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IB-C03: HAL 826

덤프버전 :


파일:아머드 코어 시리즈 로고.png
아머드 코어 시리즈 최종보스 일람
(스포일러 주의)
[ 펼치기 · 접기 ]

세대작품보스기체
1아머드 코어허슬러 원AC 나인볼
아머드 코어 프로젝트 판타즈마스팅거판타즈마
아머드 코어 마스터 오브 아레나관리자라나 닐센나인볼 세라프
2
아머드 코어 2레오스 클라인스카라바에우스・필리알
아머드 코어 2 어나더 에이지안타레스
칼라일
AC 디에스 이레
AC 원더 레이드
3
아머드 코어 3DOVE관리자 AC
아머드 코어 3 사일런트 라인IBISI-CFFF-SERRE
N
아머드 코어 넥서스인터네사인나인볼 (가디언)
아머드 코어 나인 브레이커AC 나인볼 오닉스
아머드 코어 포뮬러 프론트테스타로사 아르티지아나AC 스포르차토
아머드 코어 라스트 레이븐레비아탄
잭 OAC 폭스아이
에반제AC 오라클
에반제2족형 펄버라이저
비행형 펄버라이저
지나이더AC 파시네이터
강화 비행형 펄버라이저
4
아머드 코어 4조슈아 오브라이언
셀로HARD
00-Aretha
AC 테스타먼트HARD
아머드 코어 포 앤서막시밀리앵 테르미도르
신카이
AC 언성
AC 스플릿 문
윈 D. 팬션
로이 써랜드
오츠달바HARD
AC 레이텔패러쉬
AC 마이 블리스
AC 스테이시스HARD
오츠달바
윈 D. 팬션
릴리엄 월콧
로디
셀렌 헤이즈HARD
AC 스테이시스
AC 레이텔패러쉬
AC 앰비엔트
AC 피드백
AC 실리에지오HARD
5
아머드 코어 V주임엑스시아
아머드 코어 버딕트 데이JN-WGIX/v
6
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에어IB-07: SOL 644
핸들러 월터AC IB-C03: HAL 826
올 마인드G5 이구아수AC 마인드 감마IB-07: SOL 644
※ 윗첨자HARD: 하드 모드에서만 출현.


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 보스 목록
[ 펼치기 · 접기 ]

