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공군 2차 공세

덤프버전 : (♥ 0)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1950년북한군의 남침
6월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옥계 전투
· 강릉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8월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 상륙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장사 상륙작전
· 인천 상륙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951년1월1.4 후퇴
· 평양 대공습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리퍼 작전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전선 교착
6·7월도솔산 전투
· 평양 대공습
8월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952년1월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장단-사천강 전투
7월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953년3월폭찹힐 전투
5월M-1고지 전투
6월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유엔군의 승리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보급품 문제로 후퇴한 중공군들을 보고 유엔군과 국군은 중공군이 달아났다고 생각하고 크리스마스가 오기전에 북진통일하여 전쟁을 끝내기 위해 11월 24일 크리스마스 공세를 감행한다. 미국 제8군이 1950년 11월 25일 공세를 정지한 타이밍을 노려 중공군은 11월 25일 새벽 2차 공세를 감행하였다.


2. 상세[편집]


영산동에서 영동리에 이르는 유엔군 전선 전체에서 대규모 전면전이 펼쳐졌고 유엔군의 크리스마스 공세 작전은 완전히 중단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2-21 20:15:18에 나무위키 중공군 2차 공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