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인칭화/가상 인물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3인칭화

1. 개요
2. 특수문자, ㄱ
3. ㄴ, ㄷ
4. ㄹ, ㅁ
5. ㅂ, ㅅ
6. ㅇ
7. ㅈ, ㅊ, ㅋ, ㅌ
8. ㅍ, ㅎ
9. 알파벳


1. 개요[편집]


본인 또는 상대방을 3인칭으로 부르는 말버릇을 가진 캐릭터만 기술한다. 일회성으로 한두 번 정도 자신을 이름으로 부른 경우가 있다고 추가하지 않는다. 더 이상 3인칭화를 쓰지 않게 된 경우 취소선 처리하고 성장이나 어떤 계기가 있었을 경우, 또는 특정 상황 한정으로 쓰는 경우는 각주를 추가하도록 한다. 괄호 안은 이름은 줄여 부르거나 변형해서 부르거나 할 경우의 1인칭이다. 어리거나 어려보이는 캐릭터의 경우 ☆표시.


2. 특수문자, ㄱ[편집]




3. ㄴ, ㄷ[편집]




4. ㄹ, ㅁ[편집]




5. ㅂ, ㅅ[편집]




6. ㅇ[편집]




7. ㅈ, ㅊ, ㅋ, ㅌ[편집]




8. ㅍ, ㅎ[편집]




9. 알파벳[편집]


  • AIR - 미치루
  • BanG Dream! - 아오바 모카, 키타자와 하구미☆, 우다가와 아코☆, 파레오[92]☆, 히로마치 나나미[93]
  • B대면데이트 - 최준
  • Caligula -칼리굴라- 2 - 코마무라 니코
  • Chaos;HEAd - 니시죠 나나미
  • CLANNAD - 이부키 후코
  • Cytus II - NEKO#ΦωΦ#, ROBO_Head
  • Don't Starve - 볼프강
  • D4DJ - 타케시타 미이코
  • Fate 시리즈 - 아처(4차), 라이더(4차), 네로,이리야스필 폰 아인츠베른[94]☆, 아처 인페르노[95], 가토 단조, 차차[96], 코마히메[97]
  • Go! Go! 다섯 쌍둥이 - 진하얀
  • Grand Theft Auto IV - 에디 로우[98]
  • HELIOS RISING HEROES - 잭02, 재클린☆
  • Hi Hi Puffy AmiYumi - 앗짱, 월
  • KOF 시리즈 - 모모코, 쿨라 다이아몬드[99], 아사미야 아테나[100], 야부키 신고, 유리 사카자키, 와타베 카오루
  • H20 - 이하나(야마구치 하나코)
  • Kanon - 쿠라타 사유리[101], 사와타리 마코토
  • Limbus Company - 카론, 파우스트
  • MILGRAM - 쿠스노키 무우, 시이나 마히루
  • MM! - 히이라기 노아
  • 파피 플레이타임 - Mommy long legs
  • Rewrite - 카가리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 , , 베아트리스(베티)☆, 펠릭스 아가일(페리)[102], 미미 펄배튼(미미)☆, 다프네
  • Sdorica -마리아[103], 샤리스 카터웰☆,[104] 매에
  • selector infected WIXOSS - 코미나토 루우코(루우)
  • SHOW BY ROCK!! - 모아☆, 츠키노☆, 데루밍☆, 라메카
  • supermarioglitchy4 - 마리오
  • Undertale - 파피루스, 테미
  • takt op. 운명은 새빨간 선율의 거리를 - 작은별 변주곡, 환상 즉흥곡, 사계-봄
  • Warhammer 40,000 - 탱크레드
  • We Bare Bears - 아이스 베어
  • WORKING!! - 야마다 아오이(이누구미), 카마쿠라 시호(네코구미)