챕터 1
AH12: HC 헬리콥터
다펑 파일럿 훈련생 / 테스터 AC
인덱스 더넘 / 번 피칵스
G4 볼타 / 캐논 헤드+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EB-0309 스트라이더
HA-T-102 저거노트
리틀 쯔이 / 유에 유
G2 나일 / 딥 다운+
PCA 특무이등상사 / AAS03: 엑드로모이 MG++
PCA 특무준위 / AAS03: 엑드로모이 PG++
PCA 특무중위 / AAS02: 카타프락토이++
술라 / 엔탱글
AAP07: 발테우스
챕터 2
인빈시블 러미 / 매드 스텀프
노자크 / 비터 프로미스
EC-0804 스마트 클리너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IA-13: 씨 스파이더
챕터 3
AS07: 헤비 워십
PCA 특무소위 / AAS03: 엑드로모이 EP
PCA 특무일등상사 / AAS03: 엑드로모이 PG
V.VII 스윈번 / 가이던스
로쿠몬센 / 시노비
PCA 집행소위 / AA22: 헤비 카발리+
PCA 집행일등상사 / AA18: 라이트 카발리+
PCA 집행이등상사 / AA18: 라이트 카발리+
AH12: HC 헬리콥터
섬 돌마얀 / 아스트힉++
링 프레디 / 캔들 링
PCA 집행준위 / AA22: 헤비 카발리
PCA 특무대위 / AAS02: 카타프락토이
PCA 집행대위 / AA22: 헤비 카발리
PCA 집행중위 / AA18A: 라이트 카발리 HM
어니스트 브루트 / 밀크 투스
레이븐 / 나이트폴
샤르트뢰즈 / 움버 옥스+
킹 / 애스터 크라운+
레이븐 / 나이트폴+
IA-02: 아이스 웜
챕터 4
AB08: 네펜테스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콜드콜 / 데드슬레드+
강제 집행 시스템 / AAP03: 인포서
강제 집행 시스템 / IA-C01: 이페메라
G1 미시간 / 라이거 테일
V.V 호킨스 / 리컨피그
V.VIII 페이터 / 듀얼 네이처
V.III 오키프 / 배런 플라워++
V.IV 러스티 / 스틸 헤이즈
V.IV 러스티 / 스틸 헤이즈+
미들 플랫웰 / 츠바사+
V.VI 마테를링크 / 인펙션
G3 우 화하이 / 리롱
V.II 스네일 / 오픈 페이스++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IB-01: CEL 240
챕터 5
아르카부스 주력 부대원 /
AA22: 헤비 카발리
V.I 프로이트 / 록스미스
러스티 / 스틸 헤이즈 오르투스
V.II 스네일 / 오픈 페이스
신더 칼라 / 풀 코스
채티 스틱 / 서커스
EC-0804 스마트 클리너
V.II 스네일 /
AAP07A: 아르카부스 발테우스
G6 레드 / 허밋++
V.III 페이터 / AA18A: 라이트 카발리 HM++
자일렘 올 블록 프로세스++
레이븐의 불루비콘의 해방자
???? /
IB-07: SOL 644
핸들러 월터 /
IB-C03: HAL 826
주사위는 던져졌다
????++
+: 2회차 이상부터 조우 가능한 보스.
++ : 3회차 이상부터 조우 가능한 보스.



IB-C03: HAL 826
파일:ACVI_Walter.png
BGM - The Man Who Passed The Torch
1. 개요
2. 공략
3. 분석 아레나
3.1. AC IB-C03: HAL 826
4. 기타



1. 개요[편집]


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의 엔딩 '루비콘의 해방자'의 최종 보스 기체. 탑승자는 스포일러.

루비콘 조사기술연구소제 C병기, 그 중에서도 코랄을 지키기 위한 루비콘의 억지력으로서 개발된 아이비스 시리즈의 마지막 기체로, 유일하게 유인 사양, 즉 AC다. 따라서 클리어할 시 플레이어도 파츠를 얻어서 어셈블리할 수 있게 된다.

구리색인 IB-01: CEL 240, 흰색인 IB-07: SOL 644와 다르게 피처럼 붉은 컬러링을 지녔으며[1] 눈에 띄게 거대한 코어와 투구처럼 이마에 솟은 뿔에 흉흉하게 빛나는 헤드가 특징.


2. 공략[편집]


표준형 중에서도 가장 높은 제너레이터 출력/공급 보정과 상위권의 AP/자세 안정 성능을 가진 프레임에 고성능의 위협적인 무장인 코랄 라이플, 코랄 블레이드, 코랄 미사일, 코랄 실드를 장착하고 최종 보스 보정으로 스태거 회복이 더럽게 빠른데다가 리페어 키트를 무려 4개까지 갖고 있는, 6의 미션 도중에 나오는 모든 AC형 보스 중에서 가장 강한 스펙을 지닌 최종 보스다운 위엄을 갖춘 기체. 하지만 후술하다시피 태생이 AC라서 한계도 뚜렷한 편.

