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메달리스트

덤프버전 : (♥ 0)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

1. 개요
2. 하계 올림픽
2.1. 금메달
2.2. 은메달
2.3. 동메달
3. 동계 올림픽
3.1. 금메달
3.2. 은메달
3.3. 동메달
4. 하/동계 올림픽 메달 합산
5. 선수별 메달 개수
6. 4회 이상 연속 메달 수상자
7. 3회 연속 메달 수상자


1. 개요[편집]


한민족 최초의 올림픽 메달리스트는 1936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손기정동메달리스트 남승룡이지만 당시에는 일제강점기였고 메달을 획득한 시점의 국적을 공식 기록으로 남기기에 기록상으로는 일본 국적이다.

아래 목록에도 같은 이유로 손기정남승룡은 제외되어 있다[1]. 반대로 러시아빅토르 안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까지 딴 메달, 중국린샤오쥔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딴 메달은 같은 이유로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한민족이 아닌 다른 민족이 한국 국가대표로 선발되어 획득한 메달도 당연히 포함된다. 한민족이 아닌 한국 메달리스트의 예시로 한족당예서공상정이 있다.

1945년 광복과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의 하계 올림픽 메달리스트는 1948 런던 올림픽 역도 동메달리스트 김성집이고 최초의 금메달리스트는 1976 몬트리올 올림픽 레슬링 금메달리스트 양정모다. 동계올림픽 메달은 1990년대가 돼서야 딸 수 있었는데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스피드 스케이팅 은메달리스트 김윤만이 사상 첫 동계올림픽 메달리스트이고 같은 대회 쇼트트랙 금메달리스트 김기훈이 최초의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다.

2. 하계 올림픽[편집]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
순위
969110028715위
1948 ~ 2020


2.1. 금메달[편집]


번호대회성별종목세부 종목이름
11976 몬트리올 올림픽남자레슬링자유형 페더급양정모[2]
2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62kg김원기[3]
3남자유도-71kg안병근[4]
4남자유도-95kg하형주
5남자레슬링자유형 -68kg유인탁
6남자복싱미들급신준섭[5]
7여자양궁개인서향순[6]
81988 서울 올림픽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74kg김영남
9남자유도-60kg김재엽[7]
10남자유도-65kg이경근
11여자핸드볼대표팀[8][9][10]
12여자양궁개인김수녕[11]
13여자탁구복식양영자/현정화[12]
14남자레슬링자유형 -82kg한명우[13]
15남자양궁단체박성수, 이한섭, 전인수[14]
16여자양궁단체김수녕, 왕희경, 윤영숙
17남자탁구단식유남규
18남자복싱라이트미들급박시헌[15]
19남자복싱플라이급김광선
20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여자사격공기소총 10m여갑순[16]
21남자역도-56kg전병관
22여자유도-72kg김미정
23남자사격소총 복사 50m이은철
24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57kg안한봉
25여자양궁개인조윤정
26여자양궁단체김수녕, 이은경, 조윤정
27여자배드민턴복식정소영/황혜영
28남자배드민턴복식김문수/박주봉
29남자레슬링자유형 -74kg박장순
30여자핸드볼대표팀[17][18]
31남자육상마라톤황영조[19]
321996 애틀랜타 올림픽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48kg심권호[20]
33여자유도-66kg조민선
34남자유도-86kg전기영
35여자양궁개인김경욱
36여자배드민턴단식방수현
37혼성배드민턴복식길영아/김동문
38여자양궁단체김경욱, 김조순, 윤혜영
392000 시드니 올림픽여자양궁개인윤미진[21]
40남자펜싱플뢰레 개인김영호[22]
41여자양궁단체김남순, 김수녕, 윤미진
42남자양궁단체김청태, 오교문, 장용호
43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54kg심권호
44여자태권도-57kg정재은
45여자태권도-67kg이선희
46남자태권도+86kg김경훈
472004 아테네 올림픽남자유도-73kg이원희
48여자양궁개인박성현
49여자양궁단체박성현, 윤미진, 이성진
50남자배드민턴복식김동문/하태권
51남자양궁단체박경모, 임동현, 장용호
52남자탁구단식유승민
53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60kg정지현
54여자태권도-57kg장지원
55남자태권도+80kg문대성
562008 베이징 올림픽남자유도-60kg최민호
57남자수영자유형 400m박태환[23]
58여자양궁단체박성현, 윤옥희, 주현정
59남자양궁단체박경모, 이창환, 임동현
60남자사격권총 50m진종오
61남자역도-77kg사재혁
62여자역도+75kg장미란
63혼성배드민턴복식이용대/이효정
64여자태권도-57kg임수정
65남자태권도-68kg손태진
66여자태권도-67kg황경선
67남자태권도+80kg차동민
68남자야구대표팀[24][25]
692012 런던 올림픽남자사격공기권총 10m진종오
70여자양궁단체기보배, 이성진, 최현주
71남자유도-81kg김재범
72여자사격권총 25m김장미
73남자유도-90kg송대남
74여자펜싱사브르 개인김지연
75여자양궁개인기보배
76남자양궁개인오진혁[26]
77남자펜싱사브르 단체구본길, 김정환, 오은석, 원우영[27]
78남자사격권총 50m진종오[28]
79남자기계체조도마양학선
80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66kg김현우
81여자태권도-67kg황경선[29]
82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남자양궁단체구본찬, 김우진, 이승윤
83여자양궁단체기보배, 장혜진, 최미선
84남자펜싱에페 개인박상영
85남자사격권총 50m진종오[30]
86여자양궁개인장혜진
87남자양궁개인구본찬[31]
88여자태권도-49kg김소희
89여자태권도-67kg오혜리
90여자골프개인박인비[32]
912020 도쿄 올림픽혼성양궁단체김제덕/안산[33]
92여자양궁단체강채영, 안산, 장민희[34]
93남자양궁단체김우진, 김제덕, 오진혁
94남자펜싱사브르 단체구본길, 김정환, 김준호, 오상욱
95여자양궁개인안산[35][36]
96남자기계체조도마신재환


