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덤프버전 : (♥ 0)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의 주요 수훈 및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국 국가 예술 훈장.png
미국 국가 예술 훈장 수훈자
20세기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1985년엘리엇 카터, 랄프 엘리슨, 호세 페레, 마사 그레이엄, 루이스 네벨슨, 조지아 오키프, 레온타인 프라이스
1986년매리언 앤더슨, 프랭크 카프라, 에런 코플런드, 빌럼 데 쿠닝, 아그네스 드 밀, 에바 르 갈리엔, 앨런 로맥스, 루이스 멈퍼드, 유도라 웰티
1987년로메어 비어든, 엘라 피츠제럴드, 하워드 네메롭, 알윈 니콜라이, 이사무 노구치, 윌리엄 슈먼, 로버트 펜 워런
1988년솔 벨로, 헬렌 헤이스, 고던 파크스, 이오밍 페이, 제롬 로빈스, 루돌프 제르킨, 버질 톰슨, 시드니 프리드버그,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레오폴드 아들러, 캐서린 던햄, 알프레드 아이젠슈테트, 마틴 프리드먼, 디지 길레스피, 워커 핸콕,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체스와프 미워시, 로버트 마더웰, 존 업다이크
1990년조지 애보트, 험 크로닌, 제시카 탠디, 메세 커닝햄, 재스퍼 존스, 제이콥 로렌스, 비비 킹, 이안 맥하그, 비벌리 실즈
1991년모리스 아브라바넬, 로이 에이커프, 피에트로 벨루스치, J. 카터 브라운, 찰스 콜스, 존 O. 크로스비, 리처드 디벤콘, 키티 칼리슬, 펄 프리머스, 아이작 스턴
1992년마릴린 혼, 제임스 얼 존스, 알란 하우저, 미니 펄, 로버트 소득, 얼 스크럭스, 로버트 쇼, 빌리 테일러, 로버트 벤츄리 & 데니스 스콧 브라운, 로버트 와이즈
1993년캡 캘러웨이, 레이 찰스, 베스 로막스 하웨스, 스탠리 쿠니츠 , 로버트 메릴, 아서 밀러, 로버트 라우센버그, 로이드 리차드, 윌리엄 스타이런, 폴 테일러, 빌리 와일더
1994년해리 벨라폰테, 데이브 브루벡, 셀리아 크루즈, 도로시 딜레이, 줄리 해리스, 에릭 호킨스, 진 켈리, 피트 시거 , 웨인 티보, 리차드 윌버
1995년리차 알바네세, 그웬돌린 브룩스,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디, 데이빗 다이아몬드, 제임스 잉고 프리드, 밥 호프, 로이 리히텐슈타인, 아서 미첼, 빌 먼로
1996년에드워드 올비, 사라 콜드웰, 해리 칼라한, 젤다 피챈들러, 랄로 게레로, 라이어널 햄프턴, 벨라 루이츠키, 로버트 레드포드, 모리스 센댁, 스티븐 손드하임
1997년루이즈 부르주아, 베티 카터, 댄 킬리, 안젤라 랜스버리, 제임스 리바인, 티토 푸엔테, 제이슨 로바즈, 에드워드 빌렐라, 독 왓슨
1998년자크 드엠보, 패츠 도미노, 잭 엘리엇, 프랭크 게리, 아그네스 마틴, 그레고리 펙, 로베르타 피터스, 필립 로스, 그웬 버든
1999년아레사 프랭클린, 마이클 그레이브스, 오데타, 노만 레어, 로제타 르누아르, 하비 리히텐스타인, 리디아 멘도자, 조지 시걸, 마리아 톨치프
2000년마야 안젤루, 에디 아놀드, 미하일 바리시니코프, 베니 카터, 척 클로즈, 호톤 푸트, 클래스 올덴버그, 이작 펄만, 해롤드 프린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21세기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루톨포 아나야, 조니 캐시, 커크 더글러스, 헬렌 프랑켄탈러, 주디스 제이미슨, 요요마, 마이크 니콜스
2002년플로렌스 놀, 트리샤 브라운, 필립 드 몬테벨로, 우타 하겐, 로렌스 핼프린, 알 허쉬펠드, 조지 존스, 밍 조 리, 스모키 로빈슨
2003년비버리 클리어리, 라프 에스퀴스, 수잔 파렐, 버디 가이, 론 하워드, 레너드 슬래트킨, 조지 스트레이트, 토미 튠
2004년레이 브래드버리, 칼리슬 플로이드, 프레데릭 하트, 안소니 헥트, 존 루스번, 빈센트 스컬리, 트와일라 사프
2005년루이스 오킨클로스, 제임스 데프라이스트, 파키토 드 리베라, 로버트 듀발, 올리 존스톤, 윈튼 마살리스, 티나 라미레즈, 돌리 파튼
2006년윌리엄 볼컴, 시드 챠리시, 로이 데카라바, 에릭 쿤젤, 그레고리 라바사, 빅토르 슈레켄고스트, 랄프 스탠리
2007년모르텐 로리젠, 스콧 모마데이, 크레이그 노엘, 레스 폴, 조지 투커, 앤드루 와이어스
2008년스탠 리, 리처드 M. 셔먼, 로버트 B. 셔먼,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행크 존스, 헤수스 모르폴스
2009년밥 딜런, 클린트 이스트우드, 밀튼 글레이저, 마야 린, 리타 모레노, 제시 노먼, 프랭크 스텔라, 마이클 틸슨 토머스, 존 윌리엄스
2010년로버트 브러스타인, 밴 클라이번, 마크 디 수베로, 도날드 홀, 퀸시 존스, 하퍼 리,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제임스 테일러
2011년윌 바넷, 리타 도브, 알 파치노, 마틴 퍼이어, 멜 틸리스, 안드레 왓츠
2012년허브 앨퍼트, 조안 마이어스 브라운, 르네 플레밍, 어니스트 J. 게인즈, 엘스워스 켈리, 토니 쿠슈너, 조지 루카스, 일레인 메이, 로리 올린 , 알렌 투생
2013년줄리아 알바레즈, 빌 T. 존스, 존 캔더, 제프리 카첸버그, 맥신 홍 킹스턴, 앨버트 메이즐스, 린다 론스태드, 빌리 첸 & 토드 윌리엄스, 제임스 터렐
2014년존 발데사리, 핑 총, 미리암 콜론, 샐리 필드, 앤 해밀턴, 스티븐 킹, 메레디스 몽크, 조지 셜리, 토비아스 울프
2015년멜 브룩스, 산드라 시스네로스, 모건 프리먼, 필립 글래스, 베리 골디, 산티아고 지메네즈, 랄프 레몬, 오드라 맥도널드, 루이스 발데스, 잭 위튼
2016년없음
2017년없음
2018년없음
2019년앨리슨 크라우스, 샤론 퍼시 록펠러, 미군 군악대, 존 보이트
2020년토비 키스, 리키 스캑스, 메리 코스타, 닉 우트, 얼 A. 파웰 3세
2021년브루스 스프링스틴, 글래디스 나이트, 민디 케일링, 줄리아 루이드라이퍼스, 호세 펠리시아노, 베라 왕, 조안 시게카와, 주디 바카, 프레드 아이커너, 안토니오 마르토렐, 빌리 홀리데이 극장, 국제흑인댄스협회
출처: National Medal of Arts







