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IA-C01: 이페메라

덤프버전 :


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 보스 목록
[ 펼치기 · 접기 ]

챕터 1
AH12: HC 헬리콥터
다펑 파일럿 훈련생 / 테스터 AC
인덱스 더넘 / 번 피칵스
G4 볼타 / 캐논 헤드+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EB-0309 스트라이더
HA-T-102 저거노트
리틀 쯔이 / 유에 유
G2 나일 / 딥 다운+
PCA 특무이등상사 / AAS03: 엑드로모이 MG++
PCA 특무준위 / AAS03: 엑드로모이 PG++
PCA 특무중위 / AAS02: 카타프락토이++
술라 / 엔탱글
AAP07: 발테우스
챕터 2
인빈시블 러미 / 매드 스텀프
노자크 / 비터 프로미스
EC-0804 스마트 클리너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IA-13: 씨 스파이더
챕터 3
AS07: 헤비 워십
PCA 특무소위 / AAS03: 엑드로모이 EP
PCA 특무일등상사 / AAS03: 엑드로모이 PG
V.VII 스윈번 / 가이던스
로쿠몬센 / 시노비
PCA 집행소위 / AA22: 헤비 카발리+
PCA 집행일등상사 / AA18: 라이트 카발리+
PCA 집행이등상사 / AA18: 라이트 카발리+
AH12: HC 헬리콥터
섬 돌마얀 / 아스트힉++
링 프레디 / 캔들 링
PCA 집행준위 / AA22: 헤비 카발리
PCA 특무대위 / AAS02: 카타프락토이
PCA 집행대위 / AA22: 헤비 카발리
PCA 집행중위 / AA18A: 라이트 카발리 HM
어니스트 브루트 / 밀크 투스
레이븐 / 나이트폴
샤르트뢰즈 / 움버 옥스+
킹 / 애스터 크라운+
레이븐 / 나이트폴+
IA-02: 아이스 웜
챕터 4
AB08: 네펜테스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콜드콜 / 데드슬레드+
강제 집행 시스템 / AAP03: 인포서
강제 집행 시스템 / IA-C01: 이페메라
G1 미시간 / 라이거 테일
V.V 호킨스 / 리컨피그
V.VIII 페이터 / 듀얼 네이처
V.III 오키프 / 배런 플라워++
V.IV 러스티 / 스틸 헤이즈
V.IV 러스티 / 스틸 헤이즈+
미들 플랫웰 / 츠바사+
V.VI 마테를링크 / 인펙션
G3 우 화하이 / 리롱
V.II 스네일 / 오픈 페이스++
G5 이구아수 / 헤드 브링어++
IB-01: CEL 240
챕터 5
아르카부스 주력 부대원 /
AA22: 헤비 카발리
V.I 프로이트 / 록스미스
러스티 / 스틸 헤이즈 오르투스
V.II 스네일 / 오픈 페이스
신더 칼라 / 풀 코스
채티 스틱 / 서커스
EC-0804 스마트 클리너
V.II 스네일 /
AAP07A: 아르카부스 발테우스
G6 레드 / 허밋++
V.III 페이터 / AA18A: 라이트 카발리 HM++
자일렘 올 블록 프로세스++
레이븐의 불루비콘의 해방자
???? /
IB-07: SOL 644
???? /
IB-C03: HAL 826
주사위는 던져졌다
????++
+: 2회차 이상부터 조우 가능한 보스.
++ : 3회차 이상부터 조우 가능한 보스.



IA-C01: 이페메라
IA-C01: EPHEMERA
파일:AC_Data_icon_ACVI_Preset_51-015_GA_INSTITUTE.webp
등장 미션지층 탐사 - 심도 3
소속행성 봉쇄 기구

1. 개요
2. 보스전
3. 분석 아레나
3.1. AC 기술연구소
4. 기타



1. 개요[편집]


아머드 코어 Ⅵ 루비콘의 화염의 등장 병기이자 챕터 4의 보스.

기술연구소무인 AC형 C병기로, 행성 봉쇄 기구가 워치 포인트 알파의 지하 진입을 막기 위해 설치해둔 레이저 장벽을 걷기 위해 반응로를 터트리고 나가려고 할 때, 봉쇄 기구의 프로토콜에 의해 기동해서 주인공을 가로막는다.


2. 보스전[편집]


고기동 AC 컨셉의 보스로, 빠르게 날아다니면서 월광검과 플라즈마 라이플로 공격한다. 리페어 키트로 체력을 꾸역꾸역 회복하며, 터미널 아머를 장비해 체력을 전부 다 깎아도 몇초간 시간을 끌다가 터진다.

