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르 불레즈

덤프버전 : (♥ 0)

[ 펼치기 · 접기 ]

고대메소포타미아 음악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그리스 음악세이킬로스의 노래
중세노트르담 악파레오냉 · 페로탱
아르스 노바노바 · 비트리 · 마쇼
기타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르네상스 음악부르고뉴 악파뒤파이 ·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오케겜 · 프레 · 이자크
이탈리아팔레스트리나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라수스
영국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독일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바로크 음악프랑스샹보니에르 · 륄리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르 · 루아예
이탈리아몬테베르디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A. 스카를라티 · 토렐리 · 스테파니 · 코렐리 · 로티 · 칼다라 · 보논치니 · 알비노니 · 비발디 · D. 스카를라티 · 포르포라 · 페오 · 타르티니 · 제미니아니 · 빈치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C. 브로스키
중부유럽비버 · 쉿츠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바흐 · 텔레만 · 파슈 · 마테존 · 젤렌카 · 피젠델
영국퍼셀 · 헨델 · 애비슨
고전주의전고전(로코코)하세 · 마르티니 · 갈루피 · 페르골레지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J. 슈타미츠 · 글루크 · L. 모차르트 ·
초기 고전파트라에타하이든고세크 · M. 하이든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클레멘티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치마로사 · 살리에리 · 모차르트 · 케루비니베토벤 · 훔멜 · 카룰리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낭만주의전기 낭만주의초기 낭만파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메로 · 베를리오즈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쇼팽 · 리스트 · 알캉 · 헨젤트 · 체르니
오페라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빈 왈츠J. 슈트라우스 1세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주페 · 치러
후기 낭만주의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브람스 · 바그너 · 브루크너 · 브루흐 · R. 슈트라우스 · 말러 · 레거 · 로트 · 코른골트 · 라프 · 라이네케 · 모슈코프스키 · 라인베르거 · 이바노비치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러시아
후기 낭만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보르트키에비치
영국
낭만주의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국민악파러시아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중부유럽스메타나 파일:체코 국기.svg · 드보르자크 파일:체코 국기.svg · 야나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 에네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도흐나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 블라디게로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비에니아프스키 파일:폴란드 국기.svg
북유럽닐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 그리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시벨리우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알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페인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로드리고
프랑스, 이탈리아쇼송 · 당디 · 레스피기
20세기 음악
인상주의드뷔시 · 라벨 · 고베르이베르
신고전주의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제2빈악파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음악
사티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졸리베 · 페송
영국
근현대음악
브리튼 · 월튼 · 티펫
미대륙
근현대음악
코플런드 · 피아졸라 · 히나스테라 · 폰세 · 빌라-로부스 · 캐시디조플린 · 거슈윈 · 번스타인 · 바버 · 아이브스 · 바레즈 · 케이지 · 크럼 · 펠드먼 · 볼컴 · 글래스 · 라이히 · 애덤스 · 리버만 · 로사스
소련-러시아
근현대음악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카푸스틴스코릭
헝가리
근현대음악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폴란드
현대음악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음악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이탈리아
현대음악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한국
현대음악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기타크세나키스 · 김순남
윤이상 · 라우타바라 ·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 도이처



