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시

최근 편집일시 : (♥ 0)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네이버 웹툰 호랑이형님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나주(호랑이형님) 문서
나주(호랑이형님)번 문단을
나주(호랑이형님)#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자치시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羅州市
Naju City
||

시청 소재지시청길 22 (송월동)
광역자치단체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1 12 7
면적608.40㎢[1]
인구116,994명[2]
인구밀도192.30명/㎢
시장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윤병태 (초선)
시의회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3석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1석


2석
도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석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신정훈
(나주·화순 / 재선)
상징시화배꽃
시목은행나무
시조파랑새
시가시민의 노래
지역번호061
(산포면 덕례리 제외)[3]
홈페이지www.naju.go.kr
SNS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나주시 캐릭터-배돌이.jpg
캐릭터 배돌이
파일:나주시 캐릭터-버들낭자.jpg
캐릭터 버들낭자
파일:나주시 캐릭터-홍돌이.jpg
캐릭터 홍돌이
1. 개요
2. 역사
3. 지리
4. 교통
5. 경제
5.1. 산업
5.2. 상권
5.3. 금융
6. 관광
7. 생활문화
7.1. 교육
7.1.1. 유치원
7.1.2. 초/중/고등학교
7.1.3. 대학교/전문대학
7.1.4. 특수학교
7.2. 음식
7.3. 의료기관
8. 정치
9. 군사
10. 하위 행정구역
11. 여담
12. 주요 기관
12.1. 전라남도청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
12.2. 전라남도교육청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
12.3. 정부 부처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
12.4.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관련기관
13. 우호 교류 도시 및 자매 결연 도시
13.1. 우호 교류
13.2. 자매 결연
14. 출신 인물
14.1. 역사적 인물
14.2. 연예인
14.3. 정치인
14.4. 스포츠 관련 인물
14.5. 기타
15. 영화 / 드라마 촬영
15.1. 영화
15.2. 드라마
15.3. 예능
15.4. 뮤직비디오
16. 사건 사고



1. 개요[편집]


파일:나주시청 청사.jpg
나주시청
전라남도 나주시 시청길 22
전라남도 중앙 서부에 위치한 . 도에서 에 해당하는 곳이다. 전남 내륙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으로 화순군과 경계하고 서쪽으로는 함평군, 강을 건너 무안군과 접하며, 남쪽으로는 영암군과 접하고 영산강이 있으며 북쪽으로 광주광역시와 접한다. 광주와 가까운 도시인 이유로 광주권에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광주의 위성도시로도 인식된다.

삼한갑족 중 하나라는 반남 박씨 의 본관이 되는 곳이다.[4]


2.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나주시/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 지리[편집]


시역의 70% 이상이 평야지대로 나주 평야의 중심지역이다. 영산강이 광주에서부터 내려와 시내를 관통하여 흐르며, 그 주변으로 넓은 평야지역이 펼쳐져 있어 금천면이나 노안면 일대는 100m 이상의 구릉지가 거의 없을 정도로 너른 들판이 펼쳐져 있으며, 이러한 평야지대는 영산강을 따라 영암군, 무안군 일대로 펼쳐져 있다. 과거 영산강 하구는 지금의 영암군 하구둑 근처가 아니라 지금의 동강면 남쪽 평야지역에 해당하며, 그 이남으로는 모두 바다()였다. 활발한 간척사업으로 지금과 같은 지형이 형성된 것.

다만 시역의 동쪽에는 나름 산지가 형성되어 있어 높이 300m가 넘는 산들도 있다. 이러한 지형을 이용해서 나주댐이 건설되었다.


3.1. 인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나주시/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주시 CI.svg
전라남도 나주시 인구추이
1896년 13도 개편 후 전라남도 나주군, 남평군
1911년 100,861명
1914년 나주군남평군 편입
1915년 120,015명
1920년 134,608명
1925년 146,686명
1930년 157,268명
1935년 167,853명
1940년 174,156명
1943년 194,672명
1949년 220,570명
1955년 193,190명
1960년 222,808명
1966년 245,162명
1970년 226,975명
1975년 212,121명
1980년 185,910명
1981년 나주읍 + 영산포읍 → 금성시 승격 분리
1985년 166,885명 (금성시 58,855명 + 나주군 108,030명)
1986년 금성시나주시 개칭
1990년 158,594명 (나주시 55,266명 + 나주군 103,328명)
1995년 나주시+나주군나주시로 통합
1995년 116,179명
2000년 108,459명
2005년 97,980명
2010년 90,118명
2014년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입주 시작
2015년 98,182명
2020년 115,613명
2023년 4월 116,994명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0만 명
2015년부터 빛가람동(혁신도시) 인구 비율 표시1966-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읍면동별 인구 통계
[ 펼치기 · 접기 ]