파일:Kennedy Center honors.jpg
케네디 센터 공로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8년매리언 앤더슨, 프레드 아스테어, 조지 발란신,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리처드 로저스
1979년에런 코플런드, 엘라 피츠제럴드, 헨리 폰다, 마사 그레이엄, 테네시 윌리엄스
1980년레너드 번스타인, 제임스 캐그니, 애그니스 데밀, 린 폰탠, 리언타인 프라이스
1981년카운트 베이시, 케리 그랜트, 제롬 로빈스, 헬렌 헤이스, 루돌프 세르킨
1982년조지 애벗, 릴리안 기시, 베니 굿맨, 진 켈리, 유진 오르만디
1983년캐서린 던햄, 엘리아 카잔, 프랭크 시나트라, 제임스 스튜어트, 버질 톰슨
1984년레나 혼, 대니 케이, 잔카를로 메노티, 아서 밀러, 아이작 스턴
1985년머스 커닝햄, 밥 호프, 아이린 던, 앨런 제이 러너, 프레더릭 로, 베벌리 실즈
1986년루실 볼, 레이 찰스, 제시카 텐디, 험 크로닌, 예후디 메뉴힌, 앤서니 튜더
1987년페리 코모,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베티 데이비스, 네이선 밀스타인, 알윈 니콜라이
1988년앨빈 에일리, 조지 번즈, 마이어나 로이, 알렉산더 슈나이더, 로저 L. 스티븐스
1989년해리 벨라폰테, 클로데트 콜베르, 알렉산드라 다닐로바, 메리 마틴, 윌리엄 슈만
1990년디지 길레스피, 캐서린 헵번, 라이즈 스티븐스, 줄리 스턴, 빌리 와일더
1991년베티 콤덴, 로이 에이커프, 아돌프 그린, 헤럴드 니콜라스, 로버트 쇼, 그레고리 펙
1992년라이어널 햄프턴, 폴 뉴먼, 조앤 우드워드, 진저 로저스,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폴 타일러
1993년자니 카슨, 아서 미첼, 게오르그 솔티, 스티븐 손드하임, 매리언 윌리엄스
1994년커크 더글러스, 아레사 프랭클린, 모튼 굴드, 해럴드 프린스, 피트 시거
1995년자크 당부아즈, 메릴린 혼, 비비 킹, 시드니 포이티어, 닐 사이먼
1996년에드워드 올비, 베니 카터, 조니 캐쉬, 잭 레먼, 마리아 톨치프
1997년로렌 바콜, 밥 딜런, 찰턴 헤스턴, 제시 노먼, 에드워드 빌렐라
1998년빌 코스비, 프레드 엡, 존 칸더, 윌리 넬슨, 앙드레 프레빈, 셜리 템플
1999년빅터 보르게, 숀 코너리, 주디스 재스민, 제이슨 로바즈, 스티비 원더
2000년미하일 바리시니코프, 척 베리, 플라시도 도밍고, 클린트 이스트우드, 안젤라 랜스버리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줄리 앤드류스, 밴 클라이번, 퀸시 존스, 잭 니콜슨, 루치아노 파바로티
2002년제임스 얼 존스, 제임스 리바인, 치타 리베라, 폴 사이먼, 엘리자베스 테일러
2003년제임스 브라운, 캐럴 버넷, 마이크 니콜스, 로레타 린, 이작 펄만
2004년워렌 비티, 오시 데이비스 & 루비 리, 엘튼 존, 조앤 서덜랜드, 존 윌리엄스
2005년토니 베넷, 수잔 파렐, 줄리 해리스, 로버트 레드포드, 티나 터너
2006년주빈 메타, 돌리 파튼, 스모키 로빈슨, 스티븐 스필버그, 앤드루 로이드 웨버
2007년레온 플라이셔, 스티브 마틴, 다이애나 로스, 마틴 스코세이지, 브라이언 윌슨
2008년모건 프리먼, 조지 존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트와일라 사프, 더 후
2009년멜 브룩스, 데이브 브루벡, 그레이스 범브리, 로버트 드 니로, 브루스 스프링스틴
2010년멀 해거드, 제리 허먼, 빌 존스, 폴 매카트니, 오프라 윈프리
2011년바바라 쿡, 닐 다이아몬드, 요요마, 소니 롤린스, 메릴 스트립
2012년버디 가이, 더스틴 호프먼, 레드 제플린, 나탈리아 마라코바
2013년마티나 아로요, 허비 행콕, 빌리 조엘, 셜리 맥클레인, 카를로스 산타나
2014년알 그린, 톰 행크스, 퍼트리샤 맥브라이드, 스팅, 릴리 톰린
2015년캐롤 킹, 조지 루카스, 리타 모레노, 오자와 세이지, 시실리 타이슨
2016년마르타 아르헤리치, 이글스, 알 파치노, 마비스 스태플스, 제임스 테일러
2017년카르멘 드 라발라데, 노만 레어, 글로리아 에스테판, LL 쿨 J, 라이오넬 리치
2018년셰어, 필립 글래스, 레바 매킨타이어, 웨인 쇼터, 해밀턴 팀 (린 마누엘 미란다, 토마스 카일, 알렉스 라카뫄르, 앤디 블렝큰불러)
2019년어스, 윈드 앤 파이어, 세서미 스트리트, 샐리 필드, 린다 론스태드, 마이클 틸슨 토머스
2020년데비 엘렌, 조안 바에즈, 가스 브룩스, 미도리, 딕 반 다이크
2021년저스티노 디아즈, 베리 골디, 론 마이클스, 베트 미들러, 조니 미첼
2022년조지 클루니, 에이미 그랜트, 글래디스 나이트, 타니아 레온, U2 (보노, 디 에지, 애덤 클레이튼, 래리 뮬렌 주니어)
2023년퀸 라티파, 르네 플레밍, 빌리 크리스탈, 디안 워윅, 배리 깁








[ 펼치기 · 접기 ]

10 Voices of the Century
※ 2001년 영국 BBC 방송이 약 44,756명의 대중들과, 현직 가수들, 음악 전문가를 상대로 조사한 투표를 바탕으로 '20세기의 목소리'를 선정
1위2위3위4위5위
프랭크 시나트라엘비스 프레슬리냇 킹 콜엘라 피츠제럴드빙 크로스비
6위7위8위9위10위
존 레논아레사 프랭클린빌리 홀리데이바브라 스트라이샌드프레디 머큐리
출처







파일:goldenglobe_cecildemil.png
골든글로브 세실 B. 드밀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52년1953년1954년1955년1956년
세실 B. 드밀월트 디즈니대릴 F. 재넉진 허숄트잭 L. 워너
1957년1958년1959년1960년1961년
머빈 르로이버디 아들러모리스 슈발리에빙 크로스비프레드 아스테어
1962년1963년1964년1965년1966년
주디 갈랜드밥 호프조셉 E. 레빈제임스 스튜어트존 웨인
1967년1968년1969년1970년1971년
찰턴 헤스턴커크 더글러스그레고리 펙조안 크로포드프랭크 시나트라
1972년1973년1974년1975년1977년
앨프리드 히치콕새뮤얼 골드윈베티 데이비스핼 B. 월리스월터 미리쉬
1978년1979년1980년1981년1982년
레드 스켈톤루실 볼헨리 폰다진 켈리시드니 포이티어
1983년1984년1985년1986년1987년
로런스 올리비에폴 뉴먼엘리자베스 테일러바버라 스탠윅안소니 퀸
1988년1989년1990년1991년1992년
클린트 이스트우드도리스 데이오드리 헵번잭 레먼로버트 미첨
1993년1994년1995년1996년1997년
로렌 바콜로버트 레드포드소피아 로렌숀 코너리더스틴 호프먼
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
셜리 맥클레인잭 니콜슨바브라 스트라이샌드알 파치노해리슨 포드
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
진 해크먼마이클 더글러스로빈 윌리엄스안소니 홉킨스워렌 비티
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스티븐 스필버그마틴 스코세이지로버트 드 니로모건 프리먼조디 포스터
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
우디 앨런조지 클루니덴젤 워싱턴메릴 스트립오프라 윈프리
2019년2020년2021년2023년
제프 브리지스톰 행크스제인 폰다에디 머피






파일:180322_libraryofcongress_900px.jpg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 펼치기 · 접기 ]

2000년대 등재 앨범
[ 펼치기 · 접기 ]

