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주역

덤프버전 :


나주역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상무역|{{{#585858,#a7a7a7

상무 방면
]]혁신도시
← ㎞
[[나주역|{{{-3 {{{#585858,#a7a7a7

]]시종착




다른 문자 표기

[ 펼치기 · 접기 ]
로마자
Naju
한자
羅州
간체자
罗州
가나
羅州(ナジュ

주소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역길 56 (송월동)
관리역 등급
보통역
(목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ffffff 운영 기관
호남선
한국철도공사[1]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호남선 (구역)
1913년 7월 1일
~ 2001년 7월 9일[1]
호남선 (신역)
2001년 7월 10일
파일:KTX BI_White, Red.svg
2004년 4월 1일
파일:Untitled-1.png
2016년 12월 9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면 9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호남선
나 주
호남고속선
나 주

철도 계획 노선 보기


1. 개요
2. 역 정보
2.1. 역사
2.2. 시간표
2.2.1. 상행
2.2.2. 하행
3. 승강장
4. 일평균 이용객
5. 여담
6. 연계 교통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나주역 전경.jpg

리모델링 이후 현 역사(2001년 준공)[2]


파일:나주역현.jpg

리모델링 전 모습(2001년~2019년)


파일:external/tourimage.interpark.com/633872356600226168.jpg

구 역사(1925년 준공)[3]


대합실 내부 모습

파일:나주역 스탬프.jpg
나주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배와 농부를 형상화했으며, 같은 도안의 영산포역 스탬프와 함께 비치중이다. 영산포역 스탬프는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에 해당한다.

나주 배를 상징하는 아름다운 선상역사

나주역은 1913년 7월 호남선 개통에 따라 나주시 죽림동에 처음 건축되었다. 항일운동역사에서 차지하는 역사적 의의를 간직한 채 묵묵히 자리를 지켜오다, 2001년 호남선 복선화 부분 개통으로 영산포역과 통합하면서 나주시청 앞으로 이전하였다. 2020년 광주송정과 목포를 잇는 호남고속철도 2단계 사업의 일환으로 나주역은 나주의 자연과 역사를 모티브로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였다. 특히 나주 배와 나이테를 형상화한 비정형 돔 형식의 선상역사로 증축하면서도 기존 역사와의 연계성을 살려 개축을 최소화하였다. 기존 역사는 업무시설로 활용되고 있고, 상부의 세련된 여객시설은 직관적이고 편리한 동선을 자랑한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호남선철도역.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역길 56 (송월동 294-1) 소재.

여기 또한 KTX/SRT가 정차하는 역이기 때문에 광주송정역과 함께 주변 지역의 열차 수요를 담당하며, 나주시, 영암군[4], 해남군(문내, 화원, 산이, 황산 4개지역은 제외), 완도군, 강진군, 무안군 북부, 함평군 서남부에서 이용한다.[5] 나주시 안쪽까지 농어촌버스가 들어오는 영암군을 제외하면 시외버스농어촌버스(함평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광주송정역으로 가는 편이고, 나주역은 넓은 주차 공간 덕분에 버스 이용객보다 자차 이용객이 많다.


2. 역 정보[편집]



2.1. 역사[편집]


호남선 개통 당시에는 구 나주읍 지역에 있던 나주역과 구 영산포읍 중심지에 있던 영산포역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그러나 호남선 복선전철화공사를 하면서 2001년 7월 10일에 두 역을 통합하여 나주시청 인근인 송월동으로 이전하였다. 역에서 나주시청까지 걸어서 약 10분 거리.

구 나주역은 무궁화호 이하 열차가 정차하였고 구 영산포역새마을호 이하 전 열차가 정차하였으므로 신 나주역도 새마을호 이하 전 열차가 정차하게 되었고, 2004년부터 일부 KTX도 정차하였다. 2015년 4월 호남고속선 개통 후 왕복 13편의 KTX 열차가 나주역에 정차한다. 이 역은 위치상 목포역 착발의 모든 열차가 지나가면서 정차 or 통과하게 되는데, 호남고속선 개통 전에는 목포행 KTX가 왕복 7편에서 12편까지 증가하는 동안에도 왕복 4회 가량의 정차횟수를 유지했다. 그러다가 호남고속선 개통 후 이 역을 지나는 목포행 KTX는 왕복 16편으로 33% 가량 증가하였는데, 정차횟수는 3배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기존선을 운행하던 호남선 KTX가 고속선으로 운행하게 되며, 어느 정도 표정속도를 확보하게 되어서 표정속도에 큰 영향을 안 주는 기존선에 해당하는 이 역의 정차횟수를 늘려준 것인지,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에 의한 수요증가인지는 알 수 없다.[6]

2014년 2월 4일나주시에서는 국토교통부 관보 내용을 인용하여 호남고속철도 기본계획 노선이 나주역을 경유함을 확인하였다고 보도하였다.
파일:나주역 조감도.jpg
그리고 나주역이 신 역사로 증축, 리모델링 되었다. 2017년 11월 1일 착공하여, 2020년 2월 완공되었다. 광주송정역보다 커보이는 것은 함정. 다만 실제로 지어진 것은 조감도보다 덜 화려하게 지어졌다. 리모델링 전 지하로 승강장으로 이동하였지만, 현재는 대합실이 2층에 있어 육교 형식으로 승강장이 연결된다.