실시간으로 자폭 중인 지하시설이 배경이라 2분의 시간제한이 있다. 이리저리 날아다녀서 가뜩이나 귀찮은데, 리페어 키트와 터미널 아머로 시간을 끈다. 또한 클리어하고 나서도 문을 액세스해서 열고 나가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문을 열고 클리어 포인트까지 이동하는데 길게 잡아 30초쯤 소모되므로 1분 30초 안에 컷해야 다 이겨놓고 폭사할 걱정 없이 클리어가 가능하다.

플레이어 AC가 떡장갑 전차에 중화기를 둘둘 말고 있다면 뭐 공략이랄 게 없다. 정직하게 줘패서 찌부러뜨리고 유유히 나가면 된다(...). 애초부터 타임어택 상황인지라 경량기로 테크니컬하게 싸울만큼 여유있지도 않으니 웬만하면 중화기를 동원해 빠르게 치워버리고 지나가자.


3. 분석 아레나[편집]




분석 아레나에서는 이름이 바뀌어 참전했다. 대응 기체는 AC 인스티튜드. 등급은 γ-2. 기체 자체는 올 마인드도 개방한 기체임에도 이상하게 취급은 히든 기체 취급. 어쩌면 올 마인드가 에페메라의 존재를 감추고 싶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3.1. AC 기술연구소[편집]


파일:AC_Data_icon_ACVI_Preset_51-015_GA_INSTITUTE.webp
기술연구소 AC
技研AC | Institute AC
머리코어완부각부
IA-C01H: EPHEMERAIA-C01C: EPHEMERAIA-C01A: EPHEMERAIA-C01L: EPHEMERA
FCS제네레이터부스터
IA-C01F: OCELLUSIA-C01G: AORTAIA-C01B: GILLS
우측 팔 무장좌측 팔 무장우측 등 무장좌측 등 무장
IA-C01W1: NEBULAIA-C01W2: MOONLIGHTIA-C01W3: AURORAIA-C01W3: AURORA
익스팬션
터미널 아머

인테그레이션 프로그램 제 3페이즈

루비콘 조사기술연구소는 코랄 연구의 총본산이었습니다.

그들이 만든 AC는 인간과 코랄의 생물학적 유사성에

착안점을 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AC를 서로 다른 종이 상호보완하며 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사고방식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AC 이름이 기술연구소라는 점에서 알 수 있듯이 전 부품을 기술연구소제로 떼운 기체이다. 내장 부품들 설명 역시 보면 인간이 모는 것이 아닌 무인기를 상정한 성능임을 알 수 있다.

이와는 별개로 이페메라의 내장 부품 자체는 의외로 실전성의 높은 편인데 각부류와 완부류는 전 파츠중 가장 뛰어난 중량대비 성능을 보여주며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코어류 역시 EN방어가 뛰어난 편에 속해 EN병기를 많이 사용하는 보스전일수록 빛나는 성향이 있다. 대신 반대 급부로 내탄 방어가 많이 떨어지는 편이라 EN병기가 적은 초반 미션에선 그다지 좋지 않고 PVP 역시 샷건 같은 근접 실탄 세팅에 취약한 면모를 보이는 편. 무장셋은 여타 AI AC들 그렇듯이 실전용이 아닌 컨셉질이 메인이긴 하지만 의외로 PVE라면 그나마 상황에 따라 쓸만한 편. 등 무장인 광파 캐논의 경우 말이 캐논이지, 사실상 EN미사일과 유사한 기능을 하며 월광 역시 중거리 견제가 가능한 근접 무기란 점에서 의외로 활용성을 보인다.


4. 기타[편집]


  • 덩치도 작은데 빠르게 날아다니는 데다가 배경도 새빨갛게 달아오른 상태라 생김새를 알아보기 힘들다.

  • 월광검을 사용한다. 아머드 코어 6의 문라이트 블레이드는 기술연구소의 잔재를 봉쇄기구에서 끄집어내 이용하고 있었다는 내용인데 이 무인기 또한 봉쇄기구가 시설에 침입한 621을 한시빨리 처리하기 위해 파견된 기체라 할 수 있다.

  • 모든 구성 파츠를 플레이어블 파츠로 습득 가능하며 동일한 세팅으로 만들 수도 있다. 모든 파츠에 유인 운용을 고려하지 않은 무인기용 부품이라는 설명이 있지만 주인공은 잘만 쓴다. 설정상 개발 초기에는 유인 조종으로 개발하다가 완전 무인 방식으로 변환하는 바람에 유인 조종을 위한 잔재가 남아있다고 한다. 게다가 주인공 역시 일반적인 파일럿이 아니라 오직 AC를 몰기 위한 목적으로 신경계를 최적화한 인물이기에 이런 난해한 기체도 다룰 수 있는 걸지도 모른다.

  • 단어인 이페메라의 뜻은 일시적인 창조물이라는 뜻인데, 이는 하루살이의 학명인 Ephemeroptera으로도 사용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4 23:12:20에 나무위키 IA-C01: 이페메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