2002년 등재
루이 암스트롱 <The Complete Hot Five and Hot Seven Recordings> (1920~1928)
프랭크 시나트라, <Songs for Young Lovers> (1954)
엘비스 프레슬리, Sun Records sessions (1954-1955)
마일스 데이비스, <Kind of Blue> (1959)
밥 딜런, <The Freewheelin' Bob Dylan> (1963)
2003년 등재
로버트 존슨, <The Complete Recordings> (1936-1937)
베니 굿맨, <The Famous 1938 Carnegie Hall Jazz Concert> (1938년 1월 16일)
글렌 굴드, <Goldberg Variations> (1955)
엘라 피츠제럴드, <Ella Fitzgerald Sings the Cole Porter Song Book> (1956)
델로니어스 몽크, <Brilliant Corners> (1956)
찰스 밍거스, <Mingus Ah Um> (1959)
주디 갈란드, <Judy at Carnegie Hall> (1961)
비틀즈,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1967)
조니 캐시, <At Folsom Prison> (1968)
캐롤 킹, <Tapestry> (1971)
마빈 게이, <What's Going On> (1971)
브루스 스프링스틴, <Born to Run> (1975)
2004년 등재
존 콜트레인, <Giant Steps> (1959)
제임스 브라운, <Live At The Apollo> (1963)
비치 보이스, <Pet Sounds> (1966)
올맨 브라더스 밴드, <At Fillmore East> (1971)
존 윌리엄스, <Star Wars> (1977)
퍼블릭 에너미, <Fear of a Black Planet> (1990)
너바나, <Nevermind> (1991)
2005년 등재
데이브 브루벡, <Time Out> (1959)
비비 킹, <Live at the Regal> (1965)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Are You Experienced> (1967)
프랭크 자파 앤 더 마더스 오브 인벤션, <We’re Only In It For the Money> (1968)
웬디 카를로스 <Switched On Bach> (1968)
스티비 원더, <Songs in the Key of Life> (1976)
소닉 유스, <Daydream Nation> (1988)
2006년 등재
피트 시거, <We Shall Overcome> (1963)
벨벳 언더그라운드니코,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1967)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 <Burnin'> (1973)
사라 본, <Live in Japan> (1973)
폴 사이먼, <Graceland> (1986)
2007년 등재
조니 미첼, <For The Roses> (1972)
허비 행콕, <Head Hunters> (1973)
마이클 잭슨, <Thriller> (1982)
2008년 등재
뮤지컬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57)
더 후, <The Who Sings My Generation> (1966)
2009년 등재
뮤지컬 <집시>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59)
빌 에반스 트리오, <The Complete Village Vanguard Recordings> (1961년 6월 25일)
더 밴드, <The Band> (1969)
패티 스미스, <Horses> (1975)
윌리 넬슨, <Red Headed Stranger> (1975)

2010년대 등재 앨범
[ 펼치기 · 접기 ]

2010년 등재
캡틴 비프하트 앤 히스 매직 밴드, <Trout Mask Replica> (1969)
스틸리 댄, <Aja> (1977)
데 라 소울, <3 Feet High and Rising> (1989)
2011년 등재
빈스 과랄디 트리오, 애니메이션 <A Charlie Brown Christmas> 사운드트랙 (1965)
러브, <Forever Changes> (1969)
프린스, <Purple Rain> (1984)
2012년 등재
사이먼 앤 가펑클, <Sounds of Silence> (1966)
오넷 콜먼, <The Shape of Jazz to Come> (1959)
핑크 플로이드, <The Dark Side of the Moon> (1973)
라몬즈, <Ramones> (1976)
비 지스 외, <Saturday Night Fever Soundtrack> (1977)
2013년 등재
아트 블래키, <A Night at Birdland> (1954)
린다 론스태드, <Heart Like a Wheel> (1974)
뮤지컬 <스위니 토드>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79)
U2, <The Joshua Tree> (1987)
2014년 등재
조안 바에즈, <Joan Baez> (1960)
도어즈, <The Doors> (1967)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Stand!> (1969)
라디오헤드, <OK Computer> (1997)
로린 힐,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1998)
2015년 등재
조지 칼린, <Class Clown> (1972)
존 콜트레인, <A Love Supreme> (1964)
산타나, <Abraxas> (1970)
메탈리카, <Master of Puppets> (1986)
2016년 등재
소니 롤린스, <Saxophone Colossus> (1956)
마티 로빈스, <Gunfighter Ballads and Trail Songs> (1959)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People> (1964)
데이비드 보위,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 (1972)
이글스, <Their Greatest Hits (1971–1975)> (1976)
토킹 헤즈, <Remain in Light> (1980)
N.W.A, <Straight Outta Compton> (1988)
2017년 등재
해리 벨라폰테, <Calypso> (1956)
웨스 몽고메리, <The Incredible Jazz Guitar of Wes Montgomery> (1960)
영화 <사운드 오브 뮤직> 사운드트랙 (1965)
스티브 라이히, 리처드 맥스필드, 폴린 올리베로스, <New Sounds in Electronic Music> (1967)
플리트우드 맥, <Rumours> (1977)
Run-D.M.C., <Raising Hell> (1986)
2018년 등재
덱스터 고든, <GO> (1962)
뮤지컬 <헤어>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68)
커티스 메이필드, <Superfly> (1972)
신디 로퍼, <She's So Unusual> (1983)
<Schoolhouse Rock!: The Box Set> (1996)
JAY-Z, <The Blueprint> (2001)
2019년 등재
더스티 스프링필드, <Dusty in Memphis> (1969)
칩 트릭, <Cheap Trick at Budokan> (1978)
티나 터너, <Private Dancer> (1984)
셀레나, <Ven Conmigo> (1962)
닥터 드레, <The Chronic> (1992)

2020년대 등재 앨범
[ 펼치기 · 접기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5.3.2|{{{#b69858 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
Grammy Lifetime Achievement Award}}}]]'''
[ 펼치기 · 접기 ]

1963년빙 크로스비
1965년프랭크 시나트라
1966년듀크 엘링턴
1967년엘라 피츠제럴드
1968년어빙 벌린
1971년엘비스 프레슬리
1972년루이 암스트롱, 마할리아 잭슨
1984년척 베리, 찰리 파커
1985년레너드 번스타인
1986년베니 굿맨, 롤링 스톤스, 안드레스 세고비아
1987년로이 에이커프, 베니 카터, 엔리코 카루소, 레이 찰스, 패츠 도미노, 우디 허먼, 빌리 홀리데이, 비비 킹, 아이작 스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행크 윌리엄스
1989년프레드 아스테어, 파블로 카잘스, 디지 길레스피, 야샤 하이페츠, 리나 혼, 레온타인 프라이스, 베시 스미스, 아트 테이텀, 사라 본
1990년냇 킹 콜, 마일스 데이비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폴 매카트니
1991년매리언 앤더슨, 밥 딜런, 존 레논, 줄리 스턴, 키티 웰스
1992년제임스 브라운, 존 콜트레인, 지미 헨드릭스, 머디 워터스
1993년쳇 앳킨스, 리틀 리처드, 델로니어스 몽크, 빌 먼로, 피트 시거, 패츠 월러
1994년빌 에반스,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1995년팻시 클라인, 페기 리, 헨리 맨시니, 커티스 메이필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96년데이브 브루벡, 마빈 게이, 게오르그 솔티, 스티비 원더
1997년바비 블랜드, 에벌리 브라더스, 주디 갈란드, 스테판 그라펠리, 버디 홀리, 찰스 밍거스, 오스카 피터슨, 프랭크 자파
1998년보 디들리, 밀스 브라더스, 로이 오비슨, 폴 로브슨
1999년조니 캐쉬, 샘 쿡, 오티스 레딩, 스모키 로빈슨, 멜빈 토메
2000년해리 벨라폰테, 우디 거스리, 존 리 후커, 미치 밀러, 윌리 넬슨
2001년비치 보이스, 토니 베넷,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밥 말리, 더 후
2002년카운트 베이시, 로즈메리 클루니, 페리 코모, 알 그린, 조니 미첼
2003년에타 제임스, 조니 마티스, 글렌 밀러, 티토 푸엔테, 사이먼 앤 가펑클
2004년밴 클라이번, 펑크 브라더스, 엘라 젠킨스, 소니 롤린스, 아티 쇼, 독 왓슨
2005년에디 아놀드, 아트 블래키, 카터 패밀리, 모턴 굴드, 재니스 조플린, 레드 제플린, 제리 리 루이스, 젤리 롤 모턴, 파인톱 퍼킨스, 스태플 싱어즈
2006년데이비드 보위, 크림, 멀 해거드, 로버트 존슨, 제시 노먼, 리처드 프라이어, 더 위버스
2007년조안 바에즈, 부커 티 앤 엠지 에스, 마리아 칼라스, 오넷 콜맨,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밥 윌스
2008년버트 배커랙, 더 밴드, 캡 캘러웨이, 도리스 데이, 이작 펄만, 맥스 로치, 얼 스크럭스
2009년진 오트리, 더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알라바마, 포 탑스, 행크 존스, 브렌다 리, 딘 마틴, 톰 팩스톤
2010년레너드 코헨, 바비 다린, 데이비드 "허니보이" 에드워즈, 마이클 잭슨, 로레타 린, 앙드레 프레빈, 클락 테리
2011년줄리 앤드류스, 로이 헤인즈, 줄리아드 현악 콰르텟, 킹스턴 트리오, 돌리 파튼, 라몬즈, 조지 비벌리 시어
2012년올맨 브라더스 밴드, 글렌 캠벨,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조지 존스, 더 멤피스 혼즈, 다이애나 로스, 길 스콧 헤론
2013년글렌 굴드, 찰리 헤이든, 라이트닝 홉킨스, 캐롤 킹, 패티 페이지, 템테이션스
2014년비틀즈, 클리프턴 체니어, 아이즐리 브라더스, 크라프트베르크,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아르만도 만사네로, 마우드 파웰
2015년비 지스, 피에르 불레즈, 버디 가이, 조지 해리슨, 플라코 지메네즈, 루빈 브라더스, 웨인 쇼터
2016년루스 브라운, 셀리아 크루즈,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허비 행콕, 제퍼슨 에어플레인, 린다 론스태드, Run-D.M.C.
2017년셜리 시저, 아마드 자말, 찰리 프라이드, 지미 로저스, 니나 시몬, 슬라이 스톤, 벨벳 언더그라운드
2018년할 블레인, 닐 다이아몬드, 에밀루 해리스, 루이스 조던, 더 미터스, , 티나 터너
2019년블랙 사바스, 조지 클린턴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빌리 엑스타인, 도니 해서웨이,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샘 & 데이브, 디안 워윅
2020년시카고, 로버타 플랙, 아이작 헤이즈, 이기 팝, 존 프라인, 퍼블릭 에너미, 시스터 로제타 사프
2021년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라이오넬 햄프턴, 마릴린 혼, 솔트 앤 페파, 셀레나, 토킹 헤즈
2022년보니 레잇
2023년바비 맥퍼린, 너바나, 마 레이니, 슬릭 릭, 나일 로저스, 슈프림즈, 하트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여우주연상
제40회
(1968년)
제41회
(1969년)
제42회
(1970년)
캐서린 헵번
(초대받지 않은 손님)
캐서린 헵번
(겨울의 사자)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퍼니 걸)
매기 스미스
(미스 진 브론디의 전성기)
주제가상 수상작
제48회
(1976년)
제49회
(1977년)
제50회
(1978년)
I'm Easy
키스 캐러딘
(내쉬빌)
Evergreen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폴 윌리암스
(스타 탄생)
You Light Up My Life
조셉 브룩스
(그대는 내 인생의 빛)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자(1959년~1979년)|{{{#b69858 Grammy Award for Album of the Year
(1959~1979)}}}]]'''
[ 펼치기 · 접기 ]