무제한으로 실드를 펼치지도 않고, 패턴이 변하지도 않으며 스토리 내에서 AC를 상대하는 방법이 전부 다 통한다. 물론 후반부에 나오는 AC타입 보스여서 4번 정도 체력을 회복하는데, 그래도 근본적인 문제인 스태거 - 딜타임이 해결되지는 않는다. 특이점으론 작중 나오는 모든 AC 중에서 가장 스태거 회복이 빠르다, 파일벙커를 주력으로 써온 플레이어라도 이번 미션에선 잠깐 내려두는 것이 좋다. 물론 체력이 낮은 만큼 작정하고 노려서 1방이라도 꽂는다면 승기를 확실히 잡는 수준에서 아예 월터가 리페어 킷을 쓰기도 전에 원콤내버릴 수도 있다.[2]

그래도 썩어도 한 루트의 최종보스라 공략법을 모르면 굉장한 난적이 될 수 있다. AI의 성능이 좋고, 패턴이 정형화 되어 있지 않으며, 스태거 회복이 매우 빨라 스태거를 내도 딜을 우겨 넣기 쉽지 않다. 그리고 온갖 코랄 무기로 무장하고 있는데, 아직 그 특성이나 공략법을 잘 모르는 1, 2회차에선 굉장히 위협적이다. 탄속 자체는 그다지 안 빠르지만 화력이 매우 높고 방어력을 무시하는데다 주무기인 코랄 라이플과 코랄 블레이드는 차지하면 광역기로 변한다.

코랄 라이플은 2단 차지하면 광역 빔이 되며, 코랄 블레이드도 광역 횡베기로 변한다. 코랄 라이플의 경우 한 번 휘말리면 계속 맞게 되므로 락온되면 퀵부스트로 피해야 하며, 빔이 꽤 오래 지속하면서 플레이어를 쫓아오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이 빔은 중간에 취소할 수 있기 때문에 바주카 같은 강한 무기로 역공을 노려봤자 월터가 퀵부스트로 피한다. 물론 이는 역으로 생각하면 고화력 무장으로 퀵부스트를 유도해서 패턴을 캔슬시킬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3] 코랄 블레이드의 경우 거대한 횡베기를 하는데, 유저를 추적하기 때문에 단순히 상승 추진력만으로 범위에서 벗어날 수 없고 빔이 시작된 반대쪽을 향해 파고 들거나, 코랄 라이플과 달리 취소할 수 없다는 점을 이용해 위력과 스태거가 높은 단발성 무기로 스태거를 내서 빔을 멈춰야 한다. 후반부에서는 코랄 블레이드 횡베기에 맞으면 바로 코랄 라이플 풀차지 샷을 날리는 콤보를 구사하는데, 그냥 맞아도 빔 후속타에 휘말릴 위험이 있는데 실수로 횡배기가 향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 맞으면 스태거가 풀리기도 전에 빔을 풀히트로 맞아버리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

이외에 부무장도 위협적인데, 전신을 보호하는 코랄 쉴드는 원거리에서 갉아먹기 계열 빌드로 상대하면 월터의 체감 맷집이 높아지고, 코랄 미사일은 마찬가지로 탄속이 느린 대신 유도성이 높은데다가 차지하면 주 미사일에서 부속 미사일들이 나오는데, 주 미사일을 피했다고 안심했다가 뒤에서 쫓아온 부속 미사일에 얻어터지고 이후 거대한 폭발을 일으키는 주 미사일의 폭발에 휘말려 한큐에 터져버릴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월터는 어썰트 아머를 사용하기 때문에 접근할 때도 주의를 해야 한다.

월터 자신 외에도 공략을 어렵게 하는 점은 바로 보스 스테이지. 배경이 붉은데 월터의 기체는 기동성이 높은 데다가 빨간색이라 시야에서 놓치기 쉽고, 붉은색 코랄 미사일을 보기 힘든 것도 난점.

정리하자면 월터가 화력 높은 코랄 무기를 활용하기 전에 고화력 무기로 회복하기도 전에 잡는 단기결전을 노리거나, 월터의 기체가 중장이 아닌 점을 이용해 스태거를 연속적으로 내서 위협적인 패턴을 봉인하거나, 원거리 갉아먹기 빌드로 간다면 회피를 굉장히 신경 쓰면서 싸워야 한다.

