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 미제라블(2019년 영화)

덤프버전 : (♥ 0)

레 미제라블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역대 칸 영화제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심사위원상
제71회
(2018년)
제72회
(2019년)
제74회
(2021년)
가버나움레 미제라블
바쿠라우
아헤드의 무릎
메모리아

역대 세자르 시상식
파일:cesarawards.png
최우수 작품상
제44회
(2019년)
제45회
(2020년)
제46회
(2021년)
아직 끝나지 않았다레 미제라블바이 바이 모론스

레 미제라블 (2019)
Les misérables
파일:레 미제라블 2019 국내 메인 포스터.jpg
장르
감독
래지 리
각본
래지 리
지오다노 게델리니
알렉시스 마넨티
제작
래지 리
토우픽 아야디
크리스토페 배럴
출연
다미엥 보나드
알렉시스 마넨티
제브릴 종가 등
촬영
줄리엔 포파드
편집
플로라 볼펠리에르
미술
카림 라가티
음악
마르코 카사노바
의상
마린 갈리아노
제작사
파일:프랑스 국기.svg Srab 필름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카날+
파일:프랑스 국기.svg 시네+
파일:프랑스 국기.svg Le Pacte
파일:프랑스 국기.svg 와일드 번치
수입사
배급사
개봉일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2019년 5월 15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9년 11월 20일
파일:미국 국기.svg 2020년 1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년 4월 15일
화면비
2.35 : 1
상영 시간
104분
제작비
-
월드 박스오피스
$19,090,476
북미 박스오피스
$330,181
대한민국 총 관객 수
7,186명(2021년 4월 24일 기준)
상영 등급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평가
7. 흥행
8. 수상 및 후보 이력
9. 기타
10. 관련 문서
11. 외부 링크
1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다큐멘터리 작업을 하던 래지 리 감독의 장편 극영화 데뷔작.

빅토르 위고동명 소설[1] 2005년 프랑스 파리에서 일어났던 파리 교외 소요 사태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된, 프랑스의 이민자 문제를 다루는 영화이다.


2. 예고편[편집]


▲ 1차 예고편

▲ 2차 예고편

▲ 30초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세상에는 나쁜 풀도, 나쁜 사람도 없소.

다만 나쁜 농부가 있을 뿐이오.” - <레 미제라블> 빅토르 위고

지방에서 전근 온 경감 스테판은 크리스, 그와다와 같은 순찰팀에 배정받는다.

증오와 불신이 난무하는 몽페르메유에서 스테판은 경찰들의 폭력에 충격을 받고

서커스단 아기 사자 도난사건을 해결하려다 예기치 못한 사건까지 발생하는데…

21세기의 ‘레 미제라블’, 끝나지 않은 분노의 노래!



4. 등장인물[편집]


  • 다미엥 보나드 - 스테판 루이즈 역
  • 알렉시스 마넨티 - 크리스 역
  • 제브릴 종가 - 그와다 역
  • 이사 페리카 - 이사 역
  • 알 하산 리 - 뷔즈 역
  • 스티브 티앵쉬 - 시장 역
  • 알마미 카누테 - 살라 역
  • 니자르 벤 파트마 - 펜치[2]
  • 레몽 로페즈 - 조로 역
  • 루시아노 로페즈 - 루시아노 역
  • 제송 로페즈 - 제송 역
  • 사나 조아샤임 - 빈투 역
  • 루카 오미리 - 슬림 역
  • 오마르 수메르 - 마차 역
  • 잔 발리바르 - 경찰국장 역


5. 줄거리[편집]




6.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85276|
기자·평론가
7.00 / 10
관람객
8.00 / 10
네티즌
7.93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7.00 / 10
관람객
8.00 / 10
네티즌
7.93 / 10
]]
평점 8.00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7.9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91%





Les Misérables transcends its unwieldy story with compelling ideas and an infectious energy that boils over during a thrilling final act.

<레 미제라블>은 쉬이 다루기 어려운 이야기를 설득력 있는 아이디어와 짜릿한 마지막 액션이 진행되는 동안 함께 끓어오르게 되는, 전염성이 있는 에너지를 이용해 뛰어넘는다.