[1] 집 우마루 한정 ☆.[2] 하지만 사실은 보쿠 소녀다.[3] 가족끼리 있을 때 한정[4] 또 다른 1인칭은 아타시.[5] 남성 캐릭터 중에 이런 형태는 어린아이 속성이 아닌 이상 정말로 드문 경우에 해당된다.[6] 이쪽은 본편에서는 최강자가 되었다는 자신감에 취해 있을 때나 간혹 쓰는 정도고, 그조차도 오레랑 섞어 쓴다. 평상시에는 대부분 오레다.[7] 액트 3의 마법사 NPC로, 자기 자신을 다른 사람 말하듯 하는 게 특징이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액트 3에 갓 진입하여 처음 말을 걸었을 경우 '그대는 지금 올머스와 대화하고 있다. 그는...' 하는 식으로 자기소개를 한다.[8] 1인칭인 오레와 섞어 쓴다.[9] 1인칭 아타시와 섞어 쓴다.[10] 성장기인 길몬때부터 3인칭을 썼다. 길몬이나 그라우몬 상태에서 1인칭을 쓸 때는 보쿠. 단, 듀크몬 상태에선 와타시와 3인칭을 섞어서 사용한다.[11] 미스오르카 : 운명의 스킨 한정.[12] 휴런 부족 출신 아메리카 원주민. 영어로 대화할때 원주민 말을 직역해서 '마구아는~ 하다.' 하고 말한다.[13] 니코와 린을 제외하고 스쿠페스 한정이다.[14] 코믹스 한정이다.[15] 주인공과 친해진 뒤.[16] 어렸을 때 한정.[17] 치하야라 할 때도 있고 히메라 할 때도 있다. 일단 통상적으로 쓰는 풀네임은 치하야 히메.[18] 일어판 한정.[19] 메르세데스 퀘스트 한정. 출처[20] 보통은 오레를 쓰지만 잠서 MVP 대사나 몇몇 대사에서는 자신을 '돗포 씨'라고 칭한다.[21] 초반 한정. 이후부턴 안 쓴다.[22] 특이하게도 자신을 이름이 아닌 성으로 부른다. 즉 후지시로가 3인칭인 셈.[23] 동생 아키히사 한정으로 누나(姉さん)로 3인칭화한다.[24] 한국 정발판에서는 그냥 1인칭(나)으로 번역되었다.[25] 자신을 '귀염둥이'라고 부르며 자신과 대화를 한다.[26] 더빙판에서는 이름 그대로 '태양'[27] 사쿠라 아래는 너무 어린 관계로 당연히 자신을 이름으로 부를 것이라 생각되기 때문에 제외했다.[28] 야망을 드러낼 때는 3인칭화를 일시적으로 버린다.[29] 술 취했을 때 한정. 스토리상으로 두 번인데 그 두 번 다 캐릭터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타이밍이었던지라 아예 술만 마시면 주체를 못하는 3인칭화 꽐라 캐릭터로 아이덴티티가 굳어져 버렸다.[30] 라그나 더 블러드엣지 한정 말투. 평소에는 1인칭을 "존재" 내지는 "차원경계접촉용 소체 NO.13 뉴", "무라쿠모 유닛"이라고 칭한다.[31] 레이첼 알카드가 뵐베르크를 억지로 뺏었을 때 한정. 유아퇴행+3인칭화+칭얼거림 조합의 파괴력이 무시무시하다(...).[32] 1인칭인 '와타시'와 3인칭화인 '무츠키 쨩'을 섞어서 쓴다.[33] 당사자들 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도 이들을 별칭으로 부른다.[34] 1인칭으로 부르기도 하고 3인칭화하기도 한다.[35] 다만 이 중에서 제대로 1인칭을 사용하는 섀도 일족들도 소수 있다.[36] 요한의 복음서에서 캐릭터 콘셉트를 따왔기에, 스스로를 주의 사랑하시는 제자라고 3인칭화한다.[37] 일본어 더빙판에만 해당.[38] 별이 붙어야 한다. 반쯤은 농담이지만 정확하게는 まゆしぃ로 마유시-같은 느낌이기 때문에 말할 때에도 별이 붙은 듯한 착각을 하게 만든다. 실제 이름을 쓸 때에는 별을 붙이기도 하는 모양.[39] 정확히는 자신의 이름 앞글자 2개만 쓴다. 간단하게 말하면 자신을 백설이(시라유키)라고 지칭한다. ex) 백설이도 기뻐요!(시라유키도 우르시 데스!)[40] 진지 모드일 때는 기본적으로 1인칭을 사용하는데 진지 모드이면서도 3인칭을 사용할 땐 호러...[41] 정확히는 소개 한정.[42] 1인칭인 와타시와 3인칭화를 섞어서 쓴다.[43] 특이하게도 이름이 아닌 성으로 자기를 지칭한다. '모리쿠보는 무리...' 이런 식으로.[44] 가끔 아타시(アタシ)를 쓸 때가 있다.[45] 라이라와 소라는 1인칭이 각각 '라이라씨(ライラさん)'와 '소라씨(そらさん)'이다(...)[46] 1인칭인 와타시와 섞어 쓴다.[47] 노노처럼 자신을 성으로 지칭한다[48] 후유모드 한정[49] 3인칭화와 1인칭인 오레를 구분하여 쓴다.[50] 토우마는 대부분 자신을 오레(俺)로 말하나 체념하거나 당황한 상황 등에서는 특유의 ~상 말투로 '카미조 상'이라고 자신을 호칭한다.[51] 역시 3인칭화를 할 때도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와타쿠시를 사용한다[52] 이 쪽은 '누나'가 3인칭이다.[53] 작중에서 직접적으로 1인칭을 드러낸 적은 없으나, JynX의 답변에 의하면 '쇼(ショー)' 또는 '이 쇼 님(このショー様)'이라고 한다[54] 영렬전 엔딩 이후부터.