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동진/GV

덤프버전 :

분류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이동진

1. 개요
2. 상세
3. 목록
3.1. 2016년
3.2. 2017년
3.3. 2018년
3.4. 2019년
3.5. 2020년
3.6. 2021년
3.7. 2022년
3.8. 2023년
3.9. 2024년
4. 시네마 리플레이


1. 개요[편집]


영화평론가 이동진의 GV를 정리한 문서.


2. 상세[편집]


시네마톡은 이동진의 해설과 Q&A 시간[1]을 갖는 GV로 간혹 감독이나 다른 평론가와 함께 진행하기도 한다. 라이브톡은 영화 개봉 전에 전국의 CGV 상영관들에서 시사회를 마친 후 생중계되는 시네마톡이라고 할 수 있다. 라이브톡의 기준은 암묵적이지만 호평 기준인 별 3개 이상을 준 영화가 기준인 듯하다.[2]

스타라이브톡은 라이브톡보단 낮은 별점을 줄 수 있으나 영화 출연진과 이동진이 현장관에서 같이 행사 진행을 맡아 전국에 생중계하는 방식이다.

2019년까지는 CGV에서 시네마톡을 진행하고, 광화문 씨네큐브나 시네마데크같은 곳에서 소규모 GV를 하거나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시네마 리플레이라는 연말 결산을 진행했는데, 2020년 코로나 판데믹 이후부터 기류가 바뀌어 롯데시네마 월드타워점에서 GV를 진행하는 비중이 높아졌다.

2021년에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언택트톡이라는 이름으로 상영 후 녹화된 해설을 틀어주기도 한다.

2023년 기준, CGV압구정에서는 GV를 진행하지 않고, 메가박스 코엑스와 씨네큐브 광화문을 비롯한 다른 독립영화관에서 GV를 한다.


3. 목록[편집]



3.1. 2016년[편집]


영화날짜
[ 펼치기 · 접기 ]

러브레터1월 6일
빅쇼트1월 26일
캐롤1월 29일
샤이닝1월 30일
2월 1일
대니쉬 걸2월 11일
영웅본색2월 16일
사울의 아들2월 22일
동주3월 1일
3월 2일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3월 15일
헤일, 시저!3월 18일
비포 선라이즈3월 28일
아노말리사4월 1일
브루클린4월 11일
〈클랜〉5월 2일
곡성[1]5월 10일
사돈의 팔촌5월 12일
환상의 빛5월 21일
곡성[2]5월 26일
아가씨[3]5월 31일
본 투 비 블루6월 8일
우리들6월 17일
500일의 썸머6월 20일
〈키리시마가 동아리활동 그만둔대〉7월 21일
싸이코7월 28일
덕혜옹주8월 3일
현기증8월 4일
걸어도 걸어도8월 5일
최악의 하루8월 8일
죽은 시인의 사회8월 14일
비포 선셋8월 26일
〈김지운 X 송강호 프렌즈 기획전〉8월 29일
매트릭스9월 20일
칠드런 오브 맨9월 21일
다가오는 것들9월 26일
죽여주는 여자10월 6일
비틀스: 에잇 데이즈 어 위크 - 투어링 이어즈10월 14일
파이트클럽10월 21일
로스트 인 더스트10월 27일
시카고10월 31일
세븐11월 3일
색,계11월 9일
잉글리쉬 페이션트11월 23일
라라랜드[4]12월 7일
라라랜드[5]12월 8일
〈내 심장이 건너뛴 박동〉12월 15일
녹터널 애니멀스12월 27일
해리가 샐리를 만났을 때12월 29일
블루 벨벳12월 30일
[1] 메가토크[2] 라이브톡[3] 스타 라이브톡[4] 라이브톡[5] 아트데이 시네마톡


3.2. 2017년[편집]


영화날짜
[ 펼치기 · 접기 ]

