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월트 디즈니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월트 디즈니가 설립한 회사에 대한 내용은 월트 디즈니 컴퍼니 문서
월트 디즈니 컴퍼니번 문단을
월트 디즈니 컴퍼니#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월트 디즈니의 주요 수훈 및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United States Congressional Gold Medal
미합중국 의회 명예 황금 훈장
[ 펼치기 · 접기 ]

1776년1777년1779년1781년
조지 워싱턴소장 호레이쇼 게이츠소장 앤서니 웨인사령관 헨리 리 3세준장 대니얼 모건
1781년1787년1800년1805년1813년
소장 너새니얼 그린존 폴 존스대령 토머스 트럭스턴준장 에드워드 프레블대령 아이작 헐
대령 스티븐 디케이터
대령 제이컵 존스
1813년1814년
대령 윌리엄 베인브리지대령 올리버 해저드 페리
대령 제시 엘리엇
대위 윌리엄 워드 버로스 2세
대위 에드워드 매콜
대령 제임스 로렌스대령 토머스 맥도너
대령 로버트 헨리
대위 스티븐 카신
1814년1814년, 1848년1814년
대령 루이스 워링턴대령 존스턴 블레이클리소장 제이컵 브라운소장 윈필드 스콧소장 피터 부엘 포터
준장 엘리저 윌락 리플리
대령 제임스 밀러
1814년1815년1816년
소장 에드먼드 P. 게인스소장 알렉산더 마콤소장 앤드루 잭슨대령 찰스 스튜어트대령 제임스 비들
1818년1835년1846년, 1847년, 1848년1847년1854년
소장 윌리엄 해리슨
주지사 아이작 셸비
대령 조지 크로간소장 재커리 테일러소머스 호의 장교 및 승무원 구출중령 덩컨 잉그함
1858년1863년1864년1866년1867년
프레더릭 로즈소장 율리시스 S. 그랜트코닐리어스 밴더빌트로버트 크레이튼
에드윈 J. 로
조지 C. 스투퍼
사이러스 웨스트 필드
1867년1871년1873년1874년, 1904년1883년
조지 피보디조지 F. 로빈슨대령 재러드 크랜달 그 외존 혼 주니어존 폭스 슬레이터
1888년1890년1900년1902년1909년
조지프 프랜시스수석 엔지니어 조지 W. 멜빌 그 외중위 프랭크 H. 뉴컴중위 데이비드 H. 자비스
소위 엘스워스 P. 버트홀프
새뮤얼 J. 콜 박사
라이트 형제
1912년1914년1915년1928년
선장 아서 로스트론폴 H. 크라이봄 그 외로물로 세바스티안 나온
에두아르도 수아레스 무히카
찰스 린드버그로알 아문센
움베르토 노빌
1928년1929년1930년1936년
토머스 에디슨최초로 성공한 대서양 횡단 비행사들소령 월터 리드준장 리처드 에벌린 버드링컨 엘즈워스
1936년1938년1939년1940년
조지 코한리처드 올드 리치 부인
안나 불리니
하워드 휴즈목사 프랜시스 퀸윌리엄 시넛
1942년1945년1946년
롤런드 바우처1939-1941년 미국 남극 탐험대 멤버들미합중국 육군 원수 조지 C. 마셜
미합중국 해군 원수 어니스트 킹
미합중국 육군 원수 존 조지프 퍼싱준장 빌리 미첼
1949년1954년1955년1956년1958년
앨번 W. 바클리어빙 벌린조너스 소크 박사남북 전쟁의 참전 용사들준장 하이먼 리코버
1959년1960년1961년1962년
로버트 고다드로버트 프로스트토머스 앤서니 둘리 3세밥 호프샘 레이번
1962년1968년1969년1973년1977년
미합중국 육군 원수 더글러스 맥아더월트 디즈니윈스턴 처칠로베르토 클레멘테매리언 앤더슨
1978년1979년
중장 아이라 C. 이커로버트 F. 케네디존 웨인벤 아브러조
맥시 앤더슨
래리 뉴먼
휴버트 험프리
1979년1980년1982년
미국 적십자케네스 테일러1980 미국 하계 올림픽 팀베아트릭스 여왕대장 하이먼 리코버
1982년1983년
프레드 워링조 루이스루이스 라머레오 라이언대니 토머스
1984년1985년
해리 S. 트루먼레이디 버드 존슨엘리 비젤로이 윌킨스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1986년1987년1988년
네이선 샤란스키
에비탈 샤란스키
해리 차핀에런 코플런드메리 래스커제시 오언스
1988년1990년1991년
앤드루 와이어스로런스 록펠러대장 매튜 B. 리지웨이대장 노먼 슈워츠코프대장 콜린 파월
1994년1996년1997년
랍비 메나헴 멘델 쉬니어슨루스 그레이엄
빌리 그레이엄
프랭크 시나트라마더 테레사바르톨로메오스 1세
1998년 1999년
넬슨 만델라리틀록 9인제럴드 포드
베티 포드
로자 파크스시어도어 헤스버그
2000년
존 오코너찰스 M. 슐츠교황 요한 바오로 2세로널드 레이건
낸시 레이건
나바호족 코드 토커
2002년2003년
대장 휴 셸턴토니 블레어재키 로빈슨도러시 하이트 박사조지프 디레인
해리 & 일라이자 브릭스
레비 피어슨
2004년2006년
마틴 루터 킹
코레타 스콧 킹
터스키기 에어맨달라이 라마 14세바이런 넬슨노먼 볼로그 박사
2007년2008년
마이클 데바키 박사아웅 산 수 치콘스탄티노 브루미디에드워드 윌리엄 브룩 3세아메리카 원주민 코드 토커
2009년2010년
여성 공군 군무원 조종사들닐 암스트롱
버즈 올드린
존 글렌
아널드 파머무함마드 유누스제100 보병대대
제442 보병연대 전투단
군사정보국
2011년2012년2013년
몬트포드 포인트 해병전우회2001년 9월 11일 미국에 대한 테러 공격으로 사망한 남녀들라울 발렌베리애디 메이 콜린스
데니스 맥네어
캐럴 로버트슨
신시아 웨슬리
제1 특수임무단
2014년
둘리틀 특공대 멤버들미국의 공군 에이스들제2차 세계 대전 민간 항공 초계 부대 멤버들시몬 페레스모뉴먼츠 맨
2014년2015년2016년
제65 보병연대잭 니클라우스셀마 몽고메리 행진제2차 세계 대전 필리핀인 참전 용사들OSS
2017년2018년
밥 돌래리 도비제2차 세계 대전 중국계 미국인 참전 용사들USS 인디애나폴리스의 승무원들안와르 사다트
2019년
스티브 글리슨캐서린 존슨크리스틴 다든도로시 본메리 잭슨
2019년2020년2021년
무명의 수여자들그렉 르몬드미국 국회의사당 경찰 및 컬럼비아구 경찰청 소속 경찰관들제369 보병연대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서 전사한 13명의 장병
2022년2023년
미 육군 제23 부대 본부 특수부대
제3133 신호 복무 중대
제6888 중앙우편대대제2차 세계 대전 참전 상선 선원들에밋 틸
메이미 틸모블리




파일:E8379242-641F-4E16-9EC4-4DDE7A61F63B.png 스미스소니언 선정 미국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들
[ 펼치기 · 접기 ]

2014년 미국 정부가 운영하는 국립 교육재단 스미스소니언 재단의 잡지, 스미스소니언 매거진이 “미국사 가장 중요한 100인의 인물”을 선정했다. 미국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들을 뽑았기 때문에 미국인이 아닌 사람들도 많고 부정적인 인물들도 있다.
개척자들크리스토퍼 콜럼버스 | 헨리 허드슨 | 아메리고 베스푸치 | 존 스미스 | 조반니 다 베라차노 | 존 뮤어 | 메리웨더 루이스 | 사카자위아 | 키트 카슨 | 존 웨슬리 파월 | 닐 암스트롱
혁명가 & 저항가들마틴 루터 킹 | 로버트 E. 리 | 토머스 페인 | 존 브라운 | 프레드릭 더글러스 | 수전 B. 앤서니 | W. E. B. 듀보이스 | 테쿰세 | 타탕카 이요탕카 | 엘리자베스 케이디 스탠턴 | 말콤 엑스
대통령들조지 워싱턴 | 토머스 제퍼슨 | 율리시스 S. 그랜트 | 우드로 윌슨 | 에이브러햄 링컨 | 제임스 매디슨 | 앤드루 잭슨 | 시어도어 루스벨트 | 프랭클린 D. 루스벨트 | 로널드 레이건 | 조지 W. 부시
첫 여성들포카혼타스 | 엘리너 루스벨트 | 힐러리 클린턴 | 마사 워싱턴 | 오프라 윈프리 | 헬렌 켈러 | 소저너 트루스 | 제인 애덤스 | 이디스 워튼 | 베티 데이비스 | 세라 페일린
범법자들베네딕트 아놀드 | 제시 제임스 | 존 윌크스 부스 | 알 카포네 | 빌리 더 키드 | 윌리엄 M. 트위드 | 찰스 맨슨 | 와일드 빌 히콕 | 리 하비 오즈월드 | 러키 루치아노 | 존 딜린저
예술가들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 앤디 워홀 | 프레데릭 로 옴스테드 | 제임스 애벗 맥닐 휘슬러 | 잭슨 폴록 | 존 제임스 오듀본 | 조지아 오키프 | 토머스 에이킨스 | 토머스 내스트 | 앨프리드 스티글리츠 | 앤설 애덤스
종교인들조셉 스미스 | 윌리엄 펜 | 브리검 영 | 로저 윌리엄스 | 앤 허치슨 | 조너선 에드워즈 | 라파예트 로널드 허버드 | 엘런 화이트 | 코튼 매더 | 매리 베이커 에디 | 빌리 그레이엄
팝 아이콘들마크 트웨인 | 엘비스 프레슬리 | 마돈나 | 밥 딜런 | 마이클 잭슨 | 찰리 채플린 | 지미 헨드릭스 | 마릴린 먼로 | 프랭크 시나트라 | 루이 암스트롱 | 메리 픽포드
제국-건설자들앤드루 카네기 | 헨리 포드 | 존 D. 록펠러 | J. P. 모건 | 월트 디즈니 | 토머스 에디슨 | 윌리엄 랜돌프 허스트 | 하워드 휴즈 | 빌 게이츠 | 코닐리어스 밴더빌트 | 스티브 잡스
운동선수들베이브 루스 | 무하마드 알리 | 재키 로빈슨 | 제임스 네이스미스 | 아널드 슈워제네거 | 타이 콥 | 마이클 조던 | 헐크 호건 | 짐 도프 | 세크리테리엇 | 빌리 진 킹
출처






파일:LIFE_LOGO.png 선정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미국인
[ 펼치기 · 접기 ]

