닉 파크

덤프버전 : (♥ 0)

파일:Annie_Award.png
윈저 맥케이상
[ 펼치기 · 접기 ]

20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1972년1973년1974년
맥스 플라이셔데이브 플라이셔월터 란츠텍스 에이버리프리즈 프레렝
1974년1975년
척 존스아트 배빗윈저 맥케이그림 네트윅월트 디즈니
1975년1976년
존 허블리페이스 허블리노먼 맥라렌로버트 캐넌휴 하먼
1976년1977년
루돌프 이징마이클 말테스조지 팔워드 킴볼윌리엄 해나
1977년
조셉 바베라멜 블랭크오스카 피싱거빌 스콧밀트 칼
1978년
제이 워드어브 아이웍스딕 휴머칼 스탈링한스 콘리드
1979년1980년
클라이드 제로니미빌 멜렌데즈매 퀘스텔오토 메스머올리 존스턴
1980년1981년
프랭크 토머스칼 하워드폴 줄리안라번 하딩T. 히
1981년1982년
빌 피트빌 타이틀라존 휘트니켄 헤리스켄 엔더슨
1982년1983년
브루노 보제토준 포레이도날드 W. 그레이엄마크 데이비스에릭 라슨
1983년
프레드 무어클라렌스 내쉬볼프강 레이더먼레오 살킨스티븐 보수스토
1983년1984년
윌프레드 잭슨다우스 버틀러데이비드 핸드잭 키니마이클 라
1984년1985년
로버트 매킴슨리처드 윌리엄스해밀턴 러스크로버트 아벨프레스턴 블레어
1985년
조 그랜트존 핼러스스털링 홀러웨이짐 맥도날드필 먼로
1985년1986년
벤 워셤프레더릭 백샤머스 컬해니윌리엄 T. 허츠이르벤 스펜스
1986년1987년
에머리 호킨스존 란즈베리폴 드리센잭 해나빌 리틀존
1987년1988년
모리스 노블켄 오코너노먼 퍼거슨멜 쇼랠프 박시
1988년1989-1990년
밥 크렘펫티사 데이비드가와모토 기하치로버질 로스아트 클로키
1989-1990년
힉스 로키알렉스 로비돈 메식데즈카 오사무레스터 노브로스
1991년
레이 해리하우젠허버트 클린밥 커츠유리 노르슈테인조 시라쿠사
1991년1992년1993년
루스 키산레스 클라크스탠 프레버그데이비드 힐버만조지 더닝
1993년1994년
로이 E. 디즈니잭 잰더에드 베네딕트아서 데이비스장 밴더 필
1995년1996년
줄스 엥겔반스 게리댄 맥로린메리 블레어버니 매티슨
1996년1997년1998년
타카모토 이와오윌리스 H. 오브라이언마이런 왈드먼폴 윈첼에위빈드 얼
1998년1999년
미야자키 하야오어니스트 핀토프레이 패터슨마르셀 얀코비츠콘 페더슨
2000년
노먼 맥케이브호이트 커틴루실 블리스

21세기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2001년2002년
빌 저스티스피트 알바라도밥 기븐스진 하젤튼플로이드 노먼
2002년2003년2004년
셔먼 형제진 디치존 헨치썰 라벤스크로프트돈 블루스
2004년2005년
버지니아 데이비스아놀드 스탱코니 콜프레드 크리펜타이러스 웡
2006년2007년
안드레아스 데자겐디 타르타콥스키빌 플림턴존 케인메이커글렌 킨
2007년2008년2009년
존 크릭팔루시마이크 저지존 라세터닉 파크팀 버튼
2009년2010년
제프리 카첸버그브루스 팀브래드 버드에릭 골드버그맷 그레이닝
2011년2012년
월터 페리고이뵈르게 링로널드 설테리 길리엄오스카 그릴로
2012년2013년2014년
마크 헨오토모 카츠히로스티븐 스필버그필 티페트디디에 브루너
2014년2015년
돈 러스크리 멘델슨조 랜프트필 로먼타카하타 이사오
2016년2017년
데일 베어캐롤라인 리프오시이 마모루제임스 백스터스티븐 힐렌버그
2017년2018년2019년
웬디 틸비
아만다 포비스
랄프 이글스톤안드레아 로마노프랭크 브랙스톤곤 사토시
2019년2020년
헨리 셀릭론 클레먼츠존 머스커윌리 이토수 C. 니콜스
2020년2021년2022년
브루스 W. 스미스루벤 A. 아퀴노릴리언 슈워츠스즈키 토시오피트 닥터
2022년
에블린 램바트크레이그 맥크라켄





