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동부/유사 사례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서대동부

1. 개요
3.1. 호남고속철도[1]


1. 개요[편집]


경부선경부고속선의 서대동부에 대응되는 다른 노선의 최소정차 운행계통 사례이다.

2. KTX[편집]



2.1. 경부고속철도[편집]



2.1.1. 경전선[편집]


경전선 KTX의 경우 하행 최소정차 열차는 KTX #4023(월~목)/#4027(금~일) 열차로 서울 - 천안아산 - 대전 - 동대구 - 밀양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진주에만 정차하며 상행은 #214, #224, #222(마산-창원중앙-동대구-대전-천안아산-광명-서울-행신)열차가 최소정차 열차다. #214와 #218 열차는 진주 - 마산 - 창원중앙 - 밀양 - 동대구 - 대전 - 광명 - 서울에만 정차하며 #224 열차는 진주발에서 마산발로 변경되고, 창원중앙역 대신 창원역에 정차한다.

{{{#ffffff 하행([[진주역|{{{#ffffff 진주}}}]] 방향)}}}
열차번호서울천안아산대전동대구밀양창원중앙창원마산진주열차소요시간
402315:2216:0016:2317:0617:3918:0518:1318:2018:44KTX-산천3시간 22분

{{{#ffffff 상행([[서울역|{{{#ffffff 서울}}}]] 방향)}}}
열차번호진주마산창원창원중앙밀양동대구서대구대전광명서울열차소요시간
21414:3415:00-15:1215:3616:10-16:5217:3517:53KTX3시간 19분
21817:3718:03-18:1518:3919:1319:2220:0420:4721:053시간 28분
224-21:4321:49-22:1922:52-23:3400:1800:372시간 54분

2.1.2. 동해선[편집]


동해선 KTX는 하행은 KTX #243 열차가[2] 서울 - 오송 - 대전 - 동대구 - 포항에 정차하며, 23년 9월부터 매일 운행하는 KTX-산천 #4031, #4033 열차와 금토일에만 운행하는 하행 KTX-산천 #297 열차가 오송역 대신 광명역에 정차한다. 상행은 KTX-산천 #232 열차와 KTX-산천 #236, KTX #246 열차가 포항 - 동대구 - 대전 - 광명 - 서울 에만 정차하는 최소시간 열차다. #4032 열차는 휴일에만 운행하며 광명역에 정차하지 않고 행신역까지 운행한다.
{{{#ffffff 하행([[포항역|{{{#ffffff 포항}}}]] 방향)}}}
열차번호서울광명오송대전동대구포항열차소요시간
297[금토일]05:0205:22-06:0406:47[3]07:22KTX-산천2시간 20분
24312:38-13:2213:3914:2214:57KTX2시간 19분
403108:3408:54-09:3610:1910:54KTX-산천2시간 20분
403315:4416:04-16:4617:3018:05KTX-산천2시간 21분

{{{#ffffff 상행([[서울역|{{{#ffffff 서울}}}]] 방향)}}}
열차번호포항동대구대전광명서울열차소요시간
23205:3706:18[4]07:0007:4308:01KTX-산천2시간 24분
23609:5910:40[5]11:2212:0712:25KTX-산천2시간 26분
24615:3716:1416:5617:3917:57KTX2시간 20분
4032[금토일]18:3219:17[6]19:59-20:56[7]KTX-산천2시간 24분

2.2. 호남고속철도[편집]



2.2.1. 호남고속선[편집]


호남고속선의 경우 용산 - 익산 - 광주송정만 정차하는 일명 용익광 열차가 1일 1회[8], 익광 열차가 1일 1회[9], 이 2편은 용산에서 광주송정까지 유일하게 90분대를 찍는 열차다.[10]

상행의 경우 목포 - 광주송정 - 익산 - 용산만 서는 #412 열차만이 유일했으나, 2018년 6월 시간표 개정으로 인해 광명역에 추가로 정차하고 종착역이 서울역으로 연장되어[11] 현재까지 유지중에 있다. 현재까지도 이 열차가 용산도착 기준 호남선 상행 최단 시간열차이며 이외엔 나주역에 추가로 정차하는 #410, #440 열차가 있으며 나주역정읍역을 추가로 정차하는 #428 열차가 있다.