※ 1990년 미국의 시사잡지인 라이프에서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미국인 100인을 선정했다. 순위는 없으며, 만장일치로 선정된 인물은 헨리 포드라이트 형제뿐이다.
제인 애덤스
<사회 개혁가>
무하마드 알리
<권투선수, 인권 운동가>
엘리자베스 아덴
<사업가>
룬 알레지
<방송 경영자>
루이 암스트롱
<재즈 뮤지션>
조지 발란신
<안무가>
존 바딘
<물리학자>
어빙 벌린
<작곡가>
에드워드 버네이스
<홍보 책임자>
레너드 번스타인
<작곡가, 지휘자>
말론 브란도
<배우>
베르너 폰 브라운
<로켓 공학자>
데일 카네기
<작가>
월레스 캐러더스
<발명가, 화학자>
윌리스 하빌랜드 캐리어
<에어컨 발명가>
레이첼 카슨
<작가, 해양생물학자>
빙 크로스비
<가수, 배우>
클래런스 대로
<변호사>
유진 데브스
<노동운동가, 사회주의자>
로버트 더그래프
<포켓북 창업자>
존 듀이
<철학자>
월트 디즈니
<기업가, 애니메이션 제작자>
W. E. B. 듀보이스
<NAACP 설립자>
앨런 덜레스
<CIA 국장>
밥 딜런
<포크 뮤지션>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물리학자>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시인>
윌리엄 포크너
<소설가>
에이브러햄 플렉스너
<교육자>
헨리 포드
<기업가>
존 포드
<영화감독>
베티 프리댄
<페미니스트 여성 작가>
밀턴 프리드먼
<경제학자>
조지 갤럽
<여론 분석가>
아마데오 지아니니
<은행가>
빌리 그레이엄
<목사>
마사 그레이엄
<댄서, 안무가>
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
<영화감독>
조이스 홀
<사업가>
어니스트 헤밍웨이
<소설가>
올리버 홈스 주니어
<법학자>
존 에드거 후버
<FBI 초대 국장>
로버트 허친스
<교육자>
헬렌 켈러
<인권 운동가>
잭 케루악
<시인, 작가>
빌리 진 킹
<인권 운동가, 테니스 선수>
마틴 루터 킹
<목사, 인권 운동가>
알프레드 킨제이
<성과학자, 생물학자>
빌렘 콜프
<생명과학자>
레이 크록
<맥도날드 창업자>
에드윈 랜드
<과학자, 발명가>
윌리엄 레빗
<부동산 개발업자>
존 L. 루이스
<노동당 지도자>
찰스 린드버그
<비행기 조종사>
레이먼드 로이
<산업 디자이너>
헨리 루스
<편집자>
더글러스 맥아더
<군인, 정치인>
조지 C. 마셜
<군인, 정치인>
루이스 B. 메이어
<영화 제작자>
클레어 매카델
<패션 디자이너>
조지프 매카시
<변호사, 정치인>
프랭크 맥너마라
<신용카드 발명가>
마거릿 미드
<인류학자>
칼 메닝거
<정신과 의사>
찰스 E. 메릴
<주식 중개인>
루트비히 미스 반 데어 로에
<건축가>
로버트 모세
<공무원>
윌리엄 멀홀랜드
<토목 기사>
에드워드 R. 머로
<종군기자>
랠프 네이더
<소비자 보호가, 환경보호가>
라인홀드 니부어
<윤리학자>
존 폰 노이만
<물리학자, 수학자>
유진 오닐
<극작가, 작가>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물리학자>
윌리엄 S. 페일리
<방송 경영자>
잭슨 폴록
<화가>
에밀리 포스트
<소설가, 작가>
엘비스 프레슬리
<가수>
재키 로빈슨
<야구선수>
존 데이비슨 록펠러 주니어
<기업가>
리처드 로저스
(로저스 앤 해머스타인)
<뮤지컬 작곡가, 작사가>
윌 로저스
<배우, 작가>
엘리너 루스벨트
<FDR의 아내, 사회운동가>
베이브 루스
<야구선수>
조너스 소크
<소아마비 백신 개발자>
마거릿 생어
<사회운동가>
앨프리드 P. 슬론
<사업가, 산업가>
벤자민 스팍
<소아과 의사>
앨프리드 스티글리츠
<사진작가>
로이 스트라이커
<공무원, 사진작가>
빌 윌슨
<AA 창립자>
앤디 워홀
<화가>
얼 워런
<대법원장>
제임스 듀이 왓슨
<생물학자, 유전학자>
토머스 왓슨 주니어
<사업가, 정치인>
테네시 윌리엄스
<극작가>
월터 윈첼
<신문기자>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건축가>
라이트 형제
<최초의 비행기 제작자>
말콤 엑스
<인권 운동가>
출처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 공로상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27/1928년1928/1929년1929/1930년1930/1931년
워너 브라더스찰리 채플린없음
1931/1932년1932/1933년1934년1935년1936년
월트 디즈니없음셜리 템플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시간의 행진
1936년1937년
W. 하워드 그린
해럴드 로슨
에드가 버겐W. 하워드 그린현대미술관 영화도서관맥 세네트
1938년
J. 아서 볼월트 디즈니디아나 더빈
미키 루니
고든 제닝스 외 10인올리버 T. 마쉬
앨런 데이비
1938년1939년
해리 워너더글러스 페어뱅크스주디 갈랜드윌리엄 카메론 멘지스영화구호기금
1939년1940년1941년
테크니컬러 USA밥 호프네이선 레빈슨월트 디즈니
윌리엄 가리티
존 N. A. 호킨스
RCA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와 그의 동료들
1941년1942년
레이 스콧영국 정보부샤를 부아예노엘 코워드메트로 골드윈 메이어
1943년1944년1945년
조지 팔밥 호프마가렛 오브라이언리퍼블릭 스튜디오
대니얼 J. 블룸버그
리퍼블릭 스튜디오 사운드 부서
월터 웡거
1945년1946년
내가 사는 집 (영화)페기 앤 가너해롤드 러셀로런스 올리비에에른스트 루비치
1946년1947년
클로드 자먼 주니어제임스 바스켓윌리엄 니콜라스 세릭
앨버트 E. 스미스
조지 커크 스푸어
빌과 쿠 (영화)구두닦이 (영화)
1948년1949년
월터 웡거무슈 빈센트 (영화)시드 그라우만아돌프 주커진 허솔트
1949년1950년
프레드 아스테어세실 B. 드밀자전거 도둑 (영화)루이스 B. 메이어조지 머피
1950년1951년1952년
말라파가의 벽 (영화)진 켈리라쇼몽 (영화)메리안 C. 쿠퍼밥 호프
1952년1953년
해럴드 로이드조지 미첼조셉 M. 쉔크금지된 게임 (영화)20세기 폭스
1953년1954년
벨 & 하웰 컴퍼니조셉 브린피트 스미스부스 & 롬 컴퍼니대니 케이
1954년
켐프 니버그레타 가르보존 휘틀리빈센트 윈터지옥문 (영화)
1955년1956년1957년
사무라이 i: 미야모토 무사시 (영화)에디 캔터영화 및 텔레비전 기술자 협회길버트 M. 앤더슨찰스 브래킷
1957년1958년1959년1960년
B. B, 카헤인모리스 슈발리에버스터 키튼리 드 포레스트게리 쿠퍼
1960년1961년
스탠 로렐헤일리 밀스윌리엄 L. 헨드릭스프레드 L. 메츨러제롬 로빈스
1962년1963년1964년1965년1966년
없음윌리엄 J. 터틀밥 호프야키마 카넛
1966년1967년1968년1969년
Y. 프랭크 프리먼아서 프리드존 챔버스오나 화이트케리 그랜트
1970년1971년1972년
릴리안 기시오슨 웰스찰리 채플린찰스 S. 보렌에드워드 G. 로빈슨
1972년1973년1974년
앙리 랑글로아그루초 막스하워드 혹스장 르누아르메리 픽포드
1976년1977년1978년
없음마가렛 부스월터 란츠로런스 올리비에킹 비더
1978년1979년1980년1981년
현대미술관 영화과할 엘리아스알렉 기네스헨리 폰다바버라 스탠윅
1982년1983년1984년1985년
미키 루니할 로치제임스 스튜어트국립예술기금폴 뉴먼
1985년1986년1987년1988년
알렉스 노스랄프 벨라미없음코닥캐나다 국립영화위원회
1989년1990년1991년1992년
구로사와 아키라소피아 로렌머나 로이사티야지트 레이페데리코 펠리니
1993년1994년1995년1996년
데보라 카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커크 더글러스척 존스마이클 키드
1997년1998년1999년2000년
스탠리 도넌엘리아 카잔안제이 바이다잭 카디프어니스트 리먼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2002년2003년2004년
시드니 포이티어로버트 레드포드피터 오툴블레이크 에드워즈시드니 루멧
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로버트 올트먼엔니오 모리코네로버트 F. 보일없음로렌 바콜
2009년2010년
로저 코먼고든 윌리스케빈 브라운로장뤽 고다르일라이 월랙
2011년2012년
제임스 얼 존스딕 스미스돈 앨런 페네베이커할 니덤조지 스티븐스 주니어
2013년2014년
안젤라 랜스버리스티브 마틴피에로 토시장클로드 카리에미야자키 하야오
2014년2015년2016년
모린 오하라스파이크 리제나 로우랜즈성룡린 스털마스터
2016년2017년
앤 V. 코츠프레더릭 와이즈먼찰스 버넷오웬 로이즈먼도날드 서덜랜드
2017년2018년2019년
아녜스 바르다마빈 레비랄로 쉬프린시실리 타이슨데이비드 린치
2019년2020년2021년
웨스 스투디리나 베르트뮐러없음새뮤얼 L. 잭슨일레인 메이
2021년2022년2023년
리브 울먼피터 위어유잔 팔시다이앤 워런





파일:goldenglobe_cecildemil.png
골든글로브 세실 B. 드밀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52년1953년1954년1955년1956년
세실 B. 드밀월트 디즈니대릴 F. 재넉진 허숄트잭 L. 워너
1957년1958년1959년1960년1961년
머빈 르로이버디 아들러모리스 슈발리에빙 크로스비프레드 아스테어
1962년1963년1964년1965년1966년
주디 갈랜드밥 호프조셉 E. 레빈제임스 스튜어트존 웨인
1967년1968년1969년1970년1971년
찰턴 헤스턴커크 더글러스그레고리 펙조안 크로포드프랭크 시나트라
1972년1973년1974년1975년1977년
앨프리드 히치콕새뮤얼 골드윈베티 데이비스핼 B. 월리스월터 미리쉬
1978년1979년1980년1981년1982년
레드 스켈톤루실 볼헨리 폰다진 켈리시드니 포이티어
1983년1984년1985년1986년1987년
로런스 올리비에폴 뉴먼엘리자베스 테일러바버라 스탠윅안소니 퀸
1988년1989년1990년1991년1992년
클린트 이스트우드도리스 데이오드리 헵번잭 레먼로버트 미첨
1993년1994년1995년1996년1997년
로렌 바콜로버트 레드포드소피아 로렌숀 코너리더스틴 호프먼
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
셜리 맥클레인잭 니콜슨바브라 스트라이샌드알 파치노해리슨 포드
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
진 해크먼마이클 더글러스로빈 윌리엄스안소니 홉킨스워렌 비티
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스티븐 스필버그마틴 스코세이지로버트 드 니로모건 프리먼조디 포스터
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우디 앨런조지 클루니덴젤 워싱턴메릴 스트립오프라 윈프리
2019년2020년2021년2023년
제프 브리지스톰 행크스제인 폰다에디 머피




파일:sezar-trophy.png
세자르 공로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6년1977년1978년
잉그리드 버그만다이애나 로스앙리 랑글루아자크 타티로버트 도프만
1978년1979년1980년
르네 고시니마르셀 카르네샤를 바넬월트 디즈니피에르 브롱베르제
1980년1981년1982년
루이스 드 푸네스커크 더글러스마르셀 파뇰알랭 레네조르주 댄시거즈
1982년1983년1984년
알렉산드르 노우츠킨장 네니안제이 바이다Raimu르네 클레망
1984년1985년
조르주 드 보르가르에드위지 푸이에르크리스티앙 자크다니엘 다리외크리스틴 구즈레날
1985년1986년
알렝 프와레모리스 자르베티 데이비스장 들라누아René Ferracci
1986년1987년1988년1989년
클로드 란츠만장뤽 고다르세르지 실버만베르나르 블리에폴 그리모
1990년1991년1992년
제라르 필리프장 피에르 오몽소피아 로렌미셸 모르강실베스터 스탤론
1993년1994년1995년
장 마레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제라드 우리장 카르메잔느 모로
1995년1997년1997년
그레고리 펙스티븐 스필버그로렌 바콜앙리 베르누이샤를 아즈나부르
1997년1998년1999년
앤디 맥도웰마이클 더글러스클린트 이스트우드장뤽 고다르페드로 알모도바르
1999년2000년
조니 뎁장 로슈포르조지안 발라스코조르주 크라벤느장피에르 레오
2000년2001년2002년
마틴 스코세이지데리 코울샬럿 램플링아녜스 바르다아누크 에메
2002년2003년
제러미 아이언스찰리 리치베르나데트 라퐁스파이크 리메릴 스트립
2004년2005년2006년
미셸린 프레슬자크 뒤트롱윌 스미스휴 그랜트피에르 리차르
2007년2008년
마를렌 조베르주드 로잔느 모로로베르토 베니니로미 슈나이더
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더스틴 호프먼해리슨 포드쿠엔틴 타란티노케이트 윈슬렛케빈 코스트너
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스칼렛 요한슨숀 펜마이클 더글러스조지 클루니페넬로페 크루스
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로버트 레드포드없음*
* 내정자(브래드 피트)의 수상 거부로 당해의 수상자를 공석 처리.