19591960196119621963
파일:9244AA12-F255-4473-8983-FA613A1EFCFF.png
파일:57071BDE-1685-4AA2-AA9E-B69265972863.png
파일:AA15CD8B-CAFA-40CA-B64C-FD1140CCE825.png
파일:JudyatCarnegie.jpg
파일:6D012683-772F-44D6-85AD-03AC3E0CB830.png
The Music from Peter GunnCome Dance with Me!The Button-Down Mind of Bob NewhartJudy at Carnegie HallThe First Family
헨리 맨시니프랭크 시나트라밥 뉴하트주디 갈란드본 미더
19641965196619671968
파일:F9623F9B-84B8-4B90-8466-C817D35FCDD6.png
파일:27B3464A-2836-4A0C-B7EE-552C5F683F30.png
파일:894E335B-4E83-4E15-80A3-BE97687175D0.png
파일:667660D7-D3A2-478B-A801-2C27B83FB3BB.png
파일:external/d817ypd61vbww.cloudfront.net/SgtPepper.jpg
The Barbra Streisand AlbumGetz/GilbertoSeptember of My YearsA Man and His Music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스탄 게츠 & 주앙 지우베르투프랭크 시나트라비틀즈
19691970197119721973
파일:41D850D5-B136-4253-B1B6-6CB46CAE48AB.png
파일:E0B931D1-FDBD-44D0-9471-A910FCD3FAAA.png
파일:external/ecx.images-amazon.com/A1HtYRZSbwL._SL1500_.jpg
파일:DC9591B4-2E92-4302-AFAB-BB8A9CE38D29.png
파일:4FA70B7B-815B-4A44-B16D-D7BA176D9476.png
By the Time I Get to PhoenixBlood, Sweat & TearsBridge Over Troubled WaterTapestryThe Concert for Bangladesh
글렌 캠벨블러드 스웻 앤 티어스사이먼 앤 가펑클캐롤 킹조지 해리슨과 친구들
19741975197619771978
파일:external/40.media.tumblr.com/tumblr_mqx5h5VwdJ1qejocno1_500.jpg
파일:E06E9024-0DAA-460A-932F-4C70F0621EC0.png
파일:C499C3F9-FE3F-47CA-9D94-A33CBA0D82F1.png
파일:FDE7D172-223A-456E-A861-82FF10E0D336.png
파일:external/wordsformusic.files.wordpress.com/148776_700x700min_1.jpg
InnervisionsFulfillingness' First FinaleStill Crazy After All These YearSongs in the Key of LifeRumours
스티비 원더폴 사이먼스티비 원더플리트우드 맥
1979
파일:Saturday Night Fever.jpg
Saturday Night Fever: The Original Movie Sound Track
비 지스 & VA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자(1959년~1979년)|{{{#b69858 Grammy Award for Song of the Year
(1959~1979)}}}]]'''
[ 펼치기 · 접기 ]

19591960196119621963
파일:volare.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18.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17.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000017.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16.jpg
Nel blu, dipinto di blu
(Volare)
The Battle of New OrleansTheme of ExodusMoon RiverWhat Kind of Fool Am I?
La strada dei successi싱글ExodusBreakfast at Tiffany's SoundtrackWhat Kind of Fool Am I-and Other Show -Stoppers
도메니코 모두뇨조니 홀튼Various Artists헨리 맨시니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19641965196619671968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15.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14.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13.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12.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11.jpg
Days of Wine and RosesHello, Dolly!The Shadow of Your SmileMichelleUp, Up and Away
Days of Wine and Roses and Other TV RequestsHello, Dolly!The Movie Song AlbumRubber SoulUp, Up and Away
헨리 맨시니루이 암스트롱토니 베넷비틀즈 : 존 레논&폴 매카트니더 피프스 디멘션
1969197019711972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10.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09.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08.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07.jpg
Little Green ApplesGames People PlayBridge Over Troubled WaterYou've Got a Friend
Hickory Holler RevisitedIntrospectBridge Over Troubled WaterTapestry
O.C. 스미스조 사우스사이먼 앤 가펑클 : 폴 사이먼캐롤 킹
1973197419751976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06.jpg
파일:Killing_Me_Softly_with_His_Song_by_Roberta_Flack_US_vinyl.pn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05.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04.jpg
The First Time Ever I Saw Your FaceKilling Me Softly with His SongThe Way We WereSend in the Clowns
First TakeKilling Me SoftlyThe Way We WereJudith
로버타 플랙바브라 스트라이샌드주디 콜린스
197719781979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03.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02.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_01.jpg
파일:KakaoTalk_20210507_101518481.jpg
I Write the SongsEvergreen (Love Theme from A Star Is Born)You Light Up My LifeJust the Way You Are
Tryin'to Get the FeelingA Star Is Born SoundtrackYou Light Up My LifeThe Stranger
배리 매닐로바브라 스트라이샌드데비 분빌리 조엘