{{{#ffffff 하행([[광주송정역|{{{#ffffff 광주송정}}}]], [[목포역|{{{#ffffff 목포}}}]] 방향)}}}
열차번호행신서울용산광명오송공주익산정읍광주송정나주목포열차소요시간
401--05:0705:2505:55-06:2406:4107:02-07:34KTX-산천2시간 27분
491[주말]--07:3607:55-08:3708:56-09:26--KTX1시간 49분
411--09:1809:36--10:30-11:00--KTX1시간 42분
41712:1512:3712:44-13:27-13:5614:1314:34-15:07KTX-산천2시간 52분
425--16:08---17:14-17:44--KTX1시간 36분
437--21:1821:36-22:1822:37-23:0923:1923:46KTX2시간 28분

{{{#ffffff 상행([[서울역|{{{#ffffff 서울}}}]] 방향)}}}
열차번호목포나주광주송정정읍익산오송광명용산서울행신열차소요시간
41009:0609:3409:44-10:23[12]-11:2011:36--KTX-산천2시간 30분
41209:52-10:2710:4711:05-12:0212:2312:28-KTX2시간 36분
492[주말]--11:06-11:3812:0712:4112:57--KTX1시간 51분
4042[월~목]15:1915:4715:57-16:29-17:2617:42--KTX-산천2시간 23분
428--18:19-18:5119:2119:5420:1320:18-KTX1시간 59분
43218:4819:1619:2619:4620:05-21:0221:18--KTX2시간 30분
44021:5222:2022:30-23:02-23:5900:19-00:41KTX2시간 49분


2.2.2. 호남선[편집]


SRT의 개통 후 기존 서울 - 대전 구간을을 왕복하던 KTX 중 일부를 이 서대전으로 끌어와 행신/서울/용산↔서대전 계통으로 운행하게 되었다. 서대전 착발 최소정차 열차는 하행에 한해서 #483 열차가 유일하다. 이 열차는 시발역과 종착역을 제외하고 아산에만 정차한다. 광명과 오송을 통과하면서 서울/행신 착발이 아닌 덕분에 딱 세 역에만 정차한다. 특별히 이 열차는 요일별 운행 전동차가 다르다. [13]

{{{#ffffff 하행([[서대전역|{{{#ffffff 서대전 방향}}}]])}}}
열차번호용산천안아산서대전열차소요시간
48317:4718:2118:48KTX1시간 1분

현재는 상행에도 비슷한 열차가 생겼다. KTX-산천 #476 열차로, 서대전역이 아닌 익산역 착발이지만, 서대전역에서부터는 오송역에만 정차하고 종착역인 용산역까지 무정차로 달린다. 서대전-용산 소요시간은 1시간 3분.

2.2.3. 전라선[편집]


전라선의 경우 막차가 각각 최소정차 열차이며 하행은 용산 - 광명 - 익산 - 전주 - 남원 - 순천 - 여천 - 여수로 소요시간은 2시간 48분이며 광명역 이외엔 호남.전라선 상 KTX 필수 정차역에만 정차한다. 본래 여천역도 정차했으나 2016년 초에 무정차 통과로 변경되었다가 2019년 12월 개정으로 인해 다시 정차역에 추가 되었다. 아울러 이 열차는 호남고속선 // 열차를 제외하고 광명에서 익산까지 무정차로 쏘는 유일한 하행열차이며 충청권 정차역 (천안아산, 오송, 공주)을 전부 통과한 후 직행한다. 2023년 3월 개정으로 인해 2시간 48분이 걸리게 되었다.