파일:Annie_Award.png
윈저 맥케이상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2년1973년1974년
맥스 플라이셔데이브 플라이셔월터 란츠텍스 에이버리프리즈 프레렝
1974년1975년
척 존스아트 배빗윈저 맥케이그림 네트윅월트 디즈니
1975년1976년
존 허블리페이스 허블리노먼 맥라렌로버트 캐넌휴 하먼
1976년1977년
루돌프 이징마이클 말테스조지 팔워드 킴볼윌리엄 해나
1977년
조셉 바베라멜 블랭크오스카 피싱거빌 스콧밀트 칼
1978년
제이 워드어브 아이웍스딕 휴머칼 스탈링한스 콘리드
1979년1980년
클라이드 제로니미빌 멜렌데즈매 퀘스텔오토 메스머올리 존스턴
1980년1981년
프랭크 토머스칼 하워드폴 줄리안라번 하딩T. 히
1981년1982년
빌 피트빌 타이틀라존 휘트니켄 헤리스켄 엔더슨
1982년1983년
브루노 보제토준 포레이도날드 W. 그레이엄마크 데이비스에릭 라슨
1983년
프레드 무어클라렌스 내쉬볼프강 레이더먼레오 살킨스티븐 보수스토
1983년1984년
윌프레드 잭슨다우스 버틀러데이비드 핸드잭 키니마이클 라
1984년1985년
로버트 매킴슨리처드 윌리엄스해밀턴 러스크로버트 아벨프레스턴 블레어
1985년
조 그랜트존 핼러스스털링 홀러웨이짐 맥도날드필 먼로
1985년1986년
벤 워셤프레더릭 백샤머스 컬해니윌리엄 T. 허츠이르벤 스펜스
1986년1987년
에머리 호킨스존 란즈베리폴 드리센잭 해나빌 리틀존
1987년1988년
모리스 노블켄 오코너노먼 퍼거슨멜 쇼랠프 박시
1988년1989-1990년
밥 크렘펫티사 데이비드가와모토 기하치로버질 로스아트 클로키
1989-1990년
힉스 로키알렉스 로비돈 메식데즈카 오사무레스터 노브로스
1991년
레이 해리하우젠허버트 클린밥 커츠유리 노르슈테인조 시라쿠사
1991년1992년1993년
루스 키산레스 클라크스탠 프레버그데이비드 힐버만조지 더닝
1993년1994년
로이 E. 디즈니잭 잰더에드 베네딕트아서 데이비스장 밴더 필
1995년1996년
줄스 엥겔반스 게리댄 맥로린메리 블레어버니 매티슨
1996년1997년1998년
타카모토 이와오윌리스 H. 오브라이언마이런 왈드먼폴 윈첼에위빈드 얼
1998년1999년
미야자키 하야오어니스트 핀토프레이 패터슨마르셀 얀코비츠콘 페더슨
2000년
노먼 맥케이브호이트 커틴루실 블리스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2002년
빌 저스티스피트 알바라도밥 기븐스진 하젤튼플로이드 노먼
2002년2003년2004년
셔먼 형제진 디치존 헨치썰 라벤스크로프트돈 블루스
2004년2005년
버지니아 데이비스아놀드 스탱코니 콜프레드 크리펜타이러스 웡
2006년2007년
안드레아스 데자겐디 타르타콥스키빌 플림턴존 케인메이커글렌 킨
2007년2008년2009년
존 크릭팔루시마이크 저지존 라세터닉 파크팀 버튼
2009년2010년
제프리 카첸버그브루스 팀브래드 버드에릭 골드버그맷 그레이닝
2011년2012년
월터 페리고이뵈르게 링로널드 설테리 길리엄오스카 그릴로
2012년2013년2014년
마크 헨오토모 카츠히로스티븐 스필버그필 티페트디디에 브루너
2014년2015년
돈 러스크리 멘델슨조 랜프트필 로먼타카하타 이사오
2016년2017년
데일 베어캐롤라인 리프오시이 마모루제임스 백스터스티븐 힐렌버그
2017년2018년2019년
웬디 틸비
아만다 포비스
랄프 이글스톤안드레아 로마노프랭크 브랙스톤곤 사토시
2019년2020년
헨리 셀릭론 클레먼츠존 머스커윌리 이토수 C. 니콜스
2020년2021년2022년
브루스 W. 스미스루벤 A. 아퀴노릴리언 슈워츠스즈키 토시오피트 닥터
2022년
에블린 램바트크레이그 맥크라켄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3.3.1|{{{#b69858 그래미 어워드 공로상 수상자
Grammy Trustees Award}}}]]'''
[ 펼치기 · 접기 ]

1967년게오르그 솔티, 존 컬쇼
1968년듀크 엘링턴, 빌리 스트레이혼,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
1970년로버트 무그
1971년크리스 알버트슨, 존 하몬드, 레리 힐러, 폴 웨스턴
1972년비틀즈
1977년토머스 에디슨,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1979년고다드 리버슨, 프랭크 시나트라
1981년카운트 베이시, 에런 코플런드
1983년레스 폴
1984년벨라 바르톡
1985년엘드릿지 R. 존슨
1986년조지 거슈윈, 아이라 거슈윈
1987년해럴드 알렌, 에밀 벌리너, 제롬 컨, 조니 머서
1989년월트 디즈니, 퀸시 존스, 콜 포터
1990년딕 클라크
1991년밀트 가블러, 베리 골디, 샘 필립스
1992년토마스 A. 도시, 크리스틴 파논, 오스카 해머스타인 2세, 로렌즈 하트
1993년아흐메트 에르테군, 네스시 에르테군, W. C. 핸디, 조지 T. 사이먼
1994년노먼 그란츠
1995년피에르 코세트
1996년조지 마틴, 제리 웩슬러
1997년허브 앨퍼트, 제리 모스, 버트 배커랙, 핼 데이비드, 알란 제이 러너, 프레드릭 뢰베, 제리 리버와 마이크 스톨러
1998년홀렌드-호지어-홀렌드, 프란시스 W. 프레스톤, 리처드 로저스
1999년갬블 & 허프
2000년클라이브 데이비스, 필 스펙터
2001년아리프 말딘, 필 라몬
2002년톰 다우드, 앨런 프리드
2003년알란 로막스, 뉴욕 필하모닉
2004년게리 고핀 & 캐롤 킹, 오린 키프뉴스, 마리안 멕파랜드
2005년호기 카마이클, 돈 코넬리우스, 알프레드 라이언, 빌리 테일러
2006년크리스 블랙웰, 오웬 브래들리, 알 슈미트
2007년에스텔 액스턴, 코시마 마타사, 스티븐 손드하임
2008년클라렌스 애반트, 잭 홀츠만, 윌리 미첼
2009년조지 아바키안, 엘리엇 카터, 알렌 투생
2010년해롤드 브래들리, 플로렌스 그린버그, 월터 C. 밀러
2011년알 벨, 윌마 코자트 파인, 브루스 룬드벌
2012년데이브 바솔로뮤, 스티브 잡스, 루디 반 겔더
2013년알란 버그만 & 마릴린 버그만, 레오나드 체스 & 필 체스, 알란 W. 리빙스턴
2014년엔니오 모리코네, 릭 홀, 짐 마샬
2015년베리 만 & 신시아 웨일, 리차드 페리, 조지 웨인
2016년존 케이지, 프레드 포스터, 크리스 스트레비치
2017년톰 벨, 모 오스틴, 랄프 피어
2018년빌 그레이엄, 세이무어 스테인, 존 윌리엄스
2019년루 애들러, 애쉬포드 & 심슨, 조니 멘델
2020년프랭크 버클리 워커, 켄 에를리히, 필립 글래스
2021년에드 처니, 베니 골슨, 베이비페이스
2023년헨리 딜츠, 엘리스 마살리스, 짐 스튜어트
같이 보기: 평생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
[ 펼치기 · 접기 ]

이름월트 디즈니
WALT DISNEY
분야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영화 심볼.jpg 영화
입성날짜1960년 2월 8일
위치7021 Hollywood Blvd.




||
[ 펼치기 · 접기 ]

이름월트 디즈니
WALT DISNEY
분야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텔레비전 심볼.jpg 텔레비전
입성날짜1960년 2월 8일
위치6747 Hollywood Blvd.




월트 디즈니
Walt Disney
파일:1515119987576476.jpg
본명월터 일라이어스 디즈니
Walter Elias Disney
출생1901년 12월 5일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사망1966년 12월 15일 (향년 65세)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뱅크[1]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직업애니메이터, 성우[2], 애니메이션 감독
영화 제작자[3],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기업인
활동1920년 ~ 1966년
신체178cm
부모아버지 앨라스 디즈니
어머니 플로라스 콜 디즈니
형제형 로이 올리버 디즈니[4]
배우자릴리안 디즈니[5] (1925년 결혼)
자녀친딸 다이앤 마리 디즈니
양딸 샤론 메이 디즈니
종교개신교 (회중교회)[6]
최종 당적

서명파일:월트 디즈니 서명.png

1. 개요
2. 생애
3. 평가
3.1. 비판
4. 루머
4.3. 백인 우월주의자 논란
4.4. 그 외
5. 어록
6. 여담
7. 관련 인물
8. 관련 자료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www.themainstreetmouse.com/ins_waltdisney-e1418617068102.jpg

미국애니메이터, 영화 제작자, 기업인.

세계적 미디어 기업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창업자이다.

"감독이 한 것도 자신이 했다."는 식으로 포장한 일이 많아 애니메이션 감독으로 잘못 아는 사람이 많으나 그가 감독을 한 작품은 회사 설립 초기의 단편 애니메이션들이고[7], 대부분의 대표 작품은 연출 감독을 따로 두고 월트 본인은 기획과 프로듀스를 했다. 월트 디즈니의 능력은 프로듀서와 기업가로서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2. 생애[편집]


1901년 12월 5일 미국 시카고 출생.[8] 부모님은 영국령 캐나다에서 이민온 아일랜드계 빈농이었다. 10세 때는 생계 문제 때문에 가족이 미주리주의 마르셀린으로 이주했다. 마르셀린에서 농사 실패로 농장을 팔아 캔자스시티로 이주했다. 돈 문제로 정규 교육은 많이 받지 못했으나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고 상상력이 풍부했다고 한다. 그러나 정작 그림 실력은 그다지 뛰어나지 않아 그림으로 많은 돈은 벌지 못했으며, 생계를 위해 이것저것 다양한 일을 했다. 1917년에는 적십자사 트럭 운전수로 제1차 세계 대전을 경험하기도 했다.

전쟁 후 캔자스시티 광고업체에서 컷 아웃 애니 제작에 착수해 뉴욕에서 셀룰로이드를 사서 《빨간 모자》를 만들었다. 이 시기 친구이자 천재 애니메이터 어브 아이웍스와 인연을 맺어 1922년 래프 오 그램(Laugh-O-Gram) 사를 세워 《신데렐라》나 《잭과 콩나무》 같은 명작 동화 단편 애니 6개를 제작하고, 혼자 뉴욕에 가서 1만 1천 달러를 조건으로 배급업체에 팔았으나 계약금 100달러를 받은 채 회사가 도산했다.[9] 이후 그는 어브와 헤어져 뉴스 영화 카메라맨 등으로 생계를 이어가다 실사영화 감독이 되기 위해 할리우드로 진출했으나, 아무도 받아주지 않자 애니메이션 하나에 전념하기로 마음먹고 형 로이와 함께 디즈니 브라더스 스튜디오를 세웠고, 실사-애니 합성영화 <앨리스 코미디 시리즈>를 제작해 처음으로 성공했다. 이 시기부터 월트는 사업 및 제작에 전념하고 어브를 총작화감독으로 다시 불러서 작화를 맡기도록 했다.

1927년 대형 영화사 유니버설 픽처스의 발주로 만든 오스왈드 래빗이 예상 외로 인기를 끌자, 배급사였던 유니버설 픽처스에게 그 캐릭터를 빼앗기고 말았다.[10] 이에 월트는 '두 번 다시 딴 회사 하청 안 맡겠다!'고 다짐하여 어브와 함께 오스왈드를 손봐 미키 마우스를 만들어 1928년에 미친 비행기를 선보였다. 미키 마우스의 성공으로 사업을 점차적으로 확장해 도날드 덕, 구피 구프 등 인기 캐릭터들을 내세운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여 큰 성공을 거둔다.