역대 프라임 타임 에미상 시상식
파일:emmylogo.png
버라이어티 및 음악 프로그램 부문 개인 퍼포먼스
제46회
(1994년)
제47회
(1995년)
제48회
(1996년)
트레이시 울먼
(Tracey Ullman Takes On New York)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Barbra Streisand: The Concert)
토니 베넷
(Tony Bennett Live by Request: A Valentine Special)
제52회
(2000년)
제53회
(2001년)
제54회
(2002년)
에디 이자드
(Eddie Izzard: Dress to Kill)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Barbra Streisand: Timeless)
스팅
(A&E in Concert: Sting In Tuscany... All This Time)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감독상
제40회
(1983년)
제41회
(1984년)
제42회
(1985년)
리처드 애튼버러
(간디)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옌틀)
밀로스 포먼
(아마데우스)
여우주연상 - 뮤지컬 및 코미디(영화)
제25회
(1968년)
제26회
(1969년)
제27회
(1970년)
앤 밴크로프트
(졸업)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퍼니 걸)
패티 듀크
(미 나탈리)
제33회
(1976년)
제34회
(1977년)
제35회
(1978년)
앤 마그렛
(토미)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스타 탄생)
다이앤 키튼 (애니 홀)
마샤 메이슨 (굿바이 걸)
주제가상 수상작
제33회
(1976년)
제34회
(1977년)
제35회
(1978년)
I'm Easy
키스 캐러딘
(내쉬빌)
Evergreen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폴 윌리암스
(스타 탄생)
You Light Up My Life
조셉 브룩스
(그대는 내 인생의 빛)

[ 1위 – 125위 ]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롤링 스톤스엘튼 존머라이어 캐리마돈나
6위7위8위9위10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마이클 잭슨테일러 스위프트스티비 원더시카고
11위12위13위14위15위
휘트니 휴스턴폴 매카트니엘비스 프레슬리자넷 잭슨로드 스튜어트
16위17위18위19위20위
드레이크프린스리아나빌리 조엘가스 브룩스
21위22위23위24위25위
허브 앨퍼트에미넴어셔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닐 다이아몬드
26위27위28위29위30위
슈프림즈이글스비 지스비치 보이스플리트우드 맥
31위32위33위34위35위
산타나템테이션스셀린 디옹아레사 프랭클린홀 앤 오츠
36위37위38위39위40위
아델비욘세에릭 클랩튼라이오넬 리치레드 제플린
41위42위43위44위45위
브루노 마스존 덴버마룬 5올리비아 뉴튼 존본 조비
46위47위48위49위50위
필 콜린스다이애나 로스밥 딜런존 멜렌캠프JAY-Z
51위52위53위54위55위
도나 서머니켈백보이즈 투 멘카펜터즈저스틴 비버
56위57위58위59위60위
레이디 가가포리너브리트니 스피어스핑크앨리샤 키스
61위62위63위64위65위
케이티 페리마일리 사이러스잭슨 파이브어스 윈드 앤 파이어마빈 게이
66위67위68위69위70위
U2린다 론스태드밴 헤일런밥 시거에어로스미스
71위72위73위74위75위
블랙 아이드 피스넬리캐롤 킹저스틴 팀버레이크몽키즈
76위77위78위79위80위
케니 로저스하트팀 맥그로배리 매닐로R. 켈리
81위82위83위84위85위
저니사이먼 앤 가펑클마이클 볼튼에드 시런켈리 클락슨
86위87위88위89위90위
핑크 플로이드메리 제이 블라이즈카니예 웨스트쓰리 도그 나이트
91위92위93위94위95위
코모도스폴라 압둘브라이언 아담스크리스 브라운건즈 앤 로지스
96위97위98위99위100위
데프 레파드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린킨 파크제임스 테일러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101위102위103위104위105위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폴 사이먼백스트리트 보이즈릴 웨인캐리 언더우드
106위107위108위109위110위
앤디 윌리엄스스틱스조지 마이클셰어TLC
111위112위113위114위115위
샤니아 트웨인두비 브라더스포 시즌스피터 폴 앤 메리케니 체스니
116위117위118위119위120위
데스티니스 차일드50 센트레이 찰스제네시스더 폴리스
121위122위123위124위125위
래스컬 플래츠루다크리스글로리아 에스테판조지 해리슨앨런 잭슨
{{{-2 출처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앨범, 싱글, 남성(싱글), 여성(싱글)}}}




[ 1위 – 100위 ]

※ 2019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Hot 1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곡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싱글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마돈나엘튼 존엘비스 프레슬리머라이어 캐리
6위7위8위9위10위
스티비 원더자넷 잭슨마이클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11위12위13위14위15위
드레이크롤링 스톤스폴 매카트니비 지스어셔
16위17위18위19위20위
시카고슈프림즈프린스홀 앤 오츠로드 스튜어트
21위22위23위24위25위
테일러 스위프트올리비아 뉴튼 존아레사 프랭클린마룬 5마빈 게이
26위27위28위29위30위
케이티 페리필 콜린스빌리 조엘브루노 마스다이애나 로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포 시즌스템테이션스도나 서머비치 보이스라이오넬 리치
36위37위38위39위40위
닐 다이아몬드카펜터즈저스틴 비버잭슨 파이브보이즈 투 멘
41위42위43위44위45위
코니 프랜시스브렌다 리더 위켄드비욘세크리스 브라운
46위47위48위49위50위
케니 로저스바브라 스트라이샌드브라이언 아담스셰어블랙 아이드 피스
51위52위53위54위55위
조지 마이클핑크바비 빈튼존 멜렌캠프레이디 가가
56위57위58위59위60위
쓰리 도그 나이트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글로리아 에스테판/마이애미 사운드 머신본 조비처비 체커
61위62위63위64위65위
레이 찰스포리너쿨 & 더 갱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리키 넬슨
66위67위68위69위70위
듀란 듀란저스틴 팀버레이크코모도스이글스TLC
71위72위73위74위75위
폴 앵카에미넴배리 매닐로디안 워윅넬리
76위77위78위79위80위
하트포스트 말론아리아나 그란데에벌리 브라더스카니예 웨스트
81위82위83위84위85위
바비 다린R. 켈리제임스 브라운폴라 압둘켈리 클락슨
86위87위88위89위90위
앨리샤 키스에드 시런린다 론스태드리처드 막스데스티니스 차일드
91위92위93위94위95위
셀린 디옹JAY-Z미라클스디온플리트우드 맥
96위97위98위99위100위
밥 시거/실버 불릿 밴드닐 세다카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포인터 시스터스존 덴버
{{{-2 출처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아티스트, 앨범, 남성(싱글), 여성(싱글), 2018년}}}




[ 1위 – 100위 ]

※ 2015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앨범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앨범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1위2위3위4위5위
비틀즈롤링 스톤스바브라 스트라이샌드가스 브룩스엘튼 존
6위7위8위9위10위
머라이어 캐리허브 앨퍼트테일러 스위프트시카고마이클 잭슨
11위12위13위14위15위
레드 제플린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로드 스튜어트에미넴휘트니 휴스턴
16위17위18위19위20위
빌리 조엘마돈나산타나이글스플리트우드 맥
21위22위23위24위25위
밥 딜런스티비 원더셀린 디옹에릭 클랩튼닐 다이아몬드
26위27위28위29위30위
존 덴버핑크 플로이드자넷 잭슨프린스캐롤 킹
31위32위33위34위35위
마일리 사이러스니켈백팀 맥그로밴 헤일런비치 보이스
36위37위38위39위40위
U2아델엘비스 프레슬리브리트니 스피어스어셔
41위42위43위44위45위
템테이션스린킨 파크JAY-Z앨런 잭슨본 조비
46위47위48위49위50위
건즈 앤 로지스샤니아 트웨인캐리 언더우드몽키즈에어로스미스
51위52위53위54위55위
제임스 테일러슈프림즈앨리샤 키스메탈리카데프 레파드
56위57위58위59위60위
폴 매카트니린다 론스태드저니메리 제이 블라이즈제쓰로 툴
61위62위63위64위65위
래스컬 플래츠포리너존 멜렌캠프사이먼 앤 가펑클케니 체스니
66위67위68위69위70위
키드 락앤디 윌리엄스조지 스트레이트백스트리트 보이즈마이클 볼튼
71위72위73위74위75위
피터 폴 앤 메리라이오넬 리치아레사 프랭클린요세프/캣 스티븐스밥 시거
76위77위78위79위80위
AC/DC비욘세펄 잼토비 키스더 후
81위82위83위84위85위
폴 사이먼무디 블루스저스틴 비버노라 존스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86위87위88위89위90위
넬리두비 브라더스핑크조쉬 그로반닐 영
91위92위93위94위95위
프랭크 시나트라그린 데이더 칙스어스 윈드 앤 파이어하트
96위97위98위99위100위
레이디 가가R. 켈리보이즈 투 멘케니 지비 지스
{{{-2 출처 같이 보기: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아티스트, 싱글, 남성(싱글), 여성(싱글)}}}