피에르 불레즈의 주요 수상 및 경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95B1EEBD-1796-46AD-A8B5-83CEA287B596.png
에른스트 폰 지멘스 음악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000,#ddd
||<table 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rowbgcolor=#A82132><width=10%> '''[[1974년|{{{#white 1974년}}}]]''' ||<width=10%> '''[[1975년|{{{#white 1975년}}}]]''' ||<width=10%> '''[[1976년|{{{#white 1976년}}}]]''' ||<width=10%> '''[[1977년|{{{#white 1977년}}}]]''' ||<width=10%> '''[[1978년|{{{#white 1978년}}}]]''' || || [[벤저민 브리튼]] [br] (작곡) || [[올리비에 메시앙]] [br] (작곡)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br] (첼로)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br] (지휘) || [[루돌프 제르킨]] [br] (피아노) || ||<rowbgcolor=#A82132> '''[[1979년|{{{#white 1979년}}}]]''' || '''[[1980년|{{{#white 1980년}}}]]''' || '''[[1981년|{{{#white 1981년}}}]]''' || '''[[1982년|{{{#white 1982년}}}]]''' || '''[[1983년|{{{#white 1983년}}}]]''' || ||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br] (바리톤) || [[엘리엇 카터]] [br] (작곡) || [[기돈 크레머]] [br] (바이올린) ||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 [br] (작곡) || [[피에르 불레즈]] [br] (지휘) || ||<rowbgcolor=#A82132> '''[[1984년|{{{#white 1984년}}}]]''' || '''[[1985년|{{{#white 1985년}}}]]''' || '''[[1986년|{{{#white 1986년}}}]]''' || '''[[1987년|{{{#white 1987년}}}]]''' || '''[[1988년|{{{#white 1988년}}}]]''' || || [[예후딘 메뉴인]] [br] (바이올린) || [[안드레스 세고비아]] [br] (기타) ||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 [br] (작곡) || [[레너드 번스타인]] [br] (지휘) || [[페터 슈라이어]] [br] (테너) || ||<rowbgcolor=#A82132> '''[[1989년|{{{#white 1989년}}}]]''' || '''[[1990년|{{{#white 1990년}}}]]''' || '''[[1991년|{{{#white 1991년}}}]]''' || '''[[1992년|{{{#white 1992년}}}]]''' || '''[[1993년|{{{#white 1993년}}}]]''' || || [[루치아노 베리오]] [br] (작곡) || [[한스 베르너 헨체]] [br] (작곡) || [[하인츠 홀리거]] [br] (오보에) || [[H.C.로빈스 랜던]] [br] (음악학) || [[리게티 죄르지]] [br] (작곡) || ||<rowbgcolor=#A82132> '''[[1994년|{{{#white 1994년}}}]]''' || '''[[1995년|{{{#white 1995년}}}]]''' || '''[[1996년|{{{#white 1996년}}}]]''' || '''[[1997년|{{{#white 1997년}}}]]''' || '''[[1998년|{{{#white 1998년}}}]]''' || || [[클라우디오 아바도]] [br] (지휘) || [[해리슨 버트위슬]] [br] (작곡) || [[마우리치오 폴리니]] [br] (피아노) || [[헬무트 라헨만]] [br] (작곡) || [[죄르지 쿠르탁]] [br] (작곡) || ||<rowbgcolor=#A82132> '''[[1999년|{{{#white 1999년}}}]]''' || '''[[2000년|{{{#white 2000년}}}]]''' || '''[[2001년|{{{#white 2001년}}}]]''' || '''[[2002년|{{{#white 2002년}}}]]''' || '''[[2003년|{{{#white 2003년}}}]]''' || || [[아르디티]] [[현악 4중주]] [br] (현악 4중주) || [[마우리치오 카겔]] [br] (작곡) || [[라인홀트 브링크만]] [br] (음악학)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br] (지휘) || [[볼프강 림]] [br] (작곡) || ||<rowbgcolor=#A82132> '''[[2004년|{{{#white 2004년}}}]]''' || '''[[2005년|{{{#white 2005년}}}]]''' || '''[[2006년|{{{#white 2006년}}}]]''' || '''[[2007년|{{{#white 2007년}}}]]''' || '''[[2008년|{{{#white 2008년}}}]]''' || || [[알프레드 브렌델]] [br] (피아노) || [[마우리치오 카겔]] [br] (작곡) || [[앙리 뒤티외]] [br] (작곡) || [[다니엘 바렌보임]] [br] (피아노, 지휘) || [[안네 소피 무터]] [br] (바이올린) || ||<rowbgcolor=#A82132> '''[[2009년|{{{#white 2009년}}}]]''' || '''[[2010년|{{{#white 2010년}}}]]''' || '''[[2011년|{{{#white 2011년}}}]]''' || '''[[2012년|{{{#white 2012년}}}]]''' || '''[[2013년|{{{#white 2013년}}}]]''' || || [[클라우스 후버]] [br] (작곡) || [[미하엘 길렌]] [br] (지휘) || [[아리베르트 라이만]] [br] (작곡) || [[프리드리히 체르하]] [br] (작곡) || [[마리스 얀손스]] [br] (지휘) || ||<rowbgcolor=#A82132> '''[[2014년|{{{#white 2014년}}}]]''' || '''[[2015년|{{{#white 2015년}}}]]''' || '''[[2016년|{{{#white 2016년}}}]]''' || '''[[2017년|{{{#white 2017년}}}]]''' || '''[[2018년|{{{#white 2018년}}}]]''' || || [[피터 구르크]] [br] (음악학) || [[크리스토프 에셴바흐]] [br] (지휘) || [[페르 뇌고르]] [br] (작곡) || [[피에르 로랑 아이마르]] [br] (피아노) || [[베아트 푸러]] [br] (작곡) || ||<rowbgcolor=#A82132> '''[[2019년|{{{#white 2019년}}}]]''' || '''[[2020년|{{{#white 2020년}}}]]''' || '''[[2021년|{{{#white 2021년}}}]]''' || '''[[2022년|{{{#white 2022년}}}]]''' || '''[[2023년|{{{#white 2023년}}}]]''' || || [[레베카 손더스]] [br] (작곡) || [[타베아 침머만]] [br] (비올라) || [[죠르주 아페르기스]] [br] (작곡) || [[올가 노이비르트]] [br] (작곡) || [[]] [br] ||