2.2. 은메달[편집]


번호대회성별종목세부 종목이름
11956 멜버른 올림픽남자복싱밴텀급송순천[37]
21964 도쿄 올림픽남자레슬링자유형 플라이급장창선[38]
3남자복싱밴텀급정신조[39]
4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남자복싱라이트플라이급지용주[40]
51972 뮌헨 올림픽남자유도미들급오승립[41]
61976 몬트리올 올림픽남자유도라이트급장은경[42]
7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남자유도-60kg김재엽[43]
8남자유도-65kg황정오
9여자농구대표팀[44][45]
10여자핸드볼대표팀[46][47]
11남자레슬링자유형 -52kg김종규
12남자복싱웰터급안영수
131988 서울 올림픽남자역도-52kg전병관[48]
14남자사격소총 복사차영철[49]
15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68kg김성문
16남자양궁개인박성수
17여자양궁개인왕희경[50]
18여자필드하키대표팀[51][52]
19남자레슬링자유형 -68kg박장순[53]
20남자복싱헤비급백현만[54]
21남자핸드볼대표팀[55]
22남자탁구단식김기택
23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여자양궁개인김수녕
24남자유도-60kg윤현
25남자양궁개인정재헌
26여자배드민턴단식방수현
27남자레슬링자유형 -48kg김종신[56]
281996 애틀랜타 올림픽남자유도-95kg김민수
29여자유도-56kg정선용
30남자유도-71kg곽대성
31여자유도-52kg현숙희
32남자기계체조도마여홍철
33여자배드민턴복식길영아/장혜옥
34남자레슬링자유형 -82kg앙현모
35혼성배드민턴복식라경민/박주봉
36여자필드하키대표팀[57]
37남자양궁단체김보람, 오교문, 장용호
38남자레슬링자유형 -62kg장재성
39남자레슬링자유형 -74kg박장순[58]
40여자핸드볼대표팀[59]
41남자복싱라이트헤비급이승배
42남자육상마라톤이봉주[60]
432000 시드니 올림픽여자사격공기소총 10m강초현
44남자유도-60kg정부경
45여자양궁개인김남순[61]
46남자유도-81kg조인철
47남자배드민턴복식유용성/이동수
48남자기계체조평행봉이주형
49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58kg김인섭
50남자태권도-68kg신준식
51남자필드하키대표팀[62]
52남자레슬링자유형 -76kg문의제[63]
532004 아테네 올림픽남자사격권총 50m진종오
54여자사격더블 트랩이보나
55여자양궁개인이성진
56남자역도-69kg이배영
57남자기계체조개인종합김대은
58남자유도-100kg장성호
59여자탁구복식석은미/이은실
60남자배드민턴복식유용성/이동수
61남자배드민턴단식손승모
62여자역도+75kg장미란
63남자레슬링자유형 -84kg문의제
64여자핸드볼대표팀[64]
652008 베이징 올림픽남자사격공기권총 10m진종오
66여자역도-53kg윤진희
67남자유도-73kg왕기춘
68여자펜싱플뢰레 개인남현희
69남자수영자유형 200m박태환
70남자유도-81kg김재범
71여자양궁개인박성현
72남자양궁개인박경모[65]
73여자배드민턴복식이경원/이효정
74남자기계체조평행봉유원철
75여자역도-48kg임정화[66]
762012 런던 올림픽남자수영자유형 400m박태환
77남자수영자유형 200m박태환
78여자펜싱에페 단체대표팀[67]
79남자사격권총 50m최영래
80남자사격소총 50m 3자세김종현
81남자탁구단체오상은, 유승민, 주세혁
82남자태권도-58kg이대훈
83남자복싱라이트급한순철[68]
84남자역도94kg김민재[69]
85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여자유도-48kg정보경
86남자유도-66kg안바울
87남자사격소총 50m 복사김종현
882020 도쿄 올림픽여자펜싱에페 단체강영미, 송세라, 이혜인, 최인정
89여자태권도+67kg이다빈
90남자유도-100kg조구함
91여자사격25m 권총김민정