2020년 3월 20일,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나주역 증축 공사를 준공하였다고 발표했다. 기사

특이하게도 KTX는 선택정차하지만 SRT필수정차하는 역이다. SRT 정차 횟수는 왕복 9회.[7]

2.2. 시간표[편집]



2.2.1. 상행[편집]


파일:KTX BI.svg(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5:51
KTX-산천
404
행신
06:00
KTX
472[김제,서대전]
서울
07:31
KTX
406
용산
08:38
KTX_산천
408
행신
09:34
KTX-산천
410
용산
11:11
KTX_산천
414
서울
13:18
KTX
418
서울
14:11
KTX
420
용산
14:48
KTX-산천
422
서울
15:47
KTX_산천
4042[월~목]
용산
16:18
KTX-산천
424
행신
17:22
KTX-산천
426
용산
18:25
KTX
430
용산
19:16
KTX
432
용산
19:40
KTX-산천
4044[서대전][금~일]
용산
20:20
KTX-산천
434
행신
22:20
KTX
440
행신

파일:SRT BI.svg (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6:49
SRT
652
수서
08:24
SRT
654
수서
10:33
SRT
656
수서
13:33
SRT
658
수서
14:28
SRT
660
수서
17:10
SRT
662
수서
19:30
SRT
664
수서
20:50
SRT
666
수서
22:53
SRT
668
수서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7:52
무궁화
1402
용산
10:19
무궁화
1952
부전
11:03
ITX-새마을
1062
용산
11:38
ITX-마음
1162
용산
16:25
ITX-마음
1164
용산
17:02
무궁화
1404
용산
18:10
ITX-새마을
1064
용산
19:07
무궁화
1982
광주
19:22
무궁화
1470
익산
21:40
무궁화
1474
광주

2.2.2. 하행[편집]


파일:KTX BI.svg(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7:57
KTX-산천
403
목포
08:39
KTX
405
목포
09:53
KTX_산천
407
목포
10:24
KTX
409
목포
12:44
KTX
413
목포
13:03
KTX-산천
475
목포
14:23
KTX_산천
415
목포
15:34
KTX-산천
419+9419[월~목]
419[금~일]
목포
17:36
KTX-산천
4041[금~일]
목포
17:45
KTX
423
목포
18:54
KTX-산천
427
목포
19:43
KTX-산천
429
목포
20:21
KTX
481
목포
21:52
KTX
433
목포
22:42
KTX-산천
435
목포
23:19
KTX
437
목포

파일:SRT BI.svg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7:01
SRT
651
목포
08:48
SRT
653
목포
11:42
SRT
655
목포
12:54
SRT
657
목포
15:07
SRT
659
목포
18:07
SRT
661
목포
19:09
SRT
663
목포
21:20
SRT
665
목포
23:09
SRT
667
목포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7:18
무궁화
1981
목포
12:07
무궁화
1401
목포
12:12
무궁화
1951
목포
13:42
ITX-마음
1161
목포
16:07
ITX-새마을
1061
목포
17:54
무궁화
1473
목포
19:57
무궁화
1469
목포
21:09
ITX-마음
1163
목포
21:35
무궁화
1403
목포
23:21
ITX-새마을
1063
목포

3. 승강장[편집]



노안



3
4


5
6




다시

3·4
호남고속선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광주송정·익산·용산 방면
호남선
파일:ITX-새마을 BI.svg·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광주·서대전·용산 방면
경전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광주송정·진주·부전 방면
5·6
호남고속선
호남선·경전선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함평·일로·목포 방면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총합
비고
2004년
218명