그 외에 첫차인 KTX-산천 501열차가 용산 - 광명 - 오송 - 익산 - 전주 - 남원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역에 정차하며 KTX-산천 517열차가 서울 - 용산 - 오송 - 익산 - 전주 - 남원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역에 정차한다. 주말에 KTX-산천 543열차가 행신 - 서울 - 용산 - 오송 - 익산 - 전주 - 남원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역에 정차한다.[14]

상행은 여수 - 여천 - 순천 - 남원 - 전주 - 익산 - 오송 - 용산이며 소요시간은 2시간 48분이다. 한때는 광명역도 정차하였으며 소요시간은 2시간 48분이였으나 2019년 12월 30일 시간표 개정으로 광명역 정차가 삭제되고 오송에서 용산까지 무정차로 운행하며 소요시간이 4분 단축되었다. 아울러 여수 출발시간도 6분 늦춰졌다.[15] 이 열차도 오송을 제외하곤 전라선과 호남고속선상의 필수정차역에만 정차한다. 이 열차도 역시 여천에 정차했었지만 2017년 2월 시간표 개정으로 여천 정차가 삭제 되었다.
이외엔 KTX-산천 506열차가 여수 - 여천 - 순천 - 구례구 - 남원 - 전주 - 익산 - 광명 - 용산역에 정차하며 KTX 512열차가 여수 - 순천 - 남원 - 전주 - 익산 - 오송 - 천안아산 - 광명 - 용산 - 행신역에 정차하여 용산도착 기준 524열차 다음으로 최단시간인 2시간 52분만에 끊어준다. KTX-산천 518열차는 여수 - 여천 - 순천 - 곡성 - 남원 - 전주 - 익산 - 천안아산 - 광명 - 용산역에 정차한다.[16]
{{{#ffffff 하행([[여수엑스포역|{{{#ffffff 여수엑스포}}}]] 방향)}}}
열차번호용산광명익산전주남원순천여천여수엑스포열차소요시간
52321:4722:0522:5823:1523:4200:1300:2700:35KTX-산천2시간 48분

{{{#ffffff 상행([[용산역|{{{#ffffff 용산}}}]] 방향)}}}
열차번호여수엑스포여천순천남원전주익산오송용산행신열차소요시간
52421:5522:0222:1622:4723:1323:2923:5800:4301:07KTX-산천3시간 12분

2.3. 준고속철도[편집]



2.3.1. 경강선(강릉선)[편집]



2.3.1.1. 서울 착발[편집]


행신착발을 제외한 강릉선 전구간 최속달 열차는 경강선 하행에 한해서 서울역을 22:11에 출발하여 진부역을 추가로 정차하는 #827 열차가 유일하다. 이 열차는 서울발 강릉행 막차다.
{{{#ffffff 하행([[강릉역|{{{#ffffff 강릉}}}]] 방향)}}}
열차번호서울청량리만종진부강릉열차소요시간
82722:1122:3223:1823:4300:00KTX-이음1시간 49분


2.3.1.2. 청량리 착발[편집]

[17]
매일 운행하는 최속달 열차는 바로 위에서 언급한 #827 열차가 최속달 열차이며 금요일과 주말에만 운영하는 청량리역 시종착 열차는 상하행 4대의 열차만이 4개 이하의 역에 정차한다. 상행에는 만종역만 정차하는 #860 열차와 평창역을 추가 정차하는 #852 열차가 있다. 하행에는 만종역만 정차하는 #857, #861 열차가 있다. 2022년 7월 31일부터는 서울역과 청량리역에서 중간 정차역 없이 무정차 직통으로 강릉까지 운행하는 KTX가 생겼다. 하지만, 여러 문제로 인해 직통 KTX는 1년이 가지 못하고 사라졌다. (해당 문서 참고)
{{{#ffffff 상행([[청량리역|{{{#ffffff 청량리}}}]] 방향)}}}
열차번호강릉평창만종청량리열차소요시간
852[주말]10:0510:2710:4611:34KTX-이음1시간 29분
860 [금토일]15:56-16:3417:201시간 24분

{{{#ffffff 하행([[강릉역|{{{#ffffff 강릉}}}]] 방향)}}}
열차번호청량리만종강릉열차소요시간
857[금토일]12:0512:5313:30KTX-이음1시간 25분
861[금토일]15:5016:3717:141시간 24분


2.3.2. 영동선(강릉선)[편집]