빛가람동 39,254명
남평읍 11,959명
성북동 8,634명
송월동 7,966명
금남동 4,743명
노안면 4,464명
금천면 4,131명
봉황면 4,071명
다시면 3,506명
이창동 3,299명
산포면 3,272명
영산동 3,040명
왕곡면 2,807명
영강동 2,732명
세지면 2,520명
동강면 2,366명
공산면 2,223명
문평면 1,872명
다도면 1,827명
반남면 1,363명
2022년 8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산업화와 반비례해서 인구가 감소하였으며, 한때 인구 8만명 선이 무너질 정도로 쇠락한 시골로 전락하였다. 그러나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가 빛가람동 일대에 조성되면서 다시 인구 10만명 선을 돌파한 상태.

혁신도시 조성에도 불구하고 전국 시군구 인구소멸위험지수 현황(2022년 3월 기준)에서 전남 5대도시에서 (0.465)로 나와 27만명대의 여수시와 나란히 소멸위험지역이 지정되었으나, 최근 지속적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특성상 벗어나게 될 걸로 보인다.


4. 교통[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나주시/교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경제[편집]



5.1. 산업[편집]


전형적인 농촌도시이지만, 나주가 시까지 성장하기까지는 조선 시대의 해상 운송로의 중요 항구였던 영산포항의 존재가 크게 기여했다. 영산포항이 어느정도였냐면, 일제강점기까지만 해도 내륙의 항구였지만 등대까지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후 영산강하굿둑의 건설로 그 기능은 소멸되었으며, 덤으로 이 하구둑은 영산강의 수질악화와 나주의 쇠퇴를 가속화하는 것에 크게 기여하여 주민들에게는 까임의 대상이다. 광주-나주-목포로 이어지는 영산강 유역의 지역민들은 하구둑으로 인한 강의 오염을 실시간으로 봐온 사람들이다. 대다수의 이곳 사람들은 하구둑을 만들려는 타 지역 사람들에게 왜 만드냐고 반문할 정도다.

이 때문에 과거 내륙 항구 영산포로 들어오던 삭힌 홍어는 하구언에 막혀 배가 못 들어오니 목포, 흑산도에서 냉동차량으로 들여와서 지역 주민들이 먹을 정도만 옛날식으로 만들고, 삭혀서 냉장 택배로 서울 등 다른 지역에 보내 파는 정도, 말 그대로 명맥만 남게 되었다.[5] 이 외의 산업시설은 LG화학 나주공장 하나 뿐이었으나 2005년 7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가 공동으로 혁신도시를 건설하기로 합의하였고, 그 해 11월 장성군·담양군과의 경합 끝에 나주시가 혁신도시 유치에 성공했다. 그 결과로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빛가람 혁신도시)가 조성되었고 한국전력공사, 한국농어촌공사,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콘텐츠진흥원 등이 입주하였다. 사실상 쇠퇴한 도시가 부흥할 수 있는 최후의 기회일 듯. 그리고 혁신도시가 들어오면서 나주시의 인구는 증가 추세이고, 나주혁신산단에 에너지특구를 조성하면서 전기 산업을 발달시킬 예정이다. 분양률 100% 달성 눈앞…전남도, 산단 추가조성 속도낸다, '에너지신산업 거점' 나주 국가산업단지 예타 통과

물론 구시가지와 신시가지가 그대로 나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으며 실제로 그렇게 되었다. 2022년 11월 기준 빛가람동 인구가 39,129명, 빛가람동을 제외한 나주시내 동 지역 인구가 30,273명으로, 이미 나주 구시가지의 인구를 넘어선 지는 오래고 그 격차는 점점 더 벌어져 만 명에 가까워지고 있다. 혁신도시 조성 초기인 2015년경부터 나주 구시가지와 혁신도시는 서로 이질감이 심한 분위기를 이어 왔다. 보이는 것 부터가 1번 국도를 사이에 두고 혁신도시는 도시같아 보이는데 건너편은 영락없이 농촌 및 시골 읍내로 보인다. 성인들은 물론이거니와 아직 어린 학생들 사이에서도 잘 모르는 외지인에게 설명하는 것이 아닌 이상 자신을 혁신도시에서 왔다고 설명하지, 나주에서 왔다고 설명하지 않는다.[6]