131명
571명
920명
[8]
2005년
303명
119명
493명
915명

2006년
353명
106명
488명
947명

2007년
245명
94명
510명
849명

2008년
340명
109명
452명
901명

2009년
340명
106명
420명
866명

2010년
386명
102명
421명
909명

2011년
387명
88명
451명
926명

2012년
373명
82명
472명
927명

2013년
347명
77명
476명
900명

2014년
428명
99명
499명
1,026명

2015년
1,099명
146명
460명
1,705명

2016년
1,553명
536명
88명
419명
2,596명
[9]
2017년
1,559명
654명
90명
378명
2,681명

2018년
1,746명
778명
81명
364명
2,969명

2019년
1,872명
815명
76명
381명
3,144명

2020년
1,317명
647명
46명
219명
2,229명

2021년
1,503명
726명
56명
233명
2,518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1] 한국철도공사에서 SRT 매표업무까지 관할한다.[2] 2020년 리모델링 후의 모습이지만 거의 재건축 급으로 대대적으로 개축하여 리모델링 이전의 흔적이 거의 남지 않게 되었다.[3] 현재는 광주학생항일운동 전시관으로 쓰이고 있으며, 외부가 다시 칠해졌다.[4] 삼호, 학산, 미암, 서호 4개지역은 제외[5] 무안군에는 무안역몽탄역이 있지만 무궁화호만 정차하고, 함평군함평역은 함평읍과 다소 떨어져 있는데다가 KTXSRT가 정차하지 않기 때문에 일부러 이 역까지 찾아오는 수요가 있다.[6] 한동안 역 인근에 고속철도 정차횟수를 늘려달라는 현수막이 걸려있었고 나주시에서 정차횟수를 늘려달라며 요구하였는지 고속철도 정차횟수가 증가되었다는 현수막이 걸려있었다.[7] 이 역 또한 SRT가 목포역까지 운행해야 정차를 하지만 SRT가 고속선 면허이므로 거의 대부분 광주송정역에서 시종착을 하기 때문에 필수정차라고 해도 정차 횟수 자체는 많지 않다.[김제,서대전] 김제,서대전 경유[월~목] A B 월~목에만 운행한다.[서대전] 서대전 경유[금~일] A B C 금~일에만 운행한다.[8]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9] SRT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2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5. 여담[편집]


  • 이 역에는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가 두 개나 있다. '영산포역'이라고 새겨진 초기 스탬프와 디자인은 완전히 똑같고 역명만 '나주역'으로 변경된 스탬프이다.

  • 역 내에 스토리웨이와 던킨도너츠가 입점해 있으며, 나주시를 상징하는 금동관과 강진군을 상징하는 청자가 전시되어 있다.[10]

  • LG화학 나주공장으로 들어가는 인입선이 있다. 여수국가산업단지에서 생산하는 프로필렌흥국사역에서 싣고 매일 1회 운행하는 화물열차 반입용이다. 선로 구조가 옛 나주역 쪽으로 갔다가 현 나주역으로 돌아오는 방식이다. 이것은 나주역이 이전하면서 인입선을 수정하려고 보니 지형상 공장 시설을 옮겨야 하기 때문에, 궁여지책으로 옛 나주역 쪽으로 가는 인입선을 그대로 두고 거기서 다시 현 나주역까지 인입선을 끌고 온 것이다. 호남선 구 나주역과 현 나주역 사이의 선로가 세 가닥이고 구 나주역에 신호장 비슷한 시설이 남아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나주역을 거치지 않고 바로 본선으로 타는 것은 현 공장구조와 선로배선상 어렵다. 그러면 노안역에 화물중계 역할을 시켜야 한다.


6. 연계 교통[편집]


나주역(1187)[11]
급행

광역

998(영산포터미널)
999(영산포터미널)

시내

순환

순환(남부)

순환(중부)

순환(제한)

[10] 강진군, 장흥군을 비롯해 목포시, 무안군 남부, 영암군 서부를 제외한 전남 서남부 해안 지역의 관문 철도역 역할을 하기도 하니 이상한 일은 아니다. 같은 이유로 광주송정역에도 강진군 이름으로 청자가 전시되어 있다.[11] 역 건물 건너편, 나주국민체육센터 방면

나주역(1188)[12]
급행

광역

시내

순환

순환(남부)

순환(중부)

순환(제한)

[12] 역 건물 앞, 나주시청 방면

  • 타 대중교통으로 환승할 때는 인근을 지나는 시내버스들 중 시간대별로 일부 차량이 역 앞까지 들어오기는 하나 영산포 방향은 나주역 진입 도로 선형 특성상 노선 수 및 횟수가 적은 편이다. 따라서 걸어서 10분 이내에 있는 나주시청 정류장까지 걸어 나가는 게 좋으며, 나주 시내와 혁신도시 방면은 자주 운행하므로 나주시청 정류장까지 갈 필요 없이 역 앞에 있는 버스정류장을 이용해도 된다. 그리고 영산포방면도 버스개편으로 노선수가 늘어났다.

  • 역 앞에 광주광역시 방면으로 가는 버스(997, 998, 999, 160, 161)가 많고 자주 운행하지만, 광주 방면으로 가려면 이 역에서 내리지 말고 기차로 광주송정역까지 간 뒤 광주 시내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이 낫다. 나주역~광주송정역 구간을 160번을 이용할 경우 40분 정도, 161번을 이용할 경우 혁신도시까지 거쳐 가서 50분 이상 걸리는 반면, 무궁화호 등의 철도로는 두 역 사이를 10분이면 오갈 수 있다. 진월동, 남광주역, 조선대학교, 전남대학교 방면도 여기에서 999번대를 타느니 광주송정역에서 광주 도시철도광주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낫다. 특히 시계외요금 때문에 버스 요금도 그다지 싸지 않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 역에서 저 버스들을 이용할 이유가 전혀 없다.



7. 둘러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