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남구/정치

덤프버전 :

||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강남구 CI.svg 서울특별시 강남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국회의원시의원지역
강남구 갑강남구1신사동, 논현1동, 압구정동, 청담동
강남구2논현2동, 역삼1동, 역삼2동
강남구 을강남구3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강남구4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
강남구 병강남구5대치1동, 대치4동, 도곡1동, 도곡2동
강남구6삼성1동, 삼성2동, 대치2동

1.1. 구의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강남구의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강남구 CI.svg강남구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14석, 구청장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9석
재적
23석




2. 지역 특징[편집]


강남구는 보수세가 가장 강력한 강남3구에서도 가장 보수세가 강한 동네다. 또한 부동산 민심에 따라 계급투표 양상이 나타나는 지역이기도 하다. 결과만 봐선 TK 수준의 초강력 보수 텃밭처럼 보일 수 있으나, 대신 경합지역수도권충청도처럼 기존 인물에 대한 평가가 표심에 반영되기에 대경권 수준의 몰표는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TK 제외 전국 최강 보수정당 텃밭이다. 창녕, 합천을 제외한 PK 지역에서도 강남구의 보수정당 지지율을 넘어서지는 못한다.

중선거구제 시절에는 10대 총선, 11대 총선에서 민주공화당, 민주정의당의 이태섭 후보가 당선되고 야당의 정운갑 후보도 당선되기도 했는데 이 때는 개발 초기임에도 박정희 정권의 개발정책으로 여권이 유리했다. 반대로 12대 총선에서는 전원 야권이 승리했다. 그러나 소선거구제가 실시된 이후 1996년 15대 총선까지만 해도 야당 후보가 승리하는가 하면[1] 당선된 여당 후보들의 득표율도 40%대 초반에 불과했다. 이 당시만 해도 강남이 서울의 대표적 인물대결장이었기 때문에 여야 성향이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았고, 무엇보다 개발된지 얼마 되지 않아 이 지역에 막 정착한 주민들 대부분이 상대적으로 비판의식이 높은 청장년층이었다는 점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2] 고로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양극화가 심화되기 시작한 2000년의 16대 총선을 기점[3]으로 본격적으로 보수정당이 우세를 점하기 시작했다고 말할 수 있다. 단, 구청장과 구의회는 이전부터 보수정당이 장악해왔다.

1명만 뽑는 선거에선 이 곳에서 보수정당 공천이 곧 당선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인근 송파, 서초구 등과 함께 보수정당이 열심히 공들여 관리하는 지역 중의 하나이다. 그래서 대한민국 국회의원이건 구청장이건 본인들의 임기에 대한 평판이 좋지 못하거나 역량 있는 새 인사가 나타나면 다음 선거에서 재공천 받기가 매우 힘들다.[4] 반면 민주당계 정당에서는 여당 시절이던 16대 총선 당시 참신한 정치 신인이던 오세훈 변호사를 빼앗기고 선거에도 진 이후부턴, 2012년 19대 총선에서 정동영민주평화당 대표가 을구에 출마할 때까지는 아예 중량급 인사들은 당선 가능성이 낮은 이 곳에는 출마조차 하지 않았다.

18대 대선에서도 박근혜 당시 새누리당 후보가 22개동과 부재자, 재외투표에서 전승하며 2016년 20대 총선 이전에는 보수정당의 절대우세 지역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20대 총선에서 전현희 후보가 강남구 을에서 승리하는 이변이 일어났고 이후 대한민국 보수정당 최대의 위기였던 최순실 게이트와 박근혜 대통령 탄핵 사태로 정권이 교체되고 정치 지형이 바뀐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대격변이 일어났다. 더불어민주당 정순균 후보가 자유한국당 장영철 후보를 1만 3천표차로 따돌리고 강남구청장에 당선된 것이다. 또한 강남구의회 구의원으로 더불어민주당이 10명, 자유한국당이 9명, 바른미래당이 1명을 배출하며 더불어민주당이 구의회내 1당으로 부상했다. 하지만 서울시의회에 유일하게 자유한국당 시의원을 배출한 자치구이기도 하다.[5]

21대 총선에서는 강남구 갑, 을, 병 지역구 모두 미래통합당 후보가 낙승을 거두면서 서울에서 통합당이 승리를 거둔 4개 구[6] 중 한 곳이 되었다.

지방선거 이후로 문재인 정부의 각종 부동산 규제로 인한 반발심리[7]개포동 일대 주공아파트 재건축이 끝나 원주민들이 재정착하고 고소득층이 유입된 덕에 21대 총선에서는 미래통합당(現 국민의힘)이 강남구 을을 탈환하며 세 선거구를 모두 휩쓸었다. 문재인 정부의 중간평가 성적으로 치러진 이번 선거에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서 미래통합당이 참패했지만, 강남3구로 대표되는 이 지역에서 보수정당의 득표율이 20대 총선 때 보다 크게 올라가고 의석을 싹쓸이하면서 계급투표 현상이 심화되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정당 투표에서는 미래한국당이 더불어시민당을 더블스코어 이상으로 이겼다.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를 트리플 스코어 차로 압살하면서 다시 예전처럼 보수 텃밭으로 돌아 왔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증명했다. 1년 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마찬가지로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무려 67.01%의 득표로 압살하는 등으로[8] 민주당의 험지로 돌아서게 되었다. 이는 경상도를 제외하면 강화군옹진군마저 이기는 전국에서 제일 높은 보수 득표율이다.[9] 다시금 보수의 텃밭화가 된 이상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정순균 구청장의 재선이 어려워 보인다는 분석이 많다. 특히 중산층 이상이 많이 거주하는 아파트 표심이 국민의힘으로 대거 쏠리는 결과가 나왔다. 결국 정순균 후보는 예상대로 압도적 격차로 낙선하고 말았다. 그나마 송영길 후보처럼 트리플 스코어로 당하지는 않았다는 것으로 만족해야 할 듯 하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강남구 CI.svg 역대 강남구 국회의원 선거 결과
강남구 갑강남구 을
13대
ta-hash-start=w-2a5e1c52752a71a87c5c2cc5d594dfc0[[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황병태 (초선)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이태섭 (3선)
14대
ta-hash-start=w-5f631e824c4f7ce1c8143ddb91ffd74c[[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김동길 (초선)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홍사덕 (3선)
15대
ta-hash-start=w-96021734e7ee66275cb9995123834c72[[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서상목 (3선)[10]

무소속

홍사덕 (4선)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최병렬 (4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오세훈 (초선)
17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종구 (초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공성진 (초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종구 (재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공성진 (재선)[11]
19대
ta-hash-start=w-692a4d61669a90addcc610a5bf9ee7db[[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심윤조 (초선)

ta-hash-start=w-36317a78f97d1d6d7a02333ad01186fa[[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종훈 (초선)
강남구 갑강남구 을강남구 병
20대
ta-hash-start=w-9752d873fa71c19dc602bf2a0696f9b5[[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종구 (3선)
전현희 (초선)이은재 (재선)
21대태구민 (초선)박진 (4선)유경준 (초선)


파일:강남구 CI.svg 역대 강남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민주자유당한나라당한나라당
권문용맹정주신연희
201420182022
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신연희정순균조성명
주요 후보 득표율


3.1. 지방선거[편집]



3.1.1.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강남구
강남구 일원
정당
후보강금실오세훈박주선
득표수39,314160,64610,696
득표율18.22%74.45%4.95%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433,889
투표 수216,768
무효표 수1,003
투표율49.96%


3.1.1.2. 강남구청장 선거[편집]

강남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판국38,2652위
17.85%낙선
2맹정주167,3731위
78.06%당선
6신윤철8,7743위
4.09%낙선
선거인 수433,889투표율
49.97%
투표 수216,814
무효표2,407

