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제5선거구

덤프버전 : (♥ 0)

||
파일:진주시_제5선거구8.png
선거인 수51,343명 (2022년)
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진주시 일부
대곡면, 집현면, 미천면, 중앙동, 상봉동, 초장동
도의원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진부 (4선)




1. 개요[편집]


경상남도의회의 선거구로 진주시의 북부 면 지역과 원도심 지역 일부와 초장동을 관할한다.

같이 진주시 을에 속해있는 옆 동네와 더불어 국민의힘 지지세가 전체적으로 강한 진주시 안에서도 가장 강한 지역이다.[1] 아파트촌이 형성된 초장동 정도를 제외하면 면들은 다른 PK 농촌 지역과 비슷하며, 다른 동 지역조차 완전 원도심이기 때문이다. 그나마 초장동의 인구 지분이 적지 않은지라 굳이 따져보자면 옆 동네보다는 보수세가 약한 편이다.

2. 역대 선거 결과[편집]


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
진주시 제1,2,3,5,6선거구
제5대김삼랑
ta-hash-start=w-c6d410f5b80c4609192181bc465c2286[[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5년 7월 1일 ~ 1998년 6월 30일[2]
이인상
무소속

[3]
진종석
ta-hash-start=w-c477f70d2885dff00cbb6c3680fd7710[[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
강만석[5]
최순권[6]
진주시 제3,4선거구
제6대천진수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1998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7][8]
김삼랑[9][10]
진주시 제1,2,3선거구
제7대우종표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11]
김권수2002년 7월 1일 ~ 2006년 3월 28일[12]
최진덕2002년 7월 1일 ~ 2006년 6월 30일[13]
진주시 제4선거구
제8대김진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6년 7월 1일 ~ 2010년 6월 30일[14]
제9대심규환2010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제10대김진부
ta-hash-start=w-e735133a3cde8ee533d95d2150e869e5[[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15][16]
제11대
ta-hash-start=w-2b8501af7b64d1aaae7dd832805f0709[[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진주시 제5선거구
제12대김진부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2년 7월 1일 ~ 현재[17]

2.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진주시 제1선거구
망경동, 강남동, 칠암동, 본성동, 대안동, 중안동, 봉래동, 수정동, 장대동, 옥봉남동, 옥봉북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삼랑(金三郞)11,3571위

ta-hash-start=w-9dd2943af01b637c281a40c128a53e7c[[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4.74%당선
2김진주(金鎭洙)7,7403위

무소속

23.68%낙선
3이영일(李榮一)4,1724위

무소속

12.76%낙선
4장규석(張圭錫)9,4162위

무소속

28.80%낙선
선거인 수44,917투표율
75.82%
투표 수34,060
무효표 수1,375

진주시 제2선거구
남성동, 봉곡동, 상봉동동, 상봉서동, 평거동, 신안동, 이현동, 판문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심의용(沈義用)17,6652위

ta-hash-start=w-efef9cf5220a3fb931c59e7284344ea0[[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39.92%낙선
2이인상(李仁祥)26,5861위

무소속

60.07%당선
선거인 수61,968투표율
74.44%
투표 수46,131
무효표 수1,880

진주시 제3선거구
상대1동, 상대2동, 하대동, 상평동, 초전동, 장재동, 가호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진종석(陳鍾奭)20,6621위

ta-hash-start=w-e46a681f6d6b5fbe2071c6d112062c71[[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5.94%당선
2공영윤(孔泳允)13,9952위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31.11%낙선
3성덕주(成德柱)4,7574위

무소속

10.57%낙선
4오석환(吳錫煥)5,5603위
12.36%낙선
선거인 수60,987투표율
76.19%
투표 수46,470
무효표 수1,496

진주시 제5선거구
문산읍, 정촌면, 대곡면, 금산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만석(姜晩錫)4,3801위
27.69%당선
2허영세(許永世)1,0935위
6.91%낙선
3구현대(具玄大)3,4523위
21.82%낙선
4유병무(劉秉茂)2,7514위
17.39%낙선
5하왕봉(河王鳳)4,1392위
26.17%낙선
선거인 수20,458투표율
80.91%
투표 수16,554
무효표 수739

진주시 제6선거구
내동면, 집현면, 미천면,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순권(崔淳權)6,5201위
45.31%당선
2원백식(元百植)5,0362위
35.00%낙선
3임용도(林鎔道)2,8323위
19.68%낙선
선거인 수17,982투표율
84.65%
투표 수15,222
무효표 수834

