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윤

덤프버전 : (♥ 0)

구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구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로고.svg
이영민 타격상 수상자(창설~2000년)
2001년 이후 수상자는 이쪽으로
[ 펼치기 · 접기 ]

#000000,#E5E5E5 ||<-2><tablewidth=100%><width=40%> ||<width=20%> {{{-2 1958}}} ||<width=20%> {{{-2 1959}}} ||<width=20%> {{{-2 1960}}} || ||<-2><rowbgcolor=#FFFFFF,#191919> [[이영민 타격상]] 제정 || [[김동주|{{{#000000,#E5E5E5 김동주}}}]][br]{{{-2 [[경남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남고}}}]]}}} || [[백인천|{{{#000000,#E5E5E5 백인천}}}]][br]{{{-2 [[경동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동고}}}]]}}} || [[최관수|{{{#000000,#E5E5E5 최관수}}}]][br]{{{-2 [[동산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동산고}}}]]}}} || ||<width=20%> {{{-2 1961}}} ||<width=20%> {{{-2 1962}}} ||<width=20%> {{{-2 1963}}} ||<width=20%> {{{-2 1964}}} ||<width=20%> {{{-2 1965}}} || ||<rowbgcolor=#FFFFFF,#191919> [[조정일|{{{#000000,#E5E5E5 조정일}}}]][br]{{{-2 [[성동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성동고}}}]]}}} || [[정인성|{{{#000000,#E5E5E5 정인성}}}]][br]{{{-2 [[살레시오고등학교|{{{#000000,#E5E5E5 살레시오고}}}]]}}} || [[이철화|{{{#000000,#E5E5E5 이철화}}}]][br]{{{-2 [[부산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부산고}}}]]}}} || [[김영생|{{{#000000,#E5E5E5 김영생}}}]][br]{{{-2 [[대구상고 야구부|{{{#000000,#E5E5E5 대구상고}}}]]}}} || [[이광환|{{{#000000,#E5E5E5 이광환}}}]][br]{{{-2 [[중앙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중앙고}}}]]}}} || ||<width=20%> {{{-2 1966}}} ||<width=20%> {{{-2 1967}}} ||<width=20%> {{{-2 1968}}} ||<width=20%> {{{-2 1969}}} ||<width=20%> {{{-2 1970}}} || ||<rowbgcolor=#FFFFFF,#191919> [[박용해|{{{#000000,#E5E5E5 박용해}}}]][br]{{{-2 [[대구상고 야구부|{{{#000000,#E5E5E5 대구상고}}}]]}}} || [[오영복|{{{#000000,#E5E5E5 오영복}}}]][br]{{{-2 [[대전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대전고}}}]]}}} || [[김영신|{{{#000000,#E5E5E5 김영신}}}]][br]{{{-2 [[대구상고 야구부|{{{#000000,#E5E5E5 대구상고}}}]]}}} || [[전장헌|{{{#000000,#E5E5E5 전장헌}}}]][br]{{{-2 [[선린상고 야구부|{{{#000000,#E5E5E5 선린상고}}}]]}}} || [[신중국|{{{#000000,#E5E5E5 신중국}}}]][br]{{{-2 [[부산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부산고}}}]]}}} || ||<width=20%> {{{-2 1971}}} ||<width=20%> {{{-2 1972}}} ||<width=20%> {{{-2 1973}}} ||<width=20%> {{{-2 1974}}} ||<width=20%> {{{-2 1975}}} || ||<rowbgcolor=#FFFFFF,#191919> [[정현발|{{{#000000,#E5E5E5 정현발}}}]][br]{{{-2 [[경북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북고}}}]]}}} || [[정순명|{{{#000000,#E5E5E5 정순명}}}]][br]{{{-2 [[충암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충암고}}}]]}}} || [[김일권|{{{#000000,#E5E5E5 김일권}}}]][br]{{{-2 [[군산상고 야구부|{{{#000000,#E5E5E5 군산상고}}}]]}}} || [[박명선|{{{#000000,#E5E5E5 박명선}}}]][br]{{{-2 [[인천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인천고}}}]]}}} || [[이효헌|{{{#000000,#E5E5E5 이효헌}}}]][br]{{{-2 [[용마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마산상고}}}]]}}} || || {{{-2 1976}}} || {{{-2 1977}}} || {{{-2 1978}}} || {{{-2 1979}}} || {{{-2 1980}}} || ||<rowbgcolor=#FFFFFF,#191919> [[임정면|{{{#000000,#E5E5E5 임정면}}}]][br]{{{-2 [[용마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마산상고}}}]]}}} || [[이만수|{{{#000000,#E5E5E5 이만수}}}]][br]{{{-2 [[대구상고 야구부|{{{#000000,#E5E5E5 대구상고}}}]]}}} || [[김남수|{{{#000000,#E5E5E5 김남수}}}]][br]{{{-2 [[신일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신일고}}}]]}}} || [[김이수|{{{#000000,#E5E5E5 김이수}}}]][br]{{{-2 [[개성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부산상고}}}]]}}} || [[김건우(1963)|{{{#000000,#E5E5E5 김건우}}}]][br]{{{-2 [[선린상고 야구부|{{{#000000,#E5E5E5 선린상고}}}]]}}} || || {{{-2 1981}}} || {{{-2 1982}}} || {{{-2 1983}}} || {{{-2 1984}}} || {{{-2 1985}}} || ||<rowbgcolor=#FFFFFF,#191919> [[구윤|{{{#000000,#E5E5E5 구윤}}}]][br]{{{-2 [[경북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북고}}}]]}}} || [[김성범|{{{#000000,#E5E5E5 김성범}}}]][br]{{{-2 [[포항제철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포철공고}}}]]}}} || [[한경수|{{{#000000,#E5E5E5 한경수}}}]][br]{{{-2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군산상고}}}]]}}} || [[주은현|{{{#000000,#E5E5E5 주은현}}}]][br]{{{-2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광주일고}}}]]}}} || [[김경기|{{{#000000,#E5E5E5 김경기}}}]][br]{{{-2 [[인천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인천고}}}]]}}} || || {{{-2 1986}}} || {{{-2 1987}}} || {{{-2 1988}}} || {{{-2 1989}}} || {{{-2 1990}}} || ||<rowbgcolor=#FFFFFF,#191919> [[김현철|{{{#000000,#E5E5E5 김현철}}}]][br]{{{-2 [[경북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북고}}}]]}}} || [[김훈|{{{#000000,#E5E5E5 김훈}}}]][br]{{{-2 [[부경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남상고}}}]]}}} || [[곽상선|{{{#000000,#E5E5E5 곽상선}}}]][br]{{{-2 [[군산상업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군산상고}}}]]}}} || [[정진식(야구)|{{{#000000,#E5E5E5 정진식}}}]][br]{{{-2 [[경남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남고}}}]]}}} || [[강준기|{{{#000000,#E5E5E5 강준기}}}]][br]{{{-2 [[공주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공주고}}}]]}}} || || {{{-2 1991}}} || {{{-2 1992}}} || {{{-2 1993}}} || {{{-2 1994}}} || {{{-2 1995}}} || ||<rowbgcolor=#FFFFFF,#191919> [[강혁(야구)|{{{#000000,#E5E5E5 강혁}}}]][br]{{{-2 [[신일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신일고}}}]]}}} || [[노상진|{{{#000000,#E5E5E5 노상진}}}]][br]{{{-2 [[배명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배명고}}}]]}}} || [[조현(1976)|{{{#000000,#E5E5E5 조현}}}]][br]{{{-2 [[신일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신일고}}}]]}}} || [[김건덕|{{{#000000,#E5E5E5 김건덕}}}]][br]{{{-2 [[부경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남상고}}}]]}}} || [[박현철|{{{#000000,#E5E5E5 박현철}}}]][br]{{{-2 [[광주제일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광주일고}}}]]}}} || || {{{-2 1996}}} || {{{-2 1997}}} || {{{-2 1998}}} || {{{-2 1999}}} || {{{-2 2000}}} || ||<rowbgcolor=#FFFFFF,#191919> [[박진형|{{{#000000,#E5E5E5 박진형}}}]][br]{{{-2 [[경동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동고}}}]]}}} ||<-2> [[신민기(1980)|{{{#000000,#E5E5E5 신민기}}}]][br]{{{-2 [[경남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경남고}}}]]}}} || [[백정훈|{{{#000000,#E5E5E5 백정훈}}}]][br]{{{-2 [[광주동성고등학교 야구부|{{{#000000,#E5E5E5 광주상고}}}]]}}} || 수상자 없음 ||



