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군/정치

덤프버전 : (♥ 0)

||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무안군 CI.svg 전라남도 무안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영암군·무안군·신안군무안군 전역 + 영암군, 신안군 전역
도의원무안군1무안읍, 일로읍, 몽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운남면
무안군2삼향읍, 청계면

2. 개요[편집]


목포시, 신안군과 함께 민주당계 정당의 기반이 되는 지역으로, 김대중의 최측근이던 한화갑과 김대중의 차남인 김홍업이 당선된 곳이다.[1] 김대중 전 대통령의 영향력이 가장 큰 지역이 그의 실질적 고향인 목포시였고, 무안군은 목포시와 같은 생활권을 이루는 지역이기에 목포시의 정치 성향을 그대로 따라갔다. 농어촌 지역이라는 특수성이 더해져 목포시만큼의 절대적인 민주당 지지세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민주화가 이루어진 제13대 대통령 선거 이후로는 항상 민주당이 압도적인 승리를 가져갔던 지역이었다.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김대중 후보 93.08%[2],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박석무 후보 72.34%, 1992년 제14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민주당 김대중 후보 92.45%[3],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남도지사 선거에서 민주당 허경만 후보가 70.25%[4],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배종무 후보 71.47%,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 96.04%[5]을 득표하는 등, 1980년대~1990년대 민주당은 무안군에서 감히 상대할 자가 없는 무적이었다.

결국 1998년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전라남도지사 선거는 새정치국민회의 허경만 후보 말고는 어떤 정당, 개인도 출마를 하지 않아 단독 출마로 당선되었다(...). 군수 선거 한정으로 파란이 일어났는데, 무소속 이재현 후보가 56.95%의 득표율로 새정치국민회의 오남택 후보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 민주화 이래 11년 만에 처음으로 무소속 후보가 당선된 사례였다. 물론 이 때는 민주당 소속 군수가 공천을 받지 못하자 자진 탈당하고 치른 선거였기 때문에 사실상 민주당 내에서 두 후보간의 대결이었다고 볼 수 있었다. 민주당, 김대중에 대한 압도적인 지지는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다시금 드러났는데, DJ의 오른팔로 불리던 새천년민주당 한화갑 후보가 무려 86.25%의 득표율을 올렸다. 그는 최종 88.95%의 득표율로 역대 총선 사상 최고 득표율로 올려 당선이 된 사례로 남았다. 정부의 실세가 정치적 고향에 출마한 덕에 유례가 없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새천년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94.29%를 득표하여 1997년에 이어 무안군에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지지도를 얻었다.

노무현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된 이후 민주당계 정당에 커다란 분열이 생겼다. 대북송금 특검 사태 이후 동교동계친노가 갈라졌고, 결국 열린우리당이 분당되고 그 후폭풍으로 탄핵안까지 발의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는 거대한 역풍을 맞아 전국민의 분노를 일으켰고, 그 상태에서 치러진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안군은 새천년민주당의 손을 들어주었다. 한화갑 전 의원이 52.17% 득표율을 얻어 열린우리당 김성철 후보(45.13%)를 약 7.04% 차이로 누르고 당선된 것이다. 비례투표에서도 새천년민주당이 41.32%을 얻어, 41.13%의 열린우리당을 매우 근소한 차이로 꺾었다. 당시에 새천년민주당은 이 선거를 통해 전국에서 지역구 5석, 비례 4석에 그쳐 군소 정당으로 추락했음데도 무안군에서 열린우리당에 이겼다는 것은 그만큼 동교동계에 대한 지지도가 탄탄했다는 뜻이었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그의 후신에 대한 믿음이 굳건했다는 것을 증명한 결과였다.