빌리 엘리어트1월 12일
컨택트1월 31일
아무도 모른다2월 3일
맨체스터 바이 더 씨2월 8일
퍼스널 쇼퍼2월 13일
문라이트[1]2월 16일
사일런스2월 28일
밀리언 달러 베이비3월 8일
토니 에드만3월 15일
분노3월 20일
히든 피겨스3월 21일
문라이트[2]3월 25일
클로저4월 13일
파운더4월 15일
목소리의 형태4월 28일
데드맨5월 7일
〈고려 아리랑〉5월 21일
〈네루다〉5월 24일
서칭 포 슈가맨5월 26일
플래툰6월 3일
엘르6월 14일
박열6월 28일
옥자6월 29일
그 후7월 7일
다크 나이트7월 11일
덩케르크7월 19일
혹성탈출: 종의 전쟁8월 7일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8월 16일
매혹당한 사람들8월 30일
밤섬해적단 서울불바다9월 1일
몬스터 콜9월 8일
윈드 리버9월 13일
여배우는 오늘도9월 14일
〈어 퍼펙트 데이〉9월 15일
잃어버린 도시 Z9월 20일
우리의 20세기9월 25일
멀홀랜드 드라이브9월 27일
〈당신과 함께한 순간들〉10월 17일
마더!10월 18일
유리정원10월 24일
원스10월 26일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11월 8일
안녕, 나의 소울메이트11월 21일
록키11월 23일
시스터11월 25일
우리는 같은 꿈을 꾼다11월 28일
초행12월 4일
러브레터12월 5일
세 번째 살인12월 6일
러브 액츄얼리12월 11일
강철비[3]12월 12일
1987[4]12월 20일
[1] 라이브톡[2] 시네마톡[3] 스타 라이브톡[4] 토크 콘서트


3.3. 2018년[편집]


영화날짜
[ 펼치기 · 접기 ]

원더풀 라이프[1]1월 3일
다운사이징1월 9일
코코1월 10일
원더풀 라이프[2]1월 17일
패터슨1월 19일
〈누에치던 방〉2월 2일
셰이프 오브 워터2월 20일
더 포스트2월 28일
팬텀 스레드3월 2일
플로리다 프로젝트3월 9일
쓰리 빌보드[3]3월 13일
쓰리 빌보드3월 14일
콜 미 바이 유어 네임3월 21일
곤지암3월 30일
〈레이디버드〉4월 3일
라이프 오브 파이4월 11일
판타스틱 우먼4월 13일
당신의 부탁4월 18일
박하사탕4월 26일
원더스트럭5월 2일
보리 vs 매켄로[4]5월 11일
버닝[5]5월 23일
버닝5월 25일
아직 끝나지 않았다6월 15일
유전6월 17일
유전[6]6월 24일
시카리오: 데이 오브 솔다도6월 29일
킬링 디어7월 4일
서버비콘7월 13일
킬링 디어[7]7월 21일
더 스퀘어[8]7월 28일
어느 가족7월 29일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8월 1일
공작8월 3일
델마8월 12일
휘트니8월 15일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8월 17일
그래비티8월 22일
살아남은 아이8월 29일
죄 많은 소녀9월 12일
너는 여기에 없었다10월 3일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10월 10일
퍼스트 맨10월 17일
군산: 거위를 노래하다11월 8일
저니스 엔드11월 14일
하녀11월 18일
인 디 아일11월 21일
새벽의 약속11월 22일
영주11월 23일
브로크백 마운틴12월 6일
인 디 아일[9]12월 13일
레토[10]12월 27일
PMC: 더 벙커12월 28일
[1] 라이브톡[2] 앵콜 시네마톡[3] 아트데이 시네마톡[4] 필름소사이어티 토크[5] 스타 라이브톡[6] 앵콜 시네마톡[7] 앵콜 시네마톡[8] 필름소사이어티 토크[9] 앵콜 시네마톡[10] 필름소사이어티 토크


3.4. 2019년[편집]


영화날짜
[ 펼치기 · 접기 ]