2.3. 동메달[편집]


번호대회성별종목세부 종목이름
11948 런던 올림픽남자역도미들급김성집[70]
2남자복싱플라이급한수안[71]
31952 헬싱키 올림픽남자역도미들급김성집[72]
4남자복싱밴텀급강준호
51956 멜버른 올림픽남자역도라이트급김창희
61964 도쿄 올림픽남자유도미들급김의태
7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남자복싱밴텀급장규철[73]
81976 몬트리올 올림픽남자유도미들급박영철
9여자배구대표팀[74]
10남자유도무제한급조재기
11남자레슬링자유형 플라이급전해섭
12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52kg방대두
13남자레슬링자유형 -48kg손갑도
14남자레슬링자유형 -62kg이정근
15남자복싱라이트급전칠성
16남자유도+95kg조용철
17여자양궁개인김진호
18남자레슬링자유형 -57kg김의곤
191988 서울 올림픽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62kg안대현
20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52kg이재석
21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82kg김상규
22남자기계체조도마박종훈[75]
23남자역도-82.5kg이형근
24남자복싱페더급이재혁
25남자레슬링자유형 -90kg김태우
26여자양궁개인윤영숙
27남자탁구복식안재형/유남규
28남자레슬링자유형 -57kg노경선
29남자유도+95kg조용철
30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52kg민경갑
31남자유도-78kg김병주
32남자유도-71kg정훈
33여자탁구복식현정화/홍차옥
34남자기계체조도마유옥렬
35여자배드민턴복식길영아/심은정
36남자탁구복식강희찬/이철승
37남자탁구복식김택수/유남규
38여자탁구단식현정화
39남자탁구단식김택수
40남자복싱-60kg홍성식
41남자복싱-75kg이승배
421996 애틀랜타 올림픽남자유도-78kg조인철
43여자유도-61kg정성숙
44여자탁구복식류지혜/박해정[76]
45남자탁구복식유남규/이철승
46남자양궁개인오교문
472000 시드니 올림픽남자펜싱에페 개인이상기[77]
48여자양궁개인김수녕
49여자유도-63kg정성숙
50여자유도-70kg조민선
51남자배드민턴복식김동문/하태권
52여자탁구복식김무교/류지혜
53여자유도+78kg김선영
54남자기계체조철봉이주형
55남자야구대표팀[78]
56남자레슬링자유형 -63kg장재성
572004 아테네 올림픽남자유도-60kg최민호
58여자사격트랩이보나
59남자기계체조개인 종합양태영[79]
60여자배드민턴복식라경민/이경원
61여자탁구단식김경아
62남자복싱페더급조석환
63남자복싱웰터급김정주
64남자태권도-68kg송명섭
65여자태권도-67kg황경선
662008 베이징 올림픽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55kg박은철
67여자양궁개인윤옥희
68여자유도-78kg정경미
69남자배드민턴복식이재진/황지만
70여자탁구단체 김경아, 당예서, 박미영
71남자탁구단체오상은, 유승민, 윤재영
72남자복싱웰터급김정주
73여자핸드볼대표팀[80]
742012 런던 올림픽남자양궁단체김법민, 오진혁, 임동현
75남자유도-66kg조준호
76남자펜싱플뢰레 개인최병철
77남자펜싱에페 개인정진선
78여자펜싱플뢰레 단체남현희, 오하나, 전희숙, 정길옥
79남자배드민턴복식이용대/정재성
80남자축구대표팀[81]
81여자역도+75kg장미란[82]
82남자역도+105kg전상균[83]
82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여자역도-53kg윤진희
83남자유도-90kg곽동한
84남자펜싱사브르 개인김정환
85여자양궁개인기보배
86남자레슬링그레코로만형 -75kg김현우
87남자태권도-58kg김태훈
88여자배드민턴복식신승찬/정경은
89남자태권도-68kg이대훈[84]
90남자태권도+80kg차동민
912020 도쿄 올림픽남자펜싱사브르 개인김정환
92남자태권도-58kg장준
93남자유도-66kg안바울
94남자유도-73kg안창림
95남자태권도+80kg인교돈
96남자펜싱에페 단체권영준, 마세건, 박상영, 송재호
97여자펜싱사브르 단체김지연, 서지연, 윤지수, 최수연
98여자기계체조도마여서정[85]
99여자배드민턴복식공희용/김소영[86]
100남자근대 5종개인전웅태[87]


3. 동계 올림픽[편집]


순위
3330167915위
1948 ~ 2022


3.1. 금메달[편집]


