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국명·지명 한자 약칭
[ 펼치기 · 접기 ]

대륙
· · ·
아시아유럽(구라파)아프리카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
국가
· · ·
[1]
· ·
[2]
남한(한국)북한(조선)중국중화민국(대만)[3]일본
· ·
몽골(몽고)미국영국캐나다(가나다)오스트레일리아(호주)
· · ·
프랑스(불란서)독일오스트리아(오지리)이탈리아(이태리)네덜란드(화란)
西 ·
스페인(서반아)포르투갈(포도아)러시아(노서아·아라사)인도인도네시아(인니)
· ·
말레이시아태국필리핀(비율빈)베트남(월남)이집트(애급)
· ·
폴란드(파란)아일랜드(애란)덴마크(정말)스웨덴(서전)노르웨이(나위·낙위)
·
그리스(희랍)핀란드(분란)남아공벨기에(백이의)헝가리(흉아리·홍아리)
西西
스위스(서서)튀르키예(토이기)멕시코(묵서가)브라질(파서)아르헨티나(아근정)
사라진 나라
·
가야고구려 · 고려백제신라조선
로마 제국(대진)소련프로이센류큐
지명
滿
아시아태평양만주캘리포니아로스앤젤레스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모스크바베를린로마런던
[1] 일본에서 중국을 가리키는 말로 가끔 쓰인다.[2] 주로 일본 내부에서 쓰인다.[3] 華와 臺는 둘 다 대만의 약칭이지만 뉘앙스가 다른데, 華는 중화민국을 강조하는 뉘앙스라면 臺는 대만을 강조하는 뉘앙스이다.



허락할 낙
부수
나머지 획수
, 9획
총 획수
16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ダク
일본어 훈독
うべな-う
표준 중국어
nuò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諾은 '허락할 낙'이라는 한자로, '허락(許諾)하다', '대답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허락하다
중국어표준어nuò
광동어nok6
객가어nok
민북어nŏ̤
민동어nŏk
민남어lo̍k
오어noq (T5)
일본어음독ダク
훈독うべな-う
베트남어nặc
유니코드는 U+8AF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口廿大口(YRTKR)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같을 약, 반야 야)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락'이었던 것이 두음법칙 때문에 '낙'으로 변한 것이라 착각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다. 활음조 현상 때문에 '허락'(許諾), '수락'(受諾) 등에서 낙의 음이 '락'으로 변한 것이며, 원래 음은 '낙'으로서 '승낙(承諾)' 등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𠱓(허락할 궤)
  • (허락할 허)


5. 상대자[편집]


  • (금할 금)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잡을 낙)
  • (갈 냑)
  • (밟을 냑)
  • (볼 말)
  • (나라 이름 야)
  • (나라 이름 약)
  • (물고기 이름 약)
  • (석류 약)
  • (성 이름 약)
  • (취할 첨)
  • (도울 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7 16:42:55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