그러나 1930년 들어 절친 어브가 월트와의 갈등으로 헤어졌고, 팻 파워즈(Pat Powers)와도 대립이 지속되자 배급처를 컬럼비아 픽처스로 옮겨 최초의 컬러 애니 <꽃과 나무>를 만들었고[11], 1932년 유나이티드 아티스트로 배급처를 옮긴 뒤 중편 애니 <아기돼지 삼형제>를 만들어 히트했다. 1934년 RKO 라디오 픽쳐스로 배급처를 옮겨 장편 영화의 제작에 뛰어들어 1937년까지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제작에 돌입했다. 제작 당시 주위로부터 '미친 놈' 소리를 듣고 빚더미까지 올랐으나, 개봉 후 흥행성적이 8백만 불에 달해 빚더미를 말끔히 청산하고 임금체불도 해소됐으며, 디즈니 프로덕션 역시 우량기업으로 등극했다. 이후 버뱅크로 스튜디오를 옮겨 종업원은 1,000여명이 됐다.

1940년대 초엔 피노키오(1940년), 덤보(1941년), 밤비(1942년) 등을 각각 만들었으나, 타 영화사들과 달리 흥행은 적자였고 정리해고 및 임금삭감 등의 조치를 취하자 노사분규가 벌어지기도 했다.[12] 이를 타개하고자 장편 애니 제작을 중지하고 총통각하의 낯짝 같은 전쟁 홍보 애니메이션을 제작했으며, 일부 직원들이 미군의 태평양 전선 & 유럽 전선 참전을 위해 병영으로 징집된 일도 있었다. 2차 대전 중에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은 작품들을 수출할 해외 시장의 상실이 겹쳐서 재정적으로 상당한 적자에 시달렸고, 종전 이듬해(1946년)에도 사내 직원들의 절반을 해고했던 일 등의 고난을 겪으면서 점차 애니메이터나 연출가 등 스탭들에게 권리를 존중하는 쪽으로 바꾸었다.

전쟁의 여파에서 벗어난 1950년대 초부턴 신데렐라(1950년),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1951년), 피터 팬(1953년) 등의 동화에 기반을 둔 애니메이션들을 잇따라 개봉했는데, 그 때마다 그야말로 폭발적인 인기 몰이를 하게 된다. 그러나 월트 본인은 자신이 직접 체크하고 연출한 작품이 아니란 이유로 썩 내켜하지 않았고, 1953년 브에나 비스타란 독자 배급사를 세우고 1955년에 오랫동안 구상해 낸 테마파크인 '디즈니랜드'를 만든다. 1964년에는 애니메이션과 실사를 합성한 영화인 메리 포핀스를 제작해 생애 처음으로 아카데미 작품상 후보에 오르는 쾌거를 이뤘다.[13] 월트 디즈니는 메리 포핀스를 그의 경력에서 최고의 업적 중 하나로 여겼으며, 평론가 레너드 말틴은 이 영화를 "이미 환상적인 디즈니의 경력의 정점"이라고 평했다.#

월트 디즈니는 생전에 거의 700편에 달하는 각종 애니메이션과 실사 영화, 다큐멘터리 등에 제작자로 참여했고, 1954년부터 CBS <Walt Disney's Wonderful World>[14]를 통해 진행/해설자로서 얼굴을 비췄다.

마지막으로 정글북을 제작하던 도중에[15] 폐암이 발병해 버뱅크 세인트 조셉 병원에 입원해 폐 절단 수술을 받았다. 그는 수술마저도 버텼지만 몸을 살피지 않고 불철주야로 일한 완벽주의자였었던 탓에 회복이 더뎠다.

디즈니 프로덕션 식구들의 끊임없는 쾌유 기원에도 불구하고 1966년 12월 15일, 생일이 지난 지 10일 만에 65세로 숨을 거뒀다. 사망 전에 유언으로 "내가 살아있는 것처럼 기억하기 위해 장례식을 치르지 말아달라"고 전했고, 시신은 화장되어 글렌데일의 포레스트 론 공동묘지에 유해가 안장됐다.

월트 사후에 디즈니 프로덕션은 한동안 부침을 겪었으나, 1980년대 들어 회사 외부에서 마이클 아이스너, 제프리 카첸버그 등의 경영인들을 영입하고 기업 구조를 쇄신하면서 디즈니는 새로운 회사로 다시 태어난다. 그리고 영화 산업과 저작권으로 돈을 긁어모으는 회사가 되었다...[16] 여담으로 월트 디즈니의 시신이 냉동인간 상태로 보존되어 있다는 설이 나돌기도 하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니 믿지 말자.

그외 자세한 인생사는 다음백과- 월트 디즈니영문 위키백과를 참고해볼 것.


3. 평가[편집]


월트 디즈니가 애니메이션 업계와 세계 오락 산업에 미친 영향력은 현재도 방대하게 남아있으며 대중문화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히기도 한다. 새터데이 이브닝 포스트는 그를 통틀어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엔터테이너이자 가장 유명한 비정치적 공인"이라고 일컬었고 뉴욕타임즈는 그를 추모하는 기사에서 "아마도 미국소련 양쪽으로부터 칭찬받은 유일한 사람일 것"이라고 평가했고 뉴욕 데일리뉴스는 월트 디즈니를 '20세기아이소포스'라 표현하기도 했다. 영화 감독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은 월트 디즈니의 작품을 미국의 가장 뛰어난 예술적 성취라며 극찬을 하기도. #

1920년대 말에 월트는 미국 애니메이션을 새롭게 창조했다.[17] 움직임이나 선의 탄력성을 강조하던 신기한 어떤 것으로부터 캐릭터와 내러티브와 감정을 강조하는 예술로 차츰 뒤바꿔놓는 식이었다. 아울러 월트는 부드럽고 둥글고 대담하고 다채로운 형태를 선보임으로써 그래픽 디자인을 새롭게 창출하는 데에도 크게 이바지했다. 그로부터 수십 년이 흐른 뒤 선구자적 예술가들은 월트가 제작한 애니메이션에서 나왔던 그래픽 디자인을 채택해서 각색했다.

평론가 로버트 휴즈는 "월트 디즈니는 저급예술과 고급예술의 수렴을 통해서 팝아트 분야를 일궈낸 장본인"이라고 평가했다.

월트 디즈니는 애니메이션뿐 아니라 디즈니랜드를 통해서 미국 오락의 외양을 변모시키기도 했다. 분명히 디즈니랜드 이전에도 놀이공원이 있긴 했지만, 하나같이 이러저러한 탈것들, 게임, 쇼를 뒤섞어놓은 잡탕이었다. 디즈니는 놀이공원을 일련의 오락거리를 모아놓은 곳이 아니라 상상력이 충만한 체험의 공간, 즉 테마파크로 탈바꿈시켰다. 그가 제작한 애니메이션이 그래픽 디자인을 변모시킨 것처럼 그의 공원도 결국에는 도시 디자인을 바꿔놓은 것이다.

파일:월트 디즈니 시너지.png
월트 디즈니가 1957년 작성한 그림. 현대의 미디어 믹스 전략을 그보다 훨씬 이전에 정립해놓았다고 볼 수 있다.
기업인으로서 월트 디즈니는 텔레비전의 잠재력을 알아본 할리우드 최초의 인물이었다. 디즈니랜드와 자사의 애니메이션 영화들을 홍보할 목적으로 ABC에서 방영될 시리즈물을 제작하기로 한 디즈니의 결단은 극장텔레비전이 화해할 수 있도록 물꼬를 터주었다. 월트 디즈니는 TV 프로그램, 장편 애니메이션, 실사영화, 다큐멘터리, 테마파크, 음악 서적, 코믹북, 캐릭터 굿즈, 교육영화를 모두 단일 기업의 이름으로 묶어낸 최초의 인물이기도 하다. 그는 경영적인 측면에서 원 소스 멀티 유즈의 전형을 확립하여 최초의 현대적인 멀티미디어 기업을 일구어냈고, 뒤이은 미디어 거대 재벌의 단초를 마련했다.

이처럼 월트 디즈니는 위대한 기업인으로 평가받지만 그럼에도 사실 본인은 직접 회사를 경영했던 인물은 아니었다. 월트는 주로 기획적인 측면에서 회사에 기여한 것이었고 회사의 전반적인 재무를 담당하는 사람은 회사의 공동 창업자이자 그의 형인 로이 디즈니였다. 그는 1929년부터 1971년 뇌졸중으로 사망하기 전까지 디즈니의 CEO로 재직하며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제작에 필요한 자금과 디즈니랜드의 건설에 필요한 투자처를 확보하는 등 월트가 구상한 아이디어를 경제적으로 서포트하는 데 끝까지 헌신했다. 그래서 로이 디즈니의 재정적 뒷받침이 없었다면 지금의 디즈니도 없었을 것이라 평가하는 의견도 있다. 야심적인 크리에이터와 이를 뒤에서 지원하는 비즈니스적 파트너의 동업이라는 측면에서 둘의 관계를 다른 곳에 비유하자면 초창기 픽사에서의 존 라세터스티브 잡스의 관계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을 듯.


3.1. 비판[편집]


당연히 월트 디즈니에게도 어둠이 있다. 가공할 저임금으로 하청을 했으며 모든 작품을 홍보할 때 영화 제작자인 자신의 이름을 내세우고 홍보하였다. 그래서 지금도 월트 디즈니가 만든 애니로만 알지 이 작품들의 영화 감독이나 애니메이터들을 아는 사람이 많지 않다.[18] 현재도 디즈니, 픽사, 드림웍스 등 미국의 대형 애니메이션 제작사들은 신작이 나올 때마다 제작사 자체의 브랜드에만 의존해서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애니메이션 제작사 입장에서는 언제 회사를 그만둘지 모르는 직원을 밀어주는 것보단 회사가 다 한 걸로 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19] 덕분에 히트작을 다수 연출한 감독들조차 이름을 알리지 못하는 판. 미국 애니메이션 감독들은 인터넷 시대가 오고 직접 팬과 소통하기 시작하면서 그제서야 이름을 알린 사람들이 많다.[20] 옆동네 일본도 마찬가지였다. 그나마 일본은 1세대 오타쿠인 히카와 류스케, 데이터 하라구치 같은 평론가들이 창작자의 중요성을 재차 강조해서 감독 이름이 알려진 편이다. 일본도 기업이 앞장서서 창작자를 강조하는 경우는 드물다. 일본 외에도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인데 이러한 안 좋은 흐름을 만든 게 월트 디즈니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미키 마우스를 비롯한 디즈니의 마스코트 캐릭터들을 만들어낸 친구 어브 아이웍스와 갈등도 유명한 사실이다. 평소 조용하고 온화롭던 어브는 월트가 애니 타이밍을 무단 변경한다거나, '그깟 동화는 아랫것한테 맡겨라'라고 주장했기에 두 차례 언쟁을 벌였다. 분개한 아이웍스가 독립하자, 수단방법 안 가리고 훼방을 놓기도 했다. 결국 아이웍스는 애니메이션보단 멀티플레인 촬영기법 등 애니 효과 개발로 주로 이름을 날리게 된다.[21]

그 밖에도 스튜디오에서 감독에게 잦은 간섭을 해서 참다못한 여러 감독들이 1941년 디즈니 애니메이터 파업에 참가하여 끝내 UPA라는 독립 스튜디오를 만들어서 디즈니를 풍자하며 실컷 비난할 정도였다. 돈에 환장하고 독재자 스타일이며 밑에 사람을 간섭하고 괴롭히는 사람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월트가 처음부터 잦은 간섭만 했었던 사람이라면 밑의 애니메이터, 연출가들처럼 이들이 그의 스튜디오에서 일하지 않았었을 것이며, 파업이 진행되었을 때에도 월트의 편에서 잔류한 애니메이터들이 있었다. 월트는 동화 하청 작업 같은 노가다에 가까운 작업은 저임금을 지불했지만 애니메이션의 품질에 크게 작용하는 연출 작업을 하는 연출가와 중요한 원화를 그리는 애니메이터에게는 엄청난 고액을 지불하며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22] 월트 디즈니는 작품이 성공하거나 좋은 작화가 나와도 칭찬에 매우 인색했는데 성격이 소심하고 살짝 이상했기 때문에 "칭찬을 하느니 보너스로 돈을 더 주면 좋아할 것이다."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23] 거기다 애니메이터를 고를 때는 완전히 실력제였고 학력이나 출신은 특별히 보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끝까지 그를 따른 애니메이터도 적지 않다. 다만 애니메이터들의 말로는 돈을 엄청나게 줬지만 그 대신 완벽주의자인 월트는 정말 말도 안 되는 수준의 작화를 요구해서[24] 그 돈을 받아도 부족할 정도였다고 하며, 버티기 힘들어 그만두는 사람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이러한 독단주의적 성향과 직원에 대한 부당한 대우로 인해 수많은 직원들이 스튜디오를 떠났던 것은 월트의 치명적인 실책이자 비판받을 오점임엔 분명하다. 그런데 월트 디즈니는 이렇게 사람들이 그만두어도 다시 인재를 찾아오면 된다는 마인드였으며 신기하게도 또 어디선가 인재를 데려와서 작품과 회사는 살리는 신기한 재주가 있었다고 한다. 이렇게 자신 맘대로 해도 일이 잘 풀려니 문제를 고칠 생각이 없었으며 이런 그의 성향은 죽을 때 까지 변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 이중성은 상대가 형제라도 예외가 아니었는데, 회사 설립 시 공동 창업자였던 형 로이 올리버 디즈니에게 회사명을 '디즈니 브라더스'로 짓겠다고 약속한 뒤, '월트 디즈니'로 등록한 뒤 화를 내는 로이에게 '사장 이름을 넣어야 신뢰감이 있다'고 발뺌했다.