번호대회성별종목세부 종목이름
1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남자쇼트트랙1000m김기훈[88]
2남자쇼트트랙5000m 계주김기훈, 모지수, 송재근, 이준호
3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남자쇼트트랙1000m김기훈
4여자쇼트트랙3000m 계주김소희, 김윤미, 원혜경, 전이경[89]
5남자쇼트트랙500m채지훈[90]
6여자쇼트트랙1000m전이경
7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남자쇼트트랙1000m김동성
8여자쇼트트랙3000m 계주김윤미, 안상미, 원혜경, 전이경
9여자쇼트트랙1000m전이경[91]
10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여자쇼트트랙1500m고기현
11여자쇼트트랙3000m 계주박혜원, 주민진, 최민경, 최은경
12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남자쇼트트랙1500m안현수[92]
13여자쇼트트랙1500m진선유
14남자쇼트트랙1000m안현수
15여자쇼트트랙3000m 계주강윤미, 변천사, 전다혜, 진선유, 최은경
16여자쇼트트랙1000m진선유[93]
17남자쇼트트랙5000m 계주서호진, 송석우, 안현수, 오세종, 이호석[94]
18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남자쇼트트랙1500m이정수
19남자스피드 스케이팅500m모태범[95][96]
20여자스피드 스케이팅500m이상화
21남자쇼트트랙1000m이정수[97]
22남자스피드 스케이팅10000m이승훈[98]
23여자피겨 스케이팅여자 싱글김연아
242014 소치 동계올림픽여자스피드 스케이팅500m이상화
25여자쇼트트랙3000m 계주공상정, 김아랑, 박승희, 심석희, 조해리
26여자쇼트트랙1000m박승희
272018 평창 동계올림픽남자쇼트트랙1500m임효준
28남자스켈레톤남자윤성빈[99][100]
29여자쇼트트랙1500m최민정
30여자쇼트트랙3000m 계주김아랑, 김예진, 심석희, 이유빈, 최민정
31남자스피드 스케이팅매스 스타트이승훈[101]
32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남자쇼트트랙1500m황대헌
33여자쇼트트랙1500m최민정[102]

3.2. 은메달[편집]


번호대회성별종목세부 종목이름
1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남자스피드 스케이팅1000m김윤만[103]
2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남자쇼트트랙1000m채지훈[104]
3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남자쇼트트랙5000m 계주김동성, 이준환, 이호응, 채지훈
4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여자쇼트트랙1500m최은경
5여자쇼트트랙1000m고기현
6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남자쇼트트랙1500m이호석
7여자쇼트트랙1500m최은경
8남자쇼트트랙1000m이호석
9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남자스피드 스케이팅5000m이승훈
10남자스피드 스케이팅1000m모태범
11남자쇼트트랙1000m이호석
12여자쇼트트랙1500m이은별
13남자쇼트트랙500m성시백[105]
14남자쇼트트랙5000m 계주곽윤기, 김성일, 성시백, 이정수, 이호석
152014 소치 동계올림픽여자쇼트트랙1500m심석희
16여자피겨 스케이팅여자 싱글김연아[106]
17남자스피드 스케이팅팀추월김철민, 이승훈, 주형준
182018 평창 동계올림픽여자스피드 스케이팅500m이상화
19남자스피드 스케이팅500m차민규
20남자스피드 스케이팅팀추월김민석, 이승훈, 정재원
21남자쇼트트랙500m황대헌
22남자스노보드평행대회전이상호[107]
23여자스피드 스케이팅매스스타트김보름
24여자컬링김경애, 김선영, 김영미, 김은정, 김초희
25남자봅슬레이남자 4인승김동현, 서영우, 원윤종, 전정린
26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여자쇼트트랙1000m최민정
27남자스피드 스케이팅500m차민규
28여자쇼트트랙3000m 계주김아랑, 서휘민, 이유빈, 최민정
29남자쇼트트랙5000m 계주곽윤기, 김동욱, 박장혁, 이준서, 황대헌
30남자스피드 스케이팅매스 스타트정재원

3.3. 동메달[편집]


번호대회성별종목세부 종목이름
1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남자쇼트트랙1000m이준호
2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여자쇼트트랙1000m김소희
3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여자쇼트트랙500m전이경[108]
4여자쇼트트랙1000m원혜경
5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남자스피드 스케이팅500m이강석
6남자쇼트트랙500m안현수
7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여자쇼트트랙1500m박승희
8여자쇼트트랙1000m박승희
92014 소치 동계올림픽여자쇼트트랙500m박승희
10여자쇼트트랙1000m심석희
112018 평창 동계올림픽남자스피드 스케이팅1500m김민석[109]
12남자쇼트트랙1000m서이라
13남자쇼트트랙500m임효준
14남자스피드 스케이팅1000m김태윤
15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남자스피드 스케이팅1500m김민석
16남자스피드 스케이팅매스 스타트이승훈


4. 하/동계 올림픽 메달 합산[편집]


순위
12912111636618위
1948 ~ 2022

5. 선수별 메달 개수[편집]