3.1.2.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강남구
강남구 일원
정당
후보오세훈한명숙노회찬
득표수138,39079,0945,493
득표율59.94%34.26%2.86%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452,744
투표 수231,886
무효표 수1,037
투표율51.22%

5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선거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오세훈한명숙(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38,390
(59.94%)
79,094
(34.26%)
+59,296
(△25.68)
51.22%
신사동68.20%27.11%△31.0950.37
논현1동50.74%43.13%△7.6135.76
논현2동59.83%34.79%△25.0442.77
압구정동77.35%18.37%△58.9852.93
청담동66.85%28.21%△40.6448.35
삼성1동65.22%29.70%△35.5251.87
삼성2동58.82%35.20%△23.6248.24
대치1동69.63%25.36%△44.2760.31
대치2동66.11%28.45%△37.6657.31
대치4동51.17%42.73%△8.8442.95
역삼1동50.00%44.24%△5.7636.13
역삼2동59.56%34.86%△24.7048.94
도곡1동62.38%31.88%△30.5055.23
도곡2동74.19%21.30%△52.8955.37
개포1동60.02%33.98%△26.0456.24
개포2동50.32%43.35%△6.9756.34
개포4동50.94%42.72%△8.2249.31
일원본동52.71%39.64%△13.0759.20
일원1동47.46%46.08%△1.3851.86
일원2동52.06%41.70%△10.3658.36
수서동48.51%44.80%△3.7152.69
세곡동59.86%34.74%△25.1252.34
후보오세훈한명숙격차
부재자투표58.68%32.08%△26.60

3.1.2.2. 강남구청장 선거[편집]

강남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연희100,9061위
44.23%당선
2이판국72,8302위
29.33%낙선
7맹정주58,5083위
25.65%낙선
8지태자7,2764위
0.77%낙선
선거인 수452,744투표율
51.22%
투표 수231,902
무효표 수3,805

3.1.3. 2011년 하반기 재보궐선거[편집]


강남구
강남구 일원
정당
후보나경원박원순
득표수140,10987,657
득표율61.33%38.37%
순위1위2위
선거인 수461,127
투표 수229,345
무효표 수907
투표율49.74%

서울특별시장보궐선거 강남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나경원박원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40,109
(61.33%)
87,657
(38.37%)
+52,542
(△22.96)
49.74%
신사동70.14%29.69%△40.4548.85
논현1동51.33%48.43%△2.9035.39
논현2동60.58%39.22%△21.3642.84
압구정동79.39%20.46%△58.9354.17
청담동67.63%32.04%△35.5947.84
삼성1동67.13%32.66%△34.4749.19
삼성2동60.58%39.23%△21.3546.92
대치1동72.37%27.56%△44.7156.13
대치2동66.72%33.04%△33.6855.10
대치4동51.64%48.04%△3.6040.71
역삼1동50.04%49.74%△0.3034.67
역삼2동60.07%39.73%△20.3446.43
도곡1동63.12%36.64%△24.4854.16
도곡2동75.84%24.06%△51.7856.34
개포1동59.39%39.93%△19.4653.51
개포2동53.18%46.54%△6.6453.61
개포4동50.01%49.60%△0.3547.50
일원본동58.11%41.65%△16.4656.30
일원1동48.81%50.86%▼2.0550.89
일원2동52.16%47.56%△4.6054.34
수서동50.61%48.73%△1.8850.44
세곡동56.79%43.06%△13.7352.63
후보나경원박원순격차
부재자투표62.51%35.98%△26.53


3.1.4.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4.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강남구
강남구 일원
정당
후보정몽준박원순
득표수145,512120,645
득표율54.32%45.04%
순위1위2위
선거인 수467,534
투표 수270,052
무효표 수2,209
투표율57.76%

6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선거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정몽준박원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45,512
(54.32%)
120,645
(45.04%)
+24,867
(△9.28)
57.76%
신사동63.42%36.15%△26.2754.39
논현1동48.13%51.31%▼3.1841.06
논현2동55.51%43.90%△11.6147.13
압구정동74.27%25.35%△48.9258.02
청담동62.21%37.26%△24.9553.71
삼성1동60.61%38.92%△21.6956.44
삼성2동52.74%46.78%△5.9653.14
대치1동64.44%35.01%△29.4362.24
대치2동59.84%39.62%△20.2261.73
대치4동46.48%52.82%▼6.3446.99
역삼1동45.88%53.64%▼7.7640.59
역삼2동52.40%46.97%△5.4353.04
도곡1동54.27%45.22%△9.0561.02
도곡2동66.83%32.71%△34.1260.00
개포1동55.10%44.24%△10.8661.54
개포2동49.33%49.98%▼0.6561.06
개포4동45.63%53.71%▼8.0854.12
일원본동49.32%50.14%▼0.8264.99
일원1동45.82%53.20%▼7.4057.19
일원2동47.81%51.11%▼3.3063.56
수서동49.67%49.10%△0.5757.97
세곡동43.71%55.56%▼11.8558.90
후보정몽준박원순격차
거소투표61.16%37.48%△23.68
관외사전투표48.82%50.37%▼1.55

3.1.4.2. 강남구청장 선거[편집]

강남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연희163,0371위
61.25%당선
2김명신94,1642위
35.38%낙선
4이양한8,9403위
3.35%낙선
선거인 수467,534투표율
57.76%
투표 수270,033
무효표 수3,892

3.1.5.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5.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강남구
강남구 일원
정당
후보박원순김문수안철수
득표수107,74387,30558,987
득표율40.82%33.07%22.34%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454,862
투표 수266,153
무효표 수2,215
투표율58.51%

7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선거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원순김문수안철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7,743
(40.82%)
87,305
(33.07%)
58,987
(22.34%)
+ 20,438
(△7.75)
58.51%
신사동31.25%44.58%20.85%▼13.3354.80
논현1동48.91%29.38%17.42%△19.5341.56
논현2동40.78%34.69%20.53%△6.0947.10
압구정동20.86%52.11%24.22%▼27.8956.55
청담동32.96%39.56%24.32%▼6.6051.48
삼성1동35.87%37.21%23.70%▼1.3455.19
삼성2동40.76%32.59%22.53%△8.1853.60
대치1동28.41%39.52%29.19%▼10.3364.13
대치2동32.42%38.12%25.78%▼5.7061.26
대치4동49.63%25.84%19.93%△23.7848.03
역삼1동50.27%26.10%18.78%△24.1740.45
역삼2동42.15%30.38%23.49%△11.7755.09
도곡1동39.60%33.29%23.08%△6.3062.20
도곡2동27.26%43.49%26.21%▼16.2658.95
개포1동37.86%36.77%21.87%△1.0957.40
개포2동36.53%36.57%22.56%▼0.0463.30
개포4동49.45%26.76%20.05%△22.6857.23
일원본동43.85%28.37%24.13%△15.4865.40
일원1동48.42%28.35%19.12%△20.0658.11
일원2동45.64%29.70%21.23%△15.9463.59
수서동44.31%31.93%20.03%△12.3761.27
세곡동51.10%24.71%20.69%△26.3960.53
후보박원순김문수안철수격차
거소·선상투표40.17%29.19%25.72%△10.98
관외사전투표50.87%24.62%20.21%△26.25

3.1.5.2. 강남구청장 선거[편집]

강남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순균120,9281위
46.08%당선
2장영철107,0142위
40.78%낙선
3김상채25,3663위
9.66%낙선
6이주영4,4315위
10.27%낙선
7김광종4,6364위
10.27%낙선
선거인 수454,862투표율
58.51%
투표 수266,142
무효표 수3,767

3.1.6. 2021년 재보궐선거[편집]