{{{#fff [[삼성 라이온즈|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39번}}}
결번구윤
(1986)
이현택
(1987~1992.5.6.)
{{{#ffffff [[삼성 라이온즈|삼성 라이온즈]] 등번호 19번}}}
곽현태
(1986)
구윤
(1987~1993.6.29.)
감병훈
(1994~2000)
{{{#131B66 [[태평양 돌핀스|태평양 돌핀스]] 등번호 24번}}}
조병천
(1986~1992)
구윤
(1993.6.30.~1994)
도명진
(1995)

구윤
Koo Yoon
출생1963년 6월 18일 (61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경북고 - 중앙대
포지션외야수
투타좌투좌타
프로입단1986년 1차 지명 (삼성)
소속팀삼성 라이온즈 (1986~1993)
태평양 돌핀스 (1993~1994)
1. 개요
2. 선수 경력
3. 플레이 스타일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삼성 라이온즈, 태평양 돌핀스 소속 외야수.


2. 선수 경력[편집]


경북고 시절 성준, 류중일, 문병권, 홍순호, 조광덕 등과 함께 1981년 경북고의 청룡기, 황금사자기, 봉황대기 우승의 주역이 되었다. 이 활약으로 이영민 타격상을 수상하게 된다. 강견으로 투수로도 활약하기도 했다. 다만 대학에서는 기대에 미치지 못 했다고 한다.

1986년 1차 지명으로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한다. 고등학교 시절의 활약으로 큰 기대를 모았으나, 부상으로 인해 빛을 발하지 못한 케이스. 주로 백업 외야수로 활동하였으나, 1987년 장효조의 이적 이후에는 준주전급으로 활약하였다. 우익수로 훌륭한 활약을 한 이종두의 포지션 경쟁자로, 어깨에서 더 높은 평가를 받아 이종두를 밀어내고 우익수 자리를 차지하기도 한다. 다만 잘 나갈만 하면 찾아오는 부상이 결국 그의 선수 생명을 갉아 먹고 말았다. 실제로 1990년 개막전에서 슬라이딩을 하다가 온 무릎 부상 이후 91년까지 뛴 경기가 거의 없다시피 할 정도.[1] 이후 1993년 태평양 돌핀스로 현금 트레이드되었으나 별다른 활약없이 1994년까지 활동하다가 방출되면서 커리어를 마쳤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수비에 있어서는 신언호, 김형석과 함께 강견으로 손꼽히는 우익수였다. 타격에서 커리어하이였던 1989년에는 괜찮은 갭파워로 2루타를 양산하는 중장거리 유형의 타자로 분류되었다. 선구안이 나쁜 편은 아니나 꽤 적극적인 타격을 했던 타자로, 커리어 삼진률이 29%에 달한다. 덕분에 1993년에는 KBO 리그 기록인 8연타석 삼진이라는 불명예 기록도 갖게 된다.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08:13:54에 나무위키 구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당시 삼성은 부상 관리 부족으로 인대 손상을 입은 선수가 많았는데, 김성래, 이종두는 수술 후 복귀에 성공했지만 구윤은 결국 커리어를 마감하다시피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