나주시에서 구도심재생개발계획안을 내놓았는데, 그 내용에 따르면 동부 생활권인 남평읍, 산포·금천면, 빛가람동은 쾌적한 정주환경과 에너지 클러스터를 집중적으로 육성하게 될 것이며 서부 생활권인 동강·공산·왕곡·반남면은 마한역사문화와 기업혁신지구로 집중 육성된다. 남부 생활권인 세지·봉황·다도면은 스포츠 헬스투어 중심의 관광농업지구로, 북부 생활권인 문평·다시·노안면은 역사문화관광과 스포츠마케팅 지구로 지정해 역사와 스포츠를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중부 생활권인 이창·송월·영산·영강·금남·성북동은 중심지원 기능과 역사도시 재생지구로 지정해 집중 육성된다. 혁신경제, 역사문화, 생태도시 조성 등 6대 분야에 세계 최대 에너지 밸리 구축, 고대역사문화 관광자원, 나주읍성내 전통한옥마을 조성 등 33개 중점사업을 추진할 계획도 있다고 한다.


5.2. 상권[편집]


'도시' 관점에서 혁신도시를 제외한 나주는 송월동, 금남동, 성북동 지역으로 구성된 옛 나주읍과 영산동, 이창동으로 구성된 옛 영산포읍 2개의 권역으로 나누어진다. 물론 도심-부도심을 나눌 수 있는 인구도 아니지만, 편의를 위해 쓰자면 나주가 도심, 영산포가 부도심으로 볼 수 있다. 도시 관점에서 외곽 읍면 지역은 일단 논외.

큰 경제권은 광주에 속해 있지만 작은 경제권으로 보았을 시 나주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곳은 지도상에서는 나주버스터미널 옆에 있는 큰 길인 중앙로이다. 정확히는 중앙로부터 남고문 일대다. 대형 상점은 없지만 웬만한 수준의 상권이 형성되어 있고 농촌 도시의 대형마트인 하나로마트가 곳곳에 자리잡고 있다. 그 다음으로 보이는 곳이 영산포 터미널 일대. 90년대의 흔적이 남아있는 주거지 및 상권으로서, 크지는 않지만 터미널 중심으로 하나로마트가 비슷한 거리에 2개 있는것이 포인트. 성북동에 속해 있는 법정동인 대호동 일대 역시 어느 정도 상권이 형성되었으며, 원래부터 있던 시청과 롯데마트 및 조그마한 상권 그리고 나주역 역세권개발사업 및 송월택지지구의 성격을 띤 송월동 일대도 조금씩 발달하기 시작하면서 신축된 모텔들과 분양 아파트 3개 단지 등 뭔가 있을 듯한 모양새지만 아직까진 현실은 시궁창. 송월동에 속한 법정동인 토계동 일대도 도로확장사업이 시작되기는 했지만 이것이 개발사업으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다.

윗문단에서도 언급되었듯이 설명된 3개의 지역 내에 대형 서점 및 대형 아울렛은 아직 없다. 대형마트도 위에서 언급된 롯데마트 이외에는 없고, 중형급 마트인 하나로마트만 있다. 은행 또한 나주터미널 앞 국민은행 지점을 제외하고는 전부 광주은행과 농협 뿐이다. ATM도 마찬가지. 나주에 관광이나 친지방문 등으로 온 타지역 주민들이 굳이 수수료 안물고 돈을 뽑고 싶다면 혁신도시로 가자. 신한, 하나, 기업은행 지점이 있다.

전통상권은 크게 '3대' 5일장이 있으며, 목사골시장 주변에서 열리는 나주장, 영산포농협 하나로마트 옆 풍물시장에서 열리는 영산포장, 그리고 남평농협 앞 길 주변에서 열리는 남평장이 그것이다. 도시쪽에서 살지 않고 읍면쪽에서 사는 어르신들이 하나로마트를 뒤로 하고 주로 찾는다. 세 시장이 서는 날은 나주장(끝자리 4일, 9일), 영산포장(끝자리 0일, 5일), 남평장(끝자리 1일, 6일)이다.