본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 모든 선수들 가운데 메달 수가 4개 이상인 선수들을 나열하며, 순위는 메달 수와 금은동 개수로 결정한다. 굵게 표시한 이름은 현역으로 활동 중인 선수들이다.
순위이름성별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참가 대회
1진종오남자사격42062004, 2008, 2012, 2016, 2020
2김수녕여자양궁41161988, 1992, 2000
3이승훈남자스피드 스케이팅23162010, 2014, 2018, 2022
4전이경여자쇼트트랙40151992, 1994, 1998
5최민정여자쇼트트랙32052018, 2022
6박승희여자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110]20352010, 2014, 2018
7이호석남자쇼트트랙14052006, 2010, 2014
8박성현여자양궁31042004, 2008
9안현수남자쇼트트랙30142002, 2006
기보배여자양궁30142012, 2016
11최은경여자쇼트트랙22042002, 2006
12심석희여자쇼트트랙21142014, 2018
13김정환남자펜싱20242012, 2016, 2020
14박태환남자수영13042004, 2008, 2012, 2016
15오성옥여자핸드볼12141992, 1996, 2000, 2004, 2008
16유남규남자탁구10341988, 1992, 1996

6. 4회 이상 연속 메달 수상자[편집]


이름종목세부종목입상내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
진종오사격남자 10m 공기권총
남자 50m 권총
2004 아테네 남자 50m 권총 은메달
2008 베이징 남자 10m 공기권총 은메달
2008 베이징 남자 50m 권총 금메달
2012 런던 남자 10m 공기권총 금메달
2012 런던 남자 50m 권총 금메달
2016 리우데자네이루 남자 50m 권총 금메달
420
이승훈스피드 스케이팅남자 5000m
남자 10000m
남자 팀추월
남자 매스스타트
2010 밴쿠버 남자 5000m 은메달
2010 밴쿠버 남자 10000m 금메달
2014 소치 남자 팀추월 은메달
2018 평창 남자 팀추월 은메달
2018 평창 남자 매스스타트 금메달
2022 베이징 남자 매스스타트 동메달
231

7. 3회 연속 메달 수상자[편집]


이름종목세부종목입상내역금메달은메달동메달
유남규탁구남자 단식
남자 복식
1988 서울 남자 단식 금메달
1988 서울 남자 복식 동메달
1992 바르셀로나 남자 복식 동메달
1996 애틀랜타 남자 복식 동메달
103
박장순레슬링남자 자유형 -68kg
남자 자유형 -74kg
1988 서울 올림픽 남자 자유형 -68kg 은메달
1992 바르셀로나 남자 자유형 -74kg 금메달
1996 애틀랜타 남자 자유형 -74kg 은메달
120
김동문배드민턴남자 복식
혼합 복식
1996 애틀랜타 혼합 복식 금메달
2000 시드니 남자 복식 동메달
2004 아테네 남자 복식 금메달
201
장용호양궁남자 단체1996 애틀랜타 남자 단체 은메달
2000 시드니 남자 단체 금메달
2004 아테네 남자 단체 금메달
210
임동현양궁남자 단체2004 아테네 남자 단체 금메달
2008 베이징 남자 단체 금메달
2012 런던 남자 단체 동메달
201
유승민탁구남자 단식
남자 단체
2004 아테네 남자 단식 금메달
2008 베이징 남자 단체 동메달
2012 런던 남자 단체 은메달
111
황경선태권도여자 -67kg2004 아테네 여자 -67kg 동메달
2008 베이징 여자 -67kg 금메달
2012 런던 여자 -67kg 금메달
201
장미란역도여자 +75kg2004 아테네 여자 +75kg 은메달
2008 베이징 여자 +75kg 금메달
2012 런던 여자 +75kg 동메달
111
이상화스피드 스케이팅여자 500m2010 밴쿠버 여자 500m 금메달
2014 소치 여자 500m 금메달
2018 평창 여자 500m 은메달
210
김정환펜싱남자 사브르 개인
남자 사브르 단체
2012 런던 남자 사브르 단체 금메달
2016 리우데자네이루 남자 사브르 개인 동메달
2020 도쿄 남자 사브르 개인 동메달
2020 도쿄 남자 사브르 단체 금메달
202
김아랑쇼트트랙여자 3000m 계주2014 소치 여자 3000m 계주 금메달
2018 평창 여자 3000m 계주 금메달
2022 베이징 여자 3000m 계주 은메달
210


