센터상하이 타워
492 m / 101층
2008년 완공
632 m / 128층
2014년 완공
상하이시상하이시



파일:일본 국기.svg
역대 일본 최고층 마천루
[ 펼치기 · 접기 ]

1936년~1964년일본 국회의사당65 m / 9층
1936년 완공
도쿄도 치요다구
1964년~1968년호텔 뉴 오타니 도쿄72 m / 17층
1964년 완공
도쿄도 치요다구
1968년~1970년가스미가세키 빌딩156 m / 36층
1968년 완공
도쿄도 치요다구
1970년~1971년도쿄 세계무역센터163 m / 40층
1970년 완공
도쿄도 미나토구
1971년~1974년게이오 플라자 호텔180 m / 47층
1971년 완공
도쿄도 신주쿠구
1974년신주쿠 스미토모 빌딩210 m / 52층
1974년 완공
도쿄도 신주쿠구
1974년~1978년신주쿠 미쓰이 빌딩225 m / 55층
1974년 완공
도쿄도 신주쿠구
1978년~1991년선샤인 60240 m / 60층
1978년 완공
도쿄도 도시마구
1991년~1993년도쿄도청243 m / 48층
1991년 완공
도쿄도 신주쿠구
1993년~2014년요코하마 랜드마크 타워296 m / 70층
1993년 완공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2014년~2023년아베노하루카스300 m / 60층
2014년 완공
오사카부 아베노구
2023년~아자부다이 힐스325 m / 64층
2023년 완공
도쿄도 미나토구
2027년~(예정)토치타워390 m / 63층
2027년 예정
도쿄도 치요다구



파일:대만 국기.svg
역대 대만 최고층 마천루
[ 펼치기 · 접기 ]

1919년~1972년1972년~1973년1973년~1981년1981년~1983년
대만총독부·개수관·총통부힐튼 호텔(카이사르호텔)그랜드 호텔 타이베이제일상업은행 빌딩
60 m / 9층
1919년 완공
71 m / 20층
1972년 완공
87 m / 12층
1973년 완공
88 m / 22층
1983년 완공
타이베이타이베이타이베이타이베이
1983년~1988년1988년~1990년1990년~1992년1992년
타이완전력 본사 빌딩타이베이 세계무역센터툰텍스 타워(툰난타워)아태금융플라자
127 m / 27층
1983년 완공
143 m / 34층
1988년 완공
144 m / 35층
1990년 완공
195 m / 42층
1992년 완공
타이베이타이베이타이베이가오슝
1992년~1993년1993년~1997년1997년~2003년2003년~현재
장곡 세계무역센터신광 라이프 타워가오슝 85 타워타이베이 101
222 m / 50층
1992년 완공
244 m / 51층
1993년 완공
378 m / 85층
1997년 완공
508 m / 101층
2003년 완공
가오슝타이베이가오슝타이베이



【대륙별 역대 마천루】
파일:아시아 위치.svg
역대 아시아 최고층 마천루
[ 펼치기 · 접기 ]

1963년 ~ 1970년1970년 ~ 1974년1974년 ~ 1977년1977년 ~ 1985년
하비브 은행 플라자IDBI 타워신주쿠 미쓰이 빌딩선샤인 60
101m / 22층
1963년 완공
156m / 35층
1970년 완공
225m / 55층
1974년 완공
238m / 60층
1978년 완공
파일:파키스탄 국기.svg파일:인도 국기.svg파일:일본 국기.svg파일:일본 국기.svg
1985년 ~ 1987년1987년 ~ 1989년1989년 ~ 1991년1992년 ~ 1995년
63빌딩원 래플즈 플레이스중국은행 타워센트럴 플라자
249m / 60층
1985년 완공
280m / 63층
1987년 완공
367m / 70층
1990년 완공
374m / 78층
1992년 완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파일:싱가포르 국기.svg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1996년1997년1998년 ~ 2003년2003년 ~ 2010년
션힝 스퀘어시틱 플라자페트로나스 트윈 타워타이베이 101
384m / 69층
1996년 완공
391m / 80층
1997년 완공
452m / 88층
1998년 완공
509m / 101층
2003년 완공
파일:중국 국기.svg파일:중국 국기.svg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파일:대만 국기.svg
2010년~예정현재현재
부르즈 할리파제다 타워(현재)(현재)
828m / 163층
2010년 완공
1,007m / 171층
미정
(현재)(현재)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현재)(현재)








2.3. 사회간접자본[편집]



2.3.1. 교통/전기•통신시설[편집]


-

2.3.2. 환경/수리시설[편집]



2.4. 관광지/문화시설[편집]


파일:KAZA 로고.pngKAZA 가맹
국내 동물원 · 수족관
||
[ 펼치기 · 접기 ]

구분동물원
주사무소관할서울동물원 공영
KAZA 주사무소 회장기관
서식지외보전기관
에버랜드 주토피아 민영
KAZA 부회장기관
서식지외보전기관
서울어린이대공원 동물나라 공영
인천대공원 어린이동물원 공영
충청·전라 지회대전 오월드 공영
KAZA 분사무소
청주동물원 공영
KAZA 부회장기관
서식지외보전기관
국립생태원 국영
KAZA 부회장기관
우치공원 동물원 공영
KAZA 부회장기관
전주동물원 공영
아산시생태곤충원 공영
경상 지회달성공원 동물원 공영
KAZA 분사무소
진양호동물원 공영
울산대공원 동물원 공영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국영
KAZA 홈페이지 회원 안내 페이지에서 KAZA 회원사 상세 내역 열람 가능.
한국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 홈페이지 지역별 지부 안내 페이지에서 서식지외보전기관 상세 내역 열람 가능.