강남구
강남구 일원
정당
후보박영선오세훈
득표수66,907202,320
득표율24.32%73.54%
순위2위1위
선거인 수452,344
투표 수276,485
무효표 수1,401
투표율61.12%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강남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박영선오세훈
전체66,907
(24.32%)
202,320
(73.54%)
-135,413
(▼49.22)
신사동18.29%79.94%▼61.65
논현1동32.33%64.81%▼32.48
논현2동25.01%72.86%▼47.85
압구정동10.49%88.31%▼77.82
청담동18.06%80.28%▼62.22
삼성1동20.40%77.51%▼57.11
삼성2동24.03%73.72%▼47.85
대치1동13.62%85.12%▼71.50
대치2동16.99%81.30%▼64.31
대치4동31.05%66.12%▼35.07
역삼1동31.58%64.84%▼33.26
역삼2동24.02%73.90%▼49.88
도곡1동23.58%74.39%▼50.81
도곡2동13.68%84.76%▼71.08
개포1동19.67%78.89%▼59.22
개포2동20.00%78.36%▼58.36
개포4동29.75%68.05%▼38.30
일원본동27.26%70.58%▼43.32
일원1동34.59%62.47%▼27.88
일원2동28.90%68.94%▼40.04
수서동33.11%64.78%▼31.67
세곡동37.02%60.56%▼23.54
거소투표21.51%72.15%▼50.64
관외사전투표34.09%63.41%▼29.32
국회의원
선거구별
박영선오세훈격차
강남구 갑[12][A][13]22.36%75.48%▼53.12
강남구 을[14][A][15][16]29.92%67.90%▼37.98
강남구 병[17][A][18]19.50%78.62%▼59.12
파일:강남구 CI.svg
강남구
압구정동 제2투표소
현대
92.17%◀ 85.24%p ▶6.92%
압구정동 제5투표소
한양
89.43%◀ 80.16%p ▶9.27%
도곡2동 제3·4투표소
타워팰리스 1차
92.57%◀ 85.85%p ▶6.72%
대치2동 제5투표소
한보미도맨션 1, 2차
89.13%◀ 79.60%p ▶9.52%
대치1동 제5투표소
래미안 대치팰리스
86.66%◀ 74.25%p ▶12.41%
도곡2동 제6·7투표소
도곡 렉슬
83.63%◀ 68.80%p ▶14.82%
대치2동 제2투표소
은마
79.46%◀ 61.24%p ▶18.23%
개포2동 제3투표소
디에이치 아너힐즈
83.08%◀ 67.74%p ▶15.34%
개포2동 제4투표소
래미안 블레스티지
82.61%◀ 66.40%p ▶16.21%
개포2동 제2투표소
개포 주공 5단지
79.97%◀ 61.92%p ▶18.05%
수서동 제5투표소
신동아
72.82%◀ 48.27%p ▶24.55%
세곡동 제3투표소
세곡 리엔파크 4단지
61.59%◀ 25.49%p ▶36.10%
일원1동 제5투표소
수서 1-2단지
61.32%◀ 25.93%p ▶35.38%
세곡동 제5투표소
강남 한양수자인
60.62%◀ 24.45%p ▶36.17%
수서동 제2투표소
수서 주공 1단지
57.64%◀ 18.17%p ▶39.47%

오세훈 후보의 16대 국회의원 시절 지역구였고 안 그래도 종부세, 재건축 문제로 강남구에서 불리했던 박영선 후보에게 선거는 이미 예상대로 불리했고, 종부세와 재건축 문제 때문에 강남, 서초, 송파, 용산, 양천 등에서 역대급 몰표가 나올거란 전망이 있었고 실제로 그렇게 됐다.[19] 오세훈 후보가 모든 동네에서 무난히 몰표를 받으며 이겼다. 박영선 후보는 압구정 현대아파트에서 100표밖에 받지 못하며 모든 아파트에서 10% 미만의 득표율을 올리며 참패했다. 종부세, 재건축 민심으로 신사동, 압구정동, 청담동에서 더불어민주당은 10%대의 득표율을 건졌고, 나머지 동네에서도 오세훈이 60~80%대의 득표율을 올리며 압승한다. 오세훈 후보는 타워팰리스 1, 2, 3차 아파트에서 무려 6.15%: 93.41%의 득표율로 압승하고, 다른 아파트들에서도 70%~90%의 득표율을 올리며 무난히 승리한다.

심지어 개포동의 보수세를 메꿔줄 일원동과 세곡동에서도 오세훈 후보가 60% 이상의 몰표를 받았기에 다음 선거에서 민주당의 선거 전망이 더욱 어두워졌다.

게다가 박영선 후보는 압구정동과 대치1동, 도곡2동에서는 선거비용 보전 마지노선인 15%에도 미치지 못하는 처참한 득표율을 얻었다.

3.1.7.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7.1. 서울특별시장 선거[편집]

강남구
강남구 일원
정당
후보송영길오세훈
득표수58,734178,621
득표율24.45%74.38%
순위2위1위
선거인 수450,895
투표 수241,549
무효표 수1,410
투표율53.57%

8회 지선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송영길오세훈(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8,734
(24.45%)
178,621
(74.38%)
-119,887
(▼49.92)
53.57%
신사동16.78%82.45%▼65.6752.06
논현1동30.22%68.20%▼37.9932.62
논현2동23.90%74.86%▼50.9640.06
압구정동10.30%89.15%78.8457.39
청담동16.90%82.23%▼65.3347.24
삼성1동20.43%78.63%▼58.2151.55
삼성2동23.33%75.63%▼52.3147.92
대치1동12.95%86.21%▼73.2559.89
대치2동16.60%82.64%▼66.0455.78
대치4동31.21%67.42%▼36.2141.18
역삼1동32.07%66.04%▼33.9733.08
역삼2동25.14%73.81%▼48.6747.49
도곡1동24.26%74.56%▼50.3055.81
도곡2동13.24%86.02%▼72.7857.35
개포1동21.79%77.33%▼55.5464.42
개포2동21.62%77.40%▼55.7860.14
개포4동29.49%69.43%▼39.9550.96
일원본동26.74%71.90%▼45.1658.04
일원1동34.70%63.56%▼28.8651.18
일원2동27.59%71.17%▼43.5857.48
수서동31.62%66.81%▼35.1956.81
세곡동36.34%61.18%25.5351.12
후보송영길오세훈격차
거소투표29.62%68.51%▼38.89
관외사전투표30.95%67.68%▼36.73
국회의원
선거구
송영길오세훈격차투표율
강남구 갑[L][20]21.79%77.10%▼55.3243.42
강남구 을[M][21]29.39%69.24%▼39.8555.16
강남구 병[N][22]19.14%79.93%▼60.8053.12


3.1.7.2. 강남구청장 선거[편집]

{+1 [[파일:강남구 CI_White.svg}}} 강남구청장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순균(鄭順均)70,8312위
29.60%낙선
2조성명(趙成明)168,4561위
70.39%당선
선거인 수450,895투표율
53.57%
투표 수241,547
무효표 수2,260