[ 1위 – 60위 ]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여성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1위2위3위4위5위
마돈나머라이어 캐리자넷 잭슨휘트니 휴스턴리아나
6위7위8위9위10위
슈프림즈올리비아 뉴튼 존아레사 프랭클린케이티 페리테일러 스위프트
11위12위13위14위15위
다이애나 로스도나 서머카펜터즈코니 프랜시스비욘세
16위17위18위19위20위
브렌다 리바브라 스트라이샌드셰어핑크글로리아 에스테판
21위22위23위24위25위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레이디 가가TLC디안 워윅하트
26위27위28위29위30위
폴라 압둘앨리샤 키스켈리 클락슨린다 론스태드데스티니스 차일드
31위32위33위34위35위
셀린 디옹포인터 시스터스캡틴 앤 테닐브리트니 스피어스토니 브랙스턴
36위37위38위39위40위
제니퍼 로페즈크리스티나 아길레라아델모니카헬렌 레디
41위42위43위44위45위
신디 로퍼로버타 플랙테일러 데인니키 미나즈메리 제이 블라이즈
46위47위48위49위50위
티나 터너데비 깁슨시나 이스턴케샤칼리 사이먼
51위52위53위54위55위
브랜디마일리 사이러스페툴라 클라크퍼기나탈리 콜
56위57위58위59위60위
알리야베트 미들러아샨티앤 머레이펫 베네타
{{{-2 출처 같이 보기: 빌보드 차트 올타임 아티스트 -
아티스트, 앨범, 싱글, 남성(싱글), 2018년}}}




파일:브릿 어워드 로고.png브릿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작
'''[[틀:브릿 어워드 올해의 앨범상 수상작(1977년~1999년)|{{{#000 Brit Award for Album of the Year
(1977 ~ 1999)}}}]]'''
||
[ 펼치기 · 접기 ]

1977년1982년1983년1984년1985년
파일:SgtPepper.jpg
-
-
파일:05103710_zi (2).jpg
파일:R-1548070-1420250039-3024.jpeg.jpg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Kings of the Wild FrontierMemoriesThrillerDiamond Life
비틀즈애덤 앤 디 앤츠바브라 스트라이샌드마이클 잭슨샤데이
1986년1987년1988년1989년1990년
파일:no jacket required.jpg
파일:brothersinarms.jpg
파일:external/35e8332d17096e158408c1b9d4e6d938abc67cee6307b76376ebd2d6d2cc73a3.jpg
-
-
No Jacket RequiredBrothers in Arms...Nothing Like the SunThe First of a Million KissesThe Raw and the Cooked
필 콜린스다이어 스트레이츠스팅페어그라운드 어트랙션파인 영 카니발스
1991년1992년1993년1994년1995년
파일:ㄴㄴㄴ조지_마이클_-_Listen_Without_Prejudice_Vol._1.jpg
-
-
-
파일:Parklife.jpg
Listen Without Prejudice Vol. 1SealDivaConnectedParklife
조지 마이클애니 레녹스스테레오 엠씨스블러
1996년1997년1998년1999년
파일:(What's The Story) Morning Glory?.webp
파일:everything must go-1996.jpg
파일:urban hymns-1997.jpg
파일:external/image.allmusic.com/d50751p08hv.jpg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Everything Must GoUrban HymnsThis Is My Truth Tell Me Yours
오아시스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버브매닉 스트리트 프리처스
같이보기 : 영국 - 앨범, 싱글, 남성, 여성, 그룹




음악가별 미국내 음반 판매 순위
[ 1위 – 10위 ]

1위비틀즈183,000,000+장
2위가스 브룩스157,000,000+장
3위엘비스 프레슬리139,000,000+장
4위이글스120,000,000+장
5위레드 제플린112,500,000+장
6위마이클 잭슨89,000,000+장
7위빌리 조엘86,500,000+장
8위엘튼 존79,000,000+장
9위AC/DC75,000,000+장
10위핑크 플로이드75,000,000+장

[ 11위 – 25위 ]

11위머라이어 캐리74,000,000+장
12위브루스 스프링스틴71,000,000+장
13위에어로스미스69,500,000+장
14위조지 스트레이트69,000,000+장
15위바브라 스트라이샌드68,500,000+장
16위롤링 스톤스66,500,000+장
17위마돈나64,500,000+장
18위메탈리카63,000,000+장
19위에미넴61,500,000+장
20위휘트니 휴스턴61,000,000+장
21위벤 헤일런56,500,000+장
22위플리트우드 맥54,500,000+장
23위셀린 디옹53,000,000+장
24위테일러 스위프트51,000,000+장
25위U251,000,000+장
26위 이하로는 출처를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이름바브라 스트라이샌드
BARBRA STREISAND
분야파일: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영화 심볼.jpg 영화
입성날짜1976년 12월 17일
위치6925 Hollywood Blvd.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Barbra Streisand
파일:바브라 스트라이샌드.jpg
본명Barbara Joan Streisand
바버라 존 스트라이샌드
출생1942년 4월 24일 (82세)
미국 뉴욕 주 뉴욕 시 브루클린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직업가수, 배우, 영화 감독
신체163.8cm
활동1960년 – 현재
데뷔1962년 싱글 ‘Happy Days Are Here Again’
장르브로드웨이, 트레디셔널 팝, 디스코
배우자엘리엇 굴드(1963년~1971년)
제임스 브롤린(1998년~현재)
자녀아들 제이슨 굴드(1966년생)
서명파일: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서명.jpg
링크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상세
2.1. 창법 및 발성
2.2. 대중 매체에서의 모습
3. 디스코그래피
3.1. 앨범
3.2. 싱글
3.2.2. 빌보드 핫 100 3~10위
3.2.3. 빌보드 핫 100 11~20위
4. 영화 배우
5. 영화 출연작
6. 관련 문서
6.2. Duck Sauce의 싱글 'Barbra Streisand'
7. 여담



1. 개요[편집]


Mother of Divas[1]


미국가수이자 배우로, 할리우드의 살아있는 전설적인 가수.

2. 상세[편집]


유일하게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모두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한 주인공으로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고 위대한 아티스트 중 하나이며 역사상 상업적으로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중 하나이다. 영화계에서도 최고의 자리에 오른 미국 대중문화의 전설 중 하나이기도 하다.[2]또한 배우로서도 큰 성공을 거둔 인물이다.

유대인으로 원래 이름은 바버라 스트라이샌드(Barbara Streisand)이지만 18세 무렵에 이름 중간의 'a' 자를 뺐다. 유대계 성을 바꾸고 활동하란 주위 사람들의 충고에 반항하는 의미에서 이름을 살짝 바꿨다는 카더라가 있을 정도로, 유대계 연예인치고는 거의 본명으로 활동하는 인물. 주로 1960-70년대에 활발히 활동하면서 많은 인기를 얻었다. 음악 장르는 AOR 같은 성인 취향의 발라드나 팝. 의외로 이런 쪽 수집가들에게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에서 콘서트 푯값이 제일 비싼 가수로 손꼽힌다. 누가 왜 그렇게 티켓값이 비싸냐고 불평하자 "내 공연에 나의 가수 인생 수십 년이 녹아 있는데 그 정도면 얼마 안되는 가격이다."라고 했다고 한다. 사실 스트라이샌드의 주요 팬층은 미국의 중장년층 유대인들이다. 중상류층이 많은 유대인들 특성상 그들은 푯값 정도는 거뜬히 낼 수 있는 사람들이라서 일부러 비싸게 받는 것도 있다.

좀 더 실감나게 설명하자면, 미국 현지에서는 미국 대통령급 인지도를 가진 미국판 국민가수이며 한국으로 인기와 인지도로 치자면 이미자, 패티김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사실 빌보드 기록과 영화계에서의 성공 등 세계적으로 따지면 비교도 안되게 어마어마 하지만 말이다. 물론 보컬 실력도 넘사벽. 스트라이샌드 보컬로 부른 곡들은 그 어떤 누가 커버해서 불러도 대체가 불가능하다는 평을 받을 정도다. 드라마 글리 주인공들의 우상이 바로 스트라이샌드이다.

