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강영수(야구)

덤프버전 :

강영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강영수의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fff [[삼성 라이온즈|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8번}}}
김종갑
(1987~1988)
강영수
(1989~1990)
허규옥
(1991~1992)
{{{#ffffff [[OB 베어스|OB 베어스]] 등번호 14번}}}
김용희
(1988~1989)
강영수
(1991~1994)
박성균
(1995)
{{{#fab93d [[태평양 돌핀스|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현대 유니콘스]] 등번호 44번}}}
이근엽
(1991~1992)
강영수
(1995~1997.6.7.)
피어슨
(1999)
{{{#000000 [[쌍방울 레이더스|쌍방울 레이더스]] 등번호 33번}}}
김광림
(1994~1997.6.7.)
강영수
(1997.6.8.~1998)
김광림
(1999)

파일:강영수.jpg
1992년 OB 베어스 시절
강영수
姜泳壽 | Kang Yeong-Su
출생1965년 2월 10일 (59세)
경상북도 영덕군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경상중 - 대구상고 - 한양대[1]
포지션외야수
투타우투우타
프로입단1989년 1차 지명 (삼성)
소속팀한국화장품 야구단 (1988)
삼성 라이온즈 (1989~1990)
OB 베어스 (1991~1994)
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 (1995~1997)
쌍방울 레이더스 (1997~1998)
지도자경동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00~2004)
SK 와이번스 타격코치 (2005~2006)
원주고등학교 야구부 감독 (2012~2013)
응원가미국 동요 - Mary Had A Little Lamb[2]

1. 개요
2. 선수 경력
3. 지도자 경력
4. 연도별 성적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KBO 리그에서 뛰었던 전직 야구선수로, 포지션은 외야수였다. 꽤나 옛날 선수라 그닥 알려지지는 않은 편이지만 최익성이나 동봉철, 이동수보다도 앞서 대표적인 저니맨이었던 선수로 4개의 팀에서 뛴 최초의 선수이기도 하다.[3]


2. 선수 경력[편집]


경상중, 대구상고, 한양대 졸업 후 1988 서울 올림픽 참가를 위해 한국화장품 야구단에 입단했고, 1989년 1차 2순위 지명으로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했다. 원래 포지션은 내야수로 대구상업고등학교 때는 유격수를, 한양대학교 때에는 3루수를 맡았지만 프로 입단 후 외야수로 전향했다. 프로 입단 후 2년간 주로 백업으로 나왔고 1991년 1월 1루수 신경식을 상대로 OB 베어스트레이드됐다.

OB 시절에는 1994년 항명 파동에 의한 보복으로 방출되었으나 태평양에서 바로 영입, 그 이듬해 커리어 하이를 기록하였다.[4]

통산타율 .222에서 보듯 정확도와는 거리가 있었으나 볼넷과 삼진이 많았으며, 잠실을 홈으로 쓰면서도 매년 두자릿수 홈런을 칠 정도로 파워에는 일가견이 있었다. 그리하여 매년 8할에 가까운 ops를 찍었다. 타율이 좀 낮은 대신 장타율과 출루율이 좋았던 소위 말하는 OPS 히터다. 이를 보여 주는 것이 삼성 시절 빙그레 한희민을 상대로 무려 16개의 공을 커트한 기록이 있다. 이는 훗날 2008년 정원석이 기록을 갱신하기 전까지 약 18년 가량 한국프로야구 최다 기록이었다.

커리어 하이 시즌은 태평양 시절이었던 1995년으로 타율 .243에 21홈런 68타점 ops .778을 기록, 김상호, 이동수와 홈런왕 경쟁을 펼치며 박재홍의 입단 전 거포가 부족했던 타선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그러나 박재홍이 입단하면서 주전경쟁에서 밀렸고, 이후 뚜렷한 활약을 보이지 못하다가 IMF 사건 재정난으로 어려워지기 전의 1997년 6월 1:2 트레이드(김광림 ↔ 강영수, 공의식)로 쌍방울 레이더스로 이적한 후 대타로 가끔 나오다가 1998년 은퇴하였다.

여담으로 이명수-김동주로 이어지는 OB-두산 비행기 응원가의 원조이다. '영수 영수 강영수~'로 1993년쯤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3. 지도자 경력[편집]


은퇴 후 경동고등학교 코치, SK 와이번스 타격코치, 원주고등학교 감독을 역임했다.


4. 연도별 성적[편집]


역대 기록
연도소속팀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장타율출루율
1989삼성57117.145173041316122.274.279
199071198.2374740103329223.409.315
연도소속팀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장타율출루율
1991OB107303.23872112154742254.436.351
1992118351.21776132186153777.419.353
1993103244.2215412372923040.381.328
199466169.213366041916119.320.288
연도소속팀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장타율출루율
1995태평양121415.24310117121
(4위)
6871362.441.338
연도소속팀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장타율출루율
1996현대4572.1671230164014.250.302
연도소속팀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4사구장타율출루율
1997현대 / 쌍방울6486.20918404188212.395.306
1998쌍방울76137.2263110021712023.343.338
KBO 통산
(10시즌)
8282092.2224648388631127418346.392.329


5. 관련 문서[편집]




[1] 1984학번[2] 이후 이명수, 김동주에게 넘어갔다.[3] 실업팀을 제외하면 삼성 라이온즈, OB 베어스, 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 쌍방울 레이더스.[4] 태평양으로 옮기는 과정에서 OB와 태평양 모두 잘 되었다는 식으로 나왔다. 요약하자면 태평양은 강영수를 영입해서 좋고, OB는 그 반대로 강영수를 내보내서 좋은 상황(...)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OB 베어스 항명파동 항목 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0 09:37:34에 나무위키 강영수(야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