강남구청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정순균조성명(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0,831
(29.60%)
168,456
(70.39%)
- 97,625
(▼40.80)
241,547
(53.57%)
신사동[*A ]20.30%79.69%▼59.3852.08
논현1동36.76%63.23%▼26.4732.62
논현2동29.08%70.91%▼41.8340.05
압구정동[*B ]13.42%86.57%▼73.1557.38
청담동[*C ]21.55%78.44%▼56.8947.23
삼성1동[*D ]25.42%74.57%▼49.1651.57
삼성2동[*E ]28.55%71.44%▼42.8847.92
대치1동[*F ]15.89%84.10%▼68.2059.87
대치2동[*G ]21.08%78.91%▼57.8355.77
대치4동37.63%62.36%▼24.7241.18
역삼1동39.17%60.82%▼21.6433.08
역삼2동[*H ]29.65%70.34%▼40.6947.49
도곡1동29.08%70.91%▼41.8355.79
도곡2동[*I ]16.34%83.65%▼67.3057.36
개포1동24.60%75.39%▼50.7864.41
개포2동[*J ]26.82%73.17%▼46.3460.13
개포4동[*K ]35.17%64.82%▼29.6450.96
일원본동33.30%66.69%▼33.3958.02
일원1동41.30%58.69%▼17.3851.19
일원2동33.88%66.11%▼32.2457.50
수서동38.10%61.89%▼23.7856.82
세곡동43.45%56.54%▼13.0951.11
후보정순균조성명격차
거소투표38.17%61.82%▼23.66
관외사전투표36.20%63.79%▼27.58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남구
강남구 일원[23]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150,220163,656116,75932,511
득표율32.41%35.31%25.19%7.01%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537,067
투표 수468,287
무효표 수4,854
투표율87.19%

13대 대선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50,220
(32.41%)
163,656
(35.31%)
116,759
(25.19%)
32,511
(7.01%)
+ 13,436
(△2.9)
87.19%
신사동32.38%37.46%22.43%6.75%△5.0884.25%
논현동30.65%32.32%27.46%8.07%△1.6784.16%
학동31.39%34.86%24.98%7.58%△3.4785.89%
압구정동35.07%39.49%19.09%5.56%△4.4283.97%
청담동31.88%35.9%24.44%6.88%△4.0284%
삼성1동33.22%34.29%24.2%7.07%△1.0785.14%
삼성2동32.65%37.01%22.58%6.9%△4.3684.84%
대치1동31.4%38.59%22.35%6.69%△7.1986.09%
대치2동35.22%38.94%19.46%5.76%△3.7286.25%
대치3동32.29%36.37%22.83%7.29%△4.0886.2%
역삼1동30.05%32.63%28.24%7.99%△2.5884.6%
역삼2동31.36%35.31%24.98%7.39%△3.9585.78%
서초1동28.9%32.4%29.34%7.68%△3.0684.13%
서초2동32.64%37.86%22.04%6.59%△5.2284.86%
잠원동30.92%37.57%23.79%6.63%△6.6583.38%
반포본동32.63%40.02%20.44%6.18%△7.3986.78%
반포1동29.42%37.63%25.41%6.66%△8.2186.05%
반포2동46.58%28.02%18.96%4.89%▼18.5688.45%
반포3동32.8%39.49%20.99%5.99%△6.6984.81%
방배본동28.79%34.43%20.73%10.62%△5.6484.85%
방배1동28.79%34.43%20.73%10.62%△5.6485.78%
방배2동28.79%34.43%20.73%10.62%△5.6486.16%
방배3동28.79%34.43%20.73%10.62%△5.6485.06%
도곡동28.79%34.43%20.73%10.62%△5.6485.57%
개포1동28.79%34.43%20.73%10.62%△5.6486.4%
개포2동28.79%34.43%20.73%10.62%△5.6486.64%
개포3동28.79%34.43%20.73%10.62%△5.6485.45%
양재동28.79%34.43%20.73%10.62%△5.6485.23%
내곡동28.79%34.43%20.73%10.62%△5.6484.89%
세곡동28.79%34.43%20.73%10.62%△5.6487.29%
일원동28.79%34.43%20.73%10.62%△5.6485.82%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격차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남구 갑
신사동, 논현동, 학동, 압구정1동, 압구정2동, 청담1동,
청담2동, 역삼1동,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57,66634,65529,1338,353
득표율43.94%26.41%22.20%6.36%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165,479
투표 수132,285
무효표 수1,074
투표율79.94%

강남구 을
삼성1동, 삼성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3동, 대치4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3동, 개포4동, 세곡동, 일원동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68,09144,36530,3829,989
득표율44.06%28.70%19.66%6.46%
순위1위2위3위4위
선거인 수189,291
투표 수155,675
무효표 수1,143
투표율82.24%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남구 갑
신사동,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1동, 압구정2동, 청담1동,
청담2동, 삼성1동, 삼성2동, 역삼1동,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87,11156,26713,018
득표율54.95%35.49%8.21%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205,465
투표 수160,040
무효표 수1,518
투표율77.89%

강남구 을
대치1동, 대치2동, 대치3동, 대치4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3동,
개포4동,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78,20755,04214,657
득표율52.18%36.72%9.78%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185,253
투표 수151,401
무효표 수1,534
투표율81.73%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남구
강남구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164,486113,3998,254
득표율57.48%39.63%3.29%
순위1위2위3위
선거인 수404,458
투표 수287,372
무효표 수1,374
투표율71.05%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남구
강남구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41,493187,7783,80616,46531,023
득표율14.68%66.44%1.34%5.82%10.97%
순위2위1위5위4위3위
선거인 수442,286
투표 수283,231
무효표 수613
투표율64.0%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남구
강남구 일원[강남]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205,563134,880
득표율60.14%39.46%
순위1위2위
선거인 수461,592
투표 수343,220
무효표 수1,461
투표율74.36%

18대 대선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05,563
(60.14%)
134,880
(39.46%)
+70,683
(△20.68)
74.36
신사동66.52%33.24%△33.2873.83
논현1동51.17%48.46%△2.7161.69
논현2동58.15%40.57%△17.5867.98
압구정동76.55%23.12%△53.4374.87
청담동66.33%33.40%△32.9372.76
삼성1동65.54%34.12%△31.4275.02
삼성2동[24]60.04%39.63%△20.4172.31
대치1동72.86%26.67%△46.1981.35
대치2동65.56%33.97%△21.5979.80
대치4동51.88%47.65%△4.2367.13
역삼1동49.92%49.75%△0.17[25]60.84
역삼2동59.36%40.30%△19.0672.30
도곡1동61.54%38.11%△23.4379.54
도곡2동74.10%25.48%△48.6279.60
개포1동60.30%39.32%△20.9877.82
개포2동53.78%45.84%△17.9478.87
개포4동51.75%47.89%△13.8673.01
일원본동57.41%42.05%△15.3681.78
일원1동50.84%48.74%△1.8075.72
일원2동53.22%46.31%△5.9179.35
수서동52.28%47.21%△5.0774.84
세곡동53.26%46.34%△5.9277.20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53.52%46.11%△7.41
국내부재자투표59.81%38.67%△21.14

여당인 새누리당에선 지난 제17대 대통령 선거 당시 경선에서 이명박에게 패배했던 박근혜가 최종 후보로 선정되어 출마했고 민주통합당에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옛 친구이자 비서실장이었던 문재인 후보가 공천을 받아 출마했다. 민주화 시대 이후 치러진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 이후 보수 정당이 서울에서 승리한 것은 제17대 대통령 선거가 유일했다. 하지만 민주 정당이 이곳 강남구에서 승리했던 건 그 13대 대선 때 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가 초박빙 접전 끝에 35.31% : 32.41%로 득표율 2.9%, 득표 수 13,436표 차로 승리했던 것이 유일했다. 과연 문재인 후보가 김영삼 후보의 기록을 갱신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두 후보는 치열하게 접전을 벌였지만 정치 경력 1년이 채 되지 않은 신참 정치인 문재인이 14년 차 기성 정치인인 박근혜의 관록을 넘어서지 못하며 51.55% : 48.02%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승리해 당선되었다. 서울특별시에선 전국 평균과 달리 48.18% : 51.42%로 문재인 후보가 득표율 3.24%, 득표 수 20만 3,067표 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지만 이곳 강남구는 강남 3구에 속한 곳이자 서울에서 가장 보수적인 곳답게 60.14% : 39.46%로 박근혜 후보가 득표율 20.68%, 득표 수 7만 683표 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다. 이번 대선에서 나온 서울 강남구의 결과는 대략 부산광역시 연제구의 결과와 비슷했다.[26]