4. 루머[편집]


월트 디즈니에 대한 루머가 많은데, 일부는 실제였으나 잘못 알려진 것도 상당수. 대표적인게 월트 디즈니가 죽은후 냉동보관 되었다는것, 그리고 반유대주의자라는 것. 다음은 음모론자들의 주장이다.


4.1. 냉동인간[편집]


월트 디즈니가 사망한 후 냉동보존되었다는 루머가 널리 퍼져있으나 사실이 아니다.

디즈니는 1966년 12월에 사망 후 화장되어 글렌데일 포레스트 론 메모리얼 파크에 안치되었다. 최초의 냉동인간인 제임스 베드포드는 1967년에 냉동되었다.

4.2. 반유대주의 논란[편집]




월트 디즈니는 인종 차별주의자이며 특히 유대인을 너무나도 증오하여 디즈니에는 일절 유대인이 입사하질 못했다는 루머가 지금까지도 남아있다. 덕분에 어빙 탈버그 상을[25] 받고서 트로피를 집안에 내던졌다는 후문까지 있다. 또한 한동안 나치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때문에 사실 히틀러와 개인적인 친구라는 이야기까지 있었을 정도.[26]. 다만 히틀러가 별 볼 일 없던 시절에는 초창기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극장에서 볼 시기와 겹치기 때문에, 미키 마우스를 따라 그린 것이 남아있기도 하다.[27] 아이러니 하게도 제2차 세계대전이 터지고 나자, 나치와 싸우는 미군과 후방의 국민들을 고무하기 위한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이 역할을 엄청 성공적으로 수행해서 디즈니는 재정적으로도 크게 성장하고, 그 이후 미국에서 애니메이션이 대중적인 문화가 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위에 서술된 주장들은 확실한 근거가 빈약하다. 첫째로 월트 디즈니의 전기문 Walt Disney 미국적 상상력의 승리를 쓴 닐 개블러(Neal Gabler)에 의하면 월트가 일부 반유대주의자들과 친구이긴 했으나 본인은 반유대주의 활동을 한 적이 없다고 한다. 또한 아래에도 명시된 대로, 월트는 오히려 유대인 단체들에 대한 기부도 활발한 편이었다. # 둘째로 디즈니가 나치에 긍정적이었다는 주장 역시 근거는 없으며, 실제로 나치에 대해서 제대로 알았을지조차 확실치 않은 관계로 루머이다. 게다가 유대인인 제프리 카젠버그는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회장을 맡은 바 있으며, 부사장도 짐 골드먼 같은 유대인 간부들이 주축이다.[28]

또한 월트는 살아서도 유대인들을 고용했다. 디즈니의 초기 대표 애니메이터인 '아트 배빗(Art Babbitt)'도 유대인이었다. 물론 그는 죽을 때까지 월트의 인성을 까기는 했으나 월트가 자신에게 지불한 금전적 대우는 부족하지 않았다고 했다. 각종 유대인 관련 단체들에 기부도 했다고 한다. 심지어는 한 유대인 단체에 의해 1955년 올해의 인물로까지 선정되었다. ##2[29]

우습게도 중동권에선 시온주의자들을 후원한다는 루머가 있다.

패밀리 가이에서는 반유대주의자설을 차용하여, 스튜이가 모든 세계가 디즈니풍인 세계로 가는 에피소드에서는 모든 등장인물들이 평화롭게 파이에 대한 노래를 부르다가, 갑툭튀한 유대인을 때려죽이는 장면을 넣기도 했다.


4.3. 백인 우월주의자 논란[편집]


또한 백인우월주의자로서 KKK 회원이라는 소문이 끊임없이 나돌았으며 실제로 디즈니에선 월트 디즈니가 죽은 뒤에야 회장이 된 조카 로이 디즈니에 의하여 유색인종 입사가 허용됐다는 루머마저 있다. 이 역시 사실이 아니며, 심지어 40~50년대에도 디즈니에는 아시아계 직원이 있었다. 초기 디즈니 홍보용 영상에 아시아계 직원의 모습이 보인다.

구피를 창조할 정도로 디즈니에서 열심히 일했지만 월트의 직원 대우에 불만을 품고 파업을 주도했으며 평생 그를 까면서 살아온 유대인 애니메이터 아트 배빗조차도 월트 디즈니는 인종 차별을 하지 않았다고 했고 디즈니의 첫 흑인 애니메이터인 '플로이드 노먼(Floyd Norman)' 또한 월트와 같이 일했지만 그에게 차별을 당하지 않았다고 했다. 전후 월트 디즈니는 실사 영화 제작에 전폭적인 투자를 해나갔는데 이 무렵 제임스 바스켓(James Baskett) 등의 흑인 배우를 주역으로 기용한 작품인 남부의 노래도 제작했다.[30] 월트 디즈니의 유작인 정글북인도인이 주연이다. 이 외에도 그와 같이 일한 많은 사람들이 이를 부정했다. 그러나 이 루머는 아직도 돌아다니고 있으며 믿는 사람들이 많다.

다만 Mickey's Mellerdrammer, Mickey's man Friday, Trader Mickey 등의 일부 디즈니 단편과 2차 대전 전시 선전용 단편들, 덤보, 남부의 노래, 피터팬 등의 작품에서 구시대적 스테레오 타입의 캐리커쳐가 나왔던 건 사실이다. 1933년 실리 심포니 단편 시리즈로 개봉된 아기돼지 3형제의 최초 상영본에선 후반부에 늑대가 위 영상처럼 솔 파는 유대인으로 변장한 모습이 나왔으며, 종전 후 문제가 제기된 해당 장면을 1948년 재개봉했을 당시 전면적으로 수정해서 새로 그려냈다. 때문에 디즈니+에서 스트리밍 중인 판본은 이 버전이다. 하지만, 이 시기는 워낙 인종차별이 극심하던 시절이라서, 이에 반대하던 사람들도 어느 정도 무의식적으로는 저런 차별적인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었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즉, 의도한 부분이라기보다는 시대적 한계에 의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데즈카 오사무후지코 F. 후지오, 토리야마 아키라의 만화에도 흑인을 스트레오 타입으로 그리는 묘사가 있고 이러한 비판을 받지만 이들이 인종 차별주의자로 불리지는 않는다. 실제로 차별을 한 것이 아니었고 묘사에 배려가 부족한 실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묘사가 있다는 사실이 부풀려져 이런 루머가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것을 실제로 믿는 사람이 많아 월트 디즈니 생전에 나온 디즈니 애니메이션은 작품 평가와 별개로 평점 테러를 당하기도 한다. 어쨌든 월트 디즈니 생전에 만들어진 작품들은 이러한 당대 시대상의 한계로 인해 훗날 인종차별 경고문을 붙임과 동시에 디즈니플러스에서 7세 이상 관람가 딱지를 붙여버리고 말았다.


4.4. 그 외[편집]


  • 동성애자였다는 얘기 역시 존재한다. 물론 당시의 시대 상황상 자신이 스스로 커밍아웃했을 리는 없고, 죽은 뒤에 연인과 주고 받은 편지로 알려져 있다고 하나 확인되는 바는 없다.
  • 월트가 설립한 디즈니의 사장은 대대로 생전에 월트가 받았던 악명(?)을 그대로 계승하는 자들이 많다는것도 재밌는 대목. 대표적으로 디즈니의 사장을 지냈던 마이클 아이스너를 예로 들수있는데 그에게 반감을 가진 애니메이터들이 나와서 독립한 회사가 드림웍스인데 드림웍스의 슈렉은 악역의 얼굴을 아이스너의 얼굴을 베이스로 모델링하여 디즈니를 전면으로 까는 작품.
  • 월트 디즈니가 실사 영화를 만드는 걸 싫어했다는 이야기가 오랫동안 나왔지만 사실이 아니다. 오히려 잠자는 숲속의 공주의 폭망 후 TV와 실사 영화에 관심을 가졌다.[31] 호주 출신 영국 작가 P. 트래버스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동명 실사 영화 메리 포핀스는 월트 디즈니가 사망하기 2년 전인 1964년에 나왔다. 게다가 영화 계획은 26년 전인 1938년에 나왔지만 원작자인 P. 트래버스가 자기 소설이 영화로 만들어지는 걸 싫어하여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오랫동안 설득했고, 영화 제작을 하면서도 작가가 워낙 하나하나 깐깐하게 굴어 감독인 스티븐슨은 물론 제작진과 출연자들도 고생했다.[32] 이 루머는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서 직접 디즈니 이름으로 12세 이상 등급의 컨텐츠를 제작하기 꺼렸다는 일화가 와전된 것으로 보인다.[33]
  • 월트 디즈니가 프리메이슨의 단원이었다는 루머도 매우 오래된 떡밥인데, 이는 하나의 루머가 생기고 거기에 와전(?)까지 된 것으로, 프리메이슨에서는 월트 디즈니가 단원이었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5. 어록[편집]


꿈꾸는 것이 가능하다면 그 꿈을 실현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내 모든 것이 꿈과 생쥐 한 마리로 시작했다는 것을 늘 기억하라.

- 월트 디즈니, 1954년 10월 27일 디즈니 랜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돼지로는 절대 돼지를 능가할 수 없다.(You can't top pigs with pigs)[34]

[35]


우리는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영화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더 많은 영화를 만들기 위해 돈을 벌어들인다.


비평가를 즐겁게 할 필요는 없다. 일반 대중이 대상이다.


나는 주로 어린이를 위한 영화를 만들지 않는다. 여섯 살이든 예순 살이든 우리 모두의 어린이를 위해 영화를 만든다.



6. 여담[편집]


  • 프랑스계 미국인이기도 하지만 정작 자신은 프랑스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고 한다. 디즈니란 성씨 자체가 원래는 디지니(D'isigny)라고 썼는데 de+isigny라는 데서 알 수 있듯 조상은 노르망디의 마을인 이지니쉬르메르[36] 출신이라고 한다. 노르만족으로서 1066년 윌리엄의 잉글랜드 정복때 같이 따라갔다가 17세기경 다시 아일랜드로, 그리고 미국으로 옮겨왔다고 한다.

  • 역대 영화 및 애니메이션 업계인이자 제작자로써 가장 많은 상복을 차지한 인물이기도 한데 아카데미상 29회 수상[37]이라는 대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 어빙 탈버그 상[38]을 비롯한 상들을 엄청나게 받았다. 죽기 2년 전에 데즈카 오사무와 뉴욕 세계 박람회 현장에서 만나 잠깐 인사를 나눈 적도 있는데, 데즈카의 자서전을 보면 월트 디즈니가 자신의 이름을 알아서 되려 자신이 깜짝 놀랐다고 한다.

  • 월트 자신이 제작한 작품들 중 가장 좋아한 작품은 밤비다.##


  • 후속작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졌던 인물이기도 하다. 1966년, 그는 주주들에게 보내는 서한에서 왜 메리 포핀스속편을 절대 만들지 않을 것인가에 대한 이유를 밝혔는데, 자신은 항상 새로운 것에 도전하는 타고난 실험가일 뿐더러 설령 속편을 만든다 할지라도 절대 오리지널을 능가할 수는 없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그로부터 50년 뒤에서야 나온 메리 포핀스의 속편이 결국 원작만 못 하다는 평을 들은 것을 보면 월트의 우려가 타당했던 것일 수도.[39]

  •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인생의 말년에 회사를 매각하려고 여러번 협상을 거쳤다 한다. 1966년, 제너럴 일렉트릭웨스팅하우스에 매각 가능성을 논의했지만 불발되었고 그해 워렌 버핏과 만난 자리에서 8000만 달러에 회사 전체를 팔겠다고 제안했지만 버핏은 그저 지분 5% 가량을 매입하는 데 그쳤다고.