혁신도시의 개발이 진행되면서 혁신도시 주민들이 여가나 기타 활동을 하러 나주 구시가로 나가는 일도 차츰 사라지고 있다. 혁신도시가 광주광역시와도 멀지 않은 관계로 그 쪽으로 나가는 경우도 왕왕 있다. 공공기관·공기업이 들어서면서 생긴 일자리, 영화관 같은 문화시설·상업시설, 공원과 같은 여가시설,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동신대학교 캠퍼스 등 새로운 시설들이 모두 혁신도시에 들어서고 있기 때문에 혁신도시 주민들은 나주 구시가지로 잘 나가지 않는다. 구시가로 나갈 일이 있는 경우는 직장이 시내에 있거나, 시청이나 보건소 등 관공서에 볼 일이 있거나, 나주역 혹은 나주버스터미널에서 열차나 버스를 이용하는 경우 뿐이다.


5.3. 금융[편집]


나주시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나주우체국 (17)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1)
특수은행
수협은행 (1)농협은행(중앙회) (5)
시중은행
신한은행 (1)우리은행 (2)
하나은행 (2)국민은행 (2)
지방은행
광주은행 (4)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나주농협 (2)금천농협 (4)영산포농협 (3)남평농협 (3)
마한농협 (3)산포농협 (3)노안농협 (2)세지농협 (2)
다시농협 (2)봉황농협 (2)동강농협 (1)공산농협 (1)
나주배원예농협 (3)나주축산농협 (3)
새마을금고
나주새마을금고 (3)나주동부새마을금고 (3)
영산포새마을금고 (1)한전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나주신용협동조합 (2)나주이화신용협동조합 (2)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신용협동조합 (1)
한국농어촌공사신용협동조합 (1)
LG화학신용협동조합 (1)
산림조합
나주시산림조합 (1)


6. 관광[편집]


나주 관광은 크게 후삼국 이후 서남권 거점도시로 위세를 떨친 나주권과 마한 유적이 분포한 반남권으로 나눌 수 있다.

나주권 관광의 핵심은 나주 구시가 한복판에 자리한 구 객사 금성관이다. 금성관 앞에 나주의 명물인 나주곰탕 전문점들이 몰려있어 여기서 식사 한 끼 하고 금성관-문화관-나주내아를 둘러보면 은근히 시간이 간다. 현재 주차장으로 쓰이고 있는 나주내아 앞 공터는 원래 나주목 관아가 있던 곳으로 현재는 정문인 정수루가 남아있으며 이곳에 위치해있던 금계시장을 철거하고 관아 복원을 추진하고 있다.10년째 추진중이다 여기에 옛 나주읍성의 4대문이 모두 복원되어 있어 4대문을 중심으로 한 옛 도시 구조를 가늠해볼 수 있다. 2001년 까지 사용한 구나주역은 현재 나주역역사공원으로 조성했고 나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이 위치하여 1929년 광주학생항일운동에 대하여 소개하고 있다. 강 건너 영산포에는 황포돛배가 운행중이다.

반남면에는 나주 반남 고분군으로 칭하는 영산강 유역 문화권 특유의 대형 옹관 고분들이 분포해있다. 이 중 가장 많은 고분들이 밀집해있는 신촌리에는 국립나주박물관이 있으며, 인근 신촌리-덕산리 일대에만 약 20기에 달하는 고분들을 볼 수 있다. 2km 정도 떨어진 대안리에도 여남은기의 고분들이 있으며 이 일대 마한 세력의 거점으로 추정되는 자미산성과 가깝다.


7. 생활문화[편집]



7.1. 교육[편집]



7.1.1. 유치원[편집]


설립구분유치원명주소
단설나주이화유치원나주시 나주로 88-5(남외동)
한아름유치원나주시 그린로 292(빛가람동, 한아름유치원)
빛누리유치원나주시 그린로 176 (빛가람동) 빛가람초등학교 2층
병설나주북병설유치원나주시 청암길 47-23(청동)
영산포병설유치원나주시 금영로 2-6(이창동)
영강병설유치원나주시 영강길 14(삼영동)
세지병설유치원나주시 세지면 동창로 111
양산병설유치원나주시 왕곡면 고분로 1560
왕곡병설유치원나주시 왕곡면 나주서부로 554
반남병설유치원나주시 반남면 고분로 712
공산병설유치원나주시 공산면 공산로 85
동강병설유치원나주시 동강면 동강로 595
다시병설유치원나주시 다시면 다시로 203
문평병설유치원나주시 문평면 문평로 15
노안병설유치원나주시 노안면 노안로 165
노안남병설유치원나주시 노안면 만호길 20-11
금천병설유치원나주시 금천면 금영로 960
산포병설유치원나주시 산포면 산포로 400
남평병설유치원나주시 남평읍 지석로 95
다도병설유치원나주시 다도면 다도로 636
봉황병설유치원나주시 봉황면 죽석길 31
사립까리다스유치원나주시 정렬사길 15-14 (대호동)
한별유치원나주시 남내1길 14 (남내동)
빛가람유치원나주시 남고문로 16-6 (송월동)
동산유치원나주시 나주로 41-17 (송월동)
자연유치원나주시 남내2길 4 (남내동)


