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만도 작전

덤프버전 : (♥ 0)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1950년북한군의 남침
6월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옥계 전투
· 강릉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8월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 상륙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장사 상륙작전
· 인천 상륙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951년1월1.4 후퇴
· 평양 대공습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리퍼 작전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전선 교착
6·7월도솔산 전투
· 평양 대공습
8월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952년1월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장단-사천강 전투
7월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953년3월폭찹힐 전투
5월M-1고지 전투
6월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유엔군의 승리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코만도 작전(Operation Commando)은 1951년 10월 3일부터 12일까지 한국전쟁 중 유엔군이 수행한 공세다. 미 제1군단(미 4개 사단, 영연방 제1사단, 대한민국 육군 제1보병사단 포함) 사단)은 제임스타운 전선을 점령하여 인민지원군(PVA) 제42, 47, 64, 65군 병력을 파괴했다. 이로 인해 PVA는 서울 근처의 UN 보급선을 차단할 수 없었다.

공격은 1951년 10월 3일 민든 작전 동안 연장되어 10월 12일에 종료된 와이오밍 선에서 시작되었으며, 선 남쪽의 몇몇 언덕은 여전히 PVA의 손에 있었다. 이 언덕을 점령하려면 후속 작전인 폴차지 작전(Operation Polecharge)이 필요했다. 9.7km(6마일) 전진한 결과, 심하게 피해를 입은 미국 제1기병사단은 재편성을 위해 일본으로 철수했다.

코만도(Commando)와 폴차지(Polecharge)는 16개월 동안 지속된 기동 전쟁의 마지막 작전이었다. 이는 1915~17년 서부 전선을 연상시키는 고정 방어선, 참호선, 벙커, 순찰대, 배선대, 지뢰밭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정적 전쟁으로 대체되었다. 이 작전에 호주가 참여한 것은 역사가들에 의해 제1차 마량산 전투로 알려져있다.


2. 상세[편집]


10월은 날씨가 대체로 건조했기 때문에 한국 서중부 지역에서 작전을 수행하기에 좋은 달이었다. 덕분에 항공 지원이 충분히 가능했고 홍수와 진흙탕으로 인한 문제도 해결되었다. 제1군단 지역의 지형은 서쪽의 낮은 지대부터 중앙의 작고 가파른 구릉, 군단 경계 동쪽 변두리의 낮은 구릉까지 다양했다. 오다니엘은 제1군단의 진격에 따라 특공대 작전을 수행하기 위해 자신의 군단에서 4개 사단과 인접한 미 제9군단에서 1개 사단을 투입하여 군단 경계의 처짐 현상을 방지할 계획을 세웠다. 군단의 서쪽 측면에는 박임항 준장이 지휘하는 대한민국 제1보병사단이 와이오밍 선을 벗어나 임진강을 건너 개성 방향으로 이동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4-26 01:35:18에 나무위키 코만도 작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