  • 적십자 운전병으로 참전했던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미국으로의 귀환 명령을 기다리며 유럽에 대기 중이던 당시 우연한 기회로 뜯지도 않은 독일군새 철모[40]들이 중고 시장에 나온 것을 보고 몽땅 사들였다. 그리고는 자신의 미술 실력을 이용해서 철모에 가짜 총알 구멍을 내거나 찌그러뜨리고 색칠을 하는 등 전장에 굴러다닌 것처럼 보이게 만들어서 미군 병사들에게 팔아먹어 쏠쏠한 수익을 올렸다고 한다. 미군은 유럽 전선에 좀 늦게 참전했기 때문에 의외로 실전에 투입되지 않은 병력들이 꽤 있었는데, 이들이 귀국하면서 무용담을 늘어놓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갔다고(...). 이외에도 이 2년간의 프랑스 파견 기간동안 차량에 만화 캐릭터 노즈아트를 그리거나 적십자 포스터를 제작하기도 하고, 전쟁 만화를 그리기도 했다. 미국 적십자의 관련 포스팅



  • 아래 사진은 월트 디즈니가 젊은 시절 자신의 명함에 그린 오너캐다.
파일:attachment/월트 디즈니/Example.jpg


  • 폴아웃 시리즈에서 등장하는 누카-콜라의 발명가이자 기업가인 존 칼렙-브래드버턴은 코카 콜라의 창업자들보다 월트 디즈니에게 더 많은 영향을 받았다. 누카 월드나 매카시즘 시대에 활동한 기업가 등 월트 디즈니의 요소를 그대로 따왔다.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Frozen_King_Walter.png



  • 월트 디즈니가 마지막으로 감독으로서 연출한 애니메이션 작품은 1935년 개봉된 실리 심포니 시리즈의 The Golden Touch 편이다.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를 한창 제작하던 와중에 1930년 이후 몇 년간 맡지 않았던 애니메이션 감독직에 자신이 적합할 지에 대한 테스트 격으로 작품을 연출했지만, 같이 일한 사람들한테 (해당 작품에 대하여) 두 번 다시는 언급하지 말라고 단단히 일러뒀을 정도로 흥행에서 큰 실패를 거두었고 이후엔 완전히 제작자로 전업하여 활동하게 된다.

  • 월트 디즈니는 디즈니 스튜디오의 애니메이터들이 다른 회사의 애니메이션을 보고 참고해 그리는 것을 엄격히 금지했다고 한다. 어차피 우리가 만든 것보다 못 할 테니까 참고가 되지 않는다. 라는 이유였다고 한다. 참고할 거면 실사 영화를 참고하라고 했다고 한다.

  • 닐 개블러가 서술한 전기문 《월트 디즈니: 미국적 상상력의 승리》에서 언급된 내용에 의하면, 월트 스스로가 중대한 난관에 부딪혀 위기에 직면하거나 기대와는 정반대적인 상황에 놓여있다고 판단할 경우 이전에 구상했던 것들을 포기하거나 깔끔히 잊으면서 새로운 것들을 계획해가며 구상했었다고 한다. 세계적인 디즈니의 유산으로 자리잡은 미키 마우스 클럽 등의 TV 프로그램이나 디즈니랜드라는 테마파크의 탄생과, 말년에 칼아츠를 현재의 모습으로 변화시켜 애니메이션 업계인 양성에 보다 이바지해 준 것도 월트의 그러한 과감성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 현재 그의 묘지는 로스앤젤레스 글랜데일 숲 공원에 있으며 그곳에는 아내와 딸 부모님과 형제도 함께 안장되어 있다.

  • 뛰어난 스토리텔러의 명성과 세심하고 꼼꼼한 제작자로 잘 알려져 있지만, 월트가 프로듀서를 맡은 작품들을 살펴보면 (원작과 비교하면) 시나리오가 단순하고 평이함에도 스토리(개연성)에 몰입하지 않으면서 잇따르는 재미와 유머들로 하여금 현재 관객들이 보아도 지루하게(혹은 루즈하게) 느껴지지 않는 플롯의 작품들이 많다. 이에 나인 올드 맨 멤버 중 프랭크 토마스와 올리 존스턴은 도서 "Too Funny For Words: Disney's Greatest Sight Gags"에서 당시 영화사들이 개그만으로 영화를 유지할 수 있을까 의문을 표하며 더 많은 개연성을 요구하기 시작했는데, 월트가 이런 경향에 대해 이제 영화를 끝낼 시간인데 관객을 웃게 만드는 데 실패했다고 말한 적이 있었고 그의 생각엔 영화의 최우선 순위가 웃음이었으며 너무 지나치면서 이야기가 금방 지루해졌지만 월트는 생전 평생 그런 점을 잊지 않았고 예능적인 면보다 연속성이 두드러진 작품들을 기피하는 면모를 보였다고 증언했으며, 정글북에서 스토리 아티스트로 참여한 플로이드 노먼도 자신의 블로그에서[41] 작품을 제작할 때 스토리 아티스트들에게 책을 읽거나 따라하지 말 것을 지시했으며 개연성이 우려되는 경우엔 캐릭터와 오락성이 더 중요하다고 하며 (관련한) 아이디어를 기각시킨 일들도 목격했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전략은 훗날 또다른 영상 매체인 비디오 게임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나온 바 있으며(닌텐도), 현재도 과다한 개연성 몰입 및 설정 변경으로 갑자기 캐릭터가 붕괴되거나, 사상을 주입시켜 호불호가 극단적으로 갈리는 결과물로 남거나 후속편의 제작이 보류, 중지되는 미디어믹스 시리즈가 나오는 것을 볼 때 이에 따른 문제점과 미치는 여파들도 짐작했을 것으로 보인다.

  • 교통 수단 중에선 철도와 기차를 좋아하였으며 1949년 새 집으로 이사했을 때, 월트는 디즈니랜드 테마파크의 청사진을 구상하면서 동시에 집 뒷마당에서 철도 미니어처를 만드는 작업도 했었다고 한다. 이런 영향으로 생전 월트가 제작자를 맡은 장&단편 애니메이션 작품들에선 종종 기차와 철도가 (움직일 때의 세부적인 기동 장면과 관련된 철도 용어들도 무척 꼼꼼하고 정확하게) 묘사된 작품들이 종종 나왔으며[42] 디즈니 랜드와 월트 디즈니 월드의 내부 어트랙션에도 그의 이름을 딴 레일로드가 설치되어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많이 이용하고 있다.


7. 관련 인물[편집]


  • 가족
    • 엘리아스 디즈니
    • 플로라 디즈니[43]
    • 릴리안 디즈니
    • 로이 O. 디즈니
    • 로이 E. 디즈니
    • 아비게일 디즈니
    • 다이앤 디즈니
    • 샤론 메이 디즈니
    • 론 밀러

  • 영향을 받은 인물
    • 오토 매스머(Otto Massamer)[44]
    • 윈저 매케이(WInsor Mccay)[45]
    • 폴 하울턴 테리(Paul Terry, 폴 테리)[46]

  • 동료
[▼관련 명단 일람]
  • 월터 란츠[1]
  • 밥 크렘펫
  • 썰 라벤스크로프트
  • 핀토 콜빅(Pinto Colvig)
  • 클라렌스 내쉬
  • 다우스 버틀러(Daws Butler)
  • 캔디 캔디도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 베르너 폰 브라운
  • 찰리 채플린[2]
  • 셜리 템플
  • 줄리 앤드류스
  • 딕 반 다이크
  • 게리 쿠퍼[3]
  • 준 포레이[4]
[1] 관련 자료 참조, 유명한 작품들은 우디 우드페커, 펭귄 윌리와 스미드릭 등의 캐릭터들이 있으며, 과거 한국에서도 지상파, 케이블 등지에서 방영된 바 있다.[2] 관련 자료1, 관련 자료2 참조, 월트와 채플린 모두 서로가 만든 작품들을 존중해 주고 높이 평가했다.[3] 1947년에 발족한 반공주의 단체 'Motion Picture Alliance for the Preservation of American Ideals'의 설립 멤버들이자 동료였다.[4] 텔레비전 아카데미 인터뷰 영상 자료 참조,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의 일부 작품들에서 배역을 맡은 성우, 그녀한테 많은 영향을 줬던 월트였지만 그를 현장에서 개별적으로 만나지 못했던 것이 가장 아쉬운 일이었다고 회고했다.


  • 전 동료[47]
[▼관련 명단 일람]
  • 휴 하먼(Hugh Harman) & 루돌프 아이싱(Rudolf Ising)[1]
  • 아트 배빗
  • 어브 아이웍스
  • 로버트 매킴슨
  • 프리즈 프레렝
  • 모리스 노블(Maurice Noble)[2]
  • 프랭크 태쉬린(Frank Tashlin)[3]
  • 에드 러브(Ed Love)[4]
  • 레이 패터슨(Ray Patterson)[5]
  • 케네스 뮤즈(Kenneth Muse)[6]
  • 프레스턴 블레어(Preston Blair)[7]
  • 하울리 프랫(Hawley Pratt)[8]
  • 잭 브래드버리(Jack Bradbury)[9]
  • 코넷 우드(Connet Wood)[10]
  • 사이러스 영(Cyrus Young)[11]
  • 타이러스 웡(Tyrus Wong)[12]
  • 칼 스털링(Carl W. Stalling)[13]
  • 빌 타이틀라(Bill Tytla)[14]
  • 스티븐 보서스토(Stephen Bosustow)[15]
  • 에머리 호킨스(Emery Hawkins)
  • 딕 런디(Dick Lundy)
  • 월트 켈리(Walt Kelly)[16]
  • 돈 패터슨(Don Patterson)
  • 타카모토 이와오(Takamoto Iwao)[17]
  • 존 허블리(John Hubley)
  • 월트 클린턴(Walt Clinton)
  • 버질 파트치(Virgil Partch)
  • 빌 멜렌데즈
  • 멜 블랭크[18]
[1] 앨리스 코미디, 오스왈드 래빗을 만들 시기에 함께 일했던 애니메이터 콤비이자 하먼-아이싱 프로덕션의 설립자.[2] 실리 심포니 시리즈, 백설공주, 환타지아, 덤보 애니메이션 제작에 참여한 애니메이터, 디즈니 애니메이터 파업으로 해고당한 뒤 미 육군에 입대해 이등병 스나푸(Private Snafu) 제작에 참여한 척 존스, 닥터 수스랑 같이 일했다. 종전 이후 프리랜서로 활동하다 1952년부터 루니 툰에서 레이아웃, 공동 디렉터 등으로 활동하며 40여년 간 척 존스의 작품 제작에 주요 스탭으로 참여.[3] 1936년부터 2년간 리언 슐레진저 프로덕션에서 디렉터로 일했으며, 디즈니의 스토리 담당 부서에서 활동하다 디즈니 애니메이터 파업으로 해고된 뒤엔 컬럼비아 픽처스 산하 스크린 젬스에서 매니저로 일했다가 임원 간의 마찰로 해고당해, 1942년부터 2년여 간 루니 툰 제작에 재참여해 디렉터로 활동했다. 이후엔 영화 감독, 각본가, 작가로 활동.[4] 1931년부터 10년간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에서 애니메이터로 활동했으며, 1941년부터 MGM으로 이직해 5년간 텍스 에이버리 산하 유닛에서 일한 뒤 1949년까진 월터 란츠 프로덕션에서 활동. 1959년부터 30여 년간 해나-바베라, 드파티-프레렝 등의 TV 애니메이션 제작에서 애니메이터로 참여.[5] 1929년부터 약 11년간 찰스 민츠(Charles Mintz) 산하의 스크린 젬스에서 일하다 1940년에 디즈니로 이직해 애니메이터로 입사, 디즈니 애니메이터 파업 이후엔 MGM에서 해나-바베라, 텍스 에이버리 산하 유닛에서 애니메이터로 1950년대 초기까지 활동, 1954년에 그랜트 시몬스(Grant Simmons)랑 설립한 그랜트레이-로렌스 애니메이션을 1968년까지 운영했다가 1970년대 초부터 말년까진 해나-바베라 프로덕션에서 활동.[6] 1939년부터 2년간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에서 활동했지만, 디즈니 애니메이터 파업 이후엔 MGM으로 이직해 1950년대 후기까지 해나-바베라 산하 유닛 애니메이터로 일했다. 1957년에 해나-바베라 프로덕션이 설립될 때 이직하여 1985년까지 활동.[7] 디즈니 애니메이터 파업 이전엔 로머 그레이(Romer Gray) 스튜디오 / 스크린 젬스(Screen Gems) /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에서 각각 1년, 6년, 4년간 일했으며, 파업이 발발한 해에 MGM으로 이직해 1950년까지 일했다. 1960년대엔 해나-바베라 프로덕션에서 활동.[8] 업계 데뷔 이전에 프랫 인스티튜트를 재학했으며, 1933년부터 디즈니 애니메이터 파업 이전까지 디즈니에서 일했다가 1941년에 워너 브라더스로 이직해 1945년부터 10여 년간 프리즈 프레렝 산하 유닛에서 레이아웃, 보조 디렉터 등으로 활동했다. 1963년 드파티-프레렝 엔터프라이즈가 설립될 때 이직하여 1990년까지 참여하며 활동.[9] 1930년대 중기부터 1941년까지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에서 애니메이터로 일했으며, 디즈니 애니메이터 파업 이후엔 잠시 워너 브라더스에서 활동했다가 1947년부터 코믹 출판사에서 일하면서 만화가로 전업해 활동.[10] 1930년대 중기부터 1941년까지 디즈니에서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환타지아 제작에 애니메이터로 참여해 일했으며, 디즈니 애니메이터 파업 이후엔 워너 브라더스로 이직해 로버트 매킴슨 산하 유닛에서 레이아웃으로 활동.[11] 월트의 스튜디오에서 일했던 1세대 아시아계 미국인 애니메이터, 디즈니 애니메이터 파업에 참가한 뒤에 스튜디오에서 해고당했다.[12] 월트의 스튜디오에서 일했던 1세대 아시아계 미국인 아티스트 & 일러스트레이터, 디즈니 애니메이터 파업에 참가한 이후 해고당했다.[13] 월트가 제작한 극초기 단편 애니메이션들의 음악을 작곡한 뮤지션으로 1930년대 초기엔 어브 아이웍스 작품들의 음악을 작곡함, 1930년대 중기 ~ 1950년대 중기의 루니 툰 & 메리 멜로디즈 단편들의 음악 감독으로써 유명.[14] 1930년대 중기 ~ 1940년대 초기에 디즈니에서 일한 우크라이나계 미국인 애니메이터.[15] UPA의 모태가 되는 Industrial Film and Poster Service 스튜디오의 공동 설립자.[16] 코믹 스트립 포고(Pogo)의 작가이자 만화가.[17] 2차 세계대전 중에 그의 가족들이 행정명령 9066호의 발효로 설치된 일본계 미국인(을 주로 격리해 놓은) 수용소에서 살았다고 하며, 전후에 만화계로 데뷔하여 디즈니에서 어시스턴트 애니메이터로 활동하다가 1960년대 초부턴 해나-바베라 프로덕션 작품들에서 캐릭터 디자이너, 감독 등을 맡으면서 활동했다.[18] 워너 브라더스와 전속 계약을 체결하기 이전에 피노키오에서 기디온의 성우를 맡았었다.