이것은 강남 3구 중에선 가장 보수 성향이 강하게 나온 결과였고 서울에서 박근혜의 득표율이 가장 높게 나온 결과였다. 서초구에선 58.6% : 41.01%의 결과가 나와 문재인 후보가 40% 이상의 득표를 했고[27] 송파구에서도 52.09% : 47.53%로 문재인 후보가 한 자리 수% 차 접전을 벌여 선전하기도 했다.[28] 하지만 강남구에서만큼은 문재인 후보가 40% 미만의 득표에 그쳤다. 이를 통해 강남구가 서울에서 보수 성향이 강한 강남 3구 중에서도 가장 보수 성향이 강한 곳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동별로 자세히 살펴보면 1위 박근혜 후보는 강남구 내 모든 동에서 승리했을 뿐 아니라 부재자투표까지도 모두 완승을 거두었다. 우선 결과만 살펴보면 신사동에서 3,967표 차, 논현 1동에서 386표 차, 논현 2동에서 2,134표 차로 승리했고 강남구에서도 독보적으로 보수 성향이 강한 곳이라 서울의 TK로 불리는 압구정동의 경우 무려 9,202표 차 초압승을 거두었다. 압구정동에서 기록한 득표율은 무려 76.55%로 TK 뺨치는 수준의 득표율이었다. 그리고 청담동에서도 무려 6,003표 차로 승리했고 삼성 1동에서 2,905표 차로 승리했으며 본인의 자택이 있는 삼성 2동에서도 3,712표 차로 대승을 거두었다. 그 외에 역삼 1동에서 단 32표 차로 승리했으며 역삼 2동에서 3,638표 차, 도곡 1동에서 3,311표 차, 도곡 2동에서도 무려 9,927표 차, 대치 1동에서 무려 5,254표 차, 대치 2동에서도 무려 8,045표 차로 대승을 거두었으며 대치 4동에서도 502표 차, 개포 1동에서 3,003표 차, 개포 2동에서 1,633표 차, 젊은 인구가 많이 거주하고 비교적 소득 수준이 낮은 개포 4동에서 553표 차로 승리했으며 일원본동에서 2,132표 차, 일원 1동에서 239표 차, 일원 2동에서 819표 차, 수서동에서 550표 차, 세곡동에서 554표 차 승리했다. 또 부재자투표에서도 국외부재자투표에서 396표 차, 국내부재자투표에서도 1,813표 차로 승리해 전승을 기록했다. 이곳이 서울에서 유일하게 전승을 기록한 지역이었다.

보면 알 수 있듯이 대체로 모든 동에서 수천 표 차 이상의 압승을 거두었지만 그나마 강남구에서 보수 성향이 약한 논현 1동과 역삼 1동에서는 400표 차 미만의 접전 끝에 간신히 이겼음을 알 수 있다.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때에도 갑구 새누리당 심윤조 후보가 민주통합당 김성욱 후보를 상대로 모든 동에서 두 자리 수% 차로 승리했지만 논현 1동과 역삼 1동만큼은 한 자리 수% 차 승리에 그쳤고 을구 새누리당 김종훈 후보가 민주통합당 정동영 후보를 상대로 일원 1동을 뺀 나머지 동에서 대부분 두 자리 수% 차로 승리했지만 대치 4동, 개포 4동, 일원 2동, 수서동, 세곡동은 한 자리 수% 차 승리에 그쳤는데 이번 대선에서도 그대로 적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2위 문재인 후보는 강남구 내 모든 동은 물론이고 부재자투표까지도 패배하여 높은 보수세를 실감할 수밖에 없었다. 그나마 보수 성향이 약한 논현 1동과 역삼 1동, 대치 4동, 일원 1동, 일원 2동, 수서동, 세곡동에선 접전을 펼쳤지만 나머지 동에선 모두 네 자리 수 표 차로 패배하고 말았다. 이곳 강남구가 문 후보가 유일하게 서울에서 전패를 기록한 곳이 되었다. 서울 내 25개 구 중 20개 구에서 승리했지만 유독 강남3구 지역에선 힘을 쓰지 못했다.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남구
강남구 일원[강남]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28,92797,63980,20136,17620,287
득표율35.36%26.78%21.99%9.92%5.56%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467,032
투표 수365,642
무효표 수1,048
투표율78.29%

19대 대선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28,927
(35.36%)
97,639
(26.78%)
80,201
(21.99%)
36,176
(9.92%)
20,287
(5.56%)
+ 31,288
(△8.58)
78.29%
신사동28.79%34.43%20.73%10.62%5.12%▼5.6475.55%
논현1동39.88%24.43%20.02%8.36%7.03%△15.4563.59%
논현2동34.62%28.89%20.43%9.64%5.95%△5.7369.89%
압구정동21.03%41.93%21.50%11.59%3.55%▼20.9074.70%
청담동29.47%32.94%21.76%10.72%4.73%▼3.4773.85%
삼성1동30.55%31.67%22.59%10.01%4.73%▼1.1276.59%
삼성2동36.53%26.11%21.42%10.18%5.46%△10.4263.84%
대치1동27.62%31.13%24.52%12.39%4.09%▼3.5183.64%
대치2동30.91%29.41%23.35%11.25%4.70%△1.5081.29%
대치4동40.42%21.23%21.51%9.30%7.27%△9.7471.65%
역삼1동41.53%21.97%20.64%8.64%6.88%△19.5662.61%
역삼2동36.47%24.62%22.28%10.93%5.46%△11.8575.90%
도곡1동33.76%26.71%22.28%10.30%5.56%△7.0581.28%
도곡2동24.91%36.16%22.87%11.97%3.77%▼11.2581.11%
개포1동32.90%30.01%22.30%9.53%4.78%△2.8979.21%
개포2동35.28%26.87%22.50%10.04%5.34%△8.8179.38%
개포4동40.31%23.20%21.90%8.05%6.04%△17.1176.17%
일원본동37.73%23.13%22.50%10.75%5.53%△14.6082.59%
일원1동38.27%25.26%22.81%7.65%5.63%△13.0176.60%
일원2동38.84%25.84%22.38%8.99%4.88%△13.0080.76%
수서동35.68%28.10%22.96%7.83%4.88%△7.5878.15%
세곡동41.96%22.10%22.12%7.84%5.63%△19.8679.81%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선상투표36.38%21.21%32.54%6.03%1.83%△3.84
관외사전투표41.09%20.40%21.35%9.86%6.88%△18.91
재외투표48.61%12.68%20.60%6.55%11.05%△28.01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로 인해 박근혜가 파면되면서 치러진 대선이다. 더불어민주당에선 경선 끝에 지난 대선 때 박근혜에게 3.53%차 석패를 했던 문재인 후보가 재출마했고 정권을 수성해야 할 자유한국당에선 홍준표경상남도지사가 경선 끝에 출마했다. 국민의당에서도 지난 대선 때 문 후보에게 후보 단일화를 하며 양보했던 안철수 의원이 출마했고 새누리당에서 갈라져 나간 바른정당에서도 유승민 후보가 출마했다. 마지막으로 정의당에서도 지난 대선 때 문 후보 지지 선언을 하며 불출마 했던 심상정 후보가 출마했다.

이미 선거 전부터 판세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독보적으로 앞서 있었고 잠시 국민의당 경선 컨벤션 효과에 힘입어 안철수 후보가 바짝 추격하긴 했으나 대선 토론회 이후 도로 안철수 후보의 지지율이 하락세를 타고 반대로 홍준표 후보가 급부상하면서 문 후보의 독주가 계속 이어졌다. 결국 이 추세가 그대로 대선까지 이어지면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1.1% 득표율로 24% 득표율에 그친 홍준표 후보, 21.4% 득표에 그친 안철수 후보를 찍어 누르고 역대 최다 표 차로 당선되었다. 을구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때 문 후보와 같은 더불어민주당 소속 전현희 후보가 당선된 것도 문 후보에게 호재가 되었다.