7.1.2. 초/중/고등학교[편집]


파일:나주시 CI_White.svg 전라남도 나주시 초등학교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나주시 CI_White.svg 전라남도 나주시 중학교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나주시 CI_White.svg 전라남도 나주시 고등학교
[ 펼치기 · 접기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전남지역의 특목고인 전남과학고등학교와 전남외국어고등학교가 나주시에 위치하고 있다.


7.1.3. 대학교/전문대학[편집]




7.1.4. 특수학교[편집]




7.2. 음식[편집]


특산물로는 (주로 금천면에서 많이 재배)가 특히 유명하며 멜론(주로 세지면에서 많이 재배)도 많이 나온다. 지역 음식으로는 맑은 국물에 깔끔한 맛이 일품인 나주곰탕과 영산포 홍어가 유명하다. 나주 배는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도 등록되어 있다.


7.3. 의료기관[편집]


구도심에 나주종합병원(176병상)이 있고, 혁신도시가 조성되면서 빛가람종합병원(192병상)이 들어섰다. 뭐 광주가 가까우니 필요하면 광주로 가면 된다.


8. 정치[편집]


8회 지선 나주시 개표 결과
전라남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김영록이정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0
(00.00%)
0
(00.00%)
+ 0
(△00.00)
00.00%

나주시장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

격차투표율
후보윤병태강인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0
(00.00%)
0
(00.00%)
+ 0
(△00.00)
00.00%

제20대 대통령 선거 전남 나주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68,994
(85.78%)
9,512
(11.82%)
59,482
(▲73.96)
남평읍
89.10%9.16%▲79.94
세지면
91.47%7.14%▲84.33
왕곡면
89.31%8.25%▲81.06
반남면
90.79%7.69%▲83.10
공산면
90.82%7.16%▲83.66
동강면
91.76%6.45%▲85.31
다시면
89.00%8.93%▲80.07
문평면
89.22%7.87%▲81.35
노안면
90.93%6.99%▲83.94
금천면
88.64%8.69%▲79.95
산포면
89.89%8.53%▲81.36
다도면
87.56%9.24%▲78.31
봉황면
90.86%7.00%▲83.76
송월동
84.74%12.29%▲72.55
영강동
88.65%9.03%▲79.62
금남동
88.17%10.10%▲77.09
성북동
86.16%11.69%▲74.47
영산동
89.05%8.91%▲80.14
이청동
87.72%9.40%▲78.32
빛가람동
80.69%16.51%▲64.18
후보이재명윤석열
거소·선상투표
81.76%10.59%▲71.17
관외사전투표
81.84%15.56%▲65.28
국외부재자투표
73.30%8.93%▲64.37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윤석열격차
나주시·화순군[7][A][8]87.28%9.53%▲77.75

21대 총선 나주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나주시·화순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신정훈안주용(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45,957
(75.59%)
13,860
(22.79%)
+ 32,097
(△52.79)
62,737
(64.75%)
구 나주시
득표율10,934
(70.86%)
4,250
(27.54%)
+ 6,684
(△43.32)
15,866
(59.84%)
송월동[*A ]69.96%28.17%△41.7957.25
영강동[*B ]73.97%24.51%△49.4654.86
금남동[*C ]69.71%28.41%△41.3059.43
성북동[*D ]67.80%30.83%△36.9763.12
영산동[*E ] 72.75%25.46%△47.2959.64
이창동[*F ]77.31%21.47%△55.8461.08
구 나주군
득표율19,098
(75.56%)
5,795
(22.93%)
+ 13,303
(△52.64)
26,008
(62.74%)
빛가람동[*G ]77.00%21.41%△55.5962.33
남평읍82.89%15.72%△67.1759.52
세지면72.42%26.12%△46.3163.43
왕곡면78.76%20.01%△58.7567.62
반남면72.70%26.27%△46.4368.91
공산면56.62%41.38%△15.2467.90
동강면64.19%34.64%△29.5562.59
다시면75.44%22.95%△52.5066.71
문평면81.82%16.76%△65.0763.92
노안면75.48%23.00%△52.4863.01
금천면73.83%24.41%△49.4359.61
산포면80.05%18.12%△61.9363.60
다도면75.85%22.02%△53.8360.06
봉황면71.28%27.42%△43.8661.61
후보신정훈안주용격차
거소·선상투표74.86%20.58%△54.28
관외사전투표83.46%14.58%△68.87
재외투표88.37%4.65%△81.40[9]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2,352
(3.92%)
36,426
(60.74%)
5,688
(9.48%)
2,564
(4.27%)
4,592
(7.65%)
+ 80,687
(△53.65)
155,747
(68.34%)
[ 펼치기 · 접기 ]