  • 라이벌[52]
    • 맥스 플라이셔 & 데이브 플라이셔[49]
    • 텍스 에이버리[50]
    • 윌리엄 해나 & 조셉 바베라[51]

  • 기용한 애니메이터, 연출가
[▼관련 명단 일람]
  • Nine Old Men(나인 올드 맨)[1] - 밀트 칼(Milt Kahl), 마크 데이비스(Marc Davis), 워드 킴볼(Ward Kimball), 프랭크 토마스(Frank Thomas), 에릭 라슨(Eric Larson), 올리 존스턴(Ollie Johnston), 볼프강 레이더만, 존 라운스베리(John Lounsberry), 레 클락(Les Clark)
  • 그림 냇윅(Grim Natwick) - 1930년대 중기에 일부 디즈니 단편과 백설공주의 일곱 난쟁이의 제작에 참여. 이전엔 플라이셔 스튜디오에서 주로 활동.
  • 잭 키니(Jack Kinney)
  • 잭 한나(Jack Hannah)
  • 벤 샤프스틴(Ben Sharpsteen)
  • 칼 바크스(Carl Barks) - 초기 도날드 덕 관련 코믹 작품에서 스토리 작가로 활동.
  • 클라이드 제로니미(Clyde Geronimi) - 1930~1950년대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에서 활동한 이탈리아계 미국인 애니메이터.
  • 데이비드 핸드(David Hand) - 월트 디즈니의 의향을 잘 이해했으며 현장을 잘 통제하고 사람을 잘 갈궈서 작화 관리를 잘 했고 현장 감독으로는 최고였다고 한다. 1944년 퇴사.
  • 노먼 퍼거슨(Norman Ferguson)
  • 플로이드 노먼(Floyd Norman) - 1950~60년대에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에서 일했던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애니메이터.
  • 윌프레드 잭슨(Wilfred Jackson) - 캐릭터의 연기와 움직임을 통제하던 사람으로 증기선 윌리부터 디즈니의 많은 작품의 연출과 작화를 담당했으며 회사에서 연출 실력으로는 최고였다고 한다. 레이디와 트램프부터 건강이 악화되어 은퇴.
  • 해밀턴 루스케(Hamilton luske)
  • 클리프 에드워드(Cliff Edward)
  • 돈 블루스 - 잠자는 숲속의 미녀 제작 당시 몇 달간 애니메이터로 일한 경력이 있다.
  • 빌 월쉬(BIll Walsh) - 미키 마우스 클럽 등의 디즈니 TV 프로그램 관련 제작자.
  • 로버트 스티븐슨(Robert Stephenson) - 195~60년대 디즈니 실사 영화 감독.
[1] 디즈니 초기부터 연출과 작화를 책임지던 9명의 애니메이터.


  • 추종자
    • 척 존스[53]
    • 스티븐 스필버그
    • 조지 루카스
    • 레너드 말틴
    • 로저 이버트
    • 데즈카 오사무
    • 닉 파크
    •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
    • 앨프리드 히치콕[54]
    • 존 라세터
    • 미야자키 하야오
    • 토미노 요시유키[55]


8. 관련 자료[편집]


  • 월트 디즈니 Walt Disney 미국적 상상력의 승리(총 2권, 닐 개블러(Neal Gabler) 저술)
  • Disney Animation: The Illusion of Life[56][57]
  • 미키 마우스: 전설의 시작