2.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진주시 제3선거구
진성면, 일반성면, 이반성면, 사봉면, 지수면, 상대1동, 상대2동, 하대1동, 하대2동, 상평동, 초장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천진수(千鎭秀)23,8551위
55.21%당선
2정창근(鄭暢根)5,2063위
12.05%낙선
4공영윤(孔泳允)14,1392위
32.72%낙선
선거인 수71,112투표율
62.68%
투표 수44,577
무효표 수1,377

진주시 제4선거구
대곡면, 금산면, 집현면, 미천면, 중앙동, 상봉동동, 상봉서동, 봉수동, 옥봉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삼랑(金三郞)20,4681위
68.81%당선
2이영일(李榮一)4,7022위
15.80%낙선
4김동철(金東徹)4,5753위
15.38%낙선
선거인 수50,040투표율
61.98%
투표 수31,015
무효표 수1,270

2.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진주시 제1선거구
진성면, 일반성면, 이반성면, 사봉면, 지수면, 금산면, 상대1동, 상대2동, 하대1동, 하대2동, 상평동, 초장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우종표(禹宗杓)30,7681위
65.20%당선
3천진수(千鎭秀)16,4212위
34.79%낙선
선거인 수81,395투표율
59.98%
투표 수48,823
무효표 수1,634

진주시 제2선거구
문산읍, 내동면, 정촌면, 금곡면, 망경동, 강남동, 칠암동, 성지동, 중앙동, 봉안동, 봉수동, 옥봉동, 가호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권수(金權洙)28,8911위
66.30%당선
3장규석(張圭錫)14,6832위
33.69%낙선
선거인 수77,432투표율
58.17%
투표 수45,043
무효표 수1,469

진주시 제3선거구
대곡면, 집현면, 미천면,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 상봉동동, 상봉서동, 평거동, 신안동, 이현동, 판문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최진덕(崔震德)33,8011위
70.34%당선
3공영윤(孔泳允)14,2502위
29.65%낙선
선거인 수83,360투표율
59.62%
투표 수49,705
무효표 수1,654

2.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진주시 제4선거구
대곡면, 금산면, 집현면, 미천면, 중앙동, 상봉동동, 상봉서동, 봉수동, 옥봉동, 초장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김진부(金鎭富)16,6141위
48.95%당선
4김차연(金且淵)5,7453위
16.92%낙선
6윤용근(尹庸根)11,5772위
34.11%낙선
선거인 수59,754투표율
57.86%
투표 수34,575
무효표 수639

2.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진주시 제4선거구
대곡면, 금산면, 집현면, 미천면, 중앙동, 상봉동동, 상봉서동, 봉수동, 옥봉동, 초장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심규환(沈揆煥)16,1951위
41.30%당선
7김진부(金鎭富)14,3152위
36.50%낙선
8이현철(李顯哲)8,6993위
21.18%낙선
선거인 수62,752투표율
64.69%
투표 수40,598
무효표 수1,389

2.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진주시 제4선거구
대곡면, 금산면, 집현면, 미천면, 중앙동, 상봉동, 초장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진부(金鎭富)28,1911위
72.71%당선
3김경애(金敬愛)10,5792위
27.28%낙선
선거인 수65,402투표율
61.37%
투표 수40,139
무효표 수1,369

2.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진주시 제4선거구
대곡면, 금산면, 집현면, 미천면, 중앙동, 상봉동, 초장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양도근(楊度根)17,4712위
38.58%낙선
2김진부(金鎭富)18,6731위
41.24%당선
6남정만(南正萬)9,1343위
20.17%낙선
선거인 수68,338투표율
68.11%
투표 수46,550
무효표 수1,272