파일:9C3C83C1-51AD-422A-8578-A707A135E236.png
폴라음악상 수상자
[ 펼치기 · 접기 ]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자
[ 펼치기 · 접기 ]

파일:D8FE539D-CCB2-44DA-9D5B-B6EEC0E8759F.png그라모폰 명예의 전당은 예술적 탁월함, 혁신, 혹은 상상력을 통해 클래식 음악 녹음에 기여한 예술가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
★는 첫 발표(2012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는 두번째 발표(2013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 지휘자 부문 헌액자 ]
[ 성악가 부문 헌액자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5.3.2|{{{#b69858 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
Grammy Lifetime Achievement Award}}}]]'''
[ 펼치기 · 접기 ]

1963년빙 크로스비
1965년프랭크 시나트라
1966년듀크 엘링턴
1967년엘라 피츠제럴드
1968년어빙 벌린
1971년엘비스 프레슬리
1972년루이 암스트롱, 마할리아 잭슨
1984년척 베리, 찰리 파커
1985년레너드 번스타인
1986년베니 굿맨, 롤링 스톤스, 안드레스 세고비아
1987년로이 에이커프, 베니 카터, 엔리코 카루소, 레이 찰스, 패츠 도미노, 우디 허먼, 빌리 홀리데이, 비비 킹, 아이작 스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행크 윌리엄스
1989년프레드 아스테어, 파블로 카잘스, 디지 길레스피, 야샤 하이페츠, 리나 혼, 레온타인 프라이스, 베시 스미스, 아트 테이텀, 사라 본
1990년냇 킹 콜, 마일스 데이비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폴 매카트니
1991년매리언 앤더슨, 밥 딜런, 존 레논, 줄리 스턴, 키티 웰스
1992년제임스 브라운, 존 콜트레인, 지미 헨드릭스, 머디 워터스
1993년쳇 앳킨스, 리틀 리처드, 델로니어스 몽크, 빌 먼로, 피트 시거, 패츠 월러
1994년빌 에반스,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1995년팻시 클라인, 페기 리, 헨리 맨시니, 커티스 메이필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96년데이브 브루벡, 마빈 게이, 게오르그 솔티, 스티비 원더
1997년바비 블랜드, 에벌리 브라더스, 주디 갈란드, 스테판 그라펠리, 버디 홀리, 찰스 밍거스, 오스카 피터슨, 프랭크 자파
1998년보 디들리, 밀스 브라더스, 로이 오비슨, 폴 로브슨
1999년조니 캐쉬, 샘 쿡, 오티스 레딩, 스모키 로빈슨, 멜빈 토메
2000년해리 벨라폰테, 우디 거스리, 존 리 후커, 미치 밀러, 윌리 넬슨
2001년비치 보이스, 토니 베넷,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밥 말리, 더 후
2002년카운트 베이시, 로즈메리 클루니, 페리 코모, 알 그린, 조니 미첼
2003년에타 제임스, 조니 마티스, 글렌 밀러, 티토 푸엔테, 사이먼 앤 가펑클
2004년밴 클라이번, 펑크 브라더스, 엘라 젠킨스, 소니 롤린스, 아티 쇼, 독 왓슨
2005년에디 아놀드, 아트 블래키, 카터 패밀리, 모턴 굴드, 재니스 조플린, 레드 제플린, 제리 리 루이스, 젤리 롤 모턴, 파인톱 퍼킨스, 스태플 싱어즈
2006년데이비드 보위, 크림, 멀 해거드, 로버트 존슨, 제시 노먼, 리처드 프라이어, 더 위버스
2007년조안 바에즈, 부커 티 앤 엠지 에스, 마리아 칼라스, 오넷 콜맨,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밥 윌스