서울에서도 당선자 문재인 후보가 42.34% 득표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전국 2위 홍준표 후보는 서울에선 20.78% 득표에 그쳐 전국 3위 안철수 후보의 득표율(22.72%)보다도 낮아 3위로 밀려났다. 하지만 이곳 강남구는 서울에서 가장 보수적인 곳답게 홍준표 후보가 2위를 했고 안철수 후보가 3위로 밀려났다. 그러나 이곳 역시 문재인 후보가 2위 홍준표 후보를 35.36% : 26.78%로 득표율 8.58%, 득표 수 31,288표 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다. 민주당계 정당 소속 대선 후보가 강남구에서 1위를 차지한 것은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통일민주당 김영삼 후보 이후 무려 30년 만의 일이었다. 서울 내 보수 정당 최후의 보루였던 강남구까지도 무너질 정도로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일으킨 파장은 엄청났던 것이다. 하지만 한편으론 강남구에서 기록한 문 후보의 득표율은 서울 평균보다 7% 정도 더 낮았고 유일하게 2위 후보를 상대로 10% 이상의 격차를 벌리지 못했다는 점을 볼 때 아직 한편으로는 보수세가 어느 정도 남아 있다는 것도 확인하게 되었다.

1위 문재인 후보는 젊은 직장인들이 많아 강남구에서 비교적 보수세가 약한 논현동역삼동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논현 1동에서 1,949표 차, 논현 2동에서 694표 차로 승리했고 역삼 1동에서는 무려 3,395표 차로 승리했다. 그리고 역삼 2동에서도 2,354표 차로 승리했다. 논현동과 역삼동은 지난 18대 대선 때 수십~수백 표 차 접전을 벌였을 정도로 선전했던 곳이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때에도 갑구 더불어민주당 김성곤 후보가 승리했던 곳인데 거의 그대로 적용된 셈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승리한 곳은 논현 1동과 역삼 1동이었고 이번에 그 2곳에 논현 2동과 역삼 2동을 추가로 빼앗아온 것이다. 개포 1동에서 367표 차, 개포 2동에서 1,037표 차, 개포 4동에서 1,734표 차로 승리했고 일원본동에서 2,056표 차, 일원 1동에서 1,305표 차, 일원 2동에서 1,412표 차로 승리했으며 수서동에서 829표 차로 승리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젊은 직장인들이 많아 강남구에서도 상대적으로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세곡동에서는 무려 4,653표 차 대승을 거두었다. 이 세곡동은 강남구 전역을 통틀어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 곳이었다. 을구에 당선된 전현희 의원도 모든 동에서 승리했지만 개포 1동과 수서동만큼은 못 이겼는데 그 개포 1동과 수서동마저도 승리한 것이다. 삼성 1동과 대치 1동, 도곡 2동 이 3곳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동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삼성 2동에서 1,818표 차, 대치 2동에서 347표 차, 대치 4동에서 2,202표 차로 승리했고 도곡 1동에서 947표 차로 승리했다. 대치 4동은 지난 18대 대선 때 수백 표 차 접전을 벌였을 정도로 선전했던 곳이며 병구 더불어민주당 전원근 후보가 승리했던 곳인데 그대로 적용된 셈이다. 그리고 거기서 삼성 2동과 대치 2동, 도곡 1동 이 3곳을 추가로 빼앗아와서 승기를 잡았다.

반면에 2위 홍준표 후보는 전통적인 부촌이며 신사동에서 592표 차로 승리했고 강남구에서도 가장 보수적인 압구정동에선 무려 3,215표 차로 승리했다. 보수 정당이 궤멸되다시피 한 상황이었고 박근혜가 불명예스럽게 쫓겨났음에도 불구하고 압구정동의 콘크리트 보수층은 여전히 건재하다는 걸 재확인하는 순간이다.[29] 청담동에서도 575표 차로 승리했다. 하지만 압구정동을 제외하면 모두 수백 표 차 경합 우세에 그쳤기에 강남 부촌에서의 보수세가 예전만 못하다는 것도 확인하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 전현희 의원이 당선되었을 정도로 이미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이전부터 보수 표심이 상당히 이탈한 상태였다. 그런 와중에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져 버렸으니 배겨날 리 없었던 것이다. 그리하여 김종훈 후보가[30] 승리했던 개포 1동과 수서동마저도 문재인 후보에게 수백 표 차로 패배하며 내줘야 했고 삼성 1동에선 불과 98표 차 승리에 불과했고 대치 1동에서도 불과 485표 차 승리였으며 도곡 2동에서 그나마 2,167표 차로 승리했을 뿐이다. 심지어 대치 4동에선 안철수 후보에게도 33표 차로 패배하며 3위로 밀리기까지 했다. 사실상 땅만 서울에 있지 표심은 TK나 다름 없다고 봐야할 듯하다.

홍준표 후보로서는 지난 대선 때 박근혜처럼 압도적인 표 차를 벌였어야 했는데 압구정동만 3,000표 차 이상으로 깼고 신사동과 청담동에서는 모두 수백 표 차밖에 못 냈고 역삼동에서 도합 5,849표 차로 문재인 후보에게 패배하며 모두 상쇄되고 말았다. 개포 1동, 일원본동, 수서동, 삼성동, 대치동, 도곡동에서 압도적인 표 차를 벌리며 승리했어야 했는데 오히려 모두 패배했기에 이기고 싶어도 이길 수가 없었다. 도곡 2동만 2,000표 차 이상으로 깼고 삼성 1동과 대치 1동에서는 모두 수백 표 차밖에 못 냈고 삼성 2동, 대치 2동, 대치 4동, 도곡 1동에서 도합 5,314표 차로 패배하며 모두 상쇄되고 말았다. 그 외에 거소 및 선상투표에선 문재인 후보가 199표를 득표해 116표를 득표한 홍준표 후보를 83표 차로 승리했고 홍준표 후보는 178표를 득표한 안철수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에 그쳤다. 관외사전투표 역시 문재인 후보가 17,443표를 득표해 8,661표에 그친 홍준표 후보를 무려 8,782표 차로 대파했고 홍 후보는 9,066표를 득표한 안철수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에 그쳤다. 국외부재자투표 역시 3,325표를 득표한 문재인 후보가 867표에 그친 홍준표 후보를 2,458표 차로 꺾고 1위를 차지했으며 홍 후보는 1,409표를 득표한 안철수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에 그쳤다.

한편 서울 전역 2위인 안철수 후보는 이곳 강남구에선 홍준표 후보에게도 밀리며 3위에 그쳤다. 동별 투표에선 오로지 압구정동 1곳에서만 문재인 후보를 72표 차라는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2위를 했을 뿐이었다. 홍준표 후보에게는 3,143표 차로 대패했고 대치 4동 1곳에서만 홍준표 후보를 33표 차라는 근소한 차이로 누르고 2위를 했을 뿐이었다. 문재인 후보에게는 2,169표 차로 대패했다. 사전투표에서도 거소 및 선상투표, 관외사전투표, 국외부재자투표 역시 2위에 그쳤고 1위 문재인 후보를 상대로 모두 수천 표 차 이상의 격차를 내며 대패했다.

