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웅(1961)

덤프버전 : (♥ 0)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대구 중구·남구)
제21대
임병헌
제22대
김기웅
현직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대구광역시 당협위원장
[ 펼치기 · 접기 ]


||<-4><tablewidth=100%><tablecolor=#181818,#ddd><tablebgcolor=#fff,#1f2023><#00b5e2> 시당위원장 ||
||<-4><bgcolor=#ffffa0,#2d2f34> 양금희 ||
||<rowbgcolor=#00b5e2><width=25%> 중·남 ||<width=25%> 동 갑 ||<width=25%> 동 을 ||<width=25%> ||
||<rowbgcolor=#ffffa0,#2d2f34> 임병헌 || 류성걸 || 강대식 || 김상훈 ||
||<rowbgcolor=#00b5e2> 북 갑 || 북 을 || 수성 갑 || 수성 을 ||
||<rowbgcolor=#ffffa0,#2d2f34> 양금희 || 김승수 || 주호영 || 이인선 ||
||<rowbgcolor=#00b5e2> 달서 갑 || 달서 을 || 달서 병 || 달성 ||
||<rowbgcolor=#ffffa0,#2d2f34> 홍석준 || 윤재옥 || 김용판 || 추경호 ||
||<-4> ||



[ 펼치기 · 접기 ]

||<-4><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575757> 국토통일원차관 (1969~1990) ||
||<-4><bgcolor=#835b38> ||
||<width=25%> 초대
이규학 ||<width=25%> 제2대
유상근 ||<width=25%> 제3대
동홍욱 ||<width=25%> 제4대
동훈 ||
||<bgcolor=#808080> ||<-2><bgcolor=#004c97> ||<bgcolor=#0a84e9> ||
||<-2> 제5대
이병용 || 제6대
김동섭 || 제7대
송한호 ||
||<-4><bgcolor=#575757> 통일원차관 (1990~1998) ||
||<-2><bgcolor=#0a84e9> ||<-2><bgcolor=#003990> ||
|| 제7대
송한호 || 제8대
임동원 || 제9대
송영대 || 제10대
김석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575757> 통일부차관 (1998~현재) ||
||<-3><bgcolor=#00aa7b> ||<-2><bgcolor=#ffd918> ||
||<width=20%> 제11대
정세현 ||<width=20%> 제12대
양영식 ||<width=20%> 제13대
김형기 ||<width=20%> 제14대
조건식 ||<width=20%> 제15대
이봉조 ||
||<-2><bgcolor=#ffd918> ||<-3><bgcolor=#0095da> ||
|| 제16대
신언상 || 제17대
이관세 || 제18대
홍양호 || 제19대
엄종식 || 제20대
김천식 ||
||<-3><bgcolor=#c9252b> ||<-2><bgcolor=#004ea2> ||
|| 제21대
김남식 || 제22대
황부기 || 제23대
김형석 || 제24대
천해성 || 제25대
서호 ||
||<bgcolor=#004ea2> ||<-2><bgcolor=#e61e2b> ||
|| 제26대
최영준 || 제27대
김기웅 ||<bgcolor=#e0ffdb,#202210> 제28대
문승현 ||


파일:통일부 MI(2005-2016).svg 통일부 남북회담본부장
박근혜 정부
9대
천해성
10대
김기웅
11대
한기수

파일:청와대 흰색 로고.svg 대통령비서실 통일비서관
박근혜 정부문재인 정부
2대
김형석
3대
김기웅
통일정책[1]
이덕행
[1] 국가안보실 산하 이관

대한민국 제27대 통일부차관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김기웅
金基雄 | Kim Ki-woong
파일:국민의힘김기웅.jpg
출생1961년 9월 15일 (62세)
경기도 인천시
(現 인천광역시)
거주지대구광역시 남구 봉덕동
현직제22대 국회의원
국민의힘 대구 중구·남구 당협위원장
재임기간제10대 통일부 남북회담본부장
2014년 12월 12일 ~ 2016년 7월 8일
제27대 통일부차관
2022년 5월 10일 ~ 2023년 6월 28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삼영국민학교 (졸업)
대건중학교 (졸업)
성광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석사)
병역육군 소위 복무만료 (석사장교)[1]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지역구대구 중구·남구
의원 선수1
의원 대수22
소속 위원회
경력국토통일원 5급 특채
통일부 정책기획과장
통일부 회담기획과장
통일부 회담1과장
통일부 통일정책기획관
통일부 정세분석국장
통일부 남북협력지구발전기획단장
통일부 통일정책실장
통일부 남북회담본부장 (제10대 / 박근혜 정부)
대통령비서실 통일비서관 (제3대 / 박근혜 정부)
통일부차관 (제27대 / 윤석열 정부)
제22대 국회의원 (초선 / 대구 중구·남구 / 국민의힘)

[1] 1987년 5월 16일 임관 및 소집해제. 병무청 공직자등의 병역사항열람.

1. 개요
2. 경력
3. 생애
3.1. 정치 경력
4. 소속 정당
5. 선거 이력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무직 공무원으로, 통일부차관을 지낸 관료 출신 정치인.


2. 경력[편집]




3. 생애[편집]


1961년 인천광역시에서 태어났다, 이후 대구로 이사하여 삼영초등학교, 대건중학교, 성광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 대학원에 진학하여 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통일부 5급 특채에 지원하여 통일부 사무관으로 채용되었고, 정책기획과장, 회담기획과장, 회담1과장, 통일정책기획관, 정세분석국장, 남북협력지구발전기획단장, 통일정책실장, 남북회담본부장, 대통령비서실 통일비서관을 거쳐 2017년 공직에서 퇴임하였다.

2022년 5월 9일, 윤석열 정부의 첫 통일부차관으로 지명되었고 1년 후인 2023년 6월, 외교관 출신인 문승현 주 태국 대사가 후임 차관으로 내정되어 자리에서 물러났다.


3.1. 정치 경력[편집]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구 중구·남구 지역구에 출마한다. 당초 도태우가 공천받았으나 그의 과거 5.18 관련 발언들이 소환되어 논란을 일으키자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는 그의 공천을 취소하고 김기웅 전 차관을 공천했으며 본선에서 과반 득표를 넘기며 1위로 당선되었다.[1]


4.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4 -정계 입문


5.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24제22대 국회의원 선거대구 중·남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2,380 (57.91%)당선(1위)초선



6. 둘러보기[편집]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6 14:30:56에 나무위키 김기웅(196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민의힘 공천이 취소되어 무소속 후보로 출마한 도태우 후보는 선거비 전액 보전선인 15%를 간신히 넘기며 3위로 낙선하였다.