2008년버트 배커랙, 더 밴드, 캡 캘러웨이, 도리스 데이, 이작 펄만, 맥스 로치, 얼 스크럭스
2009년진 오트리, 더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알라바마, 포 탑스, 행크 존스, 브렌다 리, 딘 마틴, 톰 팩스톤
2010년레너드 코헨, 바비 다린, 데이비드 "허니보이" 에드워즈, 마이클 잭슨, 로레타 린, 앙드레 프레빈, 클락 테리
2011년줄리 앤드류스, 로이 헤인즈, 줄리아드 현악 콰르텟, 킹스턴 트리오, 돌리 파튼, 라몬즈, 조지 비벌리 시어
2012년올맨 브라더스 밴드, 글렌 캠벨,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조지 존스, 더 멤피스 혼즈, 다이애나 로스, 길 스콧 헤론
2013년글렌 굴드, 찰리 헤이든, 라이트닝 홉킨스, 캐롤 킹, 패티 페이지, 템테이션스
2014년비틀즈, 클리프턴 체니어, 아이즐리 브라더스, 크라프트베르크,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아르만도 만사네로, 마우드 파웰
2015년비 지스, 피에르 불레즈, 버디 가이, 조지 해리슨, 플라코 지메네즈, 루빈 브라더스, 웨인 쇼터
2016년루스 브라운, 셀리아 크루즈,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허비 행콕, 제퍼슨 에어플레인, 린다 론스태드, Run-D.M.C.
2017년셜리 시저, 아마드 자말, 찰리 프라이드, 지미 로저스, 니나 시몬, 슬라이 스톤, 벨벳 언더그라운드
2018년할 블레인, 닐 다이아몬드, 에밀루 해리스, 루이스 조던, 더 미터스, , 티나 터너
2019년블랙 사바스, 조지 클린턴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빌리 엑스타인, 도니 해서웨이,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샘 & 데이브, 디안 워윅
2020년시카고, 로버타 플랙, 아이작 헤이즈, 이기 팝, 존 프라인, 퍼블릭 에너미, 시스터 로제타 사프
2021년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라이오넬 햄프턴, 마릴린 혼, 솔트 앤 페파, 셀레나, 토킹 헤즈
2022년보니 레잇
2023년바비 맥퍼린, 너바나, 마 레이니, 슬릭 릭, 나일 로저스, 슈프림즈, 하트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CBE
피에르 불레즈
Pierre Boulez
파일:Pierre_Boulez_1968.jpg
본명피에르 루이 조제프 불레즈
Pierre Louis Joseph Boulez
출생1925년 3월 26일
프랑스 제3공화국 몽브리종
사망2016년 1월 5일 (향년 90세)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바덴바덴
국적
파일:프랑스 국기.svg

직업작곡가, 지휘자, 음악이론가
장르현대음악
활동1945년 ~ 2015년
종교무종교(무신론)

1. 개요
2. 작곡
3. 경력
4. 지휘 성향
5. 여담
6. 주요작품
6.1. 관현악곡
6.2. 협주곡
6.3. 실내악
6.4. 독주곡
6.5. 성악곡



1. 개요[편집]


프랑스의 현대음악 작곡가이자 지휘자.


2. 작곡[편집]


작곡가 올리비에 메시앙의 제자다. 메시앙이 인정한 천재. 메시앙 외에도 르네 라이보비츠에게 대위법을 배웠다. 메시앙의 제자였지만 음악관이 달라 추후 갈라지게 된다.

그의 사조는 '총렬주의'라고 표현되는데 음렬주의의 진화버전으로 음 뿐만 아니라 박자나 셈여림 등등을 모두 하나의 규칙적인 배열로 만들어 수학적으로 나열하는 식이다. 다만 그가 총렬주의에 몸담았던 시기는 극히 한정적이기에, 그를 총렬주의 작곡가로 정의하는 것은 스트라빈스키를 원시주의 작곡가로 일단락하는 것만큼이나 어폐가 있다.