그러나 미국에서의 명성에 비해 한국에서는 웬만한 중노년을 제외하고는 인지도가 거의 없으며 오히려 스트라이샌드 효과가 신문에서의 인용 등을 통해 더 잘 알려져 있다. 스트라이샌드 효과를 설명하면서 유래를 설명할 때 곁다리로 나오는 수준. 그리하여 한국에서의 이미지는 괜히 뭐라하다 역풍 맞은 미국 여자(...)

스트라이샌드는 유달리 까다롭고 거만하다는 말이 많다. 한 사례를 들자면, 2003년 스트라이샌드는 오프라 윈프리 쇼에 출연하면서 자기 의상으로 입고 나온 풀오버와 마이크 색상을 맞추려고 오프라쇼의 마이크를 멋대로 흰색으로 바꾸기도 했다. 70년대 여성들이 좋아했던 영화 <추억>에서 곱슬머리에 개성 강한 여주인공을 연기했는데, 이 영화 속 캐릭터와 실제로 흡사해서 아이콘으로 등극했다. 미드 섹스 앤 더 시티에서 이 영화 속 스트라이샌드 배역을 언급하며 '곱슬머리에 까다로운 여성'과 '생머리에 단순한 여성' 유형에 대해 논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유튜브영상 스트라이샌드 효과가 괜히 일어난 일은 아닌 듯.

가 큰편인 유대인 중에서도 유달리 코가 크기로 유명한데 미국에선 이걸로 자주 까인다. 특히 연예인 까는 맛으로 먹고사는 매체일 경우 노골적이다. 패밀리 가이에선 돈이 콧구멍에서 나온다는 식으로 까며, 사우스 파크에서는 아예 코 큰 괴물이나 악마화(...) 한다.

상술했던 것처럼 그리 미인은 아닌데도 불구하고 엄청난 남성편력으로 유명하다. 가지고 있는 엄청난 끼와 화술, 매력으로 어필하는 모양.

미국에서 진보 성향이 강한 인구 집단인 유대계 여성 중에서도 진보적이기에 베트남 전쟁을 무척이나 반대했고 이라크 전쟁이나 미국이 벌이는 전쟁을 무척 비난하기로 유명하다. 이스라엘에 대해서도 냉소적인 반응을 보인다고 한다. 미국 민주당 골수 지지자로도 유명하다. 물론 그녀도 탈레반을 뭉개려는 아프가니스탄 전쟁만은 반대하지 않았으나 장기전으로 이끌어가는 것을 "기껏해야 더 많은 아프가니스탄 민간인을 죽였을 뿐이니 미국의 복수는 진작에 끝났다. 그러니 더 증오를 남기지 말고 이젠 철수해야 한다."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이래서 미국 극우들에게 증오와 멸시를 받는다.

여담이지만 배우 조시 브롤린의 계모이기도 하다. 물론 조시 브롤린의 아버지 제임스 브롤린과의 결혼은 조시 브롤린이 장성하고 나서 했기 때문에 흔히 생각하는 새어머니 같은 존재는 아니다.

2018년, 황우석이 운영 중인 수암생명공학연구원 랩에서 애완견을 복제했다고 한다. 비용은 5만 달러였다고. 기사


2.1. 창법 및 발성[편집]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의 노래를 들어보면 발표 시기에 따라 발성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인터넷상에서 찾을 수 있는 가장 오래된 녹음은 대부분 1960년도 초의 것들이다. 1961년에 녹음한 "Moon River"가 그 예시이다.

후술하겠지만 1970년대 당시엔 비음 섞인 유려한 창법이었다면 1960년대 초중반까지는 끌어모으며 내지르는 시원한 창법을 사용했다. 이 당시 창법은 1976년 스타 탄생의 Woman in the moon에서 다시 한 번 보여준다. 시대마다 창법이 굉장히 다양하게 변하는데 무엇하나 위화감 없으니 그야말로 거장이라 불릴만하다.

1960년대 후반부터는 점점 소리가 열리고 경험이 늘어나면서 보다 풍부한 소리를 보여준다. 예시로 1969년에 라스 베가스에서 콘서트를 한 영상을 들 수 있다.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대부분 비슷한 발성의 목소리를 들려준다. 점차 시간이 흘러갈 수록 음색과 표현력, 연륜 등은 물론 계속 성숙하게 발전한다. 1975년 "How lucky can you get?" 공연. 아직까지 쫄깃쫄깃하면서도 힘찬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1970년대 후반부터는 목소리에서 탄력이 점차 줄어들면서, 빠릿빠릿했던 예전에서 허스키한 느낌으로 변한다. 대신 발성은 훨씬 편해지고 콧소리가 조금씩 줄어든다. 1986년에 캘리포니아 자신의 저택에서 한 콘서트 중 "Over the rainbow"를 보면 알 수 있다. 1990년대부터는 콧소리의 사용이 더 줄어들고 소리가 완전히 위쪽으로 올라가 두성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며 더욱 편한 노래를 들려준다. 1994년에 한 콘서트 중 "As if we never said goodbye"을 예시로 들 수 있다.

2000년대부터 현재까지는 나이가 들면서에 따라 음색이 점차 거칠어지는 것과 음역대가 점차 낮아지는 것 빼고는 큰 차이가 없다. 발성의 본좌. 2000년에 한 콘서트 Timeless 중 "The way we were"과 2013년에 한 콘서트 Back to Brooklyn 중 "Evergreen"을 보면 그녀의 초지일관성에 감탄을 금치 못할 것이다. 참고로 이 노래(Evergreen)는 바브라 자신이 작곡했으며 "스타 탄생"이란 영화의 주제가로 오스카 상을 받은 곡이다.


2.2. 대중 매체에서의 모습[편집]



2.2.1. 사우스 파크에서[편집]


수많은 팬들이 저희한테 '사우스 파크에서 조롱하는 연예인들은 진짜로 미워서 그러는 거냐?' 이렇게 물어보는데 당연히 절대 아니죠. 그냥 재밌게 하려고 그러는 것일 뿐이에요.

(몇초간 정적이 흐른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의 경우를 제외하고요. 우린 그녀를 미워해요.

사우스 파크 시즌 1 보너스 영상에서


그리고 사우스 파크에서 제일 욕을 많이 먹는 아주머니이다(...). 한국에서 스트라이샌드의 인지도는 60-70년대를 보낸 사람들이 아니라면[3] 대부분 사우스 파크에서 기인한다.

시즌 1의 Mecha-streisand 에피소드에서는 합성기계수로 변신해서 깽판을 부리지만 마침 괴수들로 변한 몇몇 마을사람들에 의해 격퇴되고, 시즌 2 할로윈 에피소드에선 이 아줌마의 얼굴이 SPOOKY VISION이라는 문구와 함께 스크린 꼭짓점에 계속 붙어 있는 등 잊을 만하면 등장해서 까인다. 덕분에 사우스 파크에서 제일 많이 까인 인물 1위를 차지한다.

심지어 극장판에서 에릭 카트먼이 마무리 공격으로 한 욕의 마지막 단어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였다(...). 카트먼은 이 때 몸에 심어졌던 V-칩이 오류를 일으켜 욕을 할 때마다 전격을 방출하는 능력을 지녔고, 욕의 강도가 강할수록 전격이 더욱 강해졌다. 그러다가 200회 특집 에피소드에서 업그레이드해서 재등장. 13년이 지났다보니 그래픽이 엄청나게 상향돼서 돌아왔다. 해당 에피소드에서 메카 스트라이샌드 때문에 핍 피럽이 죽었다.

Mecha-streisand 에피소드의 DVD 코멘터리에 의하면, 제작자들이 그녀를 혐오하는 주된 이유는 제작 당시 콜로라도 주법 개정안의 통과로 동성애자가 보호받는 계층으로 인정받지 못하게 되자, 스트라이샌드가 콜로라도 주와 그의 모든 시민들을 상대로 "시골뜨기 무리들(bunch of hicks)"이라 비하하며 절대로 다시 콜로라도를 방문하지 않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스트라이샌드 본인은 사우스 파크를 보고 "이런 쇼들의 사르카즘(sarcasm, 비꼬기)식 관점이 좋지 않은 평가를 받는 이유다"라고 평했는데, 파커와 스톤은 '"스트라이샌드가 어떻게든 화를 내게 만들어서 너무 좋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사우스 파크: 포스트 코로나에서는 직접 등장하진 않았으나, 에릭 카트먼의 배우자의 이름을 옌틀(Yentl)로 지어서 간접적으로 디스했다.