8. 4위 입상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4위 입상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북한 메달리스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올림픽/북한 메달리스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청소년 올림픽 메달리스트[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청소년 올림픽/한국 메달리스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7:29:50에 나무위키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메달리스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사실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만약 여기 언급된 288개 메달과, 손기정과 남승룡의 메달을 이 목록에 넣어서 290개 메달로 정리한다면 이 문서의 목록 등재 기준 자체가 모호해진다. 이 290개를 어떠한 예외도 없이 아우르는 명확한 기준이 없다는 소리다. 가령 손기정과 남승룡이 한민족이기 때문에 넣어야 한다면 여기에 추가해야 할 다른 한민족 메달리스트가 늘어난다. 또한 다른 민족인 한국 메달리스트는 빼야 한다. 올림픽 후 한국 국적자이기 때문에 넣어야 한다면 이 목록에서 현재 한국 국적이 아닌 사람들을 빼야 한다. 만약 출생지 기준으로 한다면 남승룡은 들어갈 수 있지만 손기정은 빼야 한다(이북 출신이다. 만약 이북도 헌법상 대한민국 땅이므로 넣어야 한다면 손기정뿐만 아니라 넣어야 할 사람이 훨씬 많다.). 또 넣어야 할 사람이 늘고 빼야 하는 사람이 생긴다. '한국인 정체성'을 기준으로 해야 하겠다면 그 많은 메달리스트의 성향을 하나씩 다 따져야 한다. 그러니 가장 깔끔한 등재 기준은 오직 '대한올림픽위원회 대표'로 참가하여 메달을 땄는가 그것 하나이다. 그렇기에 여기서도 똑같은 사람이 딴 메달 중 일부는 포함되고 일부는 제외된다.[2] 올림픽 통산 첫 금메달이며, 경상도 출신 첫 금메달리스트다.[3] 전라도 출신 첫 금메달리스트다. 2017년 사망.[4] 대구 및 경상북도 출신 첫 금메달리스트. 동시에 용인대학교 출신 최초의 메달리스트다.[5] 전라북도 출신 첫 금메달리스트.[6] 여성 최초의 금메달리스트.[7] 추석 당일에 금메달을 획득해 한복을 입고 시상대에 올랐다. [8] 기미숙, 김경순, 김명순, 김영숙, 김춘례, 김현미, 박현숙, 석민희, 성경화, 손미나, 송지현, 이기순, 이미영, 임미경, 한현숙[9] 이 금메달로 기미숙(경기), 김영숙(경기), 석민희(서울), 성경화(서울)가 수도권 출신 첫 금메달리스트가 됐다. #[10] 대한민국 올림픽 구기 종목 첫 금메달.[11] 한국의 포디움 스윕 당시 나온 금메달이며, 충청도 출신 첫 금메달리스트이다.[12] 올림픽 여자탁구 역사상 유일하게 중국 이외의 국가가 획득한 금메달이다.[13] 대전•세종•충청남도 출신 첫 금메달리스트.[14] 전인수는 인천광역시 출신 첫 금메달리스트가 됐다.[15] 편파 판정의 결과였다. 자세한 내용은 박시헌 문서 참조.[16] 대한민국이 사상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서 대회 첫날의 첫번째 금메달이자 대한민국 사격 올림픽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17] 김화숙, 남은영, 문향자, 민혜숙, 박갑숙, 박정림, 오성옥, 이미영, 이호연, 임오경, 장리라, 차채경, 한선희, 한현숙, 홍정호, 황선희[18] 대한민국 올림픽 구기 종목 사상 첫 2연패이다.[19] 대한민국이 사상 처음으로 하계 올림픽에서 대회 마지막 날의 마지막 금메달이자 대한민국 마라톤 올림픽 첫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강원도 출신 첫 금메달리스트이다.[20] 대한민국 하계 올림픽 통산 100번째 메달이다.[21] 한국의 포디움 스윕 당시 나온 메달이다.[22] 펜싱에서의 첫 금메달이다[23] 수영 최초의 금메달. 박태환은 금메달 획득 당시 경쟁 선수들이 죄다 기록 단축에 효과가 있는 전신수영복을 입었을 때 혼자 반신수영복을 입고 금메달을 땄다.[24] 강민호, 고영민, 권혁, 김광현, 김동주, 김민재, 김현수, 류현진, 박진만, 봉중근, 송승준, 오승환, 이대호, 이승엽, 이용규, 이종욱, 이진영, 이택근, 윤석민, 장원삼, 정근우, 정대현, 진갑용, 한기주[25] 강민호는 최초이자 유일한 제주도 출신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26] 대한민국 남자 양궁 올림픽 개인전 첫 금메달이다.[27] 대한민국 올림픽 통산 100번째 금메달이다.[28] 대한민국 하계올림픽 도전 역사상 최초의 남자 2관왕, 유일무이 개인종목 2관왕이자 양궁 이외의 종목 2관왕이다.