난해하기로는 현대음악 Top 5안에 거뜬히 들 정도이고 펜데레츠키 등과 비교하면 한국에선 대중적인 인기도 떨어진다. 다만 독일과 프랑스에선 가장 많이 연주되는 현대음악가 중 한 명이며, 현대음악의 정점 격으로 여겨지는 작곡가 중 한 명이다.

그의 대표 작곡으로 거론되는 노타시옹(Notation)은 유튜브에서도 수많은 연주를 찾을 수 있다.

3. 경력[편집]


작품발표를 지속 하면서 작곡가를 함과 동시에 파리의 연극단[1]을 위해 작곡 및 지휘를 하였고 소규모 오페라단에서 지휘 경력을 쌓았다. 본격적인 지휘자 데뷔는 1958년 준 메이저 악단이라 할 수 있는 '남서독일 방송교향악단'[2]에서 하였다.

이후 여러 악단에서 객원 지휘를 하며 명성을 얻은 불레즈는 1966년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 데뷔, 1967, 1968, 1970년에도 출연하였며 실험적인 해석과 무대로 호평과 혹평을 동시에 받았다. 당시 불레즈는 바그너의 성극 파르지팔을 지휘했는데, 15년 동안 바이로이트에서 파르지팔을 지휘했던 전임자 한스 크나퍼츠부쉬의 전통적인 바그너의 해석과는 지극히 동떨어진 스피디한 스타일로 지휘한 탓에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이후 1976년 바이로이트 페스티벌 100주년을 맞아 니벨룽의 반지을 연주했다. 당시 불레즈의 급진적인 해석은 또다시 큰 논란을 일으켰고, 보수적인 관객들은 불레즈의 지휘와 파트리스 셰로 [3]의 연출에 반대하는 피켓 시위를 벌리기도 했다. 이후 거의 4반세기 동안 바이로이트에 초청받지 못하다가 2004년에야 다시 출연하게 된다.[4]

1970년 조지 셸 사후 2년간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의 음악 고문(musical advisor)을 맡은 바 있다.

1971년에는 BBC 심포니와 뉴욕 필하모닉 등 두 개 악단의 음악감독으로 동시에 취임했다. 같은 시기였음에도 두 악단에서의 평가는 매우 대조적이다. 먼저 1971년부터 6년간 맡았던 뉴욕 필하모닉에서는, 콘서트에서 현대음악을 많이 다뤄 후원자들에게 충공깽을 선사했고, 이 덕분에 후원자들의 후원이 줄어들었다. 게다가 전통적인 명곡들을 자신만의 특이한 스타일로 지휘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다이나믹 등에서는 다른 여타 지휘자들과 별 차이 없었지만 극단적으로 특이한 템포를 취하곤 했는데, 이를테면 예전에 바이로이트에서 그랬던 것처럼 매우 빠르게 지휘해버리는가 하면, 어떤 곡은 지나치게 느리게 지휘하기도 했다. 이를 테면 그 유명한 베토벤 교향곡 제5번의 경우 다른 연주의 거의 2배에 가까울 정도로 느리게 지휘해 기네스북에 오르기도 했다. 이런 지나친 실험적인 연주 경향 때문에 관객들의 평은 좋지 않았다. 일부 히피 성향의 젊은이들은 그를 지지했지만 정작 그들은 클래식팬이 아니었다. 게다가 불레즈는 인기 많은 전임자인 레너드 번스타인의 인기를 시기하여 그의 뉴욕 필 지휘를 방해했다. 청소년을 위한 음악회로 미국 전역에서 인기가 높았던 번스타인은 뉴욕 필을 사임했을 때 악단의 계관 지휘자로 추대되었다. 번스타인은 비록 상임지휘자에서 물러나지만 이후에도 뉴욕 필을 자주 지휘하겠다고 약속했었다. 하지만 후임인 불레즈는 번스타인의 뉴욕 필 객원 지휘를 방해했다. 번스타인은 격분했지만 객원지휘자 초청 및 승인은 현 상임지휘자의 명백한 권한이었으므로 어쩔 도리가 없었다. 결국 번스타인은 유럽으로 진출하게 된다.

