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항선/역 목록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장항선

1. 본선
2. 지선
4. 폐지된 구간 및 역
4.1. 남포선
4.1.1. 옥서삼각선


일러두기
[ 펼치기 · 접기 ]

여객, 화물 취급
KKTX 필수정차kKTX 선택정차
RSRT 필수정차rSRT 선택정차
IITX-청춘 필수정차iITX-청춘 선택정차
SITX-새마을/ITX-마음/새마을호 필수정차sITX-새마을/ITX-마음/새마을호 선택정차
M무궁화호/누리로 필수정차m무궁화호/누리로 선택정차
C통근열차 정차B바다열차 정차
X동해산타열차 정차VV-train 정차
NS-train 정차DDMZ-train 정차
AA-train 정차GG-train 정차
T광역철도 급행 정차t광역철도 정차
H화물취급여객/화물 미취급
역 등급
관리역
보통역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을종위탁발매소
신호장신호소




1. 본선[편집]


  • 2023년 9월 1일 기준[1]
KTX 정차역
새마을호 정차역
무궁화호 정차역
화물취급역
파일:Seoulmetro1_icon.svg 1호선 정차역

역명운행계통등급접속 노선소재지
연결환승
0.0파일:Seoulmetro1_icon.svg 천 안天 安SMTN파일:Seoulmetro1_icon.svg 천안직결선경부선천안서북구충청남도
1.3파일:Seoulmetro1_icon.svg 봉 명鳳 鳴T천안동남구
2.9파일:Seoulmetro1_icon.svg 쌍 용雙 龍T천안서북구
4.5파일:Seoulmetro1_icon.svg 아 산牙 山SMTG경부고속선아산시
6.3파일:Seoulmetro1_icon.svg 탕 정湯 井T
9.4파일:Seoulmetro1_icon.svg 배 방排 芳T
14.3파일:Seoulmetro1_icon.svg 온양온천溫陽溫泉SMTG
19.4파일:Seoulmetro1_icon.svg 신 창新 昌T
25.2도고온천道高溫泉m
29.7신례원新禮院sMH예산군
34.7예 산禮 山SMG
42.5삽 교揷 橋sMH
49.2화 양華 陽홍성군
54.5홍 성洪 城SMG서해선
58.6신 성新 城H
67.2광 천廣 川SMG
71.3원 죽元 竹보령시
75.0청 소靑 所mH
79.3주 포周 浦
87.6대 천大 川SMG
90.7남 포藍 浦
99.7웅 천熊 川SM
110.9판교(충남)板 橋M서천군
119.5서 천舒 川SMH
124.3장 항長 項SMG
131.3군 산群 山SMGH군산시전라북도
141.1대 야大 野m군산항선
150.5목 천木 川익산삼각선익산시
152.8익 산益 山KRSMNG호남선호남고속선
전라선

관할 본부 및 관리역 정보
  • 대전충청본부 : 천안 ~ 장항 (25개역)
    • 천안역 : 천안 (1개역)
    • 아산역 : 봉명 ~ 신창 (7개역)
    • 홍성역 : 도고온천 ~ 원죽 (9개역)
    • 대천역 : 청소 ~ 장항 (8개역)
  • 전북본부 : 군산 ~ 익산 (3개역)
    • 익산역 : 군산 ~ 익산 (3개역)

2. 지선[편집]




3. 광역전철[편집]



3.1. 수도권 전철[편집]


  • 천안 ↔ 신창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수도권 전철 1호선/역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폐지된 구간 및 역[편집]




4.1. 남포선[편집]


역명여객화물등급분기선소재지
0.0남 포藍 浦장항선충청남도 보령시
4.3옥 마玉 馬
1964년 6월 27일 착공하여 1964년 12월 30일에 개통한 장항선의 지선이다. 이 지선은 보령시(당시 보령군)에 있던 탄광인 "성주탄좌"의 무연탄 운송을 위해 부설된 화물철도였다. 그러나 성주탄좌가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으로 인하여 폐광되자 남포선도 그 기능을 잃게 되었다. 결국 2009년 10월 12일 남포선상의 모든 역의 화물취급이 중지되고, 같은 해 12월 28일 폐지되었다.

폐지되었지만 레일바이크 사업을 위해 선로는 걷어내지 않고 남아 있다.

4.1.1. 옥서삼각선[편집]


역명여객화물등급분기선소재지
옥 서玉 西장항선충청남도 보령시
옥 마玉 馬
남포선의 지선격인 철도이다. 남포선이 천안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장항 방면으로 연결하기 위해 이 철도가 개설되었다. 성주탄좌에서 나오는 무연탄을 사용하는 곳이 여기서 장항 방면에 있는 서천화력발전소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옥마역에서 무연탄을 실은 열차가 옥서삼각선을 거쳐 장항선에 진입, 간치역까지 갔다가 서천화력선으로 다시 분기하여 동백정역까지 운행했다.

서천화력발전소가 수입 무연탄을 사용하게 되면서 이 선로는 쓰임새가 없어졌고, 1992년 5월 2일 폐지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5:46:34에 나무위키 장항선/역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토교통부 고시 제2021-97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