[29] 대한민국 태권도 올림픽 사상 첫 2연패이다.[30] 대한민국 올림픽 도전 역사상 개인종목 최고령 금메달이다.[31] 대한민국 남자 양궁 최초의 올림픽 2관왕이다.[32] 108년 만의 올림픽 여자골프 금메달[33] 양궁 남녀 혼성전 첫 금메달.[34] 세계 3번째 단일 종목 9회 연속 금메달[35] 대한민국 하계올림픽 사상 첫 3관왕[36]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안현수, 진선유 이후 무려 15년 만에 올림픽 3관왕 통산 3번째이자 하계 올림픽에서 첫 3관왕이다.[37] 사상 첫 은메달이다. 동시에 수도권 출신 첫 은메달리스트이다. 독일의 볼프강 베렌트(동독 출신이지만 당시 단일 팀이었기에 독일로 기록해야 한다. 비공식적인 동독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와의 경기에서 송순천은 모든 라운드에서 우세한 경기를 펼쳤으나 석연치 않은 판정으로 은메달에 만족해야만 했다. 그리고 7년 후, 금메달을 차지한 베렌트는 대한체육회를 통해 "그날의 결승전, 그리고 당신을 잊을 수 없다. 그날 경기는 당신이 이긴 것이었다.”라는 편지를 보냈다고 한다. 2019년 10월 사망.[38] 올림픽 이후인 1966년 세계 레슬링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종목 무관 한국 최초의 세계선수권대회 우승자이다.[39] 결승전 상대 선수는 일본의 사쿠라이 다카오이고 일본 권투 사상 최초이자 20세기 유일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다. 이후 일본은 복싱 노골드를 이어가다 48년 뒤 2012 런던 올림픽에서 21세기 첫 복싱 금메달을 획득했다. [40] 강원도 출신 첫 메달리스트. 1985년 사망.[41] 이 대회 유일의 대한민국 메달리스트이다. 재일교포 출신 첫 은메달리스트.[42] 1996년 사망.[43] 경상도 출신 첫 은메달리스트.[44] 김영희, 김은숙, 김화순, 문경자, 박양계, 박찬숙, 성정아, 이미자, 이형숙, 정명희, 최경희, 최애영[45] 그 중 김영희는 2023년 1월 31일 사망했다.[46] 김경순, 김미숙, 김옥화, 김춘이, 성경화, 윤병순, 윤수경, 이순이, 이영하, 정순복, 정회순, 한화수[47] 그 중 정순복은 자신의 생일에 메달을 받았다.[48] 전라도 출신 첫 은메달리스트.[49] 대한민국 사격 첫 메달리스트이다.[50] 한국 최초의 포디움 스윕 당시 나온 메달이다.[51] 김미선, 김순덕, 김영숙, 박순자, 서광미, 서효선, 임계숙, 장은정, 정상현, 정은경, 조기향, 진원심, 한금실, 한오경, 황금숙[52] 김순덕 씨는 1999년 씨랜드 청소년수련원 화재사고로 유치원생 아들을 잃은 정신적 충격에 시달리다가 4개월 후 인천 인현동 호프집 화재 참사로 많은 청소년들이 희생되자 현역 시절 받았던 훈장하고 메달을 모두 반납하고 뉴질랜드로 이민을 떠났다.[53] 충청도 출신 첫 은메달리스트.[54] 아시아 최초로 복싱 헤비급에서 메달을 차지했다.[55] 강재원, 고석창, 김만호, 김재환, 노현석, 박도헌, 박영대, 신영석, 심재홍, 오용기, 윤태일, 이경호, 이상모, 임진석, 최석재[56] 결승전에서 북한의 김일에게 패했다.[57] 권수현, 권창숙, 김명옥, 오승신, 우현정, 유제숙, 이은경, 이은영, 이지영, 임정숙, 장은정, 전영선, 조은정, 진덕산, 최미순, 최은경[58] 대한민국 올림픽 레슬링 역사상 유일무이 3연속 결승에 진출한 선수이다.[59] 김랑, 김미심, 김은미, 김정미, 김정심, 문향자, 박정림, 오성옥, 오영란, 이상은, 임오경, 조은희, 한선희, 홍정호[60] 1위인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조시아 투과니보다 불과 3초가 늦었다. 올림픽 마라톤 역사상 1위와의 최단시간 격차 은메달이다.[61] 한국의 2번째 포디움 스윕 당시 나온 메달이다.[62] 강건욱, 김경석, 김용배, 김윤, 김정철, 김청환, 서종호, 송성태, 여운곤, 임정우, 임종철, 전종권, 전종하, 지성환, 한형배, 황종현[63] 금메달리스트의 도핑 적발로 메달이 박탈되는 바람에 동메달에서 승계되었다. 원래 금메달리스트는 준결승에서 문의제에게 경기 종료 직전 역전승한 선수였기에 문의제의 아쉬움이 더 컸다.[64] 김차연, 김현옥, 명복희, 문경하, 문필희, 오성옥, 오영란, 우선희, 이공주, 이상은, 임오경, 장소희, 최임정, 허순영, 허영숙[65] 자신의 생일 (광복절)에 메달을 받았다.[66] 원래 4위였으나 2위인 터키 선수의 약물 적발로 은메달이 박탈되어 동메달로 승격했다가, 다시 당시 금메달리스트였던 중국의 천세샤도 약물 복용이 적발되어 메달을 박탈당하면서 은메달로 승격하게 되었다.[67] 신아람, 정효정, 최은숙, 최인정[68] 대한민국 올림픽 통산 100번째 은메달[69] 대회 당시에는 8위에 그쳤으나 5위를 제외한 1위부터 7위 선수가 모두 도핑에 적발되면서 뒤늦게 은메달을 승계했다.