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빈시블 러미

덤프버전 :


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 보스 목록
[ 펼치기 · 접기 ]

챕터 1
AH12: HC 헬리콥터
다펑 파일럿 훈련생 / 테스터 AC
인덱스 더넘 / 번 피칵스
G4 볼타 / 캐논 헤드+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EB-0309 스트라이더
HA-T-102 저거노트
리틀 쯔이 / 유에 유
G2 나일 / 딥 다운+
PCA 특무이등상사 / AAS03: 엑드로모이 MG++
PCA 특무준위 / AAS03: 엑드로모이 PG++
PCA 특무중위 / AAS02: 카타프락토이++
술라 / 엔탱글
AAP07: 발테우스
챕터 2
인빈시블 러미 / 매드 스텀프
노자크 / 비터 프로미스
EC-0804 스마트 클리너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IA-13: 씨 스파이더
챕터 3
AS07: 헤비 워십
PCA 특무소위 / AAS03: 엑드로모이 EP
PCA 특무일등상사 / AAS03: 엑드로모이 PG
V.VII 스윈번 / 가이던스
로쿠몬센 / 시노비
PCA 집행소위 / AA22: 헤비 카발리+
PCA 집행일등상사 / AA18: 라이트 카발리+
PCA 집행이등상사 / AA18: 라이트 카발리+
AH12: HC 헬리콥터
섬 돌마얀 / 아스트힉++
링 프레디 / 캔들 링
PCA 집행준위 / AA22: 헤비 카발리
PCA 특무대위 / AAS02: 카타프락토이
PCA 집행대위 / AA22: 헤비 카발리
PCA 집행중위 / AA18A: 라이트 카발리 HM
어니스트 브루트 / 밀크 투스
레이븐 / 나이트폴
샤르트뢰즈 / 움버 옥스+
킹 / 애스터 크라운+
레이븐 / 나이트폴+
IA-02: 아이스 웜
챕터 4
AB08: 네펜테스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콜드콜 / 데드슬레드+
강제 집행 시스템 / AAP03: 인포서
강제 집행 시스템 / IA-C01: 이페메라
G1 미시간 / 라이거 테일
V.V 호킨스 / 리컨피그
V.VIII 페이터 / 듀얼 네이처
V.III 오키프 / 배런 플라워++
V.IV 러스티 / 스틸 헤이즈
V.IV 러스티 / 스틸 헤이즈+
미들 플랫웰 / 츠바사+
V.VI 마테를링크 / 인펙션
G3 우 화하이 / 리롱
V.II 스네일 / 오픈 페이스++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IB-01: CEL 240
챕터 5
아르카부스 주력 부대원 /
AA22: 헤비 카발리
V.I 프로이트 / 록스미스
러스티 / 스틸 헤이즈 오르투스
V.II 스네일 / 오픈 페이스
신더 칼라 / 풀 코스
채티 스틱 / 서커스
EC-0804 스마트 클리너
V.II 스네일 /
AAP07A: 아르카부스 발테우스
G6 레드 / 허밋++
V.III 페이터 / AA18A: 라이트 카발리 HM++
자일렘 올 블록 프로세스++
레이븐의 불루비콘의 해방자
???? /
IB-07: SOL 644
???? /
IB-C03: HAL 826
주사위는 던져졌다
????++
+: 2회차 이상부터 조우 가능한 보스.
++ : 3회차 이상부터 조우 가능한 보스.





인빈시블 러미
インビンシブル・ラミー | "Invincible" Rummy
파일:ACVI 엠블럼 인빈시블 러미.png
성별남성
소속RaD
랭크29/F
탑승 기체매드 스텀프
성우사사키 타쿠마
등장 미션
[ 펼치기ㆍ접기 ]
그리드 086 침입

1. 개요
2. 행적
3. AC 매드 스텀프
4. 기타



1. 개요[편집]


도저 파벌 RaD의 구성원.

많은 도저가 그러하듯, 코랄 드러그를 남용해

중독 상태에 빠진 러미는 자신이야말로 무적이라는

과대망상에 사로잡혀 있다.

아무리 격파당해도 다음 날이 되면 잊어버리기 때문에

죽지 않는 한 그의 무적은 사라지지 않는다.

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의 등장인물. 탑승 기체는 매드 스톰프. 아레나에서 가장 낮은 순위인 29위에 위치해 있으며 등급은 F.

약쟁이 집단인 RaD의 일원으로, 엠블럼은 기체 이름대로 발바닥 모양이다. 코랄의 남용에 따른 중독 상태인 자신이 무적[1]이라는 과대망상에 사로잡혀 있는 인물. 패배해도 다음날이 되면 그 사실을 까먹어 버린다고 하며 죽지 않는 한 그 무적이 사라지는 일, 그러니까 정신차릴 일은 없다고 한다.