구 나주시
득표율534
(3.50%)
9,427
(61.93%)
1,301
(8.54%)
636
(4.17%)
1,045
(6.86%)
+ 8,126
(△53.39)
15,872
(59.87%)
송월동[*A ]3.93%57.61%9.33%4.93%7.42%△48.2957.27
영강동[*B ]2.91%64.40%7.28%3.68%5.48%△57.1254.86
금남동[*C ]3.24%62.96%7.57%4.04%6.93%△55.3959.43
성북동[*D ]3.53%62.04%8.83%4.41%7.34%△53.2163.16
영산동[*E ]3.98%63.74%8.22%3.25%5.09%△55.5259.68
이창동[*F ]3.03%64.61%8.79%3.57%7.00%△55.8261.11
구 나주군
득표율722
(2.94%)
15,866
(64.66%)
2,019
(8.22%)
738
(3.00%)
1,427
(5.81%)
+ 13,847
(△56.44)
26,029
(62.79%)
빛가람동[*G ]6.08%54.55%12.15%6.26%10.70%△42.4062.34
남평읍2.71%64.27%9.72%4.00%7.72%△54.5559.55
세지면2.24%66.25%7.95%2.38%5.44%△58.3063.51
왕곡면3.08%68.08%6.42%2.42%5.45%△61.6667.74
반남면2.25%65.55%8.78%2.73%4.27%△56.7768.91
공산면2.72%59.10%6.87%3.32%4.68%△46.79[1]68.04
동강면2.79%63.03%7.33%2.41%6.42%△55.7162.68
다시면3.54%65.07%7.89%2.87%4.73%△57.1866.71
문평면3.15%63.94%8.17%2.95%5.22%△55.7663.92
노안면3.03%67.08%7.25%2.15%4.09%△59.07[2]63.13
금천면2.99%63.14%8.51%3.51%5.89%△54.6459.61
산포면2.51%66.79%8.26%2.40%6.56%△58.5363.66
다도면3.09%63.91%6.87%3.32%4.92%△57.0460.06
봉황면3.89%63.30%8.78%2.54%5.18%△54.5161.63
정당
ta-hash-start=w-160994f39d798d2894a3f0a756ecb6b5[[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4c4d7d721cf9a48f1edb88443bd1e863[[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ta-hash-start=w-2de755c24803bc890203d491ae1533cc[[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ta-hash-start=w-372ac89e5b4b39b7d2afe7d04f43d4fd[[파일:국민의당(2020년)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e6fc583511b1b88c34bd2a2610248a8c[[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거소·선상투표3.88%41.11%9.44%5.55%6.11%△31.67
관외사전투표4.18%56.87%11.04%5.20%10.31%△45.83
재외투표22.91%41.66%10.41%6.25%10.41%△18.75

[1] 비례 2위는 민중당(163표, 12.32%)이다.[2] 비례 2위는 민중당(190표, 8.01%)이다.

전라남도 나주시 국회의원
나주시·나주군나주시나주시·화순군
13대14대15대16대17대18대19대20대21대
이재근/3선
평화민주당
김장곤/초선
민주당
정호선/초선
새정치국민회의
배기운/초선
새천년민주당
최인기/초선
무소속
최인기/재선
통합민주당
배기운/재선[10]
민주통합당
손금주/초선
국민의당
신정훈/재선
더불어민주당
신정훈/초선[11]
새정치민주연합

전라남도 나주시장
1기(95~98)2기(98~02)3기(02~06)4기(06~10)5기(10~14)6기(14~18)7기(18~22)8기(22~26)
나인수/초선
무소속
김대동/초선
새정치국민회의
신정훈/초선
무소속
신정훈/재선
무소속
임성훈/초선
민주당
강인규/초선
새정치민주연합
강인규/재선
더불어민주당
윤병태/초선
더불어민주당