9.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1:55:56에 나무위키 월트 디즈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의 시신은 글렌데일에 있는 포레스트 론 묘지에 안장되었다. 참고로 이곳 버뱅크에는 월트 디즈니 컴퍼니 본사 외에 최고 라이벌 회사의 본사도 있다.[2] 후술할 증기선 윌리 때문에 세계 최초의 애니메이션 성우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3] 초기 디즈니 단편의 경우는 쭉 감독을 맡아왔지만 이후 장편 영화를 제작하면서부터 감독 대신 프로듀서의 위치에서 디즈니 영화들을 관리하기 시작했다.[4] 1893년 출생. 1971년 12월 20일 뇌졸중으로 사망.[5] 1899년 출생. 1997년에 사망했으며 월트보다 2살 많았지만 월트가 65세로 당대 평균 비슷하게 산 것에 비해 무려 98세까지 장수했다. 여성 평균 수명이 더 길다는 걸 감안해도 상당히 장수한 편.[6] Congregational church. 칼뱅주의의 일파로서 회중(교회의 군중) 정치로 교회를 운영하는 개혁주의 개신교 교회이다. 위로부터 지배를 부정하여 각 교회의 독립을 주장하고(개교회주의), 국가로부터 분리를 주장하기 때문에 독립파, 혹은 분리파 교회라고 불리며# '조합교회'라고도 불린다. 오늘날의 미국에서는 그리스도연합교회(United Church of Christ, UCC)의 주요 구성교단이 되었다. 월트 디즈니의 부친 엘리아스 디즈니(Elias Disney)은 회중교회의 목사였고 가족 구성원 모두가 회중교회의 일원이었다. 월트 디즈니의 이름인 '월트' 역시 회중교회의 사역자였던 월터 파(Walter Parr)에서 딴 것이다. 월트 디즈니는 이러한 환경에서 자랐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회중교회에 속했다#[7] 같이 일한 애니메이터들의 말로는 월트 디즈니 본인의 연출 실력은 형편없었다고 한다. 그런데 남에게 지시를 내리면서 하면 대단해진다고.[8] 여담이지만 그해 빅토리아 여왕이 사망하였다. 군사의 힘으로 세계를 정복한 사람이 세상을 떠나자 문화의 힘으로 대영제국보다 더욱 넓은 지역을 지배한 인물이 태어남으로써 19세기와 20세기의 세계정복 방식이 큰 차이가 있음을 알리는 상징적인 사건이었던 격이다.[9] 참고로 이 래프 오 그램 스튜디오는 미주리 주 캔자스시티에 위치하고 있는데, 도산한 이후에도 건물이 허물어지거나 하지 않고 유지되어 2010년대에 건물을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10] 훗날 미키 마우스를 시작으로 돈을 왕창 벌자 21세기에 오스왈드의 판권을 다시 사들였고, 에픽 미키에 출연하게 됐다.[11] 꽃과 나무 개봉 이전에 월트는 테크니 사와 테크니컬러 프로세스를 3년 동안 독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권리 계약을 미리 체결하며 컬러 애니메이션을 제작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한 바 있었다.[12] 1941년 발발한 디즈니 애니메이터 파업의 자세한 과정은 Pink Elephants on Parade 문서를 참고하기 바라며, 이직한 직원들의 명단은 영어 위키백과의 디즈니 애니메이터들의 파업 문서를 참조해볼 것.[13] 메리 포핀스의 대성공으로 디즈니는 막대한 수익을 플로리다 중부 지방의 땅을 구입하고 월트 디즈니 월드의 건설 자금을 조달하는데 사용했다.#[14] 한국 KBS1 방영 당시 <디즈니랜드>란 제목이었으며, 월트 디즈니의 목소리는 유강진 성우가 맡았다.[15] 다음 작품인 아리스토캣까지는 기획 및 초안이 나온 상태였다.[16] 마이클 아이스너의 부임 이후 그룹 규모가 커지면서 영화사들을 산하에 거느리게 되었고, 성인용 장편 실사 영화의 제작도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더 규모가 거대해진 지금은 애니메이션 영화보다 되려 실사 영화의 제작 편수가 더 많을 정도. 물론 줄었다는 것은 아니고 나오는 기간과 속도는 비슷하다.[17] 일본 만화, 애니메이션의 아버지인 데즈카 오사무 또한 월트 디즈니의 영향을 크게 받았음을 보았을 때 미국 뿐만 아니라 세계 애니메이션에 그가 미친 영향력은 거대하다.[18] 이러한 운영 방식이 관행으로 남은 탓에 디즈니는 지금도 블랙기업이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월트 생전에 월트 디즈니 프로덕션에서 제작된 장편 애니들의 스태프진을 잘 살펴보면 월트 본인은 영화 제작자(producer)로 참여했다고 표기되어 있다.[19] 디즈니/픽사 작품 포스터에는 아직도 '토이 스토리 제작진', '겨울왕국 제작진'같이 제작사의 이전 작품을 내세울 뿐 감독 이름이나 전작은 나오지도 않는다.[20] 다만 1966년 미국 최초의 애니메이션 전문 잡지 'FunnyWorld'가 발행된 이래, 애니메이션 역사가를 포함한 평론가들이 과거 태동기와 황금기에 상영된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감상하고 본인들의 견해를 다룬 비평을 올리기 시작했었다. 월트 디즈니를 포함한 애니메이션 업계인들도 1950년대부터 차츰 TV 출연을 하기 시작했으며 1970년대 초중기부턴 애니메이션에 대한 연출 기법을 분석 & 연구하거나 애니메이션 감독 & 주요 애니메이션 스탭과의 인터뷰가 포함된 도서 자료들과 The Boys from Termite Terrace, Bugs Bunny: SuperStar 등의 다큐멘터리 영화도 발간 & 개봉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당시에 애니메이션 전문 잡지나 전문 도서 자료, 다큐멘터리 등의 관련 매체를 접하는 사람들은 지금처럼 많지 않았고, 업계인들의 TV 인터뷰가 수록된 방송자료도 본방을 놓치면 다시 보는 것이 어려운 시기였기 때문에, 미국 애니메이션 감독의 인지도가 보다 넓어진 때는 개인용 인터넷이 보편화된 1990년대 중후기(현대기)부터였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월트 디즈니의 인지도 때문에 잘 알려지지 않거나 거의 묻혀진 동시기의 감독들도 여럿 있었는데 대표적인 피해자가 플라이셔 형제. 그나마 동시기에 활약한 애니메이터들 중 유명한 연출가는 척 존스, 텍스 에이버리, 해나-바베라 콤비가 있다.[21] 앨프리드 히치콕의 영화 《》에서 새들이 가득 검게 모여든 듯한 장면이 실은 아이웍스가 참여해서 그린 애니메이션 특수효과로 그려진 것이다.[22] 평생 월트 디즈니를 깐 애니메이터 '아트 배빗(Art Babbitt)'은 디즈니에서 애니메이터를 하먼서 번 돈으로 큰 저택을 두고 가정부를 고용하고 자동차를 3대 살 수 있었다고 한다. 금전적으론 부족함이 없었으나 자신처럼 중요 스태프에 속하지 않는 하급 노동자들을 월트가 너무 막대했기 때문에 이건 아니라고 생각했고 파업을 주도하고 디즈니를 그만두었다고 한다.[23] 심지어 다른 사람을 불러서 "쟤 잘 했으니 네가 나 대신 칭찬 좀 해줘라." 라고 지시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도 종종 있었다고 한다.[24] 월트 디즈니가 있던 시절의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작화는 80년은 족히 지난 후대의 애니메이터들도 재현을 못한다고 할 정도이다.[25] 탈버그는 유대인 이름이다.[26] 다만 만에 하나 이게 사실이더라도, 나치의 동조자라고 보기는 힘들다. 2차 세계대전 이전에 미국에 나치가 어렴풋하게만 알려져 있을 때에는 잔학행위전쟁범죄가 드러나기 이전이라, 그렇게 나쁜 놈들이라 생각치 못한 경우도 많기 때문. 심지어 유럽국가인 영국에서조차 폐허가 된 국토를 순식간에 복구한 능력있는 독재정당 정도로 생각하는 경우도 있었다. 단적인 예로 히틀러를 깠던 찰리 채플린은 욕을 먹었다.[27] 한편 디즈니 영화가 시작할때 성과 함께 나오는 멜로디를 히틀러가 매우 좋아해, 파리 점령에펠탑을 바라보며 흥얼거렸다는 이야기가 있다.[28] 훗날 카젠버그는 디즈니를 나와서 스티븐 스필버그와 함께 드림웍스를 세웠다.[29] 월트 디즈니가 미국의 위인 취급으로 되는 인물이기에 대개는 화를 내지만 이게 정설로 받아들여지는 경우도 있는 모양이다. 스튜이와 브라이언이 평행세계여행하는 패밀리 가이 에피소드에서는 디즈니풍의 평행세계에서 유대인이 잔인하게 구타당하는 장면도 있으며, 몇몇 팬들은 "아, 월트 디즈니가 유대인 싫어했지."라면서 받아들이는 중...[30] 월트가 제임스 바스켓을 제작 중이던 영화의 주역으로 배정한 시도는 당시 영화계에 상당한 영향을 남기게 되는데, 이는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한 실사 영화에서 당시 할리우드에서 만연하게 게으르고 둔하며 쉽게 겁에 질리며 당황하는 성격으로 묘사된 흑인 캐릭터가 아니라 진중하고 사려깊은 성격의 주연 캐릭터를 비백인 영화배우로써 처음 연기하도록 캐스팅을 결정해 준 영화 작품이었기 때문이다.[31] 조금 더 정확한 이야기는 실사 영화를 제작하는 것에 1940년대 중후기부터 적극적으로 주력해왔지만, 그 다음에 제작되기 시작한 TV 애니메이션은 제작하는 비용이 이들을 만드는 비용보다 많이 소모되고 제때에 제작 기간을 맞추기 어렵다는 이유로 많이 만들지 않았었다. 디즈니에서 TV 애니메이션을 적극적으로 제작하게 된 때는 1980년대 중기부터이다.[32] 이 뒷이야기를 소재로 한 영화로 세이빙 MR. 뱅크스가 있다.[33] 실제로 캐리비안의 해적 이전까지 디즈니 레이블로는 아동용 위주로 제작했고, 청소년층 이상 부터는 터치스톤 픽처스미라맥스 등 계열사 레이블로 제작하는 관례가 있었다가 배급 방침이 바뀌면서 계열사들이 정리된 바가 있다.[34] 본인은 절대로 무언가의 후속작을 만들지 않겠다는 의미로 던진 말이다. 디즈니의 히트작 중 《아기돼지 삼형제》라는 애니메이션이 있었는데 사람들이 원하는 것 같아서 기껏 속편까지 만들었더니 평가가 별로 좋지 않았던 것에서 비롯된 말. 아기돼지 삼형제는 미국에서 최초로 선형적인 줄거리와 개성을 불어넣은 각각의 캐릭터들이란 시도를 해낸 애니메이션으로 여겨지며, 뉴욕의 한 극장에서 몇 달이나 상영되었을 정도로 큰 흥행을 거두었다.[35] 여러 속편들이 첫 편에 비해 낮은 평가를 받은 대표적인 이유는 캐릭터 붕괴가 거론된다.(둘째와 셋째 돼지가 아무 이유 없이 첫째 돼지를 놀리고 그의 경고를 귀기울이지 않았으며, 첫째 돼지는 성향이 설교적이고 독선적으로 변하면서 늑대와 그의 아들들을 상대할 때 다소 가학적인 면모를 보이는 점) 그러나 디즈니가 사망한 후 방침이 바뀐 건지 아니면 돈 맛을 좀 봐서 그런지 21세기 현재는 이전 작품들의 후속작도 여럿 내고 있다. 물론 그 수가 매우 적기는 하다.[36] Isigny-sur-Mer, 버터로 유명한 동네.[37] 이 기록은 아카데미 역사상 최다 수상 기록으로 아직까지도 깨지지 않고 있다.[38] 유대계 영화 제작자인 어빙 탈버그의 이름을 기려 할리우드 최고의 영화 제작자들에게 주는 상.[39] 다만 어디까지나 전작에 비해 못했다는 것이지 꽤 좋은 평가를 받았다.[40] 독일군의 철모는 1916년경부터 기존의 뿔이 있던 피켈하우베에서 보다 실용성이 중시된 슈탈헬름으로 교체되고 있었으며, 나치 패망 때까지 우리가 '독일군'하면 떠올리는 그 헬멧을 개량해가며 사용했다.[41] 비공개 사이트라서 현재는 접속할 수 없지만 티비 트룹스의 월트 디즈니 문서에서 관련된 증언을 담은 내용이 일부 남아 있다.[42] 우연이었지만 당시 디즈니 스튜디오 내부 직원들 중에도 철도 애호가가 있었는데, 대표적인 인물론 나인 올드 맨의 멤버 중 1명인 워드 킴볼이 있었다.[43] 그녀에 대한 비극적인 일을 월트는 경험한 적이 있다. 백설공주가 개봉한 이듬해 부모를 위해서 장만한 새 집에서 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아버지 엘리아스는 살아남았지만 어머니 플로라는 질식사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사고에 대해 월트는 스스로 자책하여 비난하였고 그녀의 죽음을 다시는 말하지도 않았으며, 딸 샤론의 증언에 의하면 관련된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울면서 말하는 것을 꺼렸었고 죄책감으로 인해 평생 어머니의 무덤을 방문조차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44] 팻 설리반이 원작을 그리고 오토 매스머가 단편 애니메이션 시리즈를 제작한 캐릭터 펠릭스 더 캣의 디자인은 월트가 오스왈드 래빗미키 마우스를 만드는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45] 리틀 네모, 공룡 거티 등을 제작한 애니메이터 & 만화가 & 제작자, 189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현역으로 활동.[46] 1915년부터 1956년까지 활동한 애니메이터이자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테리 툰즈의 설립자, 유명한 작품은 마이티 마우스가 있다.[47] 반 이상은 디즈니 애니메이터 파업 이후 해고되어 디즈니를 떠난 직원들이 많지만, 그렇지 않은 경위로 디즈니를 떠난 직원들 또한 있다.[48] 아이러니하게도 맥스 플라이셔의 아들 리처드 플라이셔가 잠시 디즈니에서 영화 감독으로 활동한 일이 있었다.[49] 전성기(1930년대)에는 디즈니의 라이벌로 불렸을 정도로 유명세를 얻었던 형제 콤비였으며, 월트도 이들이 만든 기법(로토스코핑)을 1930년대 중반부터 활용하기도 했다.[48] 업계인들로써 서로간의 입지를 의식하며 새로운 애니메이션 제작 기법을 적극적으로 응용하고 장편 애니메이션들을 제작했을 만큼 가장 라이벌다운 위치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50] 에이버리가 활동한 당시, 그가 작품에서 만든 연출 기법들이 194~50년대에 제작된 디즈니 단편에서 줄곧 오마주됐었다. 서로간의 성격상 대놓고 경쟁하던 관계는 아니었지만, 에이버리도 디즈니의 작품들에서 묘사된 콘텐츠와 캐릭터들을 (워너 브라더스와 MGM에서 연출한 본인의) 작품들에서 구조를 비틀어 많이 풍자&패러디했으며, 말년의 필름 인터뷰에서 우리(터마이트 테라스(Termite Terrace))는 디즈니가 하지 못했던 것을 시도하러 노력했다고 언급한 일도 있었다.[51] 둘이 연출한 톰과 제리의 인기를 의식하여 스튜디오 차원에서 캐릭터 구성을 패러디한 작품을(도날드 덕 - 칩과 데일을 시작으로) 1940년대 후기부터 디즈니 단편에서 여러 시리즈를 제작하게 된다.[52] 할리우드 영화사들의 애니메이션들 중에서, 연출 기법 & 공식 등을 많이 오마주했을 만큼 월트의 스튜디오에서 일한 애니메이터들이 활동 당시에 주목해보던 작품의 연출가들이었다.[53] 윈저 매케이와 같이 척 본인이 가장 고평가한 애니메이션 업계인으로, 디즈니의 히트작 아기돼지 삼형제에 대해서도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그들은 닮았지만 다르게 행동한 (최초의) 세 캐릭터였다고 호평한 바 있었다. 월트와 수 년간 여러 편지를 써가면서 상시적인 교류를 하기도 했는데 어느 날 자신에게 유일하게 편지를 쓰는 애니메이터였다고 칭찬해준 일도 있었고, 잠자는 숲속의 미녀 제작 당시 몇 달간 휘하 애니메이터로 일한 경력도 있었다. 말년(1965년)에 월트는 칼아츠 동문회의 창립 회원 멤버 12명 중 1명으로 척 존스를 임명해주기도 했다.[54] 월트에 대해 "나는 월트 디즈니를 부러워했답니다. 그는 오로지 카툰만 그리지 않아요? 만약 배우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찢어버릴 수도 있고 말입니다."라고 말했던 일이 있었다. 한 번은 디즈니 랜드에서 영화를 촬영할 계획을 진행하다가 거절당했던 비화도 있었다.[55] 월트가 제작한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 환타지아, 밤비에 대하여 높이 평가했다.[56] 생전 월트 디즈니가 레 클라크한테 발간을 의뢰한 논픽션 애니메이션 교육/역사 도서로, 클라크가 사망한 후 생존한 나머지 나인 올드 맨 멤버들이 저술을 진행하였으며 프랭크 토마스와 올리 존스턴이 작가를 맡아 1981년에 초판을 발간하였다. 서술된 내용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대한 역사와 그에 따른 프로세스 과정을 주요 주제로 다루었으며 애니메이션의 12가지 기본 과정이 설명된 것으로도 유명해져 1995년과 2013년에 개정판이 발매되는 등 내외적으로 많은 호평을 얻었다.[57] 다만 도서에 저술된 내용이 전반적으론 디즈니 작품에 대해 편중된 부분이 많기 때문에 다른 한편에선 마이클 배리어를 포함한 애니메이션 역사가, 애니메이션 마니아, 애니메이터 중에서도 이러한 점에 대해 동시대의 다른 애니메이션 제작사들과 그들이 제작한 작품(루니 툰, 톰과 제리, UPA 등등)의 영향력을 경시하면서 하대하는 것을 지적하고 비판하는 관점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