[70] 해방 이후 처음으로 따낸 하계 올림픽 메달이자 대한민국 올림픽 통산 첫 메달이다. 2016년 사망.[71] 유일하게 마지막 경기에서 승리한 권투 동메달리스트이다. 이 대회까지는 권투도 준결승 탈락자가 3, 4위전을 했다. 1998년 사망[72] 한국인 최초로 올림픽 메달 2개를 획득하였다.[73] '순길'이라는 다른 이름이 있어, 기록에 따라 장순길이라고 나오는 경우도 있다. 메달 획득 당시 신문에는 장규철과 장순길이라는 이름이 공존하고 있으며 올림픽 공식 기록에는 장규철로 되어 있다. 과거 신문들을 보면 '장규철'이 '장순길'보다 훨씬 많이 나왔다.(프로 전향 시기와 은퇴 이후 지도자 생활까지 포함한 내용이다.)[74] 마금자, 박미금, 배명선, 변경자, 유경화, 윤경내, 이순복, 이순옥, 장혜숙, 정순옥, 조혜정[75] 대한민국 체조의 첫 올림픽 메달이다.[76] 그 중 박해정은 자신의 생일에 메달을 받았다.[77] 대한민국 펜싱 첫 올림픽 메달이다.[78] 구대성, 김기태, 김동주, 김수경, 김태균, 김한수, 박경완, 박석진, 박종호, 박진만, 손민한, 송진우, 이병규, 이승엽, 이승호, 임창용, 장성호, 정대현, 정민태, 정수근, 진필중, 홍성흔 [79] 금메달을 획득할 수 있었으나 심판의 편파판정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80] 김남선, 김온아, 김차연, 문필희, 박정희, 배민희, 송해림, 안정화, 오성옥, 오영란, 이민희, 최임정, 허순영, 홍정호[81] 구자철, 기성용, 김기희, 김보경, 김영권, 김창수, 김현성, 남태희, 박종우, 박주영, 백성동, 오재석, 윤석영, 이범영, 정성룡, 정우영, 지동원, 황석호[82] 원래 4위였으나 3위인 아르메니아 선수의 약물 복용 적발로 인하여 동메달이 박탈되어 동메달로 승격되었다.[83] 마찬가지로 4위였으나 3위인 알베고프 선수의 약물 복용 적발로 인하여 동메달이 박탈되어 동메달로 승격되었다.[84] 대한민국 올림픽 통산 100번째 동메달[85] 대한민국 여자 체조의 첫 올림픽 메달.[86] 동메달 결정전에서 같은 대한민국 선수인 신승찬/이소희와 맞붙게 되었고, 여기서 승리하여 동메달을 쟁취했다. 서로 4강까지 진출했으나 4강에서 패배해 동메달 결정전으로 내려오게 되면서 같은 국가끼리 맞붙게 되는 희귀한 상황이 연출됐다. 때문에 대한민국은 경기가 치뤄지기도 전에 여자 배드민턴 복식 종목 동메달 획득을 확정지었으나, 반대로 생각하면 대한민국은 여자 배드민턴 복식 종목 메달을 하나밖에 따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87] 대한민국 첫 근대 5종 메달이자 아시아 선수 세번째 근대 5종 메달[88] 대한민국의 첫 동계 올림픽 금메달이다.[89] 김윤미는 이 금메달로 하계, 동계 올림픽 통틀어 역대 최연소 금메달리스트가 되었으며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이 메달로 비수도권 출신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를 배출했다. (첫 금메달을 따낸 김기훈은 서울 출신.)[90] 대한민국의 유일한 쇼트트랙 500m 올림픽 금메달이다.[91] 릴레함메르에 이은 1000m 2연패[92] 이 금메달 덕분에 대한민국은 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부문에서 전종목 금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나라가 되었다.[93] 대한민국 올림픽 사상 첫 3관왕이자 동계 올림픽 첫 3관왕이다.[94] 안현수 3관왕.[95] 사상 첫 쇼트트랙 외 금메달이다.[96] 자신의 생일에 금메달을 획득한 사례이다.[97] 개인전 2관왕[98] 2위로 들어왔으나 1위인 네덜란드의 스벤 크라머의 실격으로 금메달을 받았다.[99] 아시아 최초 썰매 종목 금메달이다. 동계올림픽 사상 첫 비 빙상종목 금메달.[100] 설날 당일에 금메달을 획득해 감사인사 겸 설날인사로 관중들에게 절을 했다.[101] 해당 종목의 초대 챔피언이다.[102] 평창에 이은 1500m 2연패[103] 사상 첫 동계 올림픽 메달이였으며, 1위와는 불과 0.01초 차였다.[104] 3위로 들어왔으나 2위 선수의 실격으로 은메달을 땄다.[105] 2바퀴를 남기고 선두로 달리다가 결승선을 통과하기 직전, 빙질이 안 좋은 곳에서 넘어져 3위로 들어왔다. 다행히 2위 선수의 실격으로 은메달을 땄다.[106] 2연패를 할 수 있었으나 편파판정으로 인해 아델리나 소트니코바에게 금메달을 빼앗겼다.[107]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의 설상종목 메달리스트[108] 결승 진출에 실패하고 파이널 B에서 1위를 했는데 결승전(파이널 A)에서 두 명이 실격되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109] 해당 세부종목 아시아 최초 메달이다.[110] 쇼트트랙에서만 메달을 획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