4위 유승민 후보는 이곳에서 9.92%를 득표해 10% 득표율을 기록한 서초구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문재인 후보가 높은 득표율을 올렸던 논현동, 역삼동보다는 홍준표 후보가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던 신사동, 압구정동, 청담동에서 높은 득표율을 올렸다. 실제로 모두 유승민 후보가 1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특히 압구정동에선 11.59% 득표율을 기록하여 대치 1동과 도곡 2동에 이어 강남구 전체 득표율 3위를 기록했다. 홍준표 후보와 마찬가지로 이곳에선 갑구와는 달리 별로 성적이 좋지 못했다. 개포 2동과 일원본동 단 2곳에서만 1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고 나머지 동에선 모두 한 자리 수% 득표에 그쳤다. 특히 대치 1동에선 12.39% 득표율을 기록하여 강남구 전체 득표율 1위를 기록했다. 고소득 고학력의 전문직 엘리트 계층 인사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인데 그들에게 유승민 후보가 주장한 '합리적 보수', '따뜻한 보수' 슬로건이 어느 정도 어필이 된 것으로 보인다.

5위 심상정 후보는 역시 높은 보수의 벽을 절감해야 했다. 하지만 험지임에도 불구하고 그녀 역시 5.56% 득표율을 기록하며 나름대로 선전했다. 그녀가 강남구에서 기록한 이 5.56%란 득표율은 전체 3위를 차지한 호남에서 기록한 득표율보다도 더 높았다. 심 후보는 광주, 전남, 전북 이 3곳에서 문재인 - 안철수의 뒤를 이어 전체 3위를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3곳 모두 5% 미만의 득표율에 그쳤다. 그 점을 감안하면 5.56%란 득표율도 험지에서 맞붙은 결과치고는 매우 선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강남구
강남구 일원[강남]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106,865235,897
득표율30.35%67.01%
순위2위1위
선거인 수451,970
투표 수354,778
무효표 수2,755
투표율78.50%

제20대 대통령선거 서울 강남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106,865
(30.35%)
235,897
(67.01%)
-129,032
(▼36.66)
신사동
23.48%74.27%▼50.79
논현1동
37.75%58.90%▼21.15
논현2동
30.02%67.31%▼37.29
압구정동
13.84%84.47%▼70.63
청담동
22.69%75.30%▼52.61
삼성1동
25.39%72.25%▼46.86
삼성2동
29.75%67.58%▼37.83
대치1동
17.13%80.98%▼63.85
대치2동
21.96%75.96%▼54.00
대치4동
37.46%59.69%▼22.23
역삼1동
37.70%58.78%▼21.08
역삼2동
30.30%67.24%▼36.94
도곡1동
28.55%68.70%▼40.15
도곡2동
17.32%80.89%▼63.57
개포1동
23.78%74.00%▼50.22
개포2동
24.88%72.78%▼47.90
개포4동
35.30%61.63%▼26.33
일원본동
31.31%65.70%▼34.39
일원1동
41.38%54.88%▼13.50
일원2동
34.56%62.59%▼28.04
수서동
37.95%59.00%▼21.05
세곡동
42.44%54.48%▼12.04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41.29%55.97%▼14.68
관외사전투표
37.42%59.76%▼22.34
국외부재자투표
38.96%58.13%▼19.17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강남구 갑[31][A][32]28.14%69.28% ▼41.14
강남구 을[33][A][34]34.96%62.09% ▼27.13
강남구 병[35][A][36]24.61%73.09% ▼48.48

윤석열 후보가 모든 동에서 압승을 보였다. 특히 임대주택이 많고, 20대 총선에서 민주당 전현희 의원에 몰표를 몰아주며 승리의 결정적 역할을 한 세곡동[37]에서도 이재명 후보가 12% 격차로 완패했다. 보수세가 유달리 강한 대치1동과 도곡2동은 모두 80%를 넘기면서 강남구 전체에서도 압구정동에 이어 득표율 순위에서 2, 3위를 기록했다.[38] 그리고 서울 전체 49개 선거구를 기준으로 윤석열 후보 득표율이 1위였으며, 그것도 유일하게 70%를 넘겼다.[39]

여담으로 이재명 후보는 보수정당에게 TK 훨씬 이상으로 지지를 보낸 압구정동은 강남구 뿐아니라 서울 25개구의 동별 중 유일하게 선거보존 마지노선인 15% 미만으로 기록하였다.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강남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강남구 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김성곤태구민(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0,935
(39.63%)
60,324
(58.40%)
- 19,389
(▼18.77)
104,485
(62.36%)
[ 펼치기 · 접기 ]

신사동[*A ]31.81%66.45%▼34.6467.48
논현1동49.60%47.94%△1.6649.98
논현2동41.01%56.98%▼15.9758.44
압구정동[*B ]20.62%78.29%▼57.6769.46
청담동[*C ]31.94%66.39%▼34.4563.77
역삼1동50.71%46.54%△4.1749.53
역삼2동[*H ]42.11%55.93%▼13.8264.32
후보김성곤태구민격차
거소·선상투표34.93%60.24%▼25.31
관외사전투표51.74%46.16%△5.58
재외투표46.56%50.44%▼3.88

국회의원 선거 (강남구 을)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전현희박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7,157
(46.41%)
51,762
(50.94%)
- 4,605
(▼4.53)
102,469
(73.02%)
[ 펼치기 · 접기 ]

개포1동29.64%68.55%▼38.9175.86
개포2동[*J ]32.75%65.68%▼32.9275.97
개포4동[*K ]49.47%47.82%△1.6567.25
일원본동43.73%54.34%▼10.6074.05
일원1동49.68%46.23%△3.4567.53
일원2동44.20%53.61%▼9.4173.26
수서동45.70%50.71%▼5.0170.28
세곡동53.03%44.04%△8.9969.23
후보전현희박진격차
거소·선상투표49.73%44.50%△5.24
관외사전투표56.69%40.38%△16.31
재외투표57.78%40.98%△16.80

국회의원 선거 (강남구 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김한규유경준(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6,423
(33.57%)
70,917
(65.38%)
- 34,494
(▼31.80)
109,436
(72.13%)
[ 펼치기 · 접기 ]

삼성1동[*D ]33.13%65.52%▼32.3968.25
삼성2동[*E ]37.30%61.62%▼24.3263.83
대치1동[*F ]24.62%74.71%▼50.0978.43
대치2동[*G ]30.88%68.16%▼37.2873.30
대치4동47.86%50.52%▼2.6660.53
도곡1동37.69%61.47%▼23.7872.84
도곡2동[*I ]23.38%75.87%▼52.4973.50
후보김한규유경준격차
거소·선상투표37.90%58.16%▼20.26
관외사전투표43.59%54.82%▼11.24
재외투표48.40%50.85%▼2.46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46,035
(47.46%)
68,620
(22.30%)
21,128
(6.86%)
28,680
(9.32%)
16,383
(5.32%)
+ 77,415
(△25.16)
316,462
(68.69%)
[ 펼치기 · 접기 ]