이후의 선거에서도 줄곧 동교동계가 속한 정당이 이겨왔다.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민주당 박준영 전라남도지사 후보가 66.68%의 압도적인 득표율을 얻어 열린우리당 서범석(25.04%) 후보를 40%가 넘는 격차로 꺾었다. 예외적으로 무안군수 선거에서는 열린우리당 서삼석 후보가 58.11%를 얻어 당선되었는데, 그는 4년 전인 2002년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려 85.04%의 압도적 득표율을 얻어 당선된 무안의 토호였다. 그의 재임기간 도중 무안군에 전라남도청이 이전해오고 남악신도시가 조성되었기 때문에, 정당과 관계없이 인물론에 의해 당선된 사례였다.

노무현 정부 이후로는 호남권에서 민주당 독주체제가 꾸준히 이어졌지만 분당 이전만큼의 지지도를 회복하지 못했다. 대표적인 예로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아들 김홍업이 무소속 이윤석 후보에게 져 낙선하고,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한화갑이 패배하는 등 탈 김대중화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6], 이는 남악신도시 조성으로 묻지마 민주당 지지세가 감소한 까닭으로 보인다. 민주당계 정당의 분열은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절정을 보였는데, 이웃 목포시가 전국에서 가장 압도적으로 국민의당을 밀어준 것과는 반대로, 무안군은 동교동계 출신 다수가 소속된 국민의당의 편을 들어주지 않았다. 지역구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후보에게 47.56%의 표를 주어 국민의당 박준영 후보(34.69%)를 큰 격차로 눌렀다. 비례에서도 전라남도 평균에 비하면 두 정당 간의 격차가 현저히 적은 편이었다. 그동안 전형적인 전라남도 서부권 민심을 대변해온 역사와는 처음으로 대비되는 결과를 낳았다.

2017년 5월 9일에 열린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무안군에서 문재인 후보가 29,516표(56.48%), 안철수 후보가 18,052표(34.54%)를 얻어 약 1.6배에 달하는 큰 격차로 벌어졌다. 두 후보간의 격차는 21.94%로, 목포시, 영암군, 신안군 등 주변 지역의 두 후보간의 격차가 10~17%에 그친 것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많은 차이가 났다. 결정적인 차이는 남악신도시였다. 기존 시골 지역에선 문재인 49.55% : 43.30% 안철수로 전라남도 서부 평균과 비슷하게 나왔지만, 남악신도시에서 문재인 후보가 무려 62.78%의 득표율을 올려 결정적으로 차이를 벌렸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무안군 CI.svg 무안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무안군
13대
ta-hash-start=w-e9631bea70bc3ae4018bff0eac2c0986[[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박석무초선
14대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재선
15대
ta-hash-start=w-c0e19ce0dbabbc0d17a4f8d4324cc8e3[[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배종무초선
무안군·신안군
16대
ta-hash-start=w-cfc55f94d020068c6fd6fd18caea0e3f[[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한화갑3선
17대4선[7]
2007
ta-hash-start=w-a1668ffc4a96b650355d86b7d70fe59a[[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김홍업초선
18대
무소속

이윤석초선
19대
ta-hash-start=w-e5d5e4d7daa84ec47d4de5373b97d797[[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재선
영암군·무안군·신안군
20대
ta-hash-start=w-b9978645dcddd6ff72f77cf90e6f4bd5[[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박준영초선[8]
2018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서삼석초선
21대재선


파일:무안군 CI.svg 역대 무안군수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민주당무소속새천년민주당열린우리당민주당
이재현서삼석[9]
2012 재보궐201420182022
민주통합당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무소속
김철주[10] [11]김산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이재현 49.53%

2위:
무소속

정종희 25.08%
3위:
ta-hash-start=w-07088553c7d6c0440eaa1567febda186[[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박민재 15.48%
1998년1위:
무소속

이재현 56.95%

2위:
ta-hash-start=w-a71806887d4c6476c0270abd5d68fc16[[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오남택 43.04%
2002년1위:
ta-hash-start=w-3a93fdcfb63e65240fe6ac5f242240ff[[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서삼석 85.04%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배석오 14.95%
2006년1위:
ta-hash-start=w-6174a3a55ea02d5c3b5a485cb73de85b[[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서삼석 58.11%