전라남도 나주시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나주시·화순군나주시 전역 + 화순군 전역
도의원나주시1남평읍, 노안면, 금천면, 산포면, 송월동, 금남동, 성북동, 다도면
나주시2다시면, 세지면, 왕곡면, 반남면, 공산면, 동강면, 봉황면, 영강동, 영산동, 이창동, 문평면
나주시3빛가람동

나주의 정치 성향은 대개 이웃한 광주광역시를 따라가는 경향을 보인다. 예로부터 광주와 경계를 맞닿은 지자체 중에서 가장 인구가 많고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이었기 때문에, 나주에서 광주로 등하교 또는 출퇴근을 하는 인구가 많아 교류가 매우 활발히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항상 광주와 결과가 같았던 것은 아니고 5.18 민주화운동 이전까지는 보수 정권의 지지도가 높은 편이었다.

좋은 예로 5.16 군사정변이 일어난 뒤에 치뤄진 1963년 제5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정희 후보가 52%의 득표율을 얻어 39%에 그친 윤보선 전 대통령을 큰 격차로 눌렀다. 이 때는 전국적으로 전형적인 여촌야도 구도를 보여서, 광주, 목포, 순천, 여수를 제외한 모든 전남 지역에서 박정희가 이겼기에 광주와는 완전히 다른 정치 구도를 보였다. 1967년 제6대 대통령 선거에서 똑같은 두 후보가 재대결을 펼쳤을 때에는 윤보선이 51%를 가져가 박정희를 10% 차이로 이겼으나, 같은 시기에 열린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이호범 후보가 무려 73%의 압도적인 득표율을 얻어 압승했다. 이처럼 나주의 정치 지형은 보수 성향이 비교적 강한 지역이었다.

이 구도가 깨지게 된 것은 김대중신민당에서 전면으로 나서기 시작하면서부터다. 대한민국 정치사의 두 거물, 박정희와 김대중이 맞대결을 펼친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나주시는 무려 71%의 표를 김대중 후보에게 밀어주었다. 이 때가 바로 지역주의의 본격적인 시작이라고 보이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 30%는 박정희가 가져갔고,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 나석호 후보가 민주공화당 박만영 후보를 불과 1.19% 차이로 누르고 당선이 되었다. 대통령 선거는 지역주의 때문에 김대중 후보가 표를 많이 받았을 뿐,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여전히 팽팽한 맞대결을 보였다. 그러나 유신 헌법 제정 - 5.18 민주화운동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태로 민주당계 정당 초강세 지역이 되었으며, 지금까지 나주의 정치 성향은 광주와 거의 완벽하게 일치하는 경향을 보인다.

국회의원은 화순군과 함께 선거구를 이루고 있으며 한 명을 뽑는다. 혁신도시 조성지의 경우 외지인의 유입 때문인지 새누리당 지지율이 다소 높아질 것이라는 인식을 가진 사람도 있었지만,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예언이 되었다. 한국 전력 등에서 일하는 외지인은 많아야 50대 이하의 청년층, 중년층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친 민주당, 반 보수 정당 성향의 유권자가 많았다. 따라서 문재인 정부 초창기에는 여당 및 더불어민주당 지지도가 가장 높았으나, 정부 지지도가 내려가면서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 와서는 오히려 더불어민주당 지지도가 가장 낮은 지역이 되었다.

민주당계 정당이 둘로 갈라졌을 때에는 두 정당 모두에게 불신을 보였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열린우리당과 새천년민주당으로 갈라졌을 때에는 지역구 선거에선 두 당의 후보가 아닌 무소속 최인기 후보가(...) 당선되었지만 비례표에선 열린우리당이 40% 이상을 얻어 새천년민주당을 약 8% 격차로 앞섰고, 다음 선거인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선 반대로 열린우리당이 도지사 선거에서 11%의 득표율로 패했고, 시장 선거에선 무소속 신정훈 후보가 54.9%로 당선되었다. 이후 민주당계 정당 자체가 슬럼프에 빠지면서 어찌어찌 봉합되나 했지만, 결국 갈등이 다시 터진 2016년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으로 분화되었고, 직후에 열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국민의당이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큰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총선 6개월 뒤에 대한민국 헌정 사상 전례가 없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터지면서, 재보궐선거로 열린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선 문재인 후보가 61.76%를 득표하면서 안철수 후보를 무려 32.25%라는 큰 격차로 누르고 더블스코어 이상으로 1위를 차지했다. 모든 읍면동에서 50% 이상으로 1위를 차지한 것은 물론 15% 이상의 격차를 보였고,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가 들어선 빛가람동에선 무려 68.86%를 득표하여 거의 50%에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당시 여당 후보였던 홍준표는 고작 2.03%를 득표하여 유승민 (2.08%), 심상정 (3.77%)에게도 밀려 5자 구도에서 꼴찌를 기록했는데, 이 순위조차도 광주와 같은 결과였다.

