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공군 3차 공세

덤프버전 : (♥ 0)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1950년북한군의 남침
6월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옥계 전투
· 강릉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8월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 상륙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장사 상륙작전
· 인천 상륙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951년1월1.4 후퇴
· 평양 대공습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리퍼 작전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전선 교착
6·7월도솔산 전투
· 평양 대공습
8월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952년1월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장단-사천강 전투
7월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953년3월폭찹힐 전투
5월M-1고지 전투
6월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유엔군의 승리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11월 말, 인민의용군은 UN지휘본부를 북동부 북한에서 38선 이남까지 밀어냈다. 유엔군은 38선 근처에서 휴전협상을 시도하였으나 중공군은 휴전협상을 거부하고 3차 공세를 감행하였고 유엔군은 서울을 포기하면서 1.4후퇴를 하게 된다.




2. 상세[편집]


1, 2차 공세에서 큰 피해를 입고 후퇴하게 된 유엔군을 보고 서방 국가들은 지레 겁을 먹고 중국과 협상하려 했다. 이때까지 서방 국가들이 주축이 된 유엔에서는 중국의 한국전 참전목적이 단순히 '자국의 국경선 방어 또는 북한을 도와 전쟁 전의 영토인 38선 근처 영토까지의 회복'에 있을 것이라고 짐작하고 중국과 휴전협상을 하려 했으나, 중국이 유엔 측의 휴전협상을 거부하고 제3차 공세를 시작함으로써 전술(前述)했다시피 중국의 진정한 참전 목적이 유엔군의 한반도 축출에 있다는 걸 알게 되면서 미국 및 서방 국가들은 충격에 휩싸이게 된다.

중공군은 1950년 12월 31일부터 제3차 공세를 펼쳤으며 이 공격에 미군과 한국군은 맥없이 밀려났다. 유엔군의 경우, 38선에 방어선을 펼치긴 했지만 전선이 망가진데다가 워낙 병력이 부족해서 1개 대대가 10km 정도를 담당해야 할 정도로 중공군에 비해 수적으로 불리한 상황이었다. 결국 방어선 곳곳이 대규모의 중공군 부대가 펼치는 공세에 뻥뻥 뚫리면서 무너지게 된다. 미8군사령관인 매튜 B. 리지웨이 중장은 이대로 있다간 서부전선과 동부전선이 중공군에 의해 동서로 분단될 우려가 있다고 판단, 1월 3일에 서울을 포기하라는 명령을 미8군에 내린다. 여기서 중공군에 포위당해서 전멸한 부대도 있다고한다.

결국 1월 4일에는 수도 서울이 다시 공산군에 함락되었고, 국군과 유엔군은 다시 한 번 37도선(평택-원주-삼척 방어선)을 향해 대대적인 후퇴를 하게 된다. 대한민국 정부는 다시 부산으로 이동했고, 미8군사령부도 대구로 후퇴하게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21 20:15:26에 나무위키 중공군 3차 공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