리지1월 3일
레인보우: 나의 사랑1월 4일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1월 5일
그린 북1월 9일
언더독1월 17일
글래스1월 21일
콜드 워2월 7일
더 페이버릿2월 15일
도쿄의 밤하늘은 항상 가장 짙은 블루2월 16일
더 와이프2월 26일
나는 다른 언어로 꿈을 꾼다2월 28일
국경의 왕3월 7일
우상3월 12일
아사코3월 14일
아사코[1]3월 19일
더 길티3월 22일
생일3월 25일
어스3월 27일
미성년4월 2일
퍼스트 리폼드4월 5일
바이스4월 9일
러브리스4월 16일
스탈린이 죽었다!4월 19일
서스페리아4월 29일
판의 미로5월 2일
굿바이 마이 러브 NK: 붉은 청춘5월 13일
벤 이즈 백5월 14일
로제타5월 22일
김군5월 25일
서스페리아 19775월 28일
기생충5월 30일
이웃집 토토로5월 31일
서스페리아[2]6월 5일
해피엔드6월 17일
안티크라이스트6월 22일
칠드런 액트6월 25일
한낮의 피크닉7월 5일
미드소마7월 9일
라이온 킹7월 18일
미드소마[3]7월 20일
지구 최후의 밤8월 2일
누구나 아는 비밀8월 5일
누구나 아는 비밀[4]8월 17일
우리집8월 22일
벌새8월 26일
예스터데이9월 16일
애드 아스트라9월 18일
더 룸9월 20일
매트릭스9월 23일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9월 24일
터미네이터29월 27일
메기9월 30일
조커10월 1일
〈트루 시크릿〉10월 3일
더 룸[5]10월 4일
미드소마 감독판〉10월 5일
미드 9010월 9일
블러드 심플10월 16일
경계선10월 23일
하이 라이프10월 25일
〈오늘, 우리〉11월 1일
왓 데이 해드11월 8일
킬 빌11월 9일
윤희에게11월 11일
모리스11월 13일
경계선[6]11월 15일
코끼리는 그곳에 있어11월 17일
랜드오브마인11월 23일
겨울왕국211월 25일
포드 V 페라리11월 28일
〈후쿠오카〉11월 29일
블랙 스완12월 3일
나이브스 아웃12월 4일
무뢰한12월 11일
파비안느에 관한 진실12월 12일
코끼리는 그곳에 있어[7]12월 28일
아이리시맨12월 29일
[1] 앵콜 시네마톡[2] 앵콜 GV[3] 앵콜 GV[4] 앵콜 GV[5] 앵콜 GV[6] 앵콜 GV[7] 앵콜 GV


3.5. 2020년[편집]


영화날짜
[ 펼치기 · 접기 ]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1월 13일
결혼 이야기1월 17일
인셉션[1]1월 28일
페인 앤 글로리1월 30일
공기인형1월 31일
조조 래빗2월 4일
작은 아씨들2월 7일
졸업2월 11일
문신을 한 신부님2월 17일
19172월 19일
졸업[2]2월 23일
〈빈폴〉2월 24일
~〈주디~[3]2월 27일
홀리 모터스3월 3일
사냥의 시간4월 23일
톰보이5월 13일
〈더 플랫폼〉5월 15일
〈프랑스여자〉6월 1일
야구소녀6월 16일
트랜짓6월 30일
욕창7월 9일
마티아스와 막심7월 18일
소년 아메드7월 22일
반도7월 23일
강철비2: 정상회담7월 24일
반교: 디텐션8월 7일
주식회사 스페셜액터스8월 12일
~〈남매의 여름밤~[4]8월 19일
~〈69세~[5]8월 21일
~〈메멘토~[6]8월 22일
테넷[7]9월 2일
소리도 없이10월 21일
베이비티스10월 22일
마틴 에덴10월 24일
킹덤 오브 헤븐:디렉터스 컷〉11월 15일
맹크11월 18일
걸후드11월 19일
안티고네11월 21일
11월 23일
〈그리고 우린 춤을 추었다〉11월 29일
찬실이는 복도 많지12월 1일
잔칫날12월 13일
〈럭키몬스터〉12월 20일
[1] 10주년 기념 롯데시네마 재개봉[2] 앵콜 GV[3] 코로나19로 인해 GV 취소[4] 코로나19로 인해 GV 취소[5] 코로나19로 인해 GV 취소[6] 코로나19로 인해 GV 취소[7] 물리학자 김상욱과 페이스북 랜선 GV