2.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진주시 제5선거구
대곡면, 집현면, 미천면, 중앙동, 상봉동, 초장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노정민(盧正民)8,1202위
29.52%낙선
2김진부(金鎭富)19,3801위
70.47%당선
선거인 수51,343투표율
54.83%
투표 수28,154
무효표 수654
도의회 정원이 증원됨에 따라 진주시의 도의회 선거구도 1석 더 늘게 되었다. 증원된 곳이 진주시 갑 지역인 관계로 진주시 을 지역인 이곳은 번호가 밀려 진주시 제5선거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 지역에 있던 금산면이 진주시 제4선거구로 옮겨졌다. 그나마 초장동과 함께 민주당세를 받치던 지역인 만큼 이 지역의 보수세는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서는 저번 지선에서 전국적인 압승 분위기에다 보수 쪽에서 분열이 발생했음에도 패배할 정도로 험지인데다, 얼마전 대선까지 패배한지라, 후보 물색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하지만 추가공모 없이 노정민 초장발전협의회 회장을 단수공천하며 오히려 인근 지역들보다 어렵지 않게 후보 공천에 성공하였다.[18]

국민의힘에서는 이 지역 현역 김진부 도의원이 단수공천받으며 현역 최다선인 4선에 도전한다. 당선 될 경우 최다선인만큼 도의회 의장이 될 가능성이 높다.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1 구도로 치러진다.

선거 결과 국민의힘 김진부 후보가 70%를 득표하며 여유롭게 4선 고지에 올랐다. 세부적으로 보면 그나마 보수세가 약한 초장동에서 60:40 정도로 노정민 후보가 꽤나 선전했지만, 나머지 지역은 김진부 후보가 75% 이상을 올렸다. 집현면에서 75.1%, 상봉동에서 76.95%, 대곡면에서 80.9%, 중앙동에서 82%, 미천면에서 85.6%로 사지의 위엄을 보여줬다. 그나마 노정민 후보 입장에서는 3선 중진 상대로 험지에서 30%에 가까운 득표율을 득표한 건이 위안거리이다.


[1] 심지어 8회 지선에선 더불어민주당이 지역의 원도심 지역을 관할하는 시의원 선거에선 후보를 한명만 냈음에도, 두 명 모두 국민의힘 후보가 당선되었다.[2] 진주시 제1선거구 (망경동, 강남동, 칠암동, 본성동, 대안동, 중안동, 봉래동, 수정동, 장대동, 옥봉남동, 옥봉북동)[3] 진주시 제2선거구 (남성동, 봉곡동, 상봉동동, 상봉서동, 평거동, 신안동, 이현동, 판문동)[4] 진주시 제3선거구 (상대1동, 상대2동, 하대동, 상평동, 초전동, 장재동, 가호동)[5] 진주시 제5선거구 (문산읍, 정촌면, 대곡면, 금산면)[6] 진주시 제6선거구 (내동면, 집현면, 미천면,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7] 진주시 제3선거구 (진성면, 일반성면, 이반성면, 사봉면, 지수면, 상대1동, 상대2동, 하대1동, 하대2동, 상평동, 초장동)[8] 초지동과 장재동을 합쳐 초장동으로 개편되었다.[9] 진주시 제4선거구 (대곡면, 금산면, 집현면, 미천면, 중앙동, 상봉동동, 상봉서동, 봉수동, 옥봉동)[10] 대안동, 장대동, 수정동 일부를 합쳐 중앙동, 봉래동과 수정동 일부를 합쳐 봉수동, 옥봉남,북동을 합쳐 옥봉동으로 개편되었다.[11] 진주시 제1선거구 (진성면, 일반성면, 이반성면, 사봉면, 지수면, 금산면, 상대1동, 상대2동, 하대1동, 하대2동, 상평동, 초장동)[12] 진주시 제2선거구 (문산읍, 내동면, 정촌면, 금곡면, 망경동, 강남동, 칠암동, 성지동, 중앙동, 봉안동, 봉수동, 옥봉동, 가호동)[13] 진주시 제3선거구 (대곡면, 집현면, 미천면, 명석면, 대평면, 수곡면, 상봉동동, 상봉서동, 평거동, 신안동, 이현동, 판문동)[14] 대곡면, 금산면, 집현면, 미천면, 중앙동, 상봉동동, 상봉서동, 봉수동, 옥봉동, 초장동[15] 대곡면, 금산면, 집현면, 미천면, 중앙동, 상봉동, 초장동[16] 봉수동, 옥봉동은 중앙동에 통합되었고, 상봉동,서동은 합쳐져서 상봉동으로 개편되었다.[17] 대곡면, 집현면, 미천면, 중앙동, 상봉동, 초장동[18] 진주시 제2선거구에서는 공천한 후보가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공천이 취소되기도 했으며, 진주시 제3선거구, 진주시 제4선거구에서는 아예 후보를 내놓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