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52 헬싱키 올림픽

덤프버전 : (♥ 0)

||


1952 헬싱키 올림픽
제15회 올림픽 경기대회
XV olympiadin kisat
Den XV olympiadens spel
Kesäolympialaiset 1952
Olympiska sommarspelen 1952
1952 헬싱키 올림픽 경기대회
Games of the XV Olympiad Helsinki 1952
파일:1952 헬싱키 올림픽 로고.svg
파일:1952-olympic-games-poster.jpg
대회기간1952년 7월 19일 ~ 8월 3일
개최국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헬싱키
참가국69개국
참가선수4,955명[1]
경기종목17개 종목, 149개 세부 종목
개회선언유호 쿠스티 파시키비
핀란드 대통령
선수 선서헤이키 사볼라이넨
성화 점화파보 누르미, 하네스 콜레마이넨
개·폐회식장헬싱키 올림픽 스타디움

1. 개요
2. 유치 과정
3. 특징
4. 경기 종목
5. 대한민국 선수단
6. 주요국 메달 집계



1. 개요[편집]


1952년 7월 19일부터 8월 3일까지 핀란드 헬싱키에서 개최된 제15회 하계올림픽. 예전에 1940년에 개최하려던[2] 헬싱키가 드디어 개최권을 획득하고 개최한 올림픽이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과 미국의 유수의 도시들(로스엔젤레스, 디트로이트, 시카고 등)이 경쟁을 했지만 결국 헬싱키로 표가 전부 움직였다. 개막식장은 헬싱키 올림픽 스타디움.


2. 유치 과정[편집]


국가도시1차2차
핀란드헬싱키1415
미국로스엔젤레스45
미국미니애폴리스45
네덜란드암스테르담33
미국디트로이트2-
미국시카고1-
미국필라델피아0-


3. 특징[편집]


개회식의 성화 최종주자는 개최국 핀란드의 육상영웅 파보 누르미가 맡았다.[3]

제2차 세계 대전 패전국인 독일일본이 다시 참가한 올림픽이다. 다만 독일은 동서분단으로 인해 서독 선수들만으로 구성되어서 출전하게 된다.

한창 6.25 전쟁이 벌어지고 있었을 때로 냉전에 본격적으로 불이 붙은 시기에 열린 올림픽이지만, 개최지 핀란드는 자본주의 국가이긴 해도 소련공산권에 적대적이지 않은 중립국이었던 덕분에, 러시아 혁명 이후 수십년간 국제사회에서 반쯤 고립당하고 있었던 소련이 최초로 올림픽에 참가한 대회이다.[4] 그리고 이스라엘자메이카도 이 대회를 통해 올림픽 무대에 데뷔했다. 소련은 이 대회에 첫 참가임에도 불구하고 종합순위 2등을 해서 스포츠 강국의 위치를 확실히 했고,[5] 자메이카는 육상에서만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를 획득해 종합성적 13위를 기록하는 등 경이로운 실력들을 보여주게 된다.

냉전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뒤 소련을 필두로 하는 공산주의 국가가 제대로 참가한 첫 대회였기 때문에 선수촌을 아예 2개로 나뉘었는대 하나는 공산주의 국가, 하나는 그 외의 나라들 숙소로 운영했다.

시범경기로 필드핸드볼야구가 추가되었다.

개최 당시 기준으로 UN 비회원국에서 열린 몇 안 되는 하계 올림픽이다. 나머지는 1972 뮌헨 올림픽1988 서울 올림픽[6].

한국에서 88 서울 올림픽이 한켠의 추억으로서 회자되는 것처럼 헬싱키 올림픽도 핀란드 내에서 자주 회자되어지는 올림픽이기도 하다. 마침 두 올림픽 모두 각각 한국과 핀란드의 전후재건을 상징하는 올림픽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는데다, 각각 한국인들과 핀란드인들이 자부심을 가지는 올림픽이라는 점에서도 유사한 특징이 있다. 실제로 핀란드인들 중에서는 상업성보다 올림픽의 본질을 강조했다는 점을 근거로 헬싱키 올림픽이 올림픽의 정신이 깃든 마지막 올림픽이라 칭하기도 한다. 마침 헬싱키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70년이 넘는 세월동안 핀란드에서 추가적인 올림픽 유치가 없는지라 더욱 의미가 큰 것도 있다.

4. 경기 종목[편집]




5. 대한민국 선수단[편집]


대한민국6.25 전쟁 중이라 불참도 고려하였으나 결국 참가를 하게 되었으며[8] 이 대회에서 동메달 두 개를 획득하였다. 런던 올림픽에서 역도 동메달을 획득했던 김성집이 다시 한 번 동메달을 따냈으며, 복싱에서는 강준호가 지난 런던 대회의 한수안에 이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종합 순위는 트리니다드 토바고, 우루과이와 함께 공동 37위. 다만 전쟁의 여파로 지난 대회보다 훨씬 적은 수인 20명의 선수만 출전하였고 이는 대한민국의 하계올림픽 출전 사상 가장 작은 규모의 선수단으로 기록되어 있다.


6. 주요국 메달 집계[편집]


순위국기국가메달 합계
1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미국40191776
2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소련22301971
3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49-1956).svg헝가리16101642
4파일:스웨덴 국기.svg스웨덴12131035
5파일:이탈리아 국기.svg이탈리아89421
6파일:체코 국기.svg체코슬로바키아73313
7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프랑스66618
8파일:핀란드 국기.svg핀란드631322
9파일:호주 국기.svg호주62311
10파일:노르웨이 국기.svg노르웨이3205
37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대한민국002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5 18:04:52에 나무위키 1952 헬싱키 올림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남자: 4,436명 / 여자: 519명[2] 1940년 올림픽 개최지로는 원래 일본 도쿄가 결정됐으나 중일전쟁이 발발한 문제로 도쿄의 올림픽 출전권이 박탈됐다. 그리고 대체 개최지로 헬싱키가 선정됐지만 이 역시 제2차 세계 대전 때문에 아예 취소되어버렸다.[3] 1920 안트베르펀 올림픽에서 3관왕을 하였으며, 다음해 올림픽인 1924 파리 올림픽에서 5관왕을 했다. 한마디로 올림픽 초창기를 대표했던 세계적 육상 스타.[4] 1900년과 1908년, 1912년 올림픽 때는 러시아 제국 선수단이 참가했고 러시아의 지배를 받던 핀란드도 핀란드 대공국 선수단으로 따로 참가하였으나 사회주의 혁명 이후 소련은 올림픽에 참가하지 않고 있었다.[5] 소련은 이 대회부터 시작해 아예 참가하지 않은 1984년 LA 올림픽을 제외하면 망할 때까지 전부 종합순위 1등이나 2등을 차지했다.[6] 핀란드는 1955년 12월 14일에, 독일(당시 서독. 동독도 같은 날에 가입했다.)은 1973년 9월 18일에, 대한민국은 1991년 9월 17일에 각각 UN에 가입했다.[시범] A B 시범 경기 종목[7] 출처 국제스포츠정보센터[8] 실제로 같은 해에 열린 동계올림픽은 불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