3.6. 2021년[편집]


영화날짜
[ 펼치기 · 접기 ]

소울[1]1월 22일
세자매2월 2일
페어웰[2]2월 4일
포제서2월 6일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2월 7일
퍼펙트 케어2월 13일
빛과 철2월 18일
미나리2월 27일
모리타니안3월 4일
중경삼림 리마스터링〉3월 13일
스파이의 아내3월 23일
아무도 없는 곳3월 31일
더 파더4월 3일
레 미제라블4월 10일
노매드랜드4월 13일
더 스파이4월 24일
〈좋은 빛 좋은 공기〉5월 2일
화녀5월 4일
빅 피쉬5월 9일
쿠오바디스, 아이다5월 18일
낫아웃6월 6일
애플6월 11일
학교 가는 길6월 22일
랑종7월 5일
〈트립 투 그리스〉7월 8일
그린 나이트8월 7일
프리가이[3]8월 12일
그린 나이트[4]8월 28일
메리 크리스마스 미스터 모9월 4일
자마9월 5일
~〈바쿠라우~[5]9월 15일
쁘띠 마망10월 6일
〈첫눈이 사라졌다〉10월 7일
다함께 여름!10월 16일
〈휴가〉10월 23일
아네트[6]10월 30일[7]
퍼스트 카우11월 6일
디어 에반 핸슨[8]11월 10일
프렌치 디스패치11월 19일
퍼스트 카우[9]11월 20일
아네트[10]11월 23일
파워 오브 도그[11]11월 19일[12]
베네데타12월 4일
드라이브 마이 카12월 19일
[1] 김이나와 랜선 GV[2] 랜선 GV[3] 랜선 GV[4] 데이빗 로워리가 참여한 스페셜 GV[5] GV 취소[6] 코로나19로 인하여 영화 상영 후 해설 영상이 추가로 상영되는 언택트톡이 최초로 진행되었다.[7] 10월 30일 오후 4시 ~ 10월 31일 오후 2시 / 38개의 상영관[8] 랜선 GV[9] 앵콜 GV[10] 앵콜 GV[11] 언택트톡[12] 11월 19일 오후 7시, 11월 20일 오후 2시, 11월 21일 오후 2시


3.7. 2022년[편집]


영화날짜
[ 펼치기 · 접기 ]

<프랑스>1월 8일
<어나더 라운드>1월 19일
<프랑스>[1]1월 22일
<굿 보스>2월 11일
<리코리쉬 피자>[2]2월 13일, 2월 15일
<피그>2월 17일
<시라노>2월 19일
<드라이브 마이 카>[3]2월 20일
<나이트메어 앨리>[4]2월 22일, 2월 26일
<우리가 사랑이라고 믿는 것>2월 26일
<더 배트맨>[5]3월 1일, 3월 3일, 3월 5일
<벨파스트>3월 17일
<스펜서>3월 19일
<고양이들의 아파트>3월 20일
<킹 리차드>3월 26일
<파워 오브 도그>[6]4월 2일
<열정>4월 23일
<우연과 상상>5월 2일
<풀타임>5월 8일
<민스미트 작전>[7]5월 11일, 5월 15일
<매스>5월 13일
<아치의 노래, 정태춘>5월 20일
<오마주>5월 26일
<애프터 양>5월 28일
<브로커>6월 8일
<실종>6월 17일
<컴온 컴온>6월 24일
<헤어질 결심>[8]6월 29일, 7월 2일
<큐어>7월 2일
<로스트 도터>7월 9일
<썸머 필름을 타고!>7월 15일
<헌트>7월 29일
<베르히만 아일랜드>8월 4일
<>8월 12일
<>[9]8월 23일
<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8월 26일
<성적표의 김민영>9월 5일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9월 12일
<9명의 번역가>9월 16일
<기쁜 우리 젊은 날>9월 18일
<물방울을 그리는 남자>9월 24일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10월 2일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10]10월 29일
<알카라스의 여름>11월 6일
<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11월 9일
<본즈 & 올>[11]11월 19일, 11월 26일
<더 메뉴>11월 29일
<올빼미>12월 5일
<화이트 노이즈>12월 11일
<같은 속옷을 입는 두 여자>[12]12월 29일
[1] 앵콜 GV[2] 언택트톡[3] 앵콜 GV[4] 언택트톡[5] 언택트톡[6] 스페셜 GV[7] 언택트톡[8] 언택트톡[9] 시네마톡 확장판[10] 앵콜 GV[11] 언택트톡[12] 앵콜 GV