한편 1971년부터 4년간 맡았던 BBC 심포니에서는 뉴욕 필하모닉에서와는 달리 평이 좋았다. 방송교향악단 치고는 보수적이었던 BBC 심포니의 레퍼토리를 크게 확장했다. BBC 방송국의 풍부한 재정을 바탕으로 당시 오일 쇼크로 큰 타격을 입었던 영국 경제로 인해 휘청거리던 이웃 런던 필, 로열 필 등의 민간 교향악단의 뛰어난 단원들을 대거 영입하면서 악단의 실력도 급향상되어 악단의 리즈 시절을 이루었다. 수석지휘자에서 물러난 이후에서 1977년까지 수석객원지휘자로서 BBC 심포니와의 연을 이어갔다. 1970년대 불레즈가 지휘한 음반 중 평이 좋은 것은 대부분 뉴욕 필하모닉보다는 BBC 심포니와 함께한 것이다.

1977년 뉴욕필 사임 이후 그는 프랑스 정부로의 초청으로 현대음악/음향 연구소(IRCAM)의 소장이 되었으며 동시에 현대음악 연주를 위한 단체 Ensemble intercontemporain(앙상블 앵테르꽁땅뽀랭)을 창설, 수많은 녹음을 남겼다.

2016년 1월 5일 90세의 나이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4. 지휘 성향[편집]



지휘봉을 쓰지않고 손으로 지휘한다. 지휘 내내 표정변화가 거의없으며 절대 웃거나 미소짓거나 흥분하거나 하는 감정을 나타내지 않는다. 시종일관 악보만 쳐다보고 있다. 이게 뭐 잘못된 건 아니지만 확실히 그의 특징 중 하나이다. 다만 암보를 한 곡이라면 그냥 편하게 연주자들을 보면서 지휘한다.

젊은 시절에는 이런 쇼맨쉽에 가까운 기계적인 지휘 경향이 심했지만, 노년으로 갈 수록 누그러지는 것이 보인다. 상당히 절도 있는 동작을 바탕으로 감정을 표현하곤 한다. 말러 2번 교향곡 DVD등에 잘 나타나는 특징이다.

그의 해석을 요약해보자면 '감정절제'와 '정교함' 정도로 볼 수 있다. 어떤 곡이던 감정을 싹다 빼서 무미건조하게 만들어 버리지만 그 대신에 구조적 치밀함을 선보인다. 욕할 사람은 욕하지만 좋아하는 사람은 좋아한다.

현대음악 작곡가답게, 주로 근현대 음악에 편중되어 있다. 음렬주의-총렬주의 음악의 조상이라고 할 수 있는 쇤베르크와 그 제자인 알반 베르크, 안톤 베베른 등 신빈악파의 중요한 작품들은 대부분 다루었으며, 베베른을 계승한 메시앙과 불레즈 자신이나 슈톡하우젠의 작품도 주요 레퍼토리. 그밖에 리게티, 노노, 카터, 베리오, 바레즈 등의 작품이 있다.

다만 불레즈의 레퍼토리에서 보다 대중적인 것은 역시 바그너와 말러 등 후기낭만주의 레퍼토리와 드뷔시, 라벨 등의 근대 프랑스 음악, 스트라빈스키와 바르톡의 작품이다. 물론 불레즈답게 여느 해석과는 궤를 달리하며 매우 분석적이고 이지적인 것이 특징. 이 사람 치고는 특이하게도 베토벤과 모차르트의 음반도 있는데, 본인의 말에 따르면 이런 고전-낭만 레퍼토리를 지휘하는 건 취미라고.


5. 여담[편집]


첼리비다케와 더불어 음악계의 최고의 독설가 중 한 명으로 유명하다. # 성격도 매우 독선적이고 오만하다고 한다. 작곡계의 최고 원로였던 스트라빈스키도 여러 번 엿먹였고, 스승인 메시앙의 작품마저 강하게 비판하여 메시앙은 제자의 공격에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젊은 시절 별명이 '로베스피에르'였다.

뉴욕 필하모닉 음악감독이 되고 나서는 인기 많은 전임자이자 계관지휘자인 레너드 번스타인이 더이상 뉴욕 필을 지휘하지 못하도록 철처히 방해했다. 뉴욕 필을 사임한 후에도 작곡을 겸하며 지휘자로서의 활동을 이어가려 했던 번스타인은 불레즈의 처사에 분개했지만 현직 음악감독의 권한을 어찌 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결국 유럽 악단에 적극적으로 진출을 시도하였다.[5] 불레즈가 시장성을 무시하며 자신의 입맛에 맞는 레퍼토리 위주로 꾸려나갔기에, 뉴욕 필의 암흑기를 시작했다며 지금도 분개하는 사람들이 많다.

