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교육사령관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3.gif ||
||<width=20%> 초대
||<width=20%> 2대
||<width=20%> 3대
||<width=20%> 4대
||<width=20%> 5대
||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21대
|| 22대
|| 23대
|| 24대
|| 25대
||
|| 26대
|| 27대
|| 28대
|| 29대
|| 30대
||
|| 31대
|| 32대
|| 33대
|| 34대
|| 35대
||
|| 36대
|| 37대
|| 38대
|| 39대
|| 40대
||
|| 41대
|| 42대
|| 43대
|| 44대
|| 45대
||
|| 46대
|| 47대
이영계 || 48대
한기호 || 49대
박성규 || 50대
황인무 ||
|| 51대
류제승 || 52대
김종배 || 53대
나상웅 || 54대
장재환 || 55대
제갈용준 ||
|| 56대
최영철 || 57대
윤의철 || 58대
박상근 || || ||
||<-5><bgcolor=#130074> ※ 초대~00대 : 소장 · 00대~현재 : 중장 ||
||<-5><bgcolor=#130074>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교육사령관
陸軍敎育司令官
Army Training & Doctrine Commander
파일:이규준 5군단장.jpg
현직이규준 (제61대)
취임일2023년 4월
임관육군사관학교 46기

1. 개요
2. 상세
3. 역대 육군교육사령관
4. 관련문서

육군군수사령부령
제3조(사령관등의 임명)
교육사령부사령관과 부사령관을 둔다.
②사령관은 육군장성급(將星級)장교 중에서 육군참모총장의 추천에 의하여 국방부장관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보한다.
③부사령관은 육군장성급장교로 보한다.
④사령관은 교육사령부의 업무를 통할하고, 관할부대 및 기관을 지휘·감독하며, 육군참모총장의 명을 받아 육군의 군사학교교육에 관한 사항을 조정·통제 및 감독한다.
⑤부사령관은 사령관을 보좌하며, 사령관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때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1. 개요[편집]


육군교육사령부지휘관으로 중장이 보임된다.


2. 상세[편집]


1998년에는 교육사의 장성이 야전군사령부의 장성보다 많다는 이유로 교육사령관에 대장을 보임하는 방안을 추진했다가 소장이 보임되던 해군교육사령부공군교육사령부와의 형평성 문제로 취소되었다.[1]관련기사 장성 숫자는 지금도 여전히 많은 편이긴 하다. 30-40명 정도. 주요 병과장을 육군교육사령부의 각 학교장들이 맡기 때문이다.

중장 보직 중 한직에 해당하며, 군단장을 마치고 교육사령관으로 오면 대장 진급은 거의 물건너갔다고 봐야 한다.[2] 역대 사령관은 대부분 이 자리에서 군 생활을 마쳤다.

3. 역대 육군교육사령관[편집]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external/flagspot.net/kr%5Em3.gif ||
||<width=20%> 초대
||<width=20%> 2대
||<width=20%> 3대
||<width=20%> 4대
||<width=20%> 5대
||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21대
|| 22대
|| 23대
|| 24대
|| 25대
||
|| 26대
|| 27대
|| 28대
|| 29대
|| 30대
||
|| 31대
|| 32대
|| 33대
|| 34대
|| 35대
||
|| 36대
|| 37대
|| 38대
|| 39대
|| 40대
||
|| 41대
|| 42대
|| 43대
|| 44대
|| 45대
||
|| 46대
|| 47대
이영계 || 48대
한기호 || 49대
박성규 || 50대
황인무 ||
|| 51대
류제승 || 52대
김종배 || 53대
나상웅 || 54대
장재환 || 55대
제갈용준 ||
|| 56대
최영철 || 57대
윤의철 || 58대
박상근 || || ||
||<-5><bgcolor=#130074> ※ 초대~00대 : 소장 · 00대~현재 : 중장 ||
||<-5><bgcolor=#130074>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대 육군교육사령관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00대유재흥예) 중장군영 1기
00대장도영예) 중장
00대최영희예) 중장
역대 육군전투병과교육사령관
1대오덕준예) 소장농업협동조합 중앙회장
00대함병선예) 중장국방대학교 총장, 제2군단장해외개발공사 사장
00대정진권예) 대장합동참모의장, 제1야전군사령관
00대장기오예) 중장육사 12기사령관
00대조남풍예) 대장육사 18기제1야전군사령관재향군인회장
00대박영하예) 대장3사 1기제2작전사령관
00대신일순예) 대장육사 26기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47대이영계예) 중장육사 30기수도방위사령관
48대한기호예) 중장육사 31기제5군단장국회의원(미래통합당)
49대박성규예) 대장3사 10기제1야전군사령관
50대황인무예) 중장육사 35기육군참모차장국방부차관
51대류제승예) 중장육사 35기제8군단장
52대김종배예) 중장육사 36기사령관
53대나상웅예) 중장3사 16기제3군단장
54대장재환예) 중장육사 39기제7기동군단장
55대제갈용준예) 중장육사 39기제5군단장
56대최영철예) 중장육사 41기제2군단장
57대윤의철예) 중장육사 43기합동참모차장, 前 제7기동군단장
58대박상근예) 중장학군 25기제3군단장
59대정철재예) 중장3사 23기제2군단장
60대강건작예) 중장육사 45기제6군단장
61대이규준중장육사 46기現 사령관, 前 제5군단장


4. 관련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11:34:21에 나무위키 육군교육사령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지금은 육해공 모두 교육사령관이 중장을 보임하고 있다. 소장이 보임하는 경우도 있는데 2019년 말 해군교육사령관에는 김현일 소장, 공군교육사령관에는 노승환 소장이 임명됐다. 이는 해공군의 경우 고정 중장 TO가 5명(보통 합참의 본부장, 작전사령관, 참모차장, 사관학교장, 교육사령관의 5명)이라 합참의 본부장 외 합참/국직부대 보직에 해공군 중장이 1명 더 추가로 임명되면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감소하는 교육사령관 보직에는 고참 소장이 임명되기 때문이다.[2] 육사 출신 중장은 합참 작전본부장, 육군참모차장, 지작사 참모장으로 가야 대장을 노려볼만하며 그 외 자리는 대장 진급을 포기해야 한다. 비육사 출신 중장은 한직에 좀 더 관대한 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