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흥군/정치

덤프버전 : (♥ 0)

||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고흥군 CI.svg 전라남도 고흥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고흥군 전역 + 보성군, 장흥군, 강진군 전역
도의원고흥군1고흥읍, 점암면, 과역면, 남양면, 동강면, 대서면, 두원면, 영남면
고흥군2도양읍, 풍양면, 도덕면, 금산면, 도화면, 포두면, 봉래면, 동일면

2. 개요[편집]


국회의원은 보성군, 장흥군, 강진군과 함께 뽑는데. 지금이야 이렇지만 제헌의회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선거구가 고흥 갑고흥 을로 나뉘어 있었다. 그리고 보성군과 함께 뽑을 때는 고흥군의 인구빨로 보성군을 짓눌렀다. 실제로 보성군과 고흥군이 한 선거구로 묶인 회차의 국회의원 선거 중에서, 보성군 출신이 고흥-보성 선거구에서 당선된 선거는 전부 중선거구제 시절의 선거로 고흥군 출신과 동반 당선되었고, 소선거구제 실시 이후로는 단 한 번도 없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고흥-보성 선거구가 인구미달로 조정 대상이 되었는데, 서쪽의 해안선을 따라 장흥군, 강진군과 같이 묶이게 되었다. 그리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고흥군에서는 어김없이 고흥군 출신인 신문식이 과반의 지지율을 차지했으나, 강진군 출신인 황주홍 후보가 자신의 본래 지역구에 속하는 강진군과 장흥군뿐 아니라 이번에 합쳐진 보성군, 특히 고흥군과 바로 맞닿아있는 벌교읍에서도 1위를 달리면서 당선, 고흥군 천하가 막을 내렸으나,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승남 후보가 설욕에 성공하면서 다시 고흥군 출신 국회의원이 나왔다. 해당 지역 출신 거물 정치인으로는 서민호, 신형식, 이대순, 박상천 등이 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정당 투표 결과에서 정의당2.98%[1]라는, TK를 제외하고 전국에서 가장 낮은 득표율을 보였다. 아니, 그 TK에서도 고흥보다 낮은 득표율을 보여준 지역은 단 3곳(울릉군, 의성군, 영덕군)밖에 없었다. 그러니까 전국에서 뒤에서 4등했다. 반대로 민중연합당은 1.35%를 받아 전국 평균보다 높았으나, 이것도 전라남도 22개 시군 중 뒤에서 5등했다. 녹색당은 0.44%를 받았는데, 전국 평균보단 낮았지만 전라남도 평균과 비교하면 중간 수준이었다.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작은 시골 소도시인데도 대통령 후보를 둘씩이나 배출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국민대통합당 장성민 후보와 민중연합당 김선동 후보가 그 주인공으로 전국 득표율이 사이좋게 0.1% 대지만, 그래도 고향이라고 장성민 0.6% 김선동 0.4%로 둘이 합쳐 1%대 득표율을 보이고 있다.

여담으로, 소록도가 있는 도양읍 일부 투표소(13, 14투표소)서는 민주당계 정당보다 보수 정당 득표율이 훨씬 더 높다. 이는 호남 지역 투표소 중 최고 수준. 전라도 출신이 아닌 외지에서 온 고령 환자들이 많이 머물고 있다는 점, 박정희 전 대통령의 부인인 육영수 여사가 영부인으로서는 처음으로 이 곳을 찾았으며 평생 동안 한센병 환자들의 복지를 위해 애쓴 점[2], 그의 딸 박근혜도 찾아 육영수의 향수가 남아있다는 점 등이 주요 요인으로 추측된다. 실제로 1987년 제13대 대통령 선거노태우김대중을 제친 곳이며,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박근혜62.8%를 득표하여 호남에서 유일하게 과반 득표를 한 투표소가 바로 이 곳이다. #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이 투표소에서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가 1위를 차지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생당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비례 득표율(16.1%)을 얻은 지역이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고흥군 CI.svg 역대 고흥군수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무소속민주당민주당
류상철진종근박병종
201420182022
새정치민주연합민주평화당더불어민주당
박병종송귀근공영민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류상철 49.22%

2위:
무소속

신강식 31.41%
3위:
ta-hash-start=w-49fa47e67897d5958e6f6885c0be69ba[[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김원석 19.35%
1998년1위:
ta-hash-start=w-da04e7275d1e3a97f9dff39f2340fb86[[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류상철 100.00%[1]
2002년1위:
무소속