평일 기준으로 하루 편도 4회 운영하기 때문에, 1~3개의 역을 제외하고는 경강선 연선에 있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금요일과 주말에만 추가 운영하는 열차는 정차역이 조금 줄지만, 시종착역을 제외해도 필수 정차역이 만종역, 정동진역, 묵호역으로 3개나 된다. 필수정차역에만 정차하는 열차는 상행 #884 열차가 유일하며, 상봉역에 추가로 정차하는 상행 #882 열차와 평창역에 추가로 정차하는 하행 #885열차가 운행하고 있다.
{{{#ffffff 상행([[청량리역|{{{#ffffff 청량리}}}]] 방향)}}}
열차번호동해묵호정동진만종상봉청량리열차소요시간
882[주말]07:1507:2207:4208:3209:1509:20KTX-이음2시간 5분
884[금토일]12:4012:4713:0813:57-14:432시간 3분

{{{#ffffff 하행([[동해역|{{{#ffffff 동해}}}]] 방향)}}}
열차번호청량리만종평창정동진묵호동해열차소요시간
885[금토일]20:1521:0321:2421:5722:1822:25KTX-이음2시간 10분

2.3.3. 중앙선[편집]


중앙선 KTX의 하행 최소정차[18] #713 열차로 청량리 - 양평 - 원주 - 제천 - 영주 - 안동에만 정차하며 상행은 #710, #714 열차가 최소정차 열차다. #714 열차는 안동 - 영주 - 제천 - 원주 - 양평 - 청량리에만 정차하며 #710 열차는 양평역 대신 단양역에 정차한다.
{{{#ffffff 하행([[안동역|{{{#ffffff 안동}}}]] 방향)}}}
열차번호청량리양평원주제천영주안동열차소요시간
71322:0022:2722:5023:1123:4300:00KTX-이음2시간

{{{#ffffff 상행([[청량리역|{{{#ffffff 청량리}}}]] 방향)}}}
열차번호안동영주단양제천원주양평청량리열차소요시간
71016:3016:4817:0717:2517:44-18:30KTX-이음2시간
71421:2521:43-22:1622:3522:5823:241시간 59분

3. SRT[편집]



3.1. 호남고속철도[19][편집]


호남고속선을 이용하는 SRT의 경우 경기도 평택시 평택지제역에서 전라북도 익산시 익산역까지의 하행 운행시 을 통째로 건너뛰어 직통 무정차 운영하기도 한다.[20] 연속으로 3역을 초과하여 무정차하는 경우는 SRT 659, 619[21] 열차의 정차역이 조정된 후로 없다. 한편, 상행 열차는 SRT 610, 612 열차가 각각 공주~수서와 익산~동탄 사이의 4개의 역들을 모두 건너뛌었으나 9월 시간표 개정으로 610 열차가 평택지제역에 추가 정차하게 되어 공주-수서까지 무정차 열차는 없어지게 되었다. 다만 상행에도 662 열차가 개통 당시 익산~수서를 직통으로 운행했는데, 목포~수서를 2시간 7분에 주파했었다. 그러다가 2017년 2월경 정차역이 조정된 것으로 보인다.
{{{#ffffff 하행([[광주송정역|{{{#ffffff 광주송정}}}]], [[목포역|{{{#ffffff 목포}}}]] 방향)}}}
열차번호수서동탄평택지제천안아산오송공주익산정읍광주송정나주목포열차소요시간
65105:08---05:44-06:1306:3006:5106:0107:28SRT2시간 20분
60307:40-08:01---08:45-09:15--1시간 35분
65711:00--11:29--12:0612:2312:4412:5413:212시간 21분
60912:20--12:49-13:1313:32-14:03--1시간 43분
66116:1116:29---17:0617:25-17:5718:0718:342시간 23분
62123:0023:17-23:35--00:12-00:42--1시간 42분

{{{#ffffff 상행([[수서역|{{{#ffffff 수서}}}]] 방향)}}}
열차번호광주송정익산공주오송평택지제동탄열차소요시간
60810:1810:50-11:1911:4211:5412:11SRT1시간 53분
61011:1311:4512:03-12:36-12:521시간 45분
61212:5613:28---14:2014:371시간 41분
61415:3916:1616:34-17:0817:1917:361시간 57분