신사동[*A ]57.19%17.34%4.96%8.02%4.32%△39.8567.48
논현1동39.69%29.21%7.19%7.78%5.56%△10.4849.99
논현2동47.12%22.48%7.21%8.04%5.20%△24.6358.44
압구정동[*B ]67.94%10.44%3.30%7.94%2.87%△57.5069.45
청담동[*C ]55.83%17.06%5.13%8.82%4.24%△38.7763.77
삼성1동[*D ]52.86%18.82%5.73%9.35%5.06%△34.0368.27
삼성2동[*E ]48.82%22.00%6.22%9.42%5.24%△26.8263.84
대치1동[*F ]59.91%13.71%4.88%11.06%4.14%△46.2078.43
대치2동[*G ]53.81%16.51%6.37%11.17%4.44%△37.3173.30
대치4동38.58%27.30%8.22%9.65%6.36%△11.2860.53
역삼1동37.36%28.83%8.33%9.13%5.49%△8.5349.52
역삼2동[*H ]45.58%22.44%7.51%10.54%6.00%△23.1464.32
도곡1동47.87%21.21%7.51%10.30%5.14%△26.6672.81
도곡2동[*I ]62.50%12.63%4.97%9.39%3.58%△49.8773.50
개포1동56.64%16.84%4.60%8.49%4.44%△39.8075.87
개포2동[*J ]52.81%18.26%6.52%10.81%4.33%△34.5575.98
개포4동[*K ]38.13%28.63%8.70%8.06%6.14%△9.4967.25
일원본동43.16%23.81%8.72%10.38%6.19%△19.3574.04
일원1동37.51%30.65%7.75%7.37%5.08%△6.8567.53
일원2동42.60%25.84%7.62%9.36%5.46%△16.7773.26
수서동41.43%28.92%6.26%7.61%4.23%△12.5270.27
세곡동34.79%29.67%8.86%9.91%6.49%△5.1271.38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46.07%21.48%8.88%7.43%3.92%△24.59
관외사전투표38.57%28.19%8.14%8.61%7.78%△10.38
재외투표42.59%25.02%6.57%5.20%13.05%△17.57
후보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50.27%20.87%6.25%8.78%4.82%△29.40
강남구 을[*M ][1]41.83%26.05%7.77%9.29%5.52%△15.78
53.19%18.09%6.16%10.15%4.70%△35.10

[1] 지역구 국회의원: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재선)


[1] 특히 1996년 15대 총선에서 '을'구는 야권이 분열된 상황에서 당적을 포기했던 현역 홍사덕 의원이 무소속으로 당선되었다. 이 시기까지는 능력있고 참신한 인물들이 여야를 넘어 강남의 표심을 얻었고, 이 때문에 신정치 1번지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1992년 14대 총선에선 '갑'구에서 통일국민당김동길, '을'구에서는 민주당의 홍사덕이 당선되며 야당판이 되었던 바 있다.[2] 90년대 초만 해도 강남은 아파트값만 엄청나게 비쌌을 뿐, 압구정동을 제외하면 그렇게까지 잘 사는 동네도 아니였다. 서울의 원조 부촌은 용산구성북구였다. 개발을 통해서 지금의 입지가 마련됐을 뿐이지, 주공아파트가 처음 완공됐을 때의 서초강남은 그야말로 허허벌판이었고, 지금에 비하면 상전벽해 수준으로 바뀐 것이다. 입지전적인 인물들이나 IT계 종사자들이 많이 강남에 살았었는데, 현재는 상당수가 지금의 판교신도시로 많이 이주했다.[3] 역대 민선 서울시장 중 가장 코어 지지층이 탄탄한 오세훈이 이 선거 당시 강남구 을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었다.[4] 옛날 새누리당 시절 20대 총선에서 수성구 갑이 보수의 강력한 텃밭인 것만 믿고 경기도지사 시절 도지삽니다로 물의를 일으킨 김문수를 냅다 공천했다가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부겸에게 한 번 내준 적이 있기 때문에 텃밭 공천에 더더욱 신경쓸 것이다.[5] 강남구 서울시의원 더불어민주당 3명, 자유한국당 3명.[6] 용산구,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에서 민주당을 상대로 우위를 점했다. 문제는 이 4개 구를 제외한 다른 구에서는 단 한 명도 당선자가 없다는 것.[7] 불과 2019년 초까지만 해도, 서초구를 제외한 강남구의 기초자치단체까지 그야말로 민주당이 싹쓸이했을 때까지만 해도 고가아파트 표심에서 적잖게 민주당에게 호의적이였다. 집값을 잡아주고 종부세나 양도세 둘 중 하나는 내려줄 것이라는 기대감이였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문제가 계속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김현미 장관이나 김수현 정책실장 등을 경질하지 않아, 실망한 고가아파트 표심이 다시 보수정당으로 고개를 돌린 것. 강남구 거주민들 대부분 대출을 통해서 집을 샀고, 지금도 매달 얼마씩 갚아나가는 사람들이 많음에도 이를 망각하고 단지 고가아파트를 소유하고 있다는 이유 만으로 종부세와 양도세를 더 올려대니까 보수정당 득표율이 그리 나올 수 밖에...[8] 전국에서도 TK를 제외한 보수 최대 득표율이다.[9] 그나마 민주당 입장에서 다행인 점은 재보궐선거처럼 금관구와 노도강까지 보수정당이 이기는 결과로 나오진 않았다는 것이다.[10] 99.9.6. 의원직 사퇴.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11] 11.6.9. 의원직 상실 (정치자금법 위반).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12]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신사동, 역삼1동, 역삼2동, 청담동[A] A B C D E F 관외투표 제외[13] 지역구 국회의원 : 태영호 (국민의힘, 초선)[14] 일원1동, 일원2동, 일원본동, 수서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세곡동[15] 지역구 국회의원 : 박진 (국민의힘, 4선)[16]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가 이 지역에서 16대 국회의원을 지낸 경력이 있다.[17] 삼성1동, 삼성2동, 도곡1동, 도곡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18] 지역구 국회의원 : 유경준 (국민의힘, 초선)[19] 다만 양천구에선 40:57 정도의 결과가 나오면서 강남3구용산구급 몰표보단 성동구, 강동구, 영등포구등과 비슷한 표심을 이어갔다.[L] 신사동,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청담동, 역삼1동, 역삼2동[20] 지역구 국회의원: 태영호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M]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21] 지역구 국회의원: 박진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4선)[N] 삼성1동, 삼성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 도곡1동, 도곡2동[22] 지역구 국회의원: 유경준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23] 지금의 서초구, 강남구 일원[강남] A B C 신사동,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청담동, 삼성1동, 삼성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 역삼1동, 역삼2동, 도곡1동, 도곡2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일원본동, 일원1동, 일원2동, 수서동, 세곡동[24] 박근혜 후보 자택 소재지.[25] 불과 32표 차였다.[26] 박근혜 60.22% : 39.44% 문재인[27] 하지만 서울 서초구의 결과는 부산광역시 사하구보다도(박근혜 58.32% : 41.39% 문재인) 좀 더 보수성이 강하게 드러났다.[28] 서울 송파구의 결과는 경상도에서 가장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강한 경상남도 김해시의 결과(박근혜 52.17% : 47.49% 문재인)와 유사했다.[29] 물론 지난 대선 때 박근혜가 문재인을 무려 9,200표 차 이상의 격차로 이겼던 것에 비하면 이것도 많이 보수세가 약해진 것이긴 하다.[30] 다만 김종훈 후보는 바른정당 소속이었다.[31] 논현1동, 논현2동, 압구정동, 신사동, 역삼1동, 역삼2동, 청담동[32] 지역구 국회의원 : 태영호 (국민의힘, 초선)[33] 일원1동, 일원2동, 일원본동, 수서동, 개포1동, 개포2동, 개포4동, 세곡동[34] 지역구 국회의원 : 박진 (국민의힘, 4선)[35] 삼성1동, 삼성2동, 도곡1동, 도곡2동, 대치1동, 대치2동, 대치4동[36] 지역구 국회의원 : 유경준 (국민의힘, 초선)[37] 사실, 세곡동은 서울 전체에서 저렴한 건 아니고, 강남구에서 저렴한 축에 속하는지라, 강력한 진보지역은 아니긴 했다. 옆동네 자곡동만 봐도.. 거기에 젊은층의 민주당 반감도 한 몫 했다.[38] 행정동 단위 기준으로 윤석열 후보 득표율이 80%를 넘은 곳은 이 3개동이 끝이다.[39] 이 득표율은 보수정당의 최고 텃밭인 TK와 비교해봐도 거의 비슷한 수준인데, 실제로 경상북도 전체 득표율보다 더 높은 수치를 기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