진종근 36.17%

2위:
ta-hash-start=w-84c4e1ac8fbeda6115497c44daa03e10[[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박순오 36.04%
3위:
무소속

박병종 27.78%
2006년1위:
ta-hash-start=w-6c780ce7b9fdccbacff91dde48fe45cf[[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박병종 53.29%

2위:
ta-hash-start=w-22181fb17dcaf0f24cf64ff28989c1bc[[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진종근 46.70%
2010년1위:
ta-hash-start=w-4de4cf2af5c1f2718c1cf05b76744d41[[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박병종 48.79%

2위:
무소속

진종근 31.86%
3위:
무소속

김학영 13.25%
2014년1위:
ta-hash-start=w-f66793239dbe9ca52589b1838d6c4bfc[[파일:새정치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박병종 42.47%

2위:
무소속

송귀근 39.35%
3위:
무소속

김학영 14.75%
2018년1위:
ta-hash-start=w-fa9032f8af3c9bd9029241db3cc8a38b[[파일:민주평화당 흰색 로고타입.svg
송귀근 52.62%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공영민 47.37%
2022년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공영민 52.97%

2위:
무소속

송귀근 47.02%

[1] 지금과는 공직선거법이 달랐기 때문에 자치단체장은 단독 출마라도 무투표 당선 될 수 없었다. 당시 공직선거법 제191조 2항에 따르면 단독 출마일 경우 득표수가 투표자 총수의 3분의 1이상에 달하여야 당선인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2010년 1월 25일 삭제되었다.


3.1. 지방선거[편집]


8회 지선 고흥군 개표 결과
전라남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김영록이정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2,273
(77.78%)
6,793
(16.37%)
+ 25,480
(△61.41)
77.85%
고흥군수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격차투표율
후보공영민송귀근(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2,529
(52.97%)
19,997
(47.02%)
+ 2,532
(△5.94)
77.85%


3.2. 대선[편집]



3.2.1.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고흥군
고흥군 일원[고흥]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953d35bc03312bebdb597aa131ec3dd3[[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0c7e9a7d03c674706dd16dcf5debaf29[[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4b01078e96f65f2ad6573ce6fecc944d[[파일:바른정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26,8821,34915,6147031,195
득표율57.66%2.89%33.49%1.50%2.56%
순위1위3위2위5위4위
선거인 수60,101
투표 수47,036
무효표 수422
투표율78.26%

19대 대선 전남 고흥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6,882
(57.66%)
1,349
(2.89%)
15,614
(33.49%)
703
(1.50%)
1,195
(2.56%)
+11,268
(△24.17)
78.26%
고흥읍58.46%2.82%32.12%1.80%3.15%△26.3477.34
도양읍55.85%3.81%35.07%1.51%1.98%△20.7876.07
풍양면61.76%2.11%32.36%0.72%1.75%29.4076.98
도덕면53.76%1.93%37.40%0.86%2.13%△16.3677.70
금산면60.93%1.76%33.63%0.90%1.66%△27.3075.27
도화면53.91%2.71%37.33%0.97%1.71%△16.5873.99
포두면58.04%2.72%34.35%0.94%2.18%△23.6975.28
봉래면55.84%4.28%33.50%1.51%2.69%△22.3472.73
동일면59.38%3.81%31.44%0.72%1.86%△27.9474.96
점암면54.86%2.46%37.32%0.73%2.07%△17.5477.43
영남면59.13%3.31%31.62%0.57%1.71%△27.5177.13
과역면55.31%3.04%36.60%1.23%2.05%△18.7178.31
남양면52.68%2.20%39.90%1.30%1.58%△12.7874.22
동강면58.02%3.13%33.44%1.33%2.47%△24.5877.01
대서면55.64%2.09%38.16%1.04%1.96%△17.4875.77
두원면57.36%2.79%35.26%1.52%1.47%△22.1075.39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7.62%10.89%44.88%2.31%2.31%7.26
관외사전투표63.36%2.73%23.70%3.57%5.62%△39.66
재외투표63.08%5.38%18.46%1.54%8.46%44.62