2.2.2. 심슨 가족에서[편집]


심슨 가족에서도 사우스 파크만큼은 아니지만 언급되는 편이다. 허리케인 바바라를 이 사람의 입김으로 묘사하기도 했다.


3. 디스코그래피[편집]



3.1. 앨범[편집]


연도제목
1963The Barbra Streisand Album
1963The Second Barbra Streisand Album
1964The Third Album
1964People
1965My Name Is Barbra
1965My Name Is Barbra, Two...
1966Color Me Barbra
1966Je m'appelle Barbra
1967Simply Streisand
1967A Christmas Album
1969What About Today?
1971Stoney End
1971Barbra Joan Streisand
1973Barbra Streisand...And Other Musical Instruments
1974The Way We Were
1974ButterFly
1975Lazy Afternoon
1976Classical Barbra
1976A Star is Born
1977Streisand Superman
1978Songbird
1979Wet
1980Guilty
1981Memories
1984Emotion
1985The Broadway Album
1988Till I Loved You
1993Back to Broadway
1997Higher Ground
1999A Love Like Ours
2001Christmas Memories
2003The Movie Album
2005Guilty Pleasures
2009Love Is the Answer
2011What Matters Most


3.2. 싱글[편집]



3.2.1. 빌보드 핫 100 1위[편집]


  • The Way We Were (1974)
  • Evergreen (Love Theme from A Star Is Born) (1977)
  • You Don't Bring Me Flowers (Duet with Neil Diamond) (1978)
  • No More Tears (Enough is Enough) (Duet with Donna Summer) (1979)
  • Woman in Love[4] (1980)


3.2.2. 빌보드 핫 100 3~10위[편집]


  • People (1964)
  • Stoney End (1971)
  • My Heart Belongs to Me (1977)
  • The Main Event/Fight (1979)
  • Guilty (Duet with Barry Gibb) (1981)
  • What Kind of Fool (Duet with Barry Gibb) (1981)
  • I Finally Found Someone (Duet with Bryan Adams) (1996)


3.2.3. 빌보드 핫 100 11~20위[편집]


  • Comin' In and Out of Your Life (1982)


4. 영화 배우[편집]


만능 엔터테이너로 배우이자 감독으로도 큰 성공을 거둔 인물이다.

1968년 영화 데뷔작인 <퍼니 걸>에서 명연기를 보여주며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다. <퍼니 걸>은 걸작 뮤지컬 영화로 손꼽히며 영화 수록곡인 people은 뮤지컬 역사상 최고의 명곡 중 하나라는 평을 가지고 있다.

1973년 로버트 레드포드와 출연한 영화 <추억> 또한 수작 멜로영화로 평가를 받으며 본인이 부른 주제가곡인 The way we were은 바브라에게 첫 빌보드 1위를 가져다 주었다.

1976년 재넛 게이너 주연의 <스타 탄생#1937년>(1937)을 리메이크한 동명의 작품 <스타 탄생#1976년> 또한 바브라의 대표작이며, 본인이 작곡한 evergreen으로 아카데미 주제가상을 수상하였다. 앞서 같은 영화를 리메이크했던 주디 갈런드 주연의 동명 영화 <스타 탄생#1954년>(1954)도 있다. 1937년 원작, 1954년 리메이크, 1976년 리메이크 세 편을 모두 바탕으로 하여 만든 리메이크가 레이디 가가가 주연한 동명 영화(한국 개봉명 스타 이즈 본)(2018)이다.

1983년 감독으로서도 재능이 있어 골든글로브상에서 본인이 주연이자 감독한 <옌틀>로 감독상을 수상하였다.

1991년 주연, 감독한 <사랑과 추억>이 아카데미 7개 부문에 오르며, 작품성을 인정 받았다.


5. 영화 출연작[편집]


  • 퍼니 걸 (Funny Girl, 1968) - 패니 브라이스
  • 헬로 달리 (Hello, Dolly!, 1969) - 달리 리바이
  • 올빼미와 새끼 고양이 (The Owl and the Pussycat, 1970) - 도리스
  • 온 더 클리어 데이 유 캔 씨 포에버 (On a Clear Day You Can See Forever, 1970) - 데이지
  • 왓츠 업 덕 (What's Up Doc, 1972) - 주디 맥스웰
  • 업 더 샌드박스 (Up the Sandbox, 1972) - 마거릿
  • 추억 (The Way We Were, 1973) - 케이티 모로스키
  • 바브라 내 사랑 (For Pete's Sake, 1974) - 헨리에타 헨리 로빈스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의 갈채 (Funny Lady, 1975) - 패니 브라이스
  • 스타 탄생 (A Star Is Born, 1976) - 에스터 호프먼
  • 메인 이벤트 (The Main Event, 1979) - 힐러리 크레이머
  • 꿈꾸는 야생마 (All Night Long, 1981) - 셰럴 기번즈
  • 옌틀 (Yentl, 1983) - 옌틀/안철
  • 최후의 판결 (Nuts) - 클라우디아
  • 사랑과 추억 (The Prince of Tides, 1991) - 수전 로웬스타인
  • 로즈 앤 그레고리 (The Mirror Has Two Faces, 1996) - 로스 모건
  • 미트 페어런츠 2 (Meet the Fockers, 2004) - 로즈 퍼커
  • 미트 페어런츠 3 (Little Fockers, 2010) - 로즈 퍼커
  • 더 길트 트립 (The Guilt Trip, 2012) - 조이스 브루스터


6. 관련 문서[편집]



6.1. 스트라이샌드 효과[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스트라이샌드 효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Duck Sauce의 싱글 'Barbra Streisand'[편집]


2010년에 발매한 하우스 싱글이다.

윗 인물과의 관계를 굳이 꼽자면 앨범아트가 1981년에 발매한 Guilty를 패러디한 것 정도이다. 훅라인을 보니엠의 Gotta Go Home에서 따온 것이[5] 특징이다.[6] 다만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본인도 이 곡을 인지하고 있다. 더 길트 트립 TV 예고편에서 같이 출연한 세스 로건이랑 이 곡을 듣다가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가사가 나오기 직전 음악 끊고 '나야!!!!'라고 말하는 장면이 나오기 때문. 링크

어찌 되었건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차트 1위도 하는 등 나름 2010년대 초반에 히트한 노래지만 그래미에서 수상하는 데는 실패했다. 동시대 경쟁자가 스크릴렉스, 스웨디시 하우스 마피아 등 너무 쟁쟁했고 스크릴렉스가 몰고온 덥스텝 열풍 때문에 다소 묻혔다.

뮤직비디오 출연진이 화려하기로 유명하다. 카녜 웨스트, 퍼렐 윌리엄스, 앙드레 3000, DJ 프리미어, 토드 테리, 디플로, 퀘스트러브와 더 루츠 멤버들, 뱀파이어 위켄드 리더인 에즈라 코에닉이 등장한다.

7. 여담[편집]


  • 세계 3대 디바의 롤모델이다. 특히 셀린 디옹[7]을 아꼈는데 둘은 Tell Him이라는 곡도 듀엣으로 불렀다. 곡 중에서도 두 사람의 목소리가 비슷하다는 말이 많이 나오기도 했다. 또한 영국 솔로 가수 Adele의 롤모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4 08:50:17에 나무위키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https://en.m.wikipedia.org/wiki/Honorific_nicknames_in_popular_music#H#[2]마돈나 조차도 바브라랑 같이 무대에서 듀엣하게 되었다는 소식에 너무나 벅차서 기뻐 날뛰었을 정도니 말 다했다.[3] 워낙 미국에서 유명했기 때문에 팝 라디오 방송에서 자주 소개해줘서 알게 된 한국 기성세대도 좀 있다.[4] 비 지스배리 깁로빈 깁이 작곡했다. 이 곡이 수록된 Guilty 앨범 역시 배리 깁이 제작했다.[5] 이름은 몰라도 한번 들어보면 다들 왠지 알만한 유형의 노래이다.[6] 사실 Gotta Go Home도 훅라인과 벌스를 Nighttrain의 Hallo Bimmelbahn(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독일어로 된 노래다.)에서 따왔다.[7] 데뷔 했을 때도 바브라 스트라이샌드와 목소리가 비슷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