2. 행적[편집]


Who's this tourist?

뭐야, 처음 보는 낯짝인데

You think you can just waltz straight in here?

여기가 누구 구역인지 알고는 있는 거냐?

Hope you're watchin', boss.

보스, 지켜봐 주십쇼

Leave it to "Invincible" Rummy to show our guest a good time!

이 '무적'의 러미가 손님께 한 상 대접하겠슴다!

EC-0804 스마트 클리너를 파괴하는 임무에서 등장. 에어는 그를 보자마자 아레나 최하위라고 깐다. 약쟁이 집단의 일원답게 상관인 신더 칼라에게 자신을 지켜봐 달라거나 자신과 매드 스톰프는 무적이니 질 수 없다는 등 자뻑을 하며 주인공에게 호기롭게 달려들고 전기톱을 휘둘러대며 주인공을 위협해대지만 결국 일방적으로 밀려 격파당한다.

윽, 나의 매드 스텀프가!?[2]

플레이어에게 격파시

격파시 대사만 보면 기체가 격파당했다고 단순히 놀라는 듯한 뉘앙스지만, 실제로 들어보면 처절하게 단말마를 내지르는 목소리다. 이후 신더 칼라가 그래도 집 지키는 개 정도는 되었는데 죽어서 아깝다고 언급하니 저 때 기체랑 같이 산화한 게 맞다.


3. AC 매드 스텀프[편집]


파일:124019.png
매드 스텀프
マッドスタンプ | MAD STOMP
머리코어완부각부
DF-HD-08 TIAN-QIANGDF-BD-08 TIAN-QIANGAC-3000 WRECKER2C-3000 WRECKER
FCS제네레이터부스터
FCS-G1/P01AG-J-098 JOSOBC-0600 12345
우측 팔 무장좌측 팔 무장우측 등 무장좌측 등 무장
WR-0777 SWEET SIXTEENWB-0010 DOUBLE TROUBLE--
익스팬션
-
철저히 접근전에만 특화된 기체 구성으로 간간히 샷건을 쏴갈기면서 접근한 뒤 전기톱으로 갈아버리는 전법을 쓴다. 대처법은 머리 위를 잡으면 끝. 기체가 오버웨이트는 아니지만 프레임은 묵직한 나머지 둔하며, 내장 부품은 부스터를 제외하면 쓰레기고, 전기톱은 강하지만 스태거를 쌓아줄 무기가 없는지라 맞아주기가 더 힘들 지경이다. 이 기체를 정 사용하고 싶으면 머리부터 발 끝까지 갈아치워야 할 판. 특히 이후 나올 스마트 클리너를 쉽게 클리어 하려고 4각을 들고가는 경우가 많은데 호버링키고 적정거리 유지하면 정말 아무것도 못하고 맞아죽는다. 비중이 적지만 꼴지인데 무적거리는 병맛과 그에 비례하는 어셈블 상태 덕분에 은근히 컬트적인 인기가 있어서 완전히 매드 스텀프로 세팅하고 PvP를하는 사람도 있다.윽, 우리들의 매드 스텀프가!?


4. 기타[편집]


  • 후반부에 밝혀지는 칼라와 월터의 관계를 생각해보면, 러미는 딱히 죽을 이유가 없었다. 사실 주인공에게는 그리드 086 침입 자체가 할 이유가 딱히 없었으며 월터 명령대로 그냥 쉬고만 있었으면 자연히 바다를 건너갔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내막을 모르는 에어 입장에서는 그저 주인공이 바다를 건너는 것을 도와준 것 뿐이었고, 칼라는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주인공을 시험하고자 애꿏은 러미와 스마트 클리너를 던져준 것이다. 또한 칼라의 목적을 이루는데 있어서 러미는 살게 놔둔다 한들 정신상태나 성격으로 보아 그다지 도움이 될만한 인물은 아니다. 이 때문에 죽어도 손해가 없는 그를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3]

  • 러미에게 죽으면 인빈시블이다! 하고 외치며 신나한다.

  • 일어판과 영어판의 캐릭터 해석이 좀 다른 편. 일어판은 양아치스런면보다는 미치광이스러운 쪽을 더 중점에 뒀다면, 영어판은 좀 더 껄렁한 양아치스런 느낌으로 연기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5:25:11에 나무위키 인빈시블 러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영어판에서는 여기에 임의적으로 demi-god이라는 의역을 덧붙였다. 일본어 원문에는 그러한 표현이 존재하지 않는다.[2] 일본어 대사로는 "나의 매드 스텀프가아아아!", 영어 대사로는 "아, 안돼... 매드 스토옴프!"[3] 물론 이를 통해 칼라는 주인공의 능력을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었고 그를 신뢰하여 이후의 진실과 사명을 공유하는 계기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