2위:
ta-hash-start=w-143dd9abaf25998c46e849b4b74f12d1[[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나상옥 41.88%
2010년1위:
ta-hash-start=w-bfd897d96135caf0699d03b62251cd0d[[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서삼석 53.85%

2위:
무소속

앙승일 42.84%
2012년1위:
ta-hash-start=w-1d31b563298e17a5a8164711bd7cf144[[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김철주 41.42%

2위:
ta-hash-start=w-6c9d5be750c6aa99812181269de18daf[[파일:통합진보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호산 28.67%
3위:
무소속

양승일 25.42%
2014년1위:
ta-hash-start=w-c46a056b63fc8f2dc366c1e343c67d88[[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김철주 77.31%

2위:
무소속

최길권 12.64%
3위:
ta-hash-start=w-32c8409dc23c48b0d31f6fe1884f6d23[[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오원옥 10.04%
2018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산 47.50%

2위:
무소속

정영덕 28.09%
3위:
ta-hash-start=w-5ccbcd777c1d1a48602b55c8bc23c93a[[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호산 15.32%
2022년1위: 김산 47.02%
2위: 최옥수 37.52%
3위: 정영덕 13.39%



3.1. 지방선거[편집]


8회 지선 무안군 개표 결과
전라남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김영록이정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1,544
(79.69%)
6,347
(16.03%)
+ 25,197
(△63.66)
55.19%

무안군수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격차투표율
후보최옥수김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5,112
(37.52%)
18,937
(47.02%)
- 3,825
(▼9.50)
55.19%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무안군
무안군 일원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1,50142,4581,366152
득표율3.26%92.45%2.97%0.33%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54,479
투표 수46,518
무효표 수595
투표율85.39%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무안군
무안군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2,78243,079365
득표율2.39%96.04%0.81%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52,280
투표 수45,822
무효표 수967
투표율87.65%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무안군
무안군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1,51836,244273
득표율3.94%94.29%0.71%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51,333
투표 수38,995
무효표 수558
투표율75.96%


신안군에서는 호국당김길수 후보가 권영길 후보를 제치고 3위를 차지했다(...)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무안군
무안군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이인제문국현이회창
득표수26,2672,703859757927
득표율81.14%8.35%2.65%2.33%2.86%
순위1위2위4위5위3위
선거인 수51,219
투표 수32,718
무효표 수347
투표율63.88%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무안군
무안군 일원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4,23041,849
득표율9.10%90.05%
순위2위1위
선거인 수60,244
투표 수46,788
무효표 수319
투표율77.66%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무안군
무안군 일원[무안]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29,51698318,0529792,366
득표율56.48%1.88%34.54%1.87%4.52%
순위1위4위2위5위3위
선거인 수65,997
투표 수52,516
무효표 수261
투표율79.57%

19대 대선 전남 무안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9,516
(56.48%)
983
(1.88%)
18,052
(34.54%)
979
(1.87%)
2,366
(4.52%)
+11,464
(△21.94)
79.57%
무안읍57.89%1.97%34.07%1.41%4.22%△23.8277.09
일로읍48.14%1.67%45.72%0.99%2.67%△2.42[12]74.77
삼향읍62.28%1.22%28.44%2.15%5.56%33.8478.77
몽탄면51.74%2.85%40.22%0.85%2.48%△11.5274.21
청계면49.67%2.39%42.60%1.34%3.19%△7.0775.20
현경면49.08%2.71%43.59%0.76%2.64%△5.4972.55
망운면52.88%2.58%40.76%0.76%2.42%△12.1274.33
해제면51.12%2.57%41.32%0.98%2.72%△9.8072.71
운남면46.94%2.13%45.52%1.53%2.95%△1.42[13]73.28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50.0%3.02%32.38%3.69%4.36%△17.62
관외사전투표59.21%1.99%28.54%3.41%6.54%△30.67
재외투표72.93%2.21%13.81%0.55%8.84%59.12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제20대 대통령 선거 전남 무안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52,983
(86.08%)
6,624
(10.76%)
46,359
(▲75.32)
무안읍
88.10%9.11%▲78.99
일로읍
87.55%9.96%▲75.49
삼향읍
85.65%11.47%▲74.19
몽탄면
89.07%8.22%▲80.85
청계면
88.10%9.20%▲78.90
현경면
88.68%8.25%▲80.41
망운면
88.17%9.50%▲79.67
해제면
88.70%8.80%▲79.90
운남면
87.19%9.46%▲78.73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70.48%16.28%▲54.20
관외사전투표
84.29%13.25%▲71.04
국외부재자투표
83.06%15.32%▲67.74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영암군·무안군·신안군[14][A][15]87.80%9.87%▲77.93