사실 난이도가 그리 어렵지 않은 것은 전개와 발맞춤하는 점이라고 볼 수 있는데, 월터가 나타나는 시점은 이미 주인공이 자일렘 엔진 파괴를 마친 이후이기 때문이다. 즉 월터가 뭘 하든 이미 코랄의 안전은 확보되었으며, 이 싸움 자체는 이야기의 분기점이라기보단 월터의 최후를 함께하는 과정에 가까운 셈이다. 그런데 난이도가 너무 어려워서 이를 갈며 두세 번 이상 재시도하게 된다면 월터의 죽음에서 오는 먹먹함과 보스전 클리어의 쾌감이 충돌해버리기 쉽다.


3. 분석 아레나[편집]




인테그레이션 프로그램에 추가된 기체 데이터.

암호화를 동반한 주석이 달려 있다.

...아이비스 시리즈 중 마지막 1기의 소재가 밝혀졌다.

두 번째 조건을 충족하는 후보자는 어떻게든 될 것 같다.

이 기체는 파괴해 둬야만 한다.

그 남자는 세 번째 조건의 성립을 큰 폭으로 지연시켰다.

수정이 필요하다.

다회차에서 해금되는 아레나 대상으로, 에어가 올 마인드가 숨겨놓았던 아이비스 시리즈 AC의 데이터를 찾았다며 성능이 어떠한지 테스트해본다. 대응 기체는 위의 IB-C03: HAL 826. 등급은 D-2.


3.1. AC IB-C03: HAL 826[편집]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IB-C03: HAL 826
머리코어완부각부
IB-C03H: HAL 826IB-C03C: HAL 826IB-C03A: HAL 826IB-C03L: HAL 826
FCS제네레이터부스터
IB-C03F: WLT 001IB-C03G: NGI 000IB-C03B: NGI 001
우측 팔 무장좌측 팔 무장우측 등 무장좌측 등 무장
IB-C03W1: WLT 011IB-C03W2 WLT 101IB-C03W3: NGI 006IB-C03W4: NGI 028
익스팬션
어썰트 아머
월터의 기체이자 아이비스 시리즈의 마지막 작품. 중량은 표준급으로 고성능 부스터와 특유의 성질을 가진 코랄 제네레이터의 힘을 입어 표준 치고 빠른 움직임을 보여준다. 무기는 빔 코랄 라이플, 코랄 대검, 핵미사일, 코랄 실드를 달고 있는데 실드를 제외한 모든 무장이 충전 기능이 있어 공격 속도가 느리고 한꺼번에 다루기는 어려우므로 직접 사용할 시 한두개는 동급 부하의 익숙한 무기로 교체해주면 좋다. 에어의 에코와 비교하면 더 공격적인 성향의 기체.


4. 기타[편집]



[1] 자일렘 격추 미션에서는 배경 때문에 검은색으로 보이지만 분석 아레나에서 본래의 컬러링을 확인할 수 있다.[2] 파일 벙커 대용으로 쓸만한 근접무기로는 전기톱 '더블 트러블'이 추천되는데, 파일 벙커에 비해 표기 대미지는 낮지만 차징 선딜레이가 짧고 블레이드 호밍도 있으면서도 직격 보정치가 높아 스태거를 띄우자마자 때려넣으면 말 그대로 갈아버릴 수 있다.[3] 준비동작이 지나치게 큰 무장은 적합하지 않고, VP-60LCS 레이저 캐논 정도면 경고음을 들은 다음 반응해서 쏴도 퀵부스트를 유도해서 패턴을 캔슬시킬 수 있다. 패턴 캔슬에 한발을 소비한다고 해도 어차피 고화력 무장치고는 연사력이 좋고 오버히트타입 무기라서 한발 소비하는 게 DPS에 큰 손실을 주진 않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6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6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4 16:28:50에 나무위키 IB-C03: HAL 82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