2.4.1. 숙박시설[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숙박시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4.2. 랜드마크[편집]



2.5. 상업시설[편집]









2.6. 종교/추도시설[편집]


-

2.7. 공공기관[편집]






2.8. 치안/소방/교정시설[편집]






파일:교정본부 엠블럼.svg 대한민국 교정본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교정본부장_계급장.svg
법무부 교정본부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서울지방교정청
교도소안양교도소 · 의정부교도소 · 화성직업훈련교도소 · 화성여자교도소(예정) · 여주교도소 · 서울남부교도소 · 춘천교도소 · 원주교도소 · 강릉교도소 · 영월교도소 · 강원북부교도소 · 태백교도소(예정)
구치소서울구치소 · 서울남부구치소 · 서울동부구치소 · 수원구치소 (평택지소) · 인천구치소 · 경기북부구치소(예정)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대구지방교정청
교도소대구교도소 · 경북북부제1교도소 · 경북북부제2교도소 · 경북북부제3교도소 · 경북직업훈련교도소 · 부산교도소 · 창원교도소 · 포항교도소 · 안동교도소 · 김천소년교도소 · 경주교도소 · 진주교도소 · 상주교도소
구치소부산구치소 · 대구구치소 · 울산구치소 · 밀양구치소 · 통영구치소 · 거창구치소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대전지방교정청
교도소대전교도소 (논산지소) · 공주교도소 · 홍성교도소 (서산지소) · 천안개방교도소 · 천안교도소 · 청주교도소 · 청주여자교도소
구치소충주구치소 · 대전구치소(예정)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광주지방교정청
교도소광주교도소 · 전주교도소 · 순천교도소 · 목포교도소 · 장흥교도소 · 군산교도소 · 제주교도소 · 해남교도소 · 정읍교도소 · 남원교도소(예정)
구치소광주구치소(예정)
국군교도소 (국방부) · 소망교도소 (민영) · 국립법무병원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2.9. 의료시설/복지시설[편집]




2.10. 교육/연수기관[편집]



2.11. 과학기술[편집]



2.12. 산업시설[편집]



2.13. 안보/군 시설[편집]



3. 지역별 건축물[편집]


대분류가 생기기 전까지 소분류에 포함이 되지 않는 건축물만 따로 적어주세요

3.1. 동양[편집]







3.2. 중동[편집]






3.3. 서양[편집]






3.4. 기타[편집]






4. 건축 요소[편집]



4.1. 기계설비[편집]




4.2. 전기설비[편집]




5. 건축 자재/구조[편집]


다른 말로 조영재 라고도 한다. 건축물을 이루는 재료를 말한다.




5.1. 공구[편집]



공구 및 공작기계
⠀[ 계측기기 ]⠀

길이 · 각도(줄자 · 직각자 · 삼각자) · 버니어 캘리퍼스 · 마이크로미터(내경 마이크로미터 · 깊이 마이크로미터) · 틈새 게이지 · 레이저 거리 측정기 · 각도기 · 수평기
부피·질량·무게저울 · 유량계 · 수면계
시간시계
속도속도계 · 타코미터
전기전압계 · 전류계(검류계) · 주파수계 · 저항계(접지 저항계 · 절연 저항계) · 전력계(전력량계 · 역률계) · 멀티미터 · 후크미터 · 스펙트럼 분석기 · 오실로스코프 · 검전기 · 통전시험기
온도온도계(수은 온도계 · 적외선 온도계 · 체온계 · 습도계) · 열화상카메라
광학광도계 · 편광계
토크 게이지 · 압력계(기압계)
형상삼차원 측정기
조도조도계
방사능가이거 계수기 · 서베이미터
기타IoT 센서류
기준원기



6. 인테리어/조경[편집]




6.1. 가구[편집]




7. 관련 문서[편집]




7.1. 건축가/건설사[편집]




7.2. 건축자재 회사[편집]




7.3. 학문/학과(전공)[편집]




7.3.1. 토목[편집]




Civil Engineering

보다 자세한 내용은 토목공학 참조.

사회기반시설(Social Infra Structure)를 설계/시공/관리하기 위한 제반 기술들을 포함하는 학문이다. 건축과는 분야와 관점이 판이하게 다른 독자적인 학문이나 흔히들 토목은 시공 건축은 설계로 오해한다. 정작 토목설계와 건축설계는 딴판인 경우가 많으며, 토목 시공과 건축 시공의 자재와 장비, 필요한 지식들도 굉장히 많이 다른편. 제반 지식과 관점도 현저하게 다르다.

본래 전통적으로 군대에서 맡았던 사회 기반시설의 확충에 필요한 공학적 지식들을 Military Engineering이라 불렀던 것에 대하여 순수하게 민간의 영역으로 넘어왔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 Civil Engineering이다.(참고- 로마의 수도교)

민간 공학(Civil Engineering)의로의 전환점은 미국 서부의 상징인 금문교(Golden gate Bridge)를 조셉 스트라우스가 제안/설계/시공/감독하면서 그 이후 민간 공학(Civil Engineering)이라 부른다.

그 분야는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05:03:37에 나무위키 건축 관련 정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본래 미국 Dryvit사에서 개발한 상품이지만 현재는 일반적이면서 광범위하게 외단열공법으로 사용되기에 일반 명사화 되었다.[2] 엄밀히 말해서는 버섯 균사체. 물론 균사체 혼자만으로는 건축 자재가 될 수 없으나, 굳혀서 작물 폐기물과 합치면 건축 자재로 만들 수 있다. 그런데 이거, 불연재인데다 곰팡이도 쉽게 피지 않고, 강도는 콘크리트를 뛰어넘는다! 관련글(영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