[55] 영문 원판 한정.[56] 다른 종족과 대화할 때 한정. 카짓끼리는 3인칭화를 잘 사용하지 않는다.[57] 자신의 이름보다는 미도리라는 애칭으로 불리기 원하여 자신을 그렇게 부르고 다닌다.[58] 윳쿠리 치르노 제외. 이쪽은 아타이를 쓴다.[59] 17세가 되면서 그만뒀지만 흥분 시 무의식적으로 튀어나오기도 한다.[60] 자신의 이름인 타마코에서 끌글자를 뺀 '타마'가 1인칭이다.[61] 영문판 기준, 한국어 음성에서도 종종 사용함[62] 한국, 일본 한정[63] 본인을 '무(ムー)'로 칭한다.[64] 카구라를 설득할 때 등.[65] 신극장판에서 바뀐 성우가 집에서 3인칭화를 쓰는 우치다 마아야.[66] 네이버 웹툰 일본어판 한정.[67] 끝 이야기 이후에는 1인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68] "제례의 뱀"과 융합하고 나서 자주 여(余, 짐)라는 호칭을 쓴다.[69] 주군인 다테 마사무네를 대할 때 한정으로만 쓴다(예: "이 코쥬로에게도, 불가능한 일은 있는 법입니다."). 평상시의 1인칭은 오레.[70] 붉은 표지의 일기에 나와 있다.[71] 특이하게도 본명이 아닌 예명으로 3인칭화를 한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고.[72] 특히 디오 브란도(DIO)가 많이 한다. 거의 상시 '이 디오(DIO)'를 쓰는 수준.[73] 그 유명한 "오빠! 나 띠드버거 사주세요!"가 여기서 나왔다.[74] 3인칭화에 더해 '아리사카는 ~한다', '~라고, 아리사카는 생각한다' 등의 전근대 문어체에 가까운 특이한 말투를 구사한다.[75] 완구 소개 문구와 45화 예고편에서 사용했다.[76] 둘 다 일본판 한정.[77] 종종 스스로를 경찰 아저씨(おまわりさん)로 지칭한다.[78] 항상 상대방을 풀네임으로 부른다.[79] 멍청이 요소로. 나, 그림록 ~ 한다(Me, Grimlock~) 식. 단, 그림록은 사고로 인해 일시적으로 천재가 되었을때는 이 그림록 님은~(I, Grimlock~) 식으로 말했다.[80] 원래는 아니었지만 맛이 가버린 이후로 계속.[81] 국가주의자 정당의 수장.[82] 2012년 할로윈 패치 추가대사 한정. 그런데 2013 할로윈 패치, 두 도시 업데이트에서 추가대사에도 있다. 코믹스에서도 쓴다.[83] 가끔씩 아타시를 섞어쓰기도 한다.[84] 무언가 진지하게 고민을 할 때 독백으로 "어떻게 할래? 성호"라고 자문한다.[85] 배틀에서 패배했을 때 한정. "구즈마아-! 지금 뭐하는 거야?!"라고 한다. 이 말버릇은 구즈마가 어렸을 때 학대를 받았던 트라우마로 인해 생겼을 수도 있다는 추측이 있다.[86] 평상시엔 멀쩡하나, 배틀 도중에 눈이 돌아가서 말투 자체가 어려진다.(ex. 올리브 화낼 거야, 감히 올리브 님의 파트너를 상처입히다니)[87] 여자 집요정 윙키(4권에서 등장)가 '나'라는 1인칭 표현을 쓰지만, 집요정들의 등장이 아주 적은 탓에 다른 집요정도 그러는지는 알 수 없다. 물론 윙키도 주격만 1인칭이지 그에 대응하는 동사는 3인칭 형태로 쓴다.[88] 링크1, 링크2[89] 아로낙스 교수가 작중에서는 듣다보면 짜증이 난다는 언급(...)을 하며, 아로낙스가 들어본 1인칭 말은 딱 하나, '살려줘요(help me)...'다.[90] 이름이 아닌 성인 아오이로 3인칭화한다. 1인칭을 쓸 때는 와타시.[91] 다른 사람들도 대부분 이부키를 이브라고 부른다.[92] 본명이 아니라 예명인 '파레오'를 사용한다.[93] 성인 히로마치로 3인칭화한다.[94] 4차 성배전쟁 시점인 Fate/Zero에서.[95] 진명간파 이후.[96] 와라와와 엮어서 쓴다.[97] 리큐일 때는 와타쿠시. 물론 코마도 종종 와타쿠시를 쓸 때가 있다.[98] 랜덤 인카운터 미션으로 만날 수 있는 싸이코패스다.[99] 정확히는 2001 이후부터. 그리고 3인칭화가 본격적인 이미지로 정착된 것은 XIII부터다.[100] 시작대사 한정으로 아테나 갑니다 한정.[101] 위의 예시와는 다른 이유 때문인데, 자책감으로 인해 자기 자신을 남처럼 여기고 있기 때문.[102] 분위기가 밝을 때 한정.[103] 어려보이는 속성은 SR 등급까지만 해당된다. SSR부터는 냉혈한 기계인간 속성이다.[104] 1인칭이 '샤리스님'이다. 헌데 가끔은 와타시를 쓰기도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9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9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6 17:44:00에 나무위키 3인칭화/가상 인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