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유리정원

덤프버전 :

유리정원 (2017)
Glass Garden
파일:유리정원 메인 포스터.jpg
장르드라마, 미스터리
감독신수원
각본신수원
제작임충근
주연문근영, 김태훈, 서태화
촬영윤지운
음악류재아
제작사준필름
배급사리틀빅픽처스
개봉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10월 25일
화면비2.35 : 1
상영 시간116분
제작비약 1,100,000,000원
월드 박스오피스$101,686
대한민국 총 관객 수22,752명
상영 등급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마케팅
2.1. 예고편
2.2. 포스터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평가
6. 흥행



1. 개요[편집]


홀로 숲속 유리정원에서 엽록체를 이용한 인공혈액을 연구하는 과학도 '재연'과 그녀를 훔쳐보며 초록 피가 흐르는 여인에 대해 소설을 쓰는 무명 작가 '지훈'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


2017년에 개봉한 한국 영화.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으로 선공개되었다.


2. 마케팅[편집]



2.1. 예고편[편집]


▲ 메인 예고편

2.2. 포스터[편집]


파일:유리정원 메인 포스터.jpg
파일:유리정원 티저 포스터.jpg
메인 포스터티저 포스터
파일:유리정원 개막작 공식 포스터.jpg
파일:유리정원 해외 마켓용 포스터.jpg
개막작 공식 포스터해외 마케팅 포스터


3. 시놉시스[편집]


베스트셀러에 감춰진 충격적인 비밀!
"순수한 건 오염되기 쉽죠"

{{{#white 엽록체를 이용한 인공혈액을 연구하던 과학도 '재연'은 후배에게 연구 아이템을 도둑맞고 사랑하는 사람마저 빼앗겨 어릴 적 자랐던 숲 속의 유리정원 안에 스스로를 고립한다. 한편, 첫 소설의 실패로 슬럼프를 겪던 무명작가 '지훈'은 우연히 알게 된 '재연'의 삶을 훔쳐보며 초록의 피가 흐르는 여인에 대한 소설을 연재해 순식간에 인기 작가 반열에 오른다. 그러던 어느 날, 충격적인 미제 사건의 범인으로 '재연'이 지목되고, 이 사건이 '지훈'의 소설 속 이야기와 동일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세상을 시끄럽게 만드는데...
과연 '재연'의 유리정원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던 것일까?}}}


4. 등장인물[편집]





  • 임정운 : 현 역



5.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49517|
기자·평론가
6.00 / 10
관람객
8.18 / 10
네티즌
6.93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6.00 / 10
관람객
8.18 / 10
네티즌
6.93 / 10
]]
평점 8.18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7.0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80%





★★★☆
착하지만 지독한 파괴
- 김현수
★★★☆
초록이 묻어나는 깊은 슬픔, 그녀는 끝까지 나무와 닮았다
- 박은영
★★★☆
갈망하라, 비록 복원할 수 없을지라도
- 이용철
★★★
완벽한 피해자에 머물던 <마돈나>의 여성 주인공을 떠올린다면, <유리정원>은 모든 면에서 신수원 세계관의 명확한 진보를 보여주는 작품
- 박꽃
★★★
독창적인 영상과 소재의 장점을 부각시키지 못한 장르와 드라마 활용의 아쉬움
- 서정환
★★★
<채식주의자>와 <미져리>와 TTL ‘파란 피’ 광고를 뒤섞으면
- 황진미
★★
녹조라테’ 한컵 들이켰네
- 박평식

평이 극단적으로 갈린다고 한다. 독창적인 소재를 잘 활용했다고 하는 쪽과 그러한 소재를 잘 살리지 못했다는 쪽으로 갈린다.


6. 흥행[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1,198명1,198명-위9,584,000원9,584,000원
1주차2017-10-25. 1일차(수)3,933명18,682명9위23,059,000원129,671,500원
2017-10-26. 2일차(목)2,612명11위18,028,500원
2017-10-27. 3일차(금)2,670명9위20,023,000원
2017-10-28. 4일차(토)2,953명12위22,468,100원
2017-10-29. 5일차(일)2,626명12위20,217,400원
2017-10-30. 6일차(월)1,687명12위11,239,000원
2017-10-31. 7일차(화)2,201명12위14,636,500원
2주차2017-11-01. 8일차(수)1,275명2,244명12위8,759,000원16,280,200원
2017-11-02. 9일차(목)128명55위927,500원
2017-11-03. 10일차(금)133명48위1,059,500원
2017-11-04. 11일차(토)219명41위1,644,500원
2017-11-05. 12일차(일)208명38위1,561,200원
2017-11-06. 13일차(월)85명53위590,500원
2017-11-07. 14일차(화)196명38위1,738,000원
3주차2017-11-08. 15일차(수)92명407명56위694,000원3,319,000원
2017-11-09. 16일차(목)25명81위170,000원
2017-11-10. 17일차(금)62명60위508,000원
2017-11-11. 18일차(토)105명56위1,023,000원
2017-11-12. 19일차(일)48명68위327,000원
2017-11-13. 20일차(월)29명70위246,000원
2017-11-14. 21일차(화)46명69위351,000원
4주차2017-11-15. 22일차(수)34명129명86위269,000원975,000원
2017-11-16. 23일차(목)11명117위95,000원
2017-11-17. 24일차(금)7명129위65,000원
2017-11-18. 25일차(토)22명105위138,000원
2017-11-20. 27일차(월)20명89위151,000원
2017-11-21. 28일차(화)35명92위257,000원
5주차2017-11-22. 29일차(수)3명38명133위23,000원246,000원
2017-11-24. 31일차(금)7명120위39,000원
2017-11-26. 33일차(일)14명113위89,000원
2017-11-27. 34일차(월)6명101위38,000원
2017-11-28. 35일차(화)8명119위57,000원
6주차2017-11-29. 36일차(수)9명18명108위76,000원134,000원
2017-11-30. 37일차(목)6명110위39,000원
2017-12-02. 39일차(토)3명139위19,000원
7주차2017-12-06. 43일차(수)13명36명114위91,000원228,000원
2017-12-07. 44일차(목)2명134위10,000원
2017-12-09. 46일차(토)14명110위84,000원
2017-12-12. 49일차(화)7명106위43,000원
합계 누적 관객수 22,752명, 누적 매출액 160,437,700원[1]
이 날 같이 개봉하는 작품은 《토르: 라그나로크》,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 《빅토리아 & 압둘》이고, 10월 26일 개봉하는 작품인 《그리다》, 《기적의 피아노》, 《내 친구 정일우》, 《마사의 부엌》, 《미스 프레지던트》, 《배저로와 친구들: 신비한 모험》,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2: 아디오스》, 《스톰: 위대한 여정》, 《정원을 그리다: 모네에서 마티스까지》, 《뷰티풀 투모로우》까지 13편.

9위로 출발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22:49:33에 나무위키 유리정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 2017/12/12 기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