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계환

덤프버전 : (♥ 0)

||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휘장.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중장.svg ||
||<width=20%> 초대
신현준 ||<width=20%> 2대
김석범 ||<width=20%> 3대
김대식 ||<width=20%> 4대
김성은 ||<width=20%> 5대
김두찬 ||
|| 6대
공정식 || 7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강기천 || 8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정광호 || 9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대장.svg
이병문 ||<bgcolor=#ffa6a6,#9d3422> 10대
김연상 ||
||<bgcolor=#ffa6a6,#9d3422> 11대
이동용 ||<bgcolor=#ffa6a6,#9d3422> 12대
정태석 ||<bgcolor=#ffa6a6,#9d3422> 13대
김정호 ||<bgcolor=#ffa6a6,#9d3422> 14대
최기덕 ||<bgcolor=#ffa6a6,#9d3422> 15대
박희재 ||
||<bgcolor=#ffa6a6,#9d3422> 16대
성병문 ||<bgcolor=#ffa6a6,#9d3422> 17대
박구일 || 18대
최갑진 || 19대
조기엽 || 20대
임종린 ||
|| 21대
이상무 || 22대
전도봉 || 23대
이갑진 || 24대
김명환 || 25대
이철우 ||
|| 26대
김인식 || 27대
김명균 || 28대
이상로 || 29대
이홍희 || 30대
유낙준 ||
|| 31대
이호연 || 32대
이영주 || 33대
이상훈 || 34대
전진구 || 35대
이승도 ||
|| 36대
김태성 ||<bgcolor=#e0ffdb,#202210> 37대
김계환 || || || ||
||<-5><bgcolor=#cc101f> ※ 10대~17대 : 해군 제2참모차장 / 초대~9대, 17대~현임 : 해병대사령관 / 30대~현임 : 서북도서방위사령관 겸임 ||
||<-5><bgcolor=#cc101f>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휘장.svg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ff0000> 파일:대한민국 육군 및 해병대 소장.svg ||
||<width=20%> 초대
||<width=20%> 2대
||<width=20%> 3대
||<width=20%> 4대
||<width=20%> 5대
||
|| 00대
이상훈 || 00대
|| 00대
|| 00대
|| 00대
서헌원 ||
|| 00대
|| 00대
김태성 || 00대
서헌원 || 00대
백경순 || 00대
임성근 ||
|| 00대
김계환 || 00대
주일석 || 00대
정종범 || 00대
김승학 ||
||<-5><bgcolor=#cc101f> ※ 관련 직위 둘러보기 ||



대한민국 제37대 해병대사령관
김계환
金桂煥 | Kim Kye-hwan
출생 1968년 1월 15일 (56세)
강원도 원주시
현직해병대사령관서북도서방위사령관
재임기간제37대 해병대사령관
2022년 12월 7일 ~ 현재
[ 펼치기 · 접기 ]

학력둔둔초등학교 (졸업 / 29회)
원주고등학교 (졸업 / 30회)
위덕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1] / 석사[2])
국방대학교 (고위정책결정자과정 / 수료)
서울대학교 (미래안보전략기술 최고위과정 / 수료)
종교개신교[3]
군사 경력
복무대한민국 해병대
1990년 ~ 현재
임관해군사관학교 (44기)
현재 계급중장 (대한민국 해병대)
현재 보직해병대사령관
주요 보직해병대사령부 부사령관
해병대 제1사단
계룡대 근무지원단
해병대 제9여단장
서북도서방위사령부 참모장
해병대 제1사단 제2연대


1. 개요
2. 생애
3. 주요 보직
4. 논란 및 사건사고
4.1. 해병대 1사단 일병 사망 사고 대처
5. 여담
6.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해병대의 군인. 현재 계급은 중장이며, 윤석열 정부에서 임명된 첫 해병대사령관이다.


2. 생애[편집]


1968년 강원도 원주시 출생으로, 둔둔초등학교(29회), 원주고등학교(30회)를 졸업하고 해군사관학교(44기) 입학 후, 1990년에 소위로 임관하였다.


3. 주요 보직[편집]












4.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4.1. 해병대 1사단 일병 사망 사고 대처[편집]


임기 중인 2023년 7월 20일 해병대 1사단 소속 해병대원 1명이 폭우 대민 지원 중 익사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자세한 내용은 해병대 제1사단 일병 사망 사고 참조.

해병대 제1사단 일병 사망 사고가 발생하자 일선 부대에 입막음을 지시한 정황이 포착되었다. 예하부대에 시달한 '지휘 및 강조말씀'에서 "우리 구성원들 가운데 유튜브, 육대전, 기타 언론사 기자들에게 제보해주는 내용을 보면서 마음이 아프다"고 밝혔으나 "확인되지 않은 사실을 임의대로 제공해 국민들을 혼란스럽게 하는 모습을 방관할 수가 없다"고 강조하며 입막음을 시도했다. 사실상 언론 접촉을 하지 말라고 지시를 내린 것.# 국방부 차관과의 문자 내용이 유출되어 관련 수사에 대해 국방부의 압력을 받은 것이 밝혀졌다.

국방위에서 야당 의원들의 집중 포화를 맞고 37일 만에 현 사태에 대해 사과했다.

이후 해병대 중앙수사대장(중령)과의 통화내용이 공개되었다. 내용인 즉 "내가 뭘 어떻게 하든 저쪽에서 내가 시킨 걸로 할 거 아니냐. 우리는 원리원칙대로만 했으니까 그냥 결과만 기다리자", "저쪽에서 수틀리면 정훈이내 지시사항을 위반한 걸로 갈 수밖에 없을 거야."라고 한 내용이었다. 이로써 해병대 제1사단 일병 사망 사고/수사 외압 논란을 진작에 알고 있었음이 밝혀졌다. 또한 "정훈이하고 저쪽 관계자[1]와 통화한 거 말이야, 기록들 있지?" 라고 말하면서 박정훈 대령을 보호하고 싶지만 하기 힘든 현실을 보여준 통화내용도 있다.

2023년 75주년 국군의 날 행사때 국방부차관과 같이 내빈석에 앉았는데 세상 불편해 보이는 모습이었다. 같은해 11월 중장 인사에서 유임되었다.

5. 여담[편집]





6.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22:44:06에 나무위키 김계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정확히는 국방부 법무관리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