- 로튼 토마토 총평


횃불 같은 카메라

첫 장면에서 목격한 ‘하나의 프랑스’는 허상일 뿐이다. 이 장면 직후부터 펼쳐지는 몽페르메유의 적나라한 현실 안에서 피부색, 인종, 종교, 계층의 구분은 물과 기름처럼 영원히 섞여들지 않을 태세다. 사람들은 정글 같은 지역 생태계에서 각자의 생존법을 터득한다. 여기에 악인은 없다. 유명무실한 사회 시스템이 악으로 존재할 뿐이다. 드라마의 가파른 상승곡선을 타고 마침내 당도한 곳은 축적된 체념과 분노가 한 데 뭉쳐 터져 나온 아수라장이다. 광장의 함성과 이곳의 비명 사이에는 무엇이 있고, 무엇이 없는가. 그 힘 있는 질문을 던지기 위해 무서운 기세로 달려나가는 영화다.

- 이은선 (★★★☆)


성난 민심을 돌아보라

중의적인 제목이다. 유명한 빅토르 위고의 원작을 떠올리게 하고, 원작과 다른 내용이지만 같은 주제로 공권력에 맞서는 인물들을 카메라에 담았다. 다큐멘터리스트 출신 레쥬 리 감독은 현대의 프랑스 외곽 지역에서 벌어지는 폭력 경찰과 이민자, 빈민층으로 구성된 주민들의 대립을 생생하게 연출해 사회적 약자 계층을 억업하는 정부와 공권력을 강도 높게 비판한다. 영화 전반에 들끓는 분노 게이지가 어마어마한데 결말에 다다르면 저항과 폭력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자문하지 않을 수 없다.

- 정유미 (★★★☆)


증오를 기른 증오, 분노를 삼킨 분노

- 박평식 (★★★☆)


횃불인가, 폭탄인가

- 이용철 (★★★)


부메랑으로 돌아온 분노의 총구 앞에서 당신의 선택은?

- 허남웅 (★★★★)


광장을 가득 메운 21세기 분노의 노래

- 조현나 (★★★☆)


두 마리의 새끼 사자를 어찌 할 것인지 시종일관 폭풍처럼 몰아친다

- 이동진 (★★★★★)



7.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19,090,476(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330,181미정


7.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958명958명미집계8,355,000원8,355,000원
1주차2021-04-15. 01일차(목)947명5,090명11위7,929,440원42,916,180원
2021-04-16. 02일차(금)698명13위6,002,770원
2021-04-17. 03일차(토)1,025명11위8,079,110원
2021-04-18. 04일차(일)834명11위7,266,600원
2021-04-19. 05일차(월)425명11위3,555,440원
2021-04-20. 06일차(화)521명14위4,522,310원
2021-04-21. 07일차(수)640명12위5,560,510원
2주차2021-04-22. 08일차(목)302명-명19위2,349,700원-원
2021-04-23. 09일차(금)278명17위2,310,070원
2021-04-24. 10일차(토)558명17위4,506,000원
2021-04-25. 11일차(일)-명-위-원
2021-04-26. 12일차(월)-명-위-원
2021-04-27. 13일차(화)-명-위-원
2021-04-28. 14일차(수)-명-위-원
3주차2021-04-29. 15일차(목)-명-명-위-원-원
2021-04-30. 16일차(금)-명-위-원
2021-05-01. 17일차(토)-명-위-원
2021-05-02. 18일차(일)-명-위-원
2021-05-03. 19일차(월)-명-위-원
2021-05-04. 20일차(화)-명-위-원
2021-05-05. 21일차(수)-명-위-원
4주차2021-05-06. 22일차(목)-명-명-위-원-원
2021-05-07. 23일차(금)-명-위-원
2021-05-08. 24일차(토)-명-위-원
2021-05-09. 25일차(일)-명-위-원
2021-05-10. 26일차(월)-명-위-원
2021-05-11. 27일차(화)-명-위-원
2021-05-12. 28일차(수)-명-위-원
합계누적관객수 7,186명, 누적매출액 60,436,950원[3]


7.2. 북미[편집]




7.3. 프랑스[편집]




7.4. 일본[편집]




7.5. 영국[편집]




7.6. 기타 국가[편집]




8. 수상 및 후보 이력[편집]




9. 기타[편집]





10. 관련 문서[편집]




11. 외부 링크[편집]




12.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09:04:41에 나무위키 레 미제라블(2019년 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다만 영향을 받은 정도일 뿐 톰 후퍼 감독의 레미제라블 처럼 해당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은 아니다.[2] 별명. 그 공구 펜치 맞다. La Pince.[3] ~ 2021/04/24 기준[4] 이 세 영화는 방리유라 불리는 파리 외곽 지역에서 프랑스 이민자 문제를 다루는 등 내용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