4. ITX-청춘[편집]


경춘선 ITX-청춘의 경우, 개통 초기에는 가평역에 정차하지 않았지만 현재 5역의 반열에 들었으며[22] 평내호평역은 평일에 하행#2009 상행#2026[23] 각 1회씩을 제외 모든 열차들이 정차하며, 주말에도 필수 정차역들 다음으로 가장 많이 정차하기 때문에 준필수 정차역이라 볼 수 있다. 해당 한 쌍의 열차는 바로 옆의 마석역에 대신 정차하기 때문에 평일에는 6개역 미만은 정차하지 않으며, 주말에도 필수 5역만 정차하는 열차는 하행#2063 상행#2084 각 1회씩 뿐이다.
6개역 정차(밝은 음영의 5개역 정차 포함)는 다음과 같다.
{{{#ffffff 하행([[춘천역|{{{#ffffff 춘천}}}]] 방향)}}}
평일열차번호용산청량리평내호평마석가평남춘천춘천열차소요시간
200106:0006:1706:3906:5707:1207:15ITX-청춘1시간 15분
200909:5710:1410:3810:5311:0711:101시간 13분
201714:0014:1714:3814:5615:1115:141시간 14분
201915:2015:3615:5816:1616:3016:331시간 13분
202317:0017:1717:3917:5718:1218:151시간 15분
203321:2121:3821:5922:1722:3222:351시간 14분
203522:4823:0523:2623:4423:5900:021시간 14분
주말열차번호용산청량리평내호평청평가평강촌남춘천춘천열차소요시간
206309:4910:0610:4310:5811:01ITX-청춘1시간 12분
207714:4715:0415:4115:5015:5916:021시간 15분
208316:1816:3517:0817:1617:3117:341시간 16분
209720:3520:5121:2421:3221:4621:491시간 14분
210122:0522:2122:4323:0123:1523:181시간 13분