닉 파크
Nick Park
파일:nick_park.jpg
본명니콜라스 울스턴 파크
Sir Nichloas Wulstan Park, CBE, RDI
출생1958년 12월 6일 (65세)
영국 잉글랜드 랭커셔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1. 개요
2. 활동
3. 작품 목록
3.1. 극장판
4. 단편
5. TV 시리즈
6. 기타
7. 여담


1. 개요[편집]


아드만 스튜디오애니메이터이자 애니메이션 감독이다. 월레스와 그로밋 제작자로 유명하다.


2. 활동[편집]


어머니 메리 세실리아 애슈턴(Mary Cecilia Ashton)과 건축 사진가이자 아마추어 발명가인 아버지 로저 울스턴 파크(Roger Wulstan Park) 사이에서 5남매 중 셋째로 태어났다. 그린란드 아스테이트에서 자랐지만 어머니가 살고 있는 월머브리지로 이사를 갔다.

어렸을 때 어머니의 재봉일을 도우며 만화를 그리며 지냈고, 13살 때 어머니의 홈비디오 카메라와 털실패로 작은 영화를 만들었다. 17살 때 ⟪아치의 콘크리트 악몽(Archie’s Concrete Nightmare)⟫을 만들어 1975년 BBC에 방영이 되었다. 그러던 중 셰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NFTS[1]에서 월레스와 그로밋을 만들 때 데이비드 스프록스턴피터 로드를 만난 계기로 1985년 아드만 스튜디오에 입사했다.

입사 후 아드만 스튜디오에서 각종 광고와 작품 등을 제작하며 1989년에 월레스와 그로밋: 화려한 외출과 단편 작품 ⟪동물원 인터뷰⟫를 선보였다. 화려한 외출은 BAFTA에서 수상을 받고 동물원 인터뷰는 아카데미상을 수상했다. 그 후 꾸준히 광고와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며 입지와 명성을 알린다.

그가 제작한 필름 ⟪동물원 인터뷰⟫, 월레스와 그로밋: 전자바지 소동, 월레스와 그로밋: 양털 도둑, 월레스와 그로밋: 거대 토끼의 저주가 연달아 아카데미상을 연속 수상하였으나, 월레스와 그로밋: 빵과 죽음의 문제로 아카데미 수상을 실패하며 기록이 깨졌다. 그 외에 자잘한 상을 합하면 54번 수상, 26번 후보에 선정되었다.

1996년 10월 바스 대학(Bath University)에서 명예 예술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고, 1997년 11월 25일 대영제국 훈장 CBE(Commander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를 받았다.

비노(The Beano) 코믹스[2] 팬이며, 2008년 8월 2일 70주년에 게스트로 참여했다. 2013년 4월 모노노케 히메의 영국 무대 각색에 참여했다.

2016년 57세에 매그스 코널리(Mags Connolly)와 결혼을 했다.


3. 작품 목록[편집]



3.1. 극장판[편집]




4. 단편[편집]




5. TV 시리즈[편집]




6. 기타[편집]


  • 피터 가브리엘Sledgehammer 뮤직비디오 - 애니메이터[3]
  • Kot v sapogakh - grateful thanks
  • 티나 터나와 배리 화이트의 The Wildest Dreams 뮤직비디오 애니메이션
  • From the Big Bang to Tuesday Morning - thanks
  • 플러쉬 - special thanks
  • 심슨 가족 - Angry Dad: The Movie 본인
  • 허당 해적단 - thanks
  • The 17th Annual Animation Show of Shows - very special thanks
  • Heroes of Christmas - 영감
  • 버거킹 광고 중 클레이 애니메이션 부분


7. 여담[편집]


  • 월레스와 그로밋은 정말로 자신의 마음을 사로잡은 캐릭터[4]라고 밝혔다. 그리고 둘을 아무도 갈라 놓을 수 없다고 한다.

