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칠봉 전투

덤프버전 : (♥ 0)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6.25 전쟁의 전투 및 작전 목록 파일:북한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1950년북한군의 남침
6월폭풍 작전
· 옹진반도 전투
· 개성-문산 전투
· 고랑포 전투
· 봉일천 전투
· 김포반도 전투
· 옥계 전투
· 강릉 전투
· 춘천-홍천 전투
· 대한해협 해전
· 동두천 전투
· 포천 전투
· 의정부 전투
· 내촌-태릉 전투
· 수원 비행장 전투
· 한강 인도교 폭파 · 한강 방어선 전투
7월주문진항 해전
· 동락리 전투
· 오산 전투
· 평택 전투
· 진천 전투
· 천안 전투
· 전의-조치원 전투
· 청주 전투
· 금강 방어선 전투(공주-대평리 전투)
· 장항-군산-이리 전투
· 대전 전투
8월청송 전투
· 낙동강 방어선 전투
(안동·의성전투
· 마산 전투
·다부동 전투
· 창녕·영산전투
· 안강·기계 ~ 영천·신녕 전투
· 포항 전투
· 포항 철수작전
· 통영 상륙작전
)
유엔군의 반격
9월장사 상륙작전
· 인천 상륙작전
· 9.28 서울 수복
10월평양 탈환작전
· 초산 전투
중공군 개입
10월중공군 1차 공세(10/25)
11월개천-비호산 전투
· 중공군 2차 공세(11/25)
· 청천강 전투
· 장진호 전투
12월평양 철수
· 흥남 철수작전
· 중공군 3차 공세(12/31)
1951년1월1.4 후퇴
· 평양 대공습
· 울프하운드 작전
· 유엔군 1차 반격(1/25)
· 선더볼트 작전
· 원산 포위전
· 금양장리 전투
· 라운드업 작전
2월중공군 4차 공세(2/11)
· 횡성 전투
· 지평리 전투
· 유엔군 2차 반격(2/20)
· 전략도서 확보 작전
· 원산 포위전
· 킬러 작전
3월리퍼 작전
· 커리지어스 작전
· 토마호크 작전
4월러기드 작전
· 중공군 5차 공세(4/22)
· 매봉·한석산 전투
· 사창리 전투
· 설마리 전투
· 파평산 전투
· 가평 전투
5월설악산 전투
· 중공군 6차 공세(5/16)
· 현리 전투
· 용문산 전투
· 한계 전투
· 유엔군 3차 반격(5/23)
전선 교착
6·7월도솔산 전투
· 평양 대공습
8월피의 능선 전투
· 펀치볼 전투
9·10월가칠봉 전투
· 단장의 능선 전투
· 백석산 전투
· 코만도 작전
11·12월크리스마스 고지 전투
1952년1월승호리 철교 폭파작전
3월장단-사천강 전투
7월수도고지-지형능선 전투
351고지 전투
9월백마고지 전투
· 1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저격능선 전투
1953년3월폭찹힐 전투
5월M-1고지 전투
6월351고지 전투
· 2차 화살머리고지 전투
· 949-973-883고지 전투
7월중공군 7차 공세(7/13)
· 금성 전투
· 백암산 전투
· 425고지-406고지 전투
첨자 : 공산군의 승리 / 첨자 : 유엔군의 승리
월표기: 전투 개시일 기준, 실제 교전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1. 개요
2. 전투 전개
3. 여담


1. 개요[편집]


1951년 9월 4일부터 10월 14일까지 미 19군단 예속 국군 5사단이 북한 27, 12사단이 점령중인 강원도 양구군 해안분지(펀치볼) 북쪽 능선을 점령해 해안분지를 완전히 확보하려고 벌인 전투이다.

또한 한미 해병들이 8월 31일 ~ 9월 21일간 해안분지 북쪽 능선의 모택동 고지와 김일성 고지를 점령하기 위해 치른 펀치볼 전투와 혼동하는 사람이 있지만 이 둘은 해안분지 북쪽 능선을 각각 확보하기 위해 거의 동시기에 치른 별개의 전투다. 다만 김일성 고지 점령이라는 공통 목표도 있었으니 아주 무관하지는 않았다.

2. 전투 전개[편집]


참고 자료

1951년 8월 30일 미 해병 1사단 및 예속된 국군 해병 1연대가 먼저 펀치볼 전투를 치른다. 그리고 같은 날 국군 5사단 27연대는 적진 정찰과 부대 배치를 마친다.

그리고 9월 4일 5사단 27연대가 미2사단 38연대와 함께 가칠봉 일대를 향해 기어오른다. 하지만 데인저 클로즈로 인해 화력지원을 온전히 받을 수 없었기에 가칠봉 일대를 방어하는 북한 27사단[1]과 12사단 23연대는 여유롭게 저지대에서 기어오르는 국군들을 상대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미군은 우월한 화력으로 가칠봉을 점령한 뒤 이를 27연대에게 인계했으며, 이 기세를 몰아 27연대장은 3대대에게 가칠봉으로부터 500m 가량 떨어진 김일성 고지를 점령할 것을 하달한다. 그러나 3대대 2개 중대로는 뚫을 수 없자 연대장은 1,2대대를 축차 투입했으나 이조차도 돈좌되었고, 급기야 피의 능선 전투를 치르고 온 36연대까지 투입해 마침내 김일성 고지 점령에 성공한다. 그러나 적의 역습에 충분한 대비를 하지 않아 점령 5시간만에 다시 물러나야 했다.

그래도 지독하리만치 쟁탈을 6번 반복한 끝에 5사단은 (김일성 고지 부근을 제외한) 가칠봉 일대 고지들을 장악할 수 있었으나 이로 인해 사상자는 수백명에 달할 정도로 무시할 수 없었기에, 10월 즈음 국군 3사단에게 가칠봉 진지들을 인계하고 후방으로 물러났다. 고성일대 요충지 김일성고지와 월비산을 아쉽게 피탈당했지만 이들을 감제할 수 있는 요충지 가칠봉을 수복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었다.

3. 여담[편집]



  • 이 전투로 해안분지(해안면)를 완전히 차지하게 됨으로서 제21보병사단 가칠봉 GOP 산자락 밑으로 해안분지 민가와 비닐하우스가 있는 진풍경이 펼쳐졌다.

  • 이 봉우리 일대는 금강산의 마지막 봉우리들로, 이 7개가 있어야 1만 2천봉이 완성된다는 의미로 더할 가(加)가 쓰였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9 13:43:45에 나무위키 가칠봉 전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7,12,32연대 예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