{{{#ffffff 상행([[용산역|{{{#ffffff 용산}}}]] 방향)}}}
평일열차번호춘천남춘천가평청평평내호평청량리용산열차소요시간
201009:2109:2509:4009:5810:2010:37ITX-청춘1시간 16분
201210:2310:2710:4211:0011:2211:391시간 16분
201411:1411:1811:3311:5112:1312:311시간 17분
201612:1012:1412:2912:4713:1013:251시간 15분
201813:1513:1913:3413:5214:1414:291시간 14분
203622:1422:1822:3322:5123:1323:281시간 14분
주말206009:3209:3609:5109:5910:3410:491시간 17분
206410:2210:2610:4110:4911:2311:391시간 17분
206611:2511:2911:4411:5212:2512:431시간 18분
207213:3813:4213:5714:0514:3914:561시간 18분
208416:5516:5917:1417:5218:081시간 13분
210222:1322:1722:3422:5323:1623:321시간 19분
[1] 2023년 9월 현재, SRT의 운행계통은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전라선, 동해선, 경전선, 수서평택고속선(#690 열차)가 존재한다.[2] 동해선 KTX 중 유일하게 광명역에 정차하지 않는 편성이다.[금토일] A B C D E F G [3] 진주행 201열차와의 중련 분리 후 곧바로 출발한다. 뒷쪽의 진주행은 분리 작업 후 신호대기로 인해 5분간 정차 후 출발.[4] 서울행 #202 열차와의 중련 연결 작업으로 인해 약 6분간 정차한다.[5] 행신행 #206 열차와의 중련 연결 작업으로 인해 약 6분간 정차한다.[6] 부산 출발 행신행 KTX 산천 98열차와 연결을 위해 10분간 정차 후 출발한다.[7] 서울역 출발 21:01 , 행신역 21:18 도착[8] #425 열차 용산역 16:08 출발 광주송정역 17:44 도착[9] #411 열차 용산역 09:18 출발 광주송정역 11:00 도착.[10] #425 열차는 표정속도가 무려 202.61km/h로, 국내 고속열차 운행계통 중에 유일하게 표정속도가 200km/h를 넘기는 열차이다.[11] 서울역 연장은 2016년 12월 16일에 시행되었으며 연장 후 2018년 6월 시간표 개정 전 까진 목포 - 광주송정 - 익산 - 용산 - 서울을 유지했다.[주말] A B C D 토요일과 일요일에만 운행[12] KTX-산천 506열차와 열차 연결로 인해 7분간 정차한다.[월~목] [13] 언급된 #483 열차를 제외한 나머지 서대전 착발 열차들은 모두 5개 이상역에 정차한다.
#473: 서울-용산-광명-천안아산-오송-서대전 (행신 제외 각역정차)
#484: 서대전-오송-광명-용산-서울-행신 (천안아산 제외 각역정차)
#486: 서대전-오송-천안아산-광명-용산 (용산까지 각역정차)
[14] 523열차 이외의 다른 열차들은 익산역에서 목포행 KTX-산천 열차와 분리 및 신호대기로 인해 5 ~ 6분 간 정차 후 출발하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더 늘어난다.[15] 여천 - 여수엑스포 구간이 단선인 특성상 하행 #719열차의 도착시간이 21시 47분인데 하행열차가 지연되면 21시 50분에 출발하는 #524열차가 출발하지 못 해 지연되어 시간을 조정했다.[16] 512, 524열차 이외의 다른 열차들은 익산역에서 목포발 KTX-산천 열차와 복합연결운행을 위해 6 ~ 8분 간 정차 후 출발하여 소요시간이 더 늘어난다. 특히 518열차는 시간표 상으론 익산역에 3분 간 정차하는것으로 나와있는데 실제로는 삼례역부터 평화육교 직전까지의 직선구간에서 최대한의 속도로 주행하여 익산역에 조착하여 실질적으론 6분 정차 후 출발한다. 2018년 6월 시간표 개정 때 경부, 경전, 동해, 호남, 전라선 KTX-산천 복합열차들의 소요시간을 단축시킨다고 동대구역익산역 정차시간을 조정했는데 다른열차들은 4 ~ 6분 정차로 조정할 때 518열차만 3분으로 조정했는데 그 시간 안엔 승,하차 및 중련연결을 모두 처리할 수 없다.[17] 경부선의 서대동부, 호남선의 용익광과 더불어, 3대 최속달 KTX 열차의 정차역 약칭이다. 횡성역을 발차하고 바로 상봉역으로 향하는 #866 열차를 제외한 모든 경강선 KTX가 필수적으로 정차하는 곳이 원주시의 만종역 또는 서원주역이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만종역 정차 비율이 서원주역에 비해서 높은 동시에 서원주역을 정차하는 강릉선 계통 열차의 경우 경강선과 영동선 모두 6개 이상의 역에 정차한다.
향후 원주강릉선과 여주원주선과 직결됨과 동시에 성남여주선과 수서광주선 및 월곶판교선이 직결되면, 만강만강 열차도 생길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18] 아직 중앙선에는 필수정차역에만(청량리-원주-제천-영주-안동) 정차하는 KTX는 없다.[19] 2023년 9월 현재, SRT의 운행계통은 경부고속선, 호남고속선, 전라선, 동해선, 경전선, 수서평택고속선(#690 열차)가 존재한다.[20] KTX용산 - 익산 및 호남선 KTX 411열차 및 전라선 KTX 523열차의 광명 - 익산 다음으로 긴 구간이다.[21] 둘 다 수서 - 익산을 직통으로 운행하였다. 659열차의 경우, 수서 - 광주송정을 89분, 수서 - 목포를 무려 2시간 6분에 주파하는 최속달 열차였다. 87분에 주파한 경우도 있었다.[22] 개통 초창기엔 하루 한 편에 한해 청량리-남춘천 무정차 열차가 있었다.[23] 현재 왕십리역도 정차하기 때문에 아래 표에 기재하지 않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대동부 문서의 r35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서대동부 문서의 r35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1:22:19에 나무위키 서대동부/유사 사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