3.2.2.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제20대 대통령 선거 전남 고흥군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40,466
(86.66%)
5,120
(10.96%)
35,346
(▲75.70)
고흥읍
86.11%11.57%▲74.54
도양읍
86.84%11.55%▲75.19
풍양면
89.36%8.04%▲81.32
도덕면
89.84%8.74%▲81.10
금산면
89.00%8.75%▲80.25
도화면
88.17%9.67%▲78.50
포두면
88.48%9.32%▲79.16
봉래면
83.81%13.08%▲80.73
동일면
86.12%11.12%▲75.00
점암면
86.93%10.14%▲76.79
영남면
85.77%10.53%▲75.24
과역면
88.11%9.95%▲78.16
남영면
86.99%9.59%▲77.40
동강면
87.59%9.93%▲75.66
대서면
89.49%8.10%▲81.39
두원면
88.09%10.34%▲76.75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82.93%10.80%▲72.13
관외사전투표
80.18%16.56%▲63.62
국외부재자투표
70.19%25.00%▲45.19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3][A][4]87.42%10.08%▲77.34

3.3. 총선[편집]



3.3.1. 고흥군[편집]



3.3.2. 고흥군·보성군[편집]



3.3.3. 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편집]


21대 총선 고흥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김승남황주홍(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7,293
(62.68%)
14,919
(34.26%)
+ 12,374
(△28.42)
44,680
(75.88%)
고흥읍59.46%35.86%△23.6073.44%
도양읍65.72%32.01%△33.7271.44%
풍양면[5]82.07%[6]15.87%[7]△66.2079.89%
도덕면64.04%32.53%△31.5174.91%
금산면56.07%42.06%△14.0176.32%
도화면63.82%33.13%△30.7075.56%
포두면68.84%29.00%△39.8473.54%
봉래면55.85%42.45%△13.4077.02%
동일면65.64%32.34%△33.3074.15%
점암면61.12%35.20%△25.9275.56%
영남면61.93%34.60%△27.3375.66%
과역면62.70%34.92%△27.7877.87%
남양면55.79%41.66%△14.1373.99%
동강면56.04%40.88%△15.1673.19%
대서면46.30%51.23%▼4.9374.82%
두원면53.57%43.15%△10.4273.82%
후보김승남황주홍격차
거소·선상투표61.88%33.60%△28.28
관외사전투표70.26%24.98%△45.28
재외투표94.44%5.55%△88.89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675
(4.08%)
24,595
(60.04%)
2,517
(6.14%)
1,157
(2.82%)
1,807
(4.41%)
+ 17,998
(△43.94)
44,686
(75.83%)
고흥읍3.71%58.55%8.03%3.56%5.20%△43.4673.44%
도양읍4.59%[8]62.96%[9]6.19%3.03%4.68%△49.7571.48%
풍양면4.02%70.08%5.20%2.08%3.12%△60.2079.89%
도덕면3.33%61.83%4.96%2.45%3.38%△44.9474.91%
금산면3.64%60.52%4.34%1.94%3.64%△40.8076.34%
도화면4.12%60.46%4.82%2.10%3.26%△42.2675.56%
포두면3.94%65.76%5.52%2.16%2.74%△51.3473.54%
봉래면6.06%53.50%3.72%3.54%3.80%△29.4477.02%
동일면4.70%59.70%5.85%1.95%4.70%△43.0574.15%
점암면4.19%57.35%5.78%2.66%4.19%△39.3275.56%
영남면4.15%57.27%5.19%2.85%2.85%△37.0175.66%
과역면3.63%60.97%5.08%2.68%3.90%△43.8477.87%
남양면4.41%56.26%5.91%2.83%3.30%△36.8073.99%
동강면2.46%58.00%5.72%2.51%5.24%△39.2773.15%
대서면3.40%53.33%6.13%2.42%3.63%△29.0974.82%
두원면4.65%58.01%5.38%2.41%3.53%△40.7073.82%
정당격차
거소·선상투표23.43%46.02%1.67%5.85%3.76%△22.595.02%
관외사전투표11.54%55.52%5.12%9.19%4.06%△43.988.10%
재외투표9.09%50.00%9.09%4.54%0%△22.7327.27%

[1] 소숫점 위치를 잘 보자. 29%가 아니라 2%다.[2] 소록도에는 주민들이 육영수 여사를 기리는 공덕비까지 세웠을 정도이다.[고흥] [3] 고흥군 일원, 보성군 일원, 장흥군 일원, 강진군 일원.[A] 관외투표 제외.[4] 지역구 국회의원 : 김승남 (더불어민주당, 재선).[5] 김승남 후보의 고향.[6] 소록도 득표율 : 44.17%.[7] 소록도 득표율 : 46.01%.[8] 소록도 득표율 : 34.00%.[9] 소록도 득표율 : 2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