  • 그로밋을 좋아하는 이유는 자신이 가져 본 적이 없는, 이상적인 애완견이기 때문인 것 같다고 한다.

  • 미국 뉴욕에서 양털도둑을 홍보하기 위해 택시를 타다 실수로 월레스와 그로밋 모델[5]을 두고 내려버려 발칵 뒤집어 진 적이 있다. 미국 매체를 통해 돌아와 달라고 호소했고 곧 국제적인 뉴스가 되어버렸다. 영국에서도 TV와 라디오로 알리고 신문에는 1면으로 보도되었다고 한다. 다행히도 택시 기사가 신문을 읽고 알아차려 36시간 후에 돌아왔다. 보상금으로 500달러를 제안했지만 거절했다고 한다.

  • 월레스와 그로밋: 화려한 외출에서 언급한 웬슬리데일 치즈 브랜드는 당시엔 파산 위기였으나 영화 이후 급작스레 인기도와 판매량이 폭발해 위기를 면했다고 한다. 정작 본인은 우연히 본 이름인데 재미있어서 지었다고 한다.

  • 월레스는 아마추어 발명가였던 아버지로부터 따왔다고 한다. 영어 선생님이 모티브였다는 말이 있었지만 부정했다.

  • 아버지가 만든 발명품 중 가장 특이했던 것은 가족들과 해변으로 여행을 가는 작은 트레일러였는데, 인테리어 벽지가 발라진 벽과 볼트로 고정된 나무 가구들로 이루어져있 었다고 한다. 닉 본인의 묘사로는 바퀴 달린 거실(a living room on wheels)이다.

  • 그 아버지에 그 아들 아니랄까봐 본인도 어렸을 때 발명품을 만들긴 했다. 만든 후에는 종종 블루 피터에 보내기도 했다고 한다. 그 중 하나가 다른 색의 털실들을 짜내는 병(a bottle that squeezed out different coloured wools).[6]


  • 치킨 런의 주인공인 진저와 록키는 어렸을 때 기르던 애완 의 이름이라고 한다.


  • 어렸을 때부터 월트 디즈니같은 애니메이터가 되고 싶었다고 한다.

  • 프레스턴스 대학에서 공부했는데, 그 후에 미술과 디자인 학과를 위한 닉 파크 도서관 학습 센터(the Nick Park Library Learning Centre)를 세웠다. 이때 공로로 그는 골드 블루 피터 배지를 수여받았다. 골드 블루 피터 배지는 BBC에서 만든 배지이며. 어린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6~15세 아이들 혹은 게스트로 출연한 어른들에게 준다. 그 중 골드 배지는 큰 공을 세웠을 때 받을 수 있다. 대표적으로 골드 배지를 받은 사람은 엘리자베스 2세, 데이비드 베컴, J. K. 롤링, 데이비드 테넌트 등이 있으며 같은 아드만 스튜디오 사람으로는 피터 로드가 있다.

  • 2011년 심슨 가족 에피소드 <Angry Dad: The Movie>에 게스트로 등장했다. 리사 심슨과 악수하다 손가락이 떨어져 나가 리사 심슨이 놀라자, 자신은 이제 인간보다 클레이에 가깝다며 다시 붙이면 되니 걱정 말라고 말한다. 여기서 월레스와 그로밋은 윌리스와 크럼블(Willis and Crumble)로 패러디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20:40:28에 나무위키 닉 파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National Film and Television School, 영국의 필름 스쿨 중에서 1등을 할 만큼 유명한 학교다.[2] 영국 어린이 만화잡지. 개구쟁이 데니스도 여기서 나온다.[3] 정확히 중간에 닭 2마리가 춤을 추는 장면.[4] 원본은 Wallace & Gromit were the first characters he really put his heart into.[5] 빨간 오토바이+보조석을 탑승한 세트였다. 교체하는데 약 2만 달러가 소모 될 정도로 중요했다.[6] 블루 피터는 1958년 처음 시작해 60년이나 이어지고 있는 유서 깊은 아동 프로그램이다. 집안의 다양한 물건들로 창의적인 아이템을 만들어내는 코너로 유명하며 역사도 오래됐고 워낙 인기가 많은 프로그램이다 보니 많은 영국의 유명인들이 어렸을 때 블루 피터에 물건을 보내본 경험이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