3.3. 총선[편집]



3.3.1. 무안군[편집]



3.3.2. 무안군·신안군[편집]



3.3.3. 영암군·무안군·신안군[편집]


21대 총선 무안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서삼석이윤석(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2,786
(75.03%)
9,469
(21.67%)
+ 23,317
(△53.36)
44,668
(66.39%)
무안읍76.58%19.97%△56.6264.74%
일로읍62.13%35.53%△26.6066.64%
삼향읍75.64%21.12%△54.5259.73%
몽탄면75.08%23.09%△51.9968.50%
청계면72.34%23.95%△48.3964.20%
현경면83.35%13.79%△69.5763.53%
망운면75.50%22.28%△53.2363.97%
해제면76.34%21.12%△55.2263.27%
운남면71.72%25.00%△46.7262.10%
후보서삼석이윤석격차
거소·선상투표66.41%22.45%△43.95
관외사전투표79.00%16.81%△62.19
재외투표85.71%14.28%△71.43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458
(3.41%)
24,993
(58.62%)
5,015
(11.76%)
1,552
(3.64%)
3,164
(7.42%)
+ 19,978
(△46.86)
44,680
(66.36%)
무안읍3.38%63.00%9.59%3.27%5.70%△53.4164.75%
일로읍3.01%61.05%9.58%2.68%5.03%△48.7566.71%
삼향읍3.04%55.11%15.14%4.65%9.37%△39.9759.73%
몽탄면3.19%63.33%9.87%2.42%4.37%△53.4668.50%
청계면3.70%61.29%9.88%2.79%6.58%△51.4164.22%
현경면3.40%66.31%8.28%2.70%4.84%△58.0263.53%
망운면3.55%66.66%7.55%2.00%4.46%△56.7463.97%
해제면3.76%63.97%7.79%1.99%4.67%△56.1863.25%
운남면4.06%60.64%9.73%2.33%5.13%△49.7762.10%
정당격차
거소·선상투표7.19%41.24%7.19%4.28%5.25%△34.05
관외사전투표3.79%52.94%13.36%4.62%10.55%△39.58
재외투표14.81%37.03%11.11%0%22.22%△22.22
[1] 참고로 그의 아버지인 김대중(5대, 6대) 전 대통령과 형인 김홍일(15대, 16대)은 목포시에서 국회의원을 하였다.[2] 광주광역시, 목포시 다음인 전국 3위 득표율이었다.[3] 전라남도에서는 5년 전 대통령 선거에 비해 득표율이 유일하게 감소한 곳이다.[4] 이때만큼은 여당이었던 상대 후보 민주자유당 전석홍 후보가 29.74%의 만만치 않은 득표율을 얻었다.[5] 광주광역시, 목포시, 나주시, 완도군에 이은 전국 5위의 득표율 기록.[6] 그런데 이윤석은 동교동계의 큰형인 권노갑 전 의원의 비서 출신이다.[7] 2006.12.22. 의원직 상실(정치자금법 위반).[8] 2018.2.8.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9] 2011.12.9. 군수직 사퇴(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출마).[10] 2018.4.10. 군수직 상실(뇌물 수수).[11] 잔여 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무안] [12] 불과 100표 차이였다.[13] 불과 26표 차이였다.[14] 영암군 일원, 무안군 일원, 신안군 일원.[A] 관외투표 제외.[15] 지역구 국회의원 : 서삼석 (더불어민주당, 재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