지휘자로선 워낙 확고한 스타일이 있어 호불호가 크게 갈린다.

최소 3개국어 (독일어, 영어, 프랑스어)에 능통하다. 작곡가, 지휘자로서 뿐만 아니라 작가로서도 어느 정도 명성이 있다.

말년에 양쪽 눈의 시력을 잃어 많이 고생했다고 전해진다.

6. 주요작품[편집]



6.1. 관현악곡[편집]



  • 노타시옹 (Notations)
  • 두겹의 모습들, 프리즘들 (Figures, Doubles, Prismes)
  • 물의 태양 (Le Soleil des Eaux)
  • 응창 (Répons)
  • 이중 (Doubles)
  • 제의 (Rituel)
  • 폴리포니 X (Polyponie X)
  • 혼례모습 (Le Visage Nuptial)
  • 힘을 위한 시 (Poésie pour pouvoir)


6.2. 협주곡[편집]



  • ...고정된 폭발... ( ...explosante-fixe...)
  • 클라리넷과 6그룹의 21개 악기를 위한 영역들 (Domaines, for clarinet & 21 instruments in 6 groups)


6.3. 실내악[편집]



* 25개의 악기를 위한 Multiples (Multiples for 25 instruments) - 미완성 작품
  • 2대의 피아노를 위한 구조 1권 (Structures pour 2 Pianos, Livre I)
  • 2대의 피아노를 위한 구조 2권 (Structures pour 2 Pianos - Livre II)
  • 메사제스키스 (Messagesquisse)
  • 삽입절에 (Sur Incises)
  • 바이올린과 전자악기를 위한 앙템 II (Anthemes II, for violin and electronics)
  • 파생 (Dérive)
  • 파생 2 (Dérive 2)
  • 파편 (Éclat)
  •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 (Sonatine for Flute and Piano)
  • 현을 위한 소품 (Livre pour cordes)


6.4. 독주곡[편집]



  • 겹쳐진 그림자들의 대화 (Dialogue de l'Ombre Double)
  • 노타시옹 (Notations)
  • 독주 클라리넷을 위한 영역 (Domaines, pour clarinette solo)
  • 삽입절 (Incises)
  •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앙템 (Anthemes pour violon seul)
  • 천체력의 한 페이지 (Une page d’éphéméride)
  • 피아노 소나타 1번
  • 피아노를 위한 두번째 소나타
  • 피아노를 위한 삽입구 (Incises pour Piano)
  • 피아노를 위한 세번째 소나타


6.5. 성악곡[편집]



  • 말라르메의 즉흥시 I (Improvisations sur Mallarmé I)
  • 말라르메의 즉흥시 II (Improvisations sur Mallarmé II)
  • 물의 태양 (Le Soleil des eaux)
  • 잃어버린 망치 (Le marteau sans maître)
  • 커밍스는 시인이다 (Cummings ist der Dichter)
  • 한 겹 두 겹 (Pli selon Pli)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4 07:43:36에 나무위키 피에르 불레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페라가 아니다[2] 1946년에 창단되었으며, SWR 바덴바덴 프라이부르크 교향악단이라는 명칭으로도 알려져있고, 대표적인 역대 수석지휘자 중 한 명이 미하일 길렌이다. 다만, 이 악단은 2016년 슈투트가르트 방송교향악단과 통합되어, SWR 교향악단으로 새단장을 하였다.[3] 연극 연출가이자 여왕 마고 등 영화 감독으로도 유명하다.[4] 지휘자로서 한번 초청받기도 힘든 곳이니 사실 출연 자체가 큰 영예라 할 수 있고, 호불호가 극단적으로 갈리는 지휘자 답게 혹평도 있었지만 호평도 컸다.[5] 오히려 번스타인은 이를 계기로 빈 필하모닉, 런던 심포니, 콘서트헤보우 관현악단, 프랑스 국립 관현악단 등 유럽 악단과의 공연 횟수를 많이 늘릴 수 있었으며, 특히 도이치 그라모폰 사에서 남긴 번스타인의 음반은 거의 빠짐 없이 명반으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