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상옥(1934)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외교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외무부장관 (1948~1998)
초대
장택상
제2대
임병직
제3대
변영태
제4대
조정환
제5대
허정
장도영 내각
송요찬 내각
김현철 내각
제6대
정일형
제7대
김홍일
제8대
송요찬
제9대
최덕신
제10대
김용식
제11대
정일권
제12대
이동원
제13대
정일권
제14대
최규하
제15대
김용식






외교통상부장관 (1998~2013)
제27대
박정수
제28대
홍순영
제29대
이정빈
제30대
한승수
제31대
최성홍
제32대
윤영관
제33대
반기문
제34대
송민순
제35대
유명환
제36대
김성환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나웅배조순이승윤최각규
국토통일원장관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이홍구홍성철최호중최영철
외무부장관최광수최호중이상옥
내무부장관이상희이춘구이한동김태호안응모이상연이동호백광현
재무부장관사공일이규성정영의이용만
법무부장관정해창허형구이종남김기춘이정우
국방부장관오자복이상훈이종구최세창
문교부장관 교육부장관김영식정원식윤형섭조완규
문화공보부장관 문화부장관정한모최병렬이어령이수정
체육부장관 체육청소년부장관조상호김집정동성박철언이진삼
농림수산부장관윤근환김식강보성조경식강현욱
상공부장관안병화한승수박필수이봉서한봉수
동력자원부장관이봉서이희일진념
건설부장관최동섭박승권영각이상희이진설서영택
보건사회부장관권이혁문태준김종인김정수안필준
노동부장관최명헌장영철최영철최병렬이연택
교통부장관이범준김창근김창식임인택노건일
체신부장관오명최영철이우재송언종
정무제1장관김윤환이종찬정종택박철언김윤환김동영최형우김용채김종호김동익
정무제2장관조경희김영정이계순김갑현
총무처장관김용갑김용래이연택이상배이문석
과학기술처장관이관이상희정근모김진현권숙일
공보처장관최병렬최창윤손주환유혁인
환경처장관조경식허남훈권이혁이재창






대한민국 제23대 외무부 장관
이상옥
李相玉 | Lee Sang-ok
파일:이상옥_외무부장관.jpg
출생1934년 8월 25일
경상북도 안동군
사망2023년 1월 5일 (향년 88세)
본관광주 이씨
재임기간제24대 외무부 차관
1984년 3월 3일 ~ 1986년 9월 5일
제23대 외무부 장관
1990년 12월 27일 ~ 1993년 2월 26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서울대학교 정치학과 (학사)
경력제8회 고등고시 행정과 제3부 합격
외무부 미주국장
주 싱가포르 대사
외교안보연구원장
제24대 외무부 차관
제23대 외무부 장관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대한민국관료, 외교관이다.


2. 생애[편집]


1934년 8월 25일 경상북도 안동군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제8대 고등고시 행정과 제3부(외무) 합격 후 외무부에서 외교관으로 근무하였다.

외무부 미주국장, 주 싱가포르 대사, 외교안보연구원장 등 요직을 거쳐 1984년 3월 3일부터 1986년 9월 5일 제24대 외무부 차관을 지냈다. 이후 노태우 정부 때인 1990년 12월 27일부터 1993년 2월 26일 외무부(현 외교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이후 문민정부가 출범하자 외무부 장관에서 물러났다.

외교부장관 재임 중 남북관계 개선 방안으로 추진했던 남북 간 쌀 직교역과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을 성사시켰으며, 1992년 8월 한중수교 당시 베이징을 방문해 중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는 등 나름 굵직한 행적을 남겼다.

2023년 1월 5일, 향년 88세로 별세했다.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22:25:02에 나무위키 이상옥(193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