3.8. 2023년[편집]


영화날짜
[ 펼치기 · 접기 ]

<3000년의 기다림>1월 4일
<메모리아>1월 13일
<해시태그 시그네>1월 18일
<라인>1월 20일
<바빌론>[1]1월 28일, 2월 4일
<애프터썬>1월 30일
<이마 베프>2월 2일
<타르>[2]2월 11일, 2월 18일, 2월 19일
<애프터썬>[3]2월 14일
<똑똑똑>3월 7일
<이니셰린의 밴시>3월 11일
<어떤 영웅>3월 12일
<파벨만스>[4]3월 18일, 3월 21일, 3월 25일
<오토라는 남자>3월 23일
<리턴 투 서울>4월 25일
<클로즈>4월 28일
<미미와 철수의 청춘스케치>5월 9일
<토리와 로키타>[5]5월 9일, 5월 13일, 5월 14일, 5월 20일
<슬픔의 삼각형>5월 16일
<스프린터>5월 20일
<카일리 블루스>5월 21일
<말없는 소녀>5월 28일[6]
<엘리멘탈>5월 30일
<너의 눈을 들여다보면>6월 6일
<슬픔의 삼각형>[7]6월 15일
<너의 눈을 들여다보면>[8]6월 17일
<애스터로이드 시티>[9]6월 17일, 6월 24일, 6월 25일
<보 이즈 어프레이드>[10]7월 8일, 7월 15일
<비공식작전>7월 26일
<오펜하이머>8월 25일
<한 남자>8월 31일
<어파이어>9월 1일
<여덟 개의 산>9월 15일
<어파이어>[11]9월 16일
<크리에이터>[12]9월 23일
<화란>9월 25일
<거미집>9월 27일
<절해고도>10월 13일
<너와 나>10월 14일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11월 12일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13]11월 21일
<괴물>[14]11월 25일, 11월 26일, 11월 30일, 12월 2일, 12월 16일, 12월 17일
<괴인>12월 6일
<드라이브 마이 카>12월 21일[15]
[1] 언택트톡[2] 언택트톡[3] 앵콜 GV[4] 언택트톡[5] 언택트톡[6] 김중혁 작가와 광화문 씨네큐브에서 진행.[7] 앵콜 GV[8] 앵콜 GV[9] 언택트톡[10] 언택트톡[11] 앵콜 GV[12] 언택트톡[13] 앵콜 GV[14] 언택트톡[15] 하마구치 류스케 감독 참석


3.9. 2024년[편집]


영화날짜
[ 펼치기 · 접기 ]

<노 베어스>1월 6일


4. 시네마 리플레이[편집]


메가박스 코엑스점에서 진행되는 한해 개봉영화 중 엄선한 10개 작품[3]을 4~5주간 주말간 2, 3 작품씩 상영 후, GV와 영화퀴즈를 하는 이벤트. 영화퀴즈는 이동진 평론가가 영화에서 무슨 장면인지 알아맞추기 어려운 장면부터 보여주며 10번째 캡쳐이미지까지 난이도가 쉬워지는 식이다. 경품은 메가박스 영화티켓과 이동진 평론가의 어머님이 짜신 뜨개질 물품을 준다.

[1] 혼자서 하는 경우에는 대체로 생략한다.[2] 별점 3개를 매긴 영화 중 최초로 라이브톡에서 다룬 영화는 '님포매니악 2'다.[3] 2022년은 12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6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6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