9. 군사[편집]



나주에는 공군부대가 있는데 동신대 뒷편 금성산에는 방공포대가 있었고 이와는 별도로 133대대 본부가 있다. 그리고 산포면 쪽에는 광주비행장에서 관리하는 비상활주로가 있는데 1전비에서 파견된 병사들이 관리한다. 최근에는 가끔 훈련할 때를 제외하고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비상활주로 근처는 고도제한과 같은 규제가 있는데 인근 주민들은 잘 사용하지도 않는 활주로를 폐쇄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2019년쯤 훈련을 하는 등 마냥 놀리는 것은 아니다.

금성산 방공포대는 전라남도 유일 방공포 부대이며 나주시는 지속적으로 시에 주둔중인 공군부대 전부를 이전 추진중이다. 방공포대는 계룡으로 2022년 11월 이전했다. 133대대 본부(구 제2작통처)는 금성산에 계속 주둔하고 있다. 이후 광주 무등산의 방공포대가 금성산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한다.

10. 하위 행정구역[편집]





11. 여담[편집]




12. 주요 기관[편집]



12.1. 전라남도청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편집]




12.2. 전라남도교육청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편집]




12.3. 정부 부처 소속기관 및 산하기관[편집]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산하 연구소이다. 영산강문화권 유적을 발굴한다.


12.4.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관련기관[편집]




13. 우호 교류 도시 및 자매 결연 도시[편집]



13.1. 우호 교류[편집]




13.2. 자매 결연[편집]




14. 출신 인물[편집]


분류:나주시 출신 인물 항목 참조.


14.1. 역사적 인물[편집]




14.2. 연예인[편집]




14.3. 정치인[편집]




14.4. 스포츠 관련 인물[편집]



14.5. 기타[편집]




15. 영화 / 드라마 촬영[편집]



15.1. 영화[편집]




15.2. 드라마[편집]



15.3. 예능[편집]




15.4. 뮤직비디오[편집]




16. 사건 사고[편집]





[1] 서울특별시와 면적이 비슷하다.[2] 2023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3] 산포면 덕례리는 광주광역시 통화권에 속해있다.[4] 정확히는 나주시 산하의 반남면이다.[5] 현재 국내산 홍어는 흑산도 주변과 그곳에서 주문받아 납품되고 있으며, 수입 홍어는 목포시 동명동 어시장을 중심으로 유통된다.[6] 차라리 원주혁신도시마냥 혁신도시 개발을 도심지의 바로 옆(예를 들면 시청에서 빛가람대교 건너 바로)에 하면 구도심과 연담화되면서 도심 재생의 효과를 주며 혁신도시 주민들이 초창기에 겪었던 인프라 부족 역시 상쇄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도시를 어설프게 구도심과 남평의 중간 지역, 논밭과 말고는 거의 아무것도 없던 금천면과 산포면 지역에 세우면서 구도심과 남평의 인구가 혁신도시로 빨려 들어가고 정작 혁신도시는 주요 인프라와 대중교통 수단의 부족에 시달리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아직도 버스 노선이 구도심과 남평 위주로만 짜여 있어 가장 인구가 밀집된 혁신도시 주민들만 부족한 버스 노선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괄호] A B C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7] 나주시 일원, 화순군 일원.[A] 관외투표 제외.[8] 지역구 국회의원 :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재선).[9] 재외투표 2위는 국가혁명배당금당 조만진 후보(3표, 6.97%)이다.[10] 2014.6.12.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11] 2014.7.30. 재보궐선거.[12] 기존의 포대는 이전했고 광주의 포대가 이전하는 것을 검토중이다.[13] 비상활주로를 관리하는 파견대이다.[14] 가장 최근에 개관한 국립박물관으로 국보 제295호 마한 금동관이 메인 전시물, 대형 관람창을 설치하여 관람객들이 수장고 내부를 직접 볼 수 있는 개방형 수장고를 운영하고 있는 점이 인상적이다.[15] 인터넷우체국 운영기관이다.[16] 우연히도 김해는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를 착공하는데 동의했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