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우(1915)

덤프버전 : (♥ 0)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원내총무


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총재 및 대표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4대
유진오
제5대
유진산
권한대행·제6대
김홍일
제7대
유진산
권한대행
정일형
제8대
유진산
권한대행
김의택
제9대
김영삼
권한대행
이충환
제10대
이철승
제11대
김영삼
직무대행
정운갑
제11대(복귀)
김영삼
권한대행
이민우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svg 총재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3대
이민우
권한대행
이택희
권한대행·제4대
신도환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종로구·중구)
선거구 개편
이종찬[B]
김판술[B]
제12대
이종찬
이민우
선거구 개편
이종찬[C]
정대철[D]
[B] A B 서울 제1선거구의 제11대 국회의원[C] 종로구의 제13대 국회의원[D] 서울 중구의 제13대 국회의원

대한민국 제9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이민우
李敏雨 | Lee Min-woo
파일:이민우.jpg
출생1915년 9월 5일
충청남도 논산군
(現 충청남도 논산시)
사망2004년 12월 9일 (향년 89세)
묘소경기도 의정부시 녹양동
본관경주 이씨[1]
인석(仁石)
재임기간제9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1976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김동분
자녀아들 이상용, 이상래, 이상호, 이상렬
딸 4명
학력경성고등보통학교 (졸업)
메이지대학 (법학 / 중퇴)
종교불교
의원 선수6
의원 대수4, 5, 7, 9, 10, 12
약력청주시의회 부의장
민주당 중앙위원 겸 충북도당 부위원장
민주당 청주시당 위원장
제4대 국회의원 (충북 청주시)
제5대 민의원의원 (충북 청주시)
제7대 국회의원 (전국구 / 신민당)
제9,10대 국회의원 (충북 청주시·청원군)
제12대 국회의원 (서울 종로구·중구)


1. 개요
2. 생애
3. 매체에서
4. 선거이력
5. 소속 정당
6. 둘러보기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2. 생애[편집]


충청남도 논산군에서 출생하였다. 경성고등보통학교, 일본 메이지대학 법학부를 중퇴하였다. 이후 언론계에 종사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청주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유진산 등과 민주당 구파에 속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1년 초 민주당 구파가 민주당을 탈당하여 신민당을 창당할 때 이에 따라갔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정태성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전국구 국회의원에 당선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충청북도 청주시-청원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공화당 민기식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74년까지 신민당 원내총무를 역임하였다. 1974년 신민당 유진산 총재가 별세하자 유치송 등과 견지동우회라는 계보를 창설하였다. 1976년부터 1979년까지 국회부의장을 역임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통일당 김현수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0년 전두환 정권이 출범하자 정치규제를 당하였다. 그러자 김영삼, 김동영 등과 민주산악회를 결성하여 활동하였다. 1984년 정치규제에서 해금되었다.

1985년 신한민주당 총재가 되었다. 같은 해 치러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종로구-중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6년 전두환 정권과의 타협책이었던 이민우 구상[2]이 밝혀져서 파문이 일었다. 이 일로 양김과 갈등을 빚게 되고,1987년 들어와서는 압박에 반발해 당무를 거부하자 김영삼은 김대중과 손을 잡고 신민당을 탈당해 통일민주당을 만들었다.[3]# 이후 신민당이 껍데기만 남자 1987년 11월 6일 정계 은퇴를 선언한 뒤 조용히 말년을 보냈다.

2004년 12월 9일에 사망하였다.


3. 매체에서[편집]


드라마 제2공화국삼김시대에서는 나영진이 분했다.

드라마 제5공화국에서는 양영준이 분했다.


4. 선거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58제4대 국회의원 선거충북 1[A]

9,317 (34.98%)당선 (1위)초선
1960제5대 국회의원 선거12,695 (38.12%)당선 (1위)재선[4]
1963제6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1c773d462f4fc784181b72269869070e[[파일:민정당 글자 수정.svg
8,448 (21.54%)낙선 (3위)
1967제7대 국회의원 선거전국구
ta-hash-start=w-92f49ada35450339f713ccaffc62bfd6[[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3,554,224 (32.7%)당선 (15번)3선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충북 1[5]33,699 (25.98%)당선 (2위)4선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52,788(30.22%)당선 (2위)5선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1[6]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82,687(31.63%)당선 (2위)6선[7]

역대 선거 벽보[8]
[ 펼치기 · 접기 ]

파일:이민우5대.png
파일:이민우9대.jpg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1선거구[1])제9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1선거구[2])
파일:이민우10대.jpg
파일:이민우12대.jpg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충북 1선거구[3])제1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1선거구[4]

[1] 청주시[2] 청주시, 청원군[3] 청주시, 청원군[4] 종로구·중구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무소속

1946 - 1949정계 입문


1949 - 1955창당


1955 - 1960합당[9]

무소속

1960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ta-hash-start=w-aab219d7187ac2c81c1f0d7f85b05a40[[파일:신민당1960글자.png
1960 - 1961창당

무소속

1961 - 19635·16 군사정변으로 인한 정당 해산

ta-hash-start=w-fa5b8744a34319c7c9f360b7cc4eb503[[파일:민정당 글자 수정.svg
1963 - 1965창당

ta-hash-start=w-c78eb3663409c95b95940aa830d6e1c7[[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5 - 1967합당[10]

ta-hash-start=w-825f9cd5f0390bc77c1fed3c94885c87[[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7 - 1969합당[11]

무소속

1969자진 정당 해산

ta-hash-start=w-26337353b7962f533d78c762373b3318[[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9 - 1980정당 재등록

무소속

1980 - 1985정당 해산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 - 1987창당

무소속

1987 - 2004제명
정계 은퇴
사망


6. 둘러보기[편집]












7. 관련 문서[편집]



[1] 38세손 ○우(○雨) 항렬.[2] 의원 내각제 개헌.[3] 이때 김영삼은 이민우의 심복이었던 홍사덕까지 설득해 데리고 나갔다. 온양온천에 있던 이민우는 이 소식을 듣고 급하게 상도동을 찾았으나 때는 이미 늦었다.[A] 청주시[4] 1961년 탈당, 신민당 입당 1961.5.16 자격정지 (5.16 군사정변)[5] 청주시, 청원군[6] 종로구, 중구[7] 1987.11.6 국회의원직 사퇴[8] 제4·5대 국회의원 선거벽보는 확인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못 느껴 선거벽보를 보존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 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9] 민주당에 흡